무고한 충신을 살려낸 천년 은행나무 압각수
은행나무는 천년을 사는 나무로 유명하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오래 묵은 은행나무는 용문사 은행나무로, 그 수령이 1,000~1,500년 사이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높이는 그리 높지 않지만, 나무에 큰 뜻이 새겨진 은행나무 한 그루가 있다. 바로 청주시 중앙공원 안에 있는 수령이 1,000년 가까이 된 은행나무인 ‘압각수(鴨脚樹)'이다.
압각수란 청주 중앙공원 안에 있는 은행나무 이름인데, 잎의 모양이 오리의 발가락을 닮았다고 해서 생긴 이름이라는 설과, 이 나무의 뿌리가 물오리 발처럼 사이가 붙어 있어 생겼다는 설이 있다. 이 나무가 왜 유명하게 되었을까? 그것은 바로 이곳 압각수가 서 있는 장소가 청주목의 객사 문 앞이었다. 그런데 고려 공양왕 2년인 1390년 5월에, 이색, 권근 등 10여명이 이성계의 반대파로 지목되어 청주옥에 갇히게 되었다.
죄 없는 충신들을 살려낸 압각수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고려 공양왕 2년인 1390년에 이초와 윤이가 ‘이초의 난’을 일으켰다. 이초의 난이란 고려 말엽 정선 사람인 이초가 고려말엽 공양왕 때 정5품의 무관직인 중랑장 벼슬을 하였는데, 윤이와 함께 명나라에 있을 때 명나라 황제에게 호소하여 명나라의 힘을 빌려 시중 이성계를 없애기 위하여 모의를 하고 하였다.
그들은 명나라 태조에게 공양왕과 이성계가 군사를 일으켜 명나라를 치려한다고 거짓으로 고하였다. 또한 이를 반대한 이색 등을 살해하고, 우현보 등은 유배하였다고 거짓으로 알렸다. 그때 사신으로 명나라에 머물던 동지 밀직사 조반이 귀국하여 이 사실을 조정에 알리자, 공양왕 2년인 1370년에 이들을 잡아들였다.
천년 세월을 버텨 온 압각수의 밑동
그리고 목은 이색, 도은 이숭인, 양촌 권근, 인재 이종학, 우현보 등 충신 10여명을 잡아들여, 청주 옥사에 하옥하는 청주옥사가 일어났다. 이 무렵 청주지방에는 갑자기 집중호우가 쏟아져, 청주성의 민가와 옥사가 침수되었다. 이색 등 옥에 갇혀 있던 충신들은 객사 앞에 서 있는 은행나무인 압각수로 올라가 화를 면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공민왕은 이색 등이 죄가 없음을 증명하는 것이라 하여 이들을 방면하였다. 충청북도 기념물 제5호인 압각수는 수령이 천년 가까이 되었고, 높이는 30m에 밑동의 둘레가 8m에 이른다. 은행나무 앞에는 양촌 권근이 옥에서 풀려난 후 지었다는 시비가 서 있다.
권근의 시비와(위) 압각수의 줄기. 이 줄기에 충신들이 올라가 홍수를 피해 목숨을 건졌다.
근거 없는 소문으로 주 무왕의 아우 주공에게 불행이 미치니
갑자기 큰 바람이 일어 벼를 쓰러뜨렸네.
고려 공양왕이 청주에 큰물이 넘쳤다는 말을 듣고
하늘의 뜻이 예나 이제나 같음을 알았도다.
압각수. 천년을 바라보면서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은행나무 한 그루. 이 나무는 우리에게 참 많은 것을 알려주고 있다. 죄가 없는 사람은 하늘도 그들을 살려낸다는 깊은 뜻을 알려주는데, 이 말은 죄가 있는 사람은 곧 하늘이 벌을 내린다는 말과 같은 뜻은 아닐까? 죄 없는 백성들을 위해 일을 하지 않는 무리들은, 언젠가는 이런 벌이 떨어지는 것은 아닐까? 괜한 생각을 한 것조차 죄스러워, 나무 옆에서 얼굴을 붉힌다.
전주 삼천동 곰솔, 그 아픔을 보다.
