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이곳의 길을 따라가다가 보면, 깎아지른 듯한 절벽 가운데 정자가 보인다. 이 정자를 몇 년 전인가 한번 들렸던 적이 있다. 그 때는 일각문은 다 무너지고 정자도 낡고 퇴락해, 바라보면서도 마음이 편치 않았다. 이번 5월 3일 진안군을 답사하면서 다시 찾은 쌍벽루. 무너져 내렸던 일각문은 사라지고, 오르는 길과 정자가 말끔하게 정비가 되어 있다.

도로에서 바라다 보이는 쌍벽루는 말 그대로 바위가 벽인 듯하다. 정자는 바위 위에 올라 앉았으며, 뒤편으로도 바위 절벽이 있다. 밭을 지나 정자로 오르는 길에는 바위가 움푹 파여 있다. 그곳에는 ‘강정대(江亭臺)’라는 글씨를 음각으로 깊이 파 놓았다. 아마도 이 정자가 있는 곳이 강정리이기 때문에 붙인 명칭으로 보인다.



정자 위에 올라보니 쌍벽루가 맞네

정자는 그런대로 풍취가 있다. 우진각지붕으로 지어진 정자는 기둥을 받치기 위한 보조기둥인 활주를 세웠다. 정자의 누마루 밑을 받치는 기둥은 둥글게 조성한 주추를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올렸다. 사방에는 난간을 둘렀으며, 뒤편으로 정자를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정자에 오르면 앞으로 펼쳐진 들판이 시원하게 보인다.

쌍벽루는 아래편으로 바위벽을 두고, 뒤편으로도 바위벽을 두고 있다. 뒤편에 있는 이 바위는 구멍이 숭숭 뚫려있어, 조금은 괴기한 기분까지 들게 만든다. 아마도 오랜 풍화작용으로 인해 이렇게 색다른 모습으로 보이는가 보다.



한 가지 아쉬운 것은 이 정자가 문화재가 아니기 때문인가, 그 어디에도 정자의 내력을 알 수 있는 글 하나가 적혀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정자는 1942년 참봉 전영선이 지었다고 전한다. 예전에 이 정자에 올랐을 때는 주변을 벽돌 담장으로 쌓고, 오르는 길목에 일각문을 두었던 기억이 난다.

두 마리의 용이 나그네를 반기고

정자에 오르니 두 마리의 용이 나그네를 반긴다. 청룡과 황룡의 반김이 유일하게 이 정자에서 만나볼 수 있는 것이다. 정자마다 걸려있는 그 흔한 게판 한 개가 걸리지 않았다. 그런 현판이라도 있었으면, 정자의 내용이라도 알아볼 수가 있었을 텐데.



이제 정자를 지은지가 70년이 지난 쌍벽루. 새롭게 조성을 마친 정자에 올라 하늘을 올려다본다. 맑은 5월의 하늘에는 몇 점 구름이 떠 있다. 쌍벽루 위에 올라 바라다 본 들판에는, 봄철 농사일을 하는 사람들의 바쁜 모습이 눈에 띤다. 저렇게 바쁜 삶의 모습에서 잠시 쉴 참에 이 정자에 올라 쉬어감직도 하련만. 무심한 한 낮의 바람 한 점만 누마루를 지나 쉬어간다.



보물 제421호는 실상사 약수암에 모셔진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이다. 이 작품은 정조 6년인 1782년에 제작된 목각작품으로, 그 조성연대가 밝혀진 것으로 유명하다. 이 목각탱화는 나무에 불상을 조각해서 만든 탱화를 말한다. 크기는 가로 183㎝, 세로 181㎝로 정사각형에 가까우며, 현재 전하고 있는 조선 후기의 목조 탱화 가운데 가장 간략한 배치구도를 가지고 있다.

이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은 모두 여덟 분의 보살과 석가의 제자인 아난과 가섭을 모셨다. 그리고 하단 중앙에는 따로 아미타불을 조성하여, 하단 중앙부분을 홈을 파고 그 안으로 밀어 넣은 형태로 꾸며졌다. 이 ‘목각아마타여래설법상’의 또 다른 작품이, 남원 선원사에 전시가 되고 있다.


미타의 미소’로 명명된 전시

5월 9일부터 남원 선원사에서 열리는 ‘미타의 미소’전에는 모두 11작품이 전시가 되고 있다. 앞으로 한 달간 전시될 작품들은 ‘미타의 미소’를 조각한 경기도무형문화재 제49호인 작가 한봉석 외에도, 강원도무형문화재 제12호인 김상수의 ‘봉황문 과반’과, 경기도무형문화재 제47-가호인 이완규의 ‘청동관음보살좌상’ 등이 선보인다.

미타의 미소로 명명된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을 그대로 재현한 작품은 크게 상하로 나누었는데, 하단에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는 보현보살과 세지보살을, 왼쪽으로는 문수보살과 관음보살을 배치하였다. 상단에는 석가의 제자인 아난과 가섭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 월광보살과 지장보살을, 왼쪽으로는 일광보살과 미륵보살을 배치하였다.




본존인 아미타불은 타원형의 광배를 가지고 있고 사자가 새겨진 대좌에 앉아 있다. 상단의 불상들 틈으로는 연꽃에 피어난 작은 소불이 8분이 새겨져 있다. 연꽃은 목각탱화의 아랫부분에서 위까지 꽃을 피우며 올라가고 있어. 탱화 전체가 연꽃으로 가득한 느낌을 받는다.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을 그대로 재현한 작가 한봉석은 이 작품을 완성하는데 2년이 걸렸다고 한다. 은행나무의 재질로 꾸민 이 작품은 한 치의 다름도 없이, 보물 제421호로 그대로 재현해 내고 있다. 이번 미타의 미소전은 남원 선원사에서 한 달간 무료로 관람을 할 수가 있다.



이 전시를 기획한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 최선일 소장은 ‘극락세계가 사바세계를 사는 중생들에게 펼쳐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세 분과, 중진작가 다섯 분이 정토세계를 시각적으로 구현해 보았다’고 한다.(문의 : 063)631-0108 / 남원 선원사)


'사랑실은 스님짜장"의 주인공인 남원 선원사 주지 운천스님은 선원사 봉사단과 함께 5월 7일 2,000명에게 자장면을 무료로 급식을 했다. 5월 7일 오후 5시 전주시청 앞에서 열린 '부처님 오신날 전북 연등축제'에 모인 불자들에게 자장면을 만들어 공양을 한 것이다. 먼저 운천스님과 선원사 최인술 봉사단장이 자장을 볶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그 모습을 보기 위해 주변으로 모여들었다.

오후 5시 대한불교 제17교구 본사 주지인 원행스님을 비롯하여 태고종 전북종무원 도광스님, 송하진 전주시장,  김백호 전라북도 불교신도회장, 전북불교대학 한광수 학장, 진긱종