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개지고 갈라진 석탑, ‘그래도 나 보물이야’
우리나라 전역에서 문화재를 아끼는 마음이 가장 두드러진 곳은, 당연히 괴산군이라는 생각이다. 괴산군의 문화재 중 몇 기의 탑들은 원래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던 것을, 주민들이 찾아내 복원을 시킨 것이다. 그 중 한 기가 괴산군 청안면 효근리에 소재한, 보물 제1299호로 지정이 된 보안사 삼층석탑이다.
보안사 3층 석탑은 옛 보안사 경내의 북쪽 담장 곁에 무너져 있던 것을, 1957년 주민들이 찾아내 복원을 하였다고 한다. 이 보안사 석탑은 단층기단 위에 3층의 탑신으로 조성되어 있다. 아마도 이 탑에는 마을과 관계된 이야기라도 전하는 모양이다. 주민들의 힘으로 복원을 했다는 것이 참 고맙기만 하다.
자연석인 암반을 지대석으로 이용하였다. 바위의 윗면을 네모나게 홈을 판 후 그 위에 탑을 조성하였다
자연석으로 지대석을 삼은 보안사 석탑
보안사 삼층석탑은 여느 탑과는 다른 면이 있다. 지대석을 가공한 돌로 사용한 것이 아니고,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하였다는 점이다. 자연석의 중심부에 네모나게 홈을 내어 그 위에 단층 기단을 세웠다. 기단은 4면에서 면석을 합하여 단층 기단부를 형성하고, 그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렸다.
자연석을 이용한 지대석은 4각형이지만 한 쪽 면은 각이 없다. 지대석은 위만 지면으로 솟아오른 형태이고, 나머지는 모두 땅에 묻혀있어 원래 이 자리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기단부는 동쪽면의 상단부가 깨어져 있으며, 기단부 면석은 금방이라도 무너져 내릴 듯 많은 금이 가 있다.
인근에 있는 보안사 경내를 벗어나 도로변으로 나오다가, 좌측으로 들어가면 커다란 느티나무가 있다. 이 느티나무 옆에 삼층석탑이 서 있는데, 현재는 집의 울타리 안에 자리하고 있다.
탑신부에 조성한 작은 감실
전체높이 325cm 정도의 이 삼층석탑은 기단 면석에는 양우주를 모각하고, 별도의 조형이 없는 사각형의 갑석을 올려놓았다. 그 위에 삼층의 탑을 조성하였는데, 이 탑의 몸돌에는 아무런 장식도 없다. 그저 밋밋한 사각형의 돌을 올려놓았으며, 다만 일층 몸돌에 감실이 있을 뿐이다.
보안사 삼층 석탑 일층의 탑 몸돌 남쪽면 중앙에는 12☓9cm 정도의 방형 감실이 조성되어 있다. 1층의 몸돌에 비해 2, 3층의 몸돌은 급격히 작아졌으며, 옥개석은 둔하게 조성되어 있다. 낙수면은 급하게 떨어지며 일층 옥개받침은 3단, 2,·3층의 옥개받침은 2단이다.
탑을 조성한 양식 등으로 보면 이 석탑은 고려 후기의 석탑으로 추정되며, 탑신부에 감실이 조형된 형태는 특히 충북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모습이다. 상륜부는 노반석 만이 남아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각 면이 많이 닳아진 모습이다.
주민들의 노력으로 복원한 보물 석탑
마을의 주민들이 흩어져 있던 것을 보아 복원을 하였다는 보안사 삼층석탑. 석탑을 보호하는 보호철책 안에는 술병이 놓여있고, 감실이 있는 일층 몸돌 앞에는 정화수 그릇이 있는 것으로 보아, 누군가 이곳에서 치성을 드렸나 보다. 비록 둔탁한 형태로 보존이 되어 있고 많이 훼손이 되었지만, 보물로 지정 될 만큼 나름대로의 특징이 있어 보인다.
아니 그보다는 주민들의 정성이 깃들어 주변에 흩어진 것을 모아 복원을 하였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짝이라도 있었으니 다행이란 생각이다. 마을사람들의 뜻이 모여 있어서 그런지, 보안사 삼층석탑은 우리에게 한 마디 거드름을 피우는 것만 같다.
“나, 이래도 보물이야”
이 사면석불 정말 땅에서 솟아났나요?