천연기념물 제355호인 전주 삼천동의 곰솔. 이 소나무는 볼 때마다 가슴이 갈래갈래 찢기는 것 같다. 몇 년 전인가 이 곰솔을 보고 멍하니 그 자리에서서 움직일 수가 없었다. 누군가 농약으로 곰솔을 죽이려고 했다는 것이다, 갖은 고생 끝에 겨우 살려놓은 곰솔은, 한편으로만 자라나는 기형의 나무가 되었다.
곰솔은 껍질이 흑갈색이다. 곰솔은 그 분포지가 바닷가이기 때문에 ‘해송’이라고도 부르고, 껍질이 검다고 하여 ‘흑송’이라고도 부른다. 전주 삼천동의 곰솔은 내륙에서 서식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모양이 특이하여 주목을 받고 있는 소중한 식물자원이다.
현재 삼천동의 곰솔은 높이는 12m 정도에, 가슴높이의 둘레가 10m 가까이 될 정도의 큰 소나무다. 한창 생육이 좋을 때 동서의 길이가 34.5m, 남북의 길이가 29m에 이르는 아름다운 나무였다.
인동 장씨 선산의 경계표지목
이 곰솔은 서 있던 자리는 원래 인동 장씨 장령공파의 선산이었다. 장씨들이 전주에 내려와 자리를 잡으면서 선산의 조경수로 심어 놓은 것이라고 한다. 이 곰솔의 수령은 270년 가까이 된 것으로 추정하며, 아래에서 보면 하나의 줄기가 위로 올라가는 듯하다. 높이 2m 정도부터 수평으로 가지가 펼쳐져, 마치 한 마리의 학이 땅을 차고 날아가려는 모습을 하고 있다.
2001년도인가 누군가 이 나무에 독극물을 주입하여 ⅔ 정도의 가지가 죽어, 마치 한편으로만 자라난 것처럼 보인다. 나무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정말로 안타깝다. 어떻게 저 아름다운 나무를 독극물로 죽일 생각을 한 것일까? 일을 마치고 불현 듯 생각이 나서 찾아간 삼천동 곰솔. 해가 넘어갈 시간에 석양을 받은 곰솔의 모습은 신비롭기만 하다.
독극물에 의해 한편이 죽어버린 곰솔. 이제는 가지가 늘어져 땅에 닿을 듯하다.
그래도 살아남은 끈질긴 생명력
중간부분과 한편을 뭉텅 잘라낸 곰솔. 그 상처의 흔적이 애처롭기만 하다. 만일 저 가지가 저렇게 잘라내지만 않았다고 한다면, 그 모습은 어떠했을까? 아직도 주변에 남아있는 가지를 받치고 있던 기둥을 보면 그 모습이 그려진다. 저렇게 옆으로 실하게 자라나던 곰솔이다.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면서, 스스로 나무의 제왕처럼 자태를 자랑했을 것이다.
잘려나간 흔적은 차마 바라다보기가 민망하다. 인간들의 모자람이 이렇게 아름다운 곰솔을 이 지경으로 만들어 놓다니. 두세 가지가 한편으로 자라나간 모습이 괴이하기까지 하다. 밑동은 저리도 거북등처럼 갈라져 그 세월의 흔적을 보이고 있건만, 한번 죽은 가지는 소생할 기미조차 없다.
나무가지를 받쳤던 기둥을 보는 것도 아픔이다.
안타깝게 살아남기 위해 잘려나간 가지들의 흔적
누가 말했던가? 세상의 모든 것은 돌고 도는 것이라고. 그러나 삼천동 곰솔은 겨우 살아남은 가지만을 뻗고 있을 뿐이다. 몇 년 전보다 가지가 많이 자란 듯하다. 가지 끝이 땅바닥에 닿을 정도로 늘어졌다. 그 모습을 보면서도 걱정이 앞선다. 괜찮을까 하는 생각에서다.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 놀란다.’고 했던가? 가지만 늘어져도 걱정이다.
