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제355호인 전주 삼천동의 곰솔. 이 소나무는 볼 때마다 가슴이 갈래갈래 찢기는 것 같다. 몇 년 전인가 이 곰솔을 보고 멍하니 그 자리에서서 움직일 수가 없었다. 누군가 농약으로 곰솔을 죽이려고 했다는 것이다, 갖은 고생 끝에 겨우 살려놓은 곰솔은, 한편으로만 자라나는 기형의 나무가 되었다.

곰솔은 껍질이 흑갈색이다. 곰솔은 그 분포지가 바닷가이기 때문에 ‘해송’이라고도 부르고, 껍질이 검다고 하여 ‘흑송’이라고도 부른다. 전주 삼천동의 곰솔은 내륙에서 서식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모양이 특이하여 주목을 받고 있는 소중한 식물자원이다.

현재 삼천동의 곰솔은 높이는 12m 정도에, 가슴높이의 둘레가 10m 가까이 될 정도의 큰 소나무다. 한창 생육이 좋을 때 동서의 길이가 34.5m, 남북의 길이가 29m에 이르는 아름다운 나무였다.



인동 장씨 선산의 경계표지목

이 곰솔은 서 있던 자리는 원래 인동 장씨 장령공파의 선산이었다. 장씨들이 전주에 내려와 자리를 잡으면서 선산의 조경수로 심어 놓은 것이라고 한다. 이 곰솔의 수령은 270년 가까이 된 것으로 추정하며, 아래에서 보면 하나의 줄기가 위로 올라가는 듯하다. 높이 2m 정도부터 수평으로 가지가 펼쳐져, 마치 한 마리의 학이 땅을 차고 날아가려는 모습을 하고 있다.

2001년도인가 누군가 이 나무에 독극물을 주입하여 ⅔ 정도의 가지가 죽어, 마치 한편으로만 자라난 것처럼 보인다. 나무를 바라보고 있노라면 정말로 안타깝다. 어떻게 저 아름다운 나무를 독극물로 죽일 생각을 한 것일까? 일을 마치고 불현 듯 생각이 나서 찾아간 삼천동 곰솔. 해가 넘어갈 시간에 석양을 받은 곰솔의 모습은 신비롭기만 하다.




독극물에 의해 한편이 죽어버린 곰솔. 이제는 가지가 늘어져 땅에 닿을 듯하다.
 
그래도 살아남은 끈질긴 생명력

중간부분과 한편을 뭉텅 잘라낸 곰솔. 그 상처의 흔적이 애처롭기만 하다. 만일 저 가지가 저렇게 잘라내지만 않았다고 한다면, 그 모습은 어떠했을까? 아직도 주변에 남아있는 가지를 받치고 있던 기둥을 보면 그 모습이 그려진다. 저렇게 옆으로 실하게 자라나던 곰솔이다.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면서, 스스로 나무의 제왕처럼 자태를 자랑했을 것이다.

잘려나간 흔적은 차마 바라다보기가 민망하다. 인간들의 모자람이 이렇게 아름다운 곰솔을 이 지경으로 만들어 놓다니. 두세 가지가 한편으로 자라나간 모습이 괴이하기까지 하다. 밑동은 저리도 거북등처럼 갈라져 그 세월의 흔적을 보이고 있건만, 한번 죽은 가지는 소생할 기미조차 없다.

나무가지를 받쳤던 기둥을 보는 것도 아픔이다. 
안타깝게 살아남기 위해 잘려나간 가지들의 흔적

누가 말했던가? 세상의 모든 것은 돌고 도는 것이라고. 그러나 삼천동 곰솔은 겨우 살아남은 가지만을 뻗고 있을 뿐이다. 몇 년 전보다 가지가 많이 자란 듯하다. 가지 끝이 땅바닥에 닿을 정도로 늘어졌다. 그 모습을 보면서도 걱정이 앞선다. 괜찮을까 하는 생각에서다.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보고 놀란다.’고 했던가? 가지만 늘어져도 걱정이다.

잘려나간 가지의 끝을 보는 것도 마음이 아픈데, 그 곁에 가지를 받치고 있던 기둥은 왜 방치를 하는 것일까? 그렇게 큰 나무였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도 좋지만, 그런 아픔을 아는 사람들에게는 그 또한 가슴을 아프게 만드는 것이거늘. 몇 년 만에 만나 본 천연기념물인 삼천동 곰솔. 그때나 지금이나 가슴이 미어지기는 매한가지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