전국에 산재한 문화재를 답사하다가 보면, 사연도 참 많다. 이런 저런 사연을 듣다가 보면 시간이 가는 줄도 모른다. 그만큼 재미있는 것이 바로 문화재 답사이다. 왜 힘든 문화재 답사를 하느냐고 묻는 분들도 있지만, 그건 답사의 재미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경주에 있는 보물 제121호인 굴불사지 사면석불. 극락정토를 바라는 많은 사람들의 염원이 만들어낸 걸작품이다. <삼국유사> 권3 탑상(塔像) 사불산굴불산만불산(四佛山掘佛山萬佛山)조에 보인다. 그 기록에 의하면 신라의 경덕왕이 백률사를 찾았을 때, 땅에서 염불소리가 들렸다고 한다. 땅을 파보니 사면에 석불이 새겨져 있는 커다란 바위가 나와 이곳에 절을 짓고 절 이름을 <굴불사>라 칭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초기의 절터로 추정
최근에 들어 이 일대를 발굴 조사한 결과 고려시대의 건물터가 확인이 되었으며, 출토유물 가운데는 <굴석사>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었다. 현재 백률사라는 절이 굴불사지 사면석불을 지나 있는데, 이 절은 이차돈이 순교할 때 그 머리가 날아가 떨어진 곳이라고 전한다.
굴불사지 사면석불은 높이 3.5m 정도의 커다란 암벽 사방에 부처와 보살상을 조각한 사방불이다. 흔하지 않은 사방불이라 그 가치도 높지만 사방에 새겨진 불상의 조각이 뛰어나다. 사면석불은 산을 향해 올라가면서 정면으로 보이는 서면은 아미타삼존불, 동면에는 약사여래좌상, 남면에는 삼존입상, 북면에는 보살상이 돋을새김이 되어있다.
굴불사지 사면석불 중 아미타삼존불
뛰어난 조각이 돋보이는 사면석불
사방불을 조성할 때는 남방에 석가모니불을 위시하여 북방에는 미륵불, 동방에 약사여래, 서방에 아미타불을 조각하는 것이 일반적인 예이다. 굴불사지 사면석불도 서방에는 아미타삼존불을 조성했다.
아미타삼존불의 중앙에는 아미타불을 몸체는 돋을새김을 하여 놓았다. 머리는 따로 조성을 하여 몸체에 올려놓은 형태이다. 아미타불의 죄우에 모신 협시보살인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은 따로 조각을 하여 좌우에 모셔놓았다. 대세지보살의 경우 머리 부분이 떨어져나가 알아볼 수가 없다
11면의 관음보살, 마모가 심해
아미타삼존불을 바라보고 좌측으로 돌면 북면에 돋을 새김한 보살상이 있다. 이 보살상은 크게 들어 올린 머리에 보관을 쓰고 있다. 돋을새김을 한 보살상의 옆으로는 희미하게 음각을 한 선이 보인다. 분명하게 알아볼 수는 없지만 11면의 얼굴과 6개의 손을 가진 관음보살이라고 한다.
오랜 세월 비바람에 마모가 되어 알아볼 수는 없고, 형체는 많이 훼손이 되었지만, 당시의 사람들은 자연 암석에 이렇게 다양한 모습의 불상을 새겨 넣음으로써 극락정토를 그리며 살았을 것만 같다.
위 사진은 북면 보살상으로 굴불사지 사면석불의 북면에 돋을새김한 보살상이며, 아래사진은 굴불사지 사면석불의 동면에 돋을새김한 약사여래상 이다
돔면을 상징하는 곳에는 약사여래좌상이 돋을새김 되어있다. 머리는 크고 높은 육계로 표현을 했다. 상반신에는 희미하게 법의가 음각을 한 선으로 표현이 되어있으나, 이 또한 오랜 세월 비바람에 씻겨 희미하다.
훼손이 된 부조, 정말 아쉽고 또 아쉽다
다리는 결가부좌를 하고 있으며 왼손에는 약함을 들고 있으나 오른손은 파손이 되어있다. 사면석불 중 그 어느 것보다 보존상태가 좋은 편이다. 아마 석불의 뒤편에 조성이 되어있어 상대적으로 자연적인 훼손을 막은 듯하다.
굴불사지 사면석불 남면에 돋을새김한 보살상. 좌측은 아예 떼어낸 듯 사라졌다.