잘려나간 가지의 끝을 보는 것도 마음이 아픈데, 그 곁에 가지를 받치고 있던 기둥은 왜 방치를 하는 것일까? 그렇게 큰 나무였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도 좋지만, 그런 아픔을 아는 사람들에게는 그 또한 가슴을 아프게 만드는 것이거늘. 몇 년 만에 만나 본 천연기념물인 삼천동 곰솔. 그때나 지금이나 가슴이 미어지기는 매한가지이다.
500년 세월 제 멋에 겨운 느티나무
이 나무는 보호수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고유번호는 강원 원주 10호이다. 1984년 6월 13일에 보호수로 지정이 되었다. 나무의 높이는 20m에 이르고, 둘레는 6,2m나 되는 거목이다. 나무 밑동에서 윗부분의 줄기에는 여기저기 외과수술을 한 흔적이 보인다. 나무는 일반적인 느티나무들이 가지를 위로 뻗는데 비해, 마치 춤을 추듯 둥긇게 뻗기도 해 기괴한 느낌마져 준다.
호저면 용운사지 곁에 서식해
호저면은 칠봉과 용운사지가 있어 유명하다. 여름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흐르는 물가를 찾아 모여든다. 칠봉은 섬강상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일곱개의 봉우리가 나란히 물가에 서 있어 절경이다. 이 칠봉을 지나 들어가면 용곡리가 나오며, 이곳은 예전에 용운사지가 있던 곳이다. 현재 이곳에는 탑과 석불이 나란히 있는데, 이 느티나무는 그 옆에 서식하고 있다.
느티나무의 옆으로는 맑은 하천이 흐르고 있어, 늘 풍부한 수분이 나무를 자라게 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그 모습에서 알 수 있듯, 줄기에 가득한 이끼들을 보아도 깊은 세월을 느낄 수가 있다. 나무를 올려다보면서 나도 몰래 침을 삼킨다. 그것은 이 나무가 살아온 세월이 인간들이 상상할 수 없는 오랜 세월이기 때문이다. 이 나무가 처음으로 싹을 티었을 당시는 조선조 성종 때였으니, 그 세월이 짐작조차 가질 않는다.
500년 성상을 살아온 나무답게 나무는 기이한 모습으로 서 있다.
나무를 보며 기운을 얻다
나무를 보면 무엇인가 기운을 얻는다고 한다. 무슨 기운을 얻을 수 있는 것일까? 그 오랜 세월을 한 자리에 서서 굳건히 자리를 지킨 용곡리 느티나무. 전국을 다니면서 보면 수 많은 보호수들이 있다. 이 나무도 그 중 한 나무일뿐이다. 그러나 용곡리 느티나무는 조금은 특이해보인다. 밑동서부터 여기저기 혹같은 것이 돌촐이 되어있다. 아마 오랜 역사의 흔적인 것만 같다.
줄기에는 푸른 이끼가 덮고있어, 이 나무가 얼만 오래되었는가를 가늠할 수 있다. 그 뿐이 아니다. 혹은 또 다른 혹을 만들어내며, 두껍잔등 같은 표피를 보호하는 듯하다. 자연적으로 스스로를 치유하며 살아가는 것은 아닐까? 보면 볼 수록 그 경이로움에 감탄을 한다. 수많은 천연기념물을 보아왔지만, 조금도 부족하지가 않다. 그래서 이 느티나무에게서 받는 기운이 남다르다.
어디를 가나 볼 수 있는 느티나무. 그러나 그 나무마다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호저면 용곡리의 느티나무는 스스로의 상처를 치유하는 힘을 보이면서, 500년이 넘는 오랜 시간을 그렇게 서 있다. 이러한 나무들의 모습에서 우리는 자연의 위대함을 배운다.
자연은 스스로를 정화하고, 치유하는 힘을 갖고 있다. 하기에 오랜 세월을 한 자리에 서서 나름의 역사를 만들어 간다. 이 느티나무는 그 오랜 성상을 살아가면서 많은 것을 우리에게 주었다. 그것도 모자라 앞으로도 또 얼마나 오랜시간을 우리와 함께할 지 모른다. 그것이 바로 나무에게서 우리가 받아야 할 기운이란 생각이다.
550년 세월을 지내온 탱자나무의 웃음
탱자나무의 수령이 550년이라면 ‘엄청 나네.’라고 말할까? 아니면 ‘꽤 오래 되었네’라고 말을 할까? 그러나 탱자나무가 550년이라는 세월을 살았다고 하면, 그것은 대단하다고 해야 할 것이다. 천연기념물 제78호인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가 수령이 400년, 제79호인 화도면 사기리의 탱자나무가 400년인 점을 보면, 천안향교 앞의 탱자나무는 그 수령상으로는 으뜸 일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탱자나무가 주로 영, 호남지방에 많이 분포하며 자란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탱자나무는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열매와 껍질은 약재로 사용된다. 탱자나무의 줄기에는 무수한 가시가 돋아 있어, 과수원의 울타리용 등으로 적합하다.
탱자나무 하나로 글을...
누군가 나에게 이런 말을 한다. ‘딴 분들은 여러 가지를 엮어 한 개의 글을 올리는데, 왜 꼭 하나만을 갖고 글을 쓰느냐’는 것이다. 그런 말을 들으면서 웃고 말았다. 내 딴에는 꼼수일 수도 있다. 물론 주변에 많은 것을 엮어 글을 쓰면, 나도 편해서 좋기는 하다. 그만큼 글을 쓸 소재가 다양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꼭 그렇게 볼 것은 아니란 생각이, 하나만 갖고도 소개를 하자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정작 한 가지 소재로 글을 쓰는 이유는, 현장을 다녀야 하는 나로서는 묶어서 글을 쓴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답사를 나가 1박 2일이나 2박 3일을 돌아다니면서 들고 온 자료가, 며칠 만에 밑천이 떨어진다면 어떻게 그 다음을 버틸 수 있을까 하는 점에서다.
보호수로 지정딘 탱자나무. 밑동을 보니 이 나무의 수령이 보인다.
550년 한결같은 탱자나무
수령이 550년이라는 적지 않은 세월을 살아 온 나무는, 천안시 유량동 190에 소재한 충남 기념물 제110호인 천안향교 입구 우측에 자리하고 있다. 일반적인 탱자나무들은 그 높이가 3m 정도인데 비해, 이 나무는 높이가 7.5m에 둘레가 1.3m나 되는 거목이다. 현재 충남 도지정 제110호 보호수로 지정이 되어있다.
향교를 찾아갔다가 문이 닫혀있어, 담 밖을 맴돌다가 우연히 만난 탱자나무다. 이럴 때 ‘수지맞았다’라고 하는 것인지. 나무의 밑동을 보니 나무가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저기 쇠기둥을 받쳐 놓은 것은 그만큼 가지가 넓게 퍼졌기 때문이다. 550년이란 세월을 살았으면서도 열매를 많이 달고 있다. 간수를 잘했는지 잎과 열매가 튼실해 보인다.
굵은 가지에는 세월의 흔적이 보이고, 잔가지들은 춤을 추는 듯하다. 세월의 춤을...
제멋대로 퍼져나간 줄기는 오랜 연륜을 말하는 듯, 여기저기 굵은 홈이 파여져 있다. 구불거리면서 자란 줄기가 마치 춤을 추는 것만 같다. 그 오랜 세월을 한 자리에 뿌리를 내리고 살았으니, 나무 스스로가 주변 환경과 어우러져 살아가는 법을 익히지나 않았을까? 그 앞에 서보니 한낱 인간이라고 떠들어 댄 것이 부끄럽기만 하다.
탱자나무에게서 배우는 세상을 사는 지혜는 무엇일까? 아마 변함없이 하던 일을 계속하라는 것은 아니었을까? 수도 없이 여기저기 기웃거리고 사는 인간들을 비웃는 듯한 모습이다. 그리고 구불거리는 가지들이 마구 웃는 것만 같다. ‘자연을 섬기지 못하는 인간들이 가소롭다’는 그런 웃음을. 오늘 이 탱자나무 한 그루가 세상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준다. 언제나 그 자리에서 거친 풍파를 다 이겨내는 것만이 온전한 삶이라는 사실을.