남면의 보살입상을 보면 좌측이 무엇인가 떼어낸 듯한 흔적이 보인다. 원래는 세 분의 보살입상이 있었던 것 같다. 현재 돋을새김한 두 분의 보살 중 한분은 머리가 사라진 상태다. 남면의 보살입상은 신체의 비례가 적합하고 조각수법도 빼어나다. 둥근 연꽃대좌를 만들어 발밑을 받치고 있으며, 배 모양의 신광에는 연꽃무늬를 비롯한 다양한 무늬들이 새겨져 있다.
해가 따갑다. 하루에 몇 군데를 돌기위해서는 발길을 재촉할 수밖에 없다. 그러다가 보면 흐르는 땀조차 주체를 못한다. 물 한 병은 1시간을 넘기지 못한다. 그렇다고 물병을 수두룩하게 짊어지고 다닐 수도 없는 답사 길이다. 그러다가보니 어디를 가나 이렇게 만나는 석불에게도 속으로 기원을 한다. 즐겁고 평안한 답사 길이 되게 해달라고. 그리고 또 하나 흉측하게 변해버린 문화재를 만나는 일이 없도록 해달라고.
마을 주민들이 지키는 삼방리석탑, 왜?
괴산군 불정면 삼방리. 마을의 논 가운데 서 있는 삼층석탑은 고려 초기의 석탑이다. 이 석탑은 시멘트로 조성한 대 위에 단층기단이 있고, 그 위에 삼층의 탑신이 있다. 기단의 면석에는 양우주와 중앙에 탱주를 모각하였고, 각층의 탑신에도 양우주를 조성하였다. 옥개석의 낙수면은 비교적 급한 편이며, 층급받침은 4단으로 되어 있다.
마을 주민들이 찾아 낸 석탑
삼방리 삼층석탑 사진을 찍고 있는데, 마을 주민 한 분이 곁에 와서 지켜보고 있다. 처음에는 왜 그렇게 유심히 보는지 궁금했는데, 나중에 알고 보니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삼방리 석탑은 탑이 서 있는 주변 논바닥에 묻혀있던 것을, 주민들이 찾아내 유실된 부분을 채워 세웠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어떤 상태였나요?"
"탑 근처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돌들을 모아보니 석탑이라는 것을 알았죠. 그래서 부족한 부분을 새로 만들어 채워서 세운 것입니다"
"탑을 세운지는 얼마나 되었나요?"
"1991년에 세웠어요. 그때 탑 꼭대기에 있는 것들이 여러 조각으로 갈라져 발견되었어요. 그래서 조각을 모아 새로 만들어 올려놓고. 조각이 난 것은 탑의 기단부 안에 넣어두었죠. 지금도 저 안에 있어요."
도둑맞은 상륜부의 수연
마을에서 4대째 살아온다는 주민 이광희(남, 55세)씨가 설명을 해준다. 주민들의 힘으로 세워진 삼방리 삼층석탑은, 현재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2호로 지정되어 있다.
"나중에 논에서 쇠로 만든 것을 발견해서 위에다 올려놓았어요. 그런데 어느 날 그것이 사라져 버린 거예요. 마을주민들이 힘들여 조성해 놓은 것을 갖고 가다니"
이야기를 들어보니 철주가 솟아있는 상륜부는 새로 만든 노반과 복발, 앙화가 있다. 그리고 그 위에 있어야 할 수연이 유실되었다는 것이다. 한적한 마을이다 보니, 누군가 탑의 맨 위에 올려져있던 수연을 집어갔나 보다. 그래서 낯선 사람이 마을에 찾아와서, 탑 주위를 돌아다니니 불안하여 쫒아 나온 듯하다.
탑의 조각기법이 뛰어나
삼방리 삼층석탑의 일층 몸돌은 사면에 불상을 돋을새김 하였다. 연꽃을 새긴 앙화좌 위에 결가부좌를 한 불상은, 사면 모두 두광과 신광을 갖추고 있다. 사면의 불상은 동쪽은 약사여래, 서쪽은 아미타여래, 남쪽은 대일여래를 조성하고, 북쪽에는 석가여래불을 조각하였다. 사면에 조각을 한 불상을 보아도 이 탑이 고려초기의 뛰어난 석탑임을 알 수 있다.