오랜 세월을 지냈으면서도 아직도 많은 열매를 달고 있다. 자연은 그렇게 스스로를 지켜나간다.
아들을 점지해 준 종암우물과 개평리 소나무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에는 수령 500년이 지난 커다란 소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마을을 흐르는 개울을 내려다보는 이 소나무는, 경상남도 기념물 제211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이 소나무는 처진 소나무로 높이는 16m이며, 둘레는 2.95m에 가지의 폭은 21m 정도이다.
이 소나무는 마치 등 굽은 사람처럼 서 있는데, 목 부분이 굽어져 가지가 마을 쪽으로 뻗쳐 처져있다. 마을에 전하는 이야기로는 풍천 노씨들이 처음으로 이 마을에 들어와 자리를 잡을 때 심었다고 전한다. 조국의 광복 이후에도 마을 주민들은 이 소나무 아래에 모여, 마을의 안녕과 가내의 안과태평을 비는 지신밟기를 했다고 한다.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에 있는 수령 500년의 처진소나무
죽은 아들이 아이를 점지해준 종암우물
소나무 아래에는 마치 계란같이 생긴 바위와 우물이 있다. 이 바위를 종암이라고 부르며, 아래에 있는 우물을 종암우물이라고 한다. 이 우물에는 전설이 전한다. 고려 말엽 소나무가 서있는 개평마을에는 200호 정도가 모여 살고 있었다. 이 마을에 금씨 성을 가진 가난한 선비가 살았는데, 슬하에 자식이 없다가 40이 넘어서야 아들을 낳았다.
목 부분이 굽어진 처진 소나무는 노씨들이 지곡마을에 자리를 잡으면서 심었다고 전한다
살림살이가 풍족하지는 않았지만, 두 부부는 귀한 아들이라 정성을 다해 키웠다. 그런데 아이가 8살이 되던 해에, 앞 개울가에서 물고기를 잡고 놀다가 그만 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50이 다 된 부인은 자식을 잃은 슬픔으로 병이 들어, 회복이 불가능할 정도로 몸이 약해졌다.
그러던 어느 날 부인이 잠을 자다가 꿈을 꾸었는데, 아들이 꿈에 나타나 하는 말이 ‘어머니 나 종암우물에 있어. 왜 데리러 안와’라고 했다. 부인은 집 가까이에 또 다른 우물이 있어, 종암우물까지는 물을 길러 가지 않았으나, 아들이 보고 싶은 생각으로 혹시나 해서 종암우물로 가서 우물주위를 돌았다. 몸이 약해진 부인은 우물을 돌다가 쓰러졌으나, 종암우물의 물을 먹고 기운을 차려 다시 우물을 돌고는 했다.
아들을 점지한다는 전설을 간직한 종암과 우물
먼 곳이지만 아들을 만날 수 있다는 기대로, 부인은 날마다 종암우물을 떠다 먹으며 그 주위를 돌았다. 그런데 도저히 완쾌할 것 같지 않았던 병약한 부인이, 3개월 후에는 완쾌가 되었으며 임신까지 하게 되었다. 임신이 된 선비의 부인은 49세라는 늦은 나이에 다시 아들을 낳았다. 지성이면 감천일까? 오직 아들을 보기를 바란 부인의 정성이 하늘을 닿아 아들을 본 것이다.
이 소문은 인근마을로 퍼져 나갔다. 그 뒤로부터 마을에는 낯선 여인들이 찾아와 종암을 안고 도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바로 아이를 낳지 못한 여인들이 아들을 낳을 것을 간절히 빌며 종암 주위를 돌면서, 우물 물을 마시고는 했다는 것이다.
지곡마을은 한옥이 즐비한 전통마을이다.
지곡마을은 한옥들이 즐비한 곳이다. 이 마을은 일두 정여창의 고택을 비롯한 많은 고택들이 자리를 하고 있다. 수령 500년이 된 처진 소나무와 종암. 아마 이 외에도 이 마을을 돌면 많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을 것만 같다. 등굽은 소나무는 마을을 향해 옛날 옛적 전설이라도 들려주려는 것인지. 마을을 향한 가지들이 사람들을 불러 모으려고 손짓을 하는 것만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