탑은 여기저기 훼손되었지만,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3층의 몸돌과 상륜부를 새로 조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행히 옛 모습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이광희씨의 설명으로는 탑을 세우고 난 뒤 석물이 또 발견이 되었다고 한다. 삼층석탑으로 들어가는 길가에 놓여있는 석재를 보니 기단부인 듯하다.
전국을 다니면서 많은 석탑이나 문화재 등이, 이렇게 도난을 당했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도대체 이런 문화재의 부분을 훔쳐가는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 사는 사람들일까? 뛰어난 조형미를 자랑하는 삼방리 석탑의 허전한 상륜부가 자꾸만 눈에 밟힌다.
천년세월, 그 자리에 서서 역사를 보았나?
천흥사는 고려 태조 4년인 921에 창건되었다가, 조선시대에 폐사되어 지금은 그 터만 남아 있다. 천흥사지는 충남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 일대를 말한다. 이곳에는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을 옮겨 보관이 되고 있는, 국보 제280호인 천흥사지 동종과 아울러 천흥사지에 남아있는 보물 제99호 당간지주와 보물 제354호인 천흥사지 오층석탑이 있다.
이 국보인 천흥사지 동종 위패형 명문에 양각이 되어있는 "聖居山天興寺鐘銘 統和二十八年庚戌二月日"이라는 문구로 보아, 고려 현종 원년인 1010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명문가운데 '통화(統和)는 중국 요의 연호로 고려 현종 원년에 해당한다. 이 당간지주와 오층석탑도 범종과 같은 해에 조성된 것으로 보여, 올해가 벌써 햇수로 1000년이 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천년 지난 고려 초의 당간지주
당간지주란 절에서 각종 의식을 행할 때 악귀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당간(幢)'이라는 깃대를 세우는 지주를 말한다. 당이란 부처의 공덕을 표시하는 마귀를 내쫒는 깃발이다. 이 당을 깃대에 매달고 양편에 석물이나 철물로 조성된 지주를 세우게 되는데, 이를 '당간지주'라고 부른다.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당간지주보다, 상당히 정형화된 미를 나타내고 있다. 당간지주를 고이는 기단의 이층부에 새긴 안상 등이 우수하다. 더욱 두 개의 화강암 돌로 만들어 당간지주를 붙들고 있는, 기단의 이층은 안상의 조각만이 아니고, 상당히 섬세한 형태로 꾸며졌다. 전체적인 모습은 통일신라의 형태에서 약간 퇴화한 듯도 하지만, 일반적인 고려 때의 당간보다는 화려한 듯 하다.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양편의 지주석이 두자 정도 사이를 두고 있다. 그리고 그 사이에는 당간을 세우는 네모난 돌이 있고, 중앙에는 당간이 고정될 수 있도록 둥근 홈을 파 놓았다. 당간지주는 2단의 기단 위에 올렸는데, 양편의 지주 돌은 3m 정도의 높이로 밑을 2단의 지주가 받쳐 힘을 받게 했다.
오층석탑과 동일한 안상을 새겨
보물 제9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마을로 들어가 개울을 건너 민가 앞에 서 있으며, 내를 건너 300m 정도 떨어진 곳에는 보물 제354호로 지정된 천흥사지 오층석탑이 서 있다. 이 탑이 당간지주와 동일한 고려 현종 원년인 1010년에 세워졌다는 것은, 기단에 새긴 안상이 동일하다는 것이다.
결국 이 당간지주와 오층석탑의 안상이 동일하고, 그 조각 수법이 한 사람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어 두 개의 석물이 동일인에 의해 동일한 시가에 조성이 되었다는 것이다. 신라시대의 탑 형태를 하고 있는 천흥사지 오층석탑은 이층 기단을 갖추고 그 위에 오층탑을 쌓았는데, 이 석탑 역시 기단에 안상을 조각하였다. 각 면에 7구씩 새겨져 있는 안상은 당간지주의 안상과 동일하다.
탑과 당간지주가 300m 이상 떨어져 있다는 것은 천흥사가 당시에 얼마나 큰 사찰이었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고려 태조 왕건과도 관계가 있었다는 천흥사는, 태조 4년인 921년에 창건하여 현종 원년인 1010년에 대대적인 불사를 했음을 알 수 있다.
천년 세월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천년 세월을 지낸 화강암의 석조물치고는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당간지주의 상단은 훼손이 되었지만, 뒤편에 있는 기둥 돌의 선 등은 그대로 나타나 있다. 또한 자주와 지주 사이에 있는 당간을 세우는 받침돌이나, 기단부의 이층 돌들은 상당히 보존이 잘 되어있다. 1010년에 조성을 하였으니, 올 해로 꼭 천년을 서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당간지주가 천흥사지에 집들이 들어차면서, 당간지주와 오층석탑이 마을의 집들 가까이 있어 안타깝다.
천흥사지가 조선시대에 폐사가 되었다고 하지만, 국보인 동종이나 오층석탑, 당간지주 등이 남아있어 역사적으로 소중한 사지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지의 문화재 주변에 있는 민가들이라도 정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문화재 주변이 정리가 되어있지 않아, 또 다른 이차 훼손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수난의 세월 지켜 낸 국보, 그래도 고맙다
국보 제101호 ‘법천사지 지광국사탑(法泉寺址 智光國師塔)’은 고려시대의 승려 지광국사 해린(984∼1070)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수난의 세월을 지내온 문화재다.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법천사지에 서 있던 현묘탑은 1912년 일본 오사카로 밀반출이 되었다가, 3년 후인 1915년 반환되어 현재는 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이사를 할 때도 오직 이 탑만이 남았다. 그 이유는 6,25 동란 때 폭격을 받아 부수어졌던 것을 그 후 다시 맞추어 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탑을 자세히 살펴보면 폭격을 맞아 부수어잔 부분을 시멘트로 발라놓은 것을 볼 수 있다. 만일 이전을 한다고 탑을 해체했을 때 심각한 훼손을 가져올 수도 있어, 구 국립중앙박물관 자리에 보존하였다. 탑의 높이는 610㎝다.
고려시대 탑의 걸작, 아름다운 비길 수 없어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부도 가운데 그 어떤 것에 비할 수 없을 만큼 우수한 작품인 현묘탑은 기단의 네 귀퉁이마다 한 마리씩 놓여 있던 사자상을 모두 도둑을 맞았다. 이렇듯 수난을 당한 지광국사 현묘탑은 우리 문화재 중 가장 수난을 당한 문화유산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신라 이후의 부도가 8각을 기본형으로 만들어진 것에 비해, 이 부도는 전체적으로 4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는 새로운 양식을 보여준다. 한 마디로 통일신라시대 이후 계속된 팔각형 평면에서 벗어나 새로운 양식을 보여주는 이형부도이다.
현재 법천사지에는 지광국사의 탑비가 그대로 남아있는데, 탑비를 세운 때가 고려 선종 2년(1085)인 점으로 보아 묘탑의 조성 시기는 지광국사의 입적 직후인 1070∼1085년경에 세워진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사리를 운반하던 외국풍의 가마형태
부도 전체에는 사방에 여러 가지 꾸밈을 두고 있다. 4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자유로운 양식에 따라 만들어졌으며 장식이 정교하며 혼란스럽지 않다. 바닥돌은 네 귀퉁이마다 용의 발톱 같은 조각을 두어 땅에 밀착된 듯 한 안정감이 느껴진다. 탑은 모두 7단으로 기단의 맨윗돌은 장막을 드리운 것처럼 돌을 깎아 엄숙함을 더했다.
기단부에는 여러 단을 두어 꽃, 상여, 신선, 장막 등을 장식했다. 탑신에는 앞뒤로 페르시아풍의 창문을 내고, 드림새 장식을 하였다. 지붕돌은 네 모서리가 추켜올려졌으며, 밑면에는 불보살, 봉황, 연꽃 등을 조각해 놓았다. 머리장식 역시 양화, 복발, 보개, 보주가 층층이 쌓아 올려졌다. 이 현묘탑은 지광국사의 장례 때 사리를 운반하던 화려한 외국풍의 가마를 본떠 만든 것으로 보인다.
지광국사탑에는 특별한 것이 보인다. 바로 보련(寶輦)인 임금이 타던 옥교를 메고 가는 고려시대 가마꾼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흑색 관모를 머리에 쓰고, 무릎까지 오는 둥근 깃의 단령포를 착용하였다. 우리나라의 묘탑 중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를 받고 있는 국보 제101호 지광국사현묘탑. 수난의 역사를 지내온 이 탑을 본을 삼아 앞으로 이 같은 불행이 다시는 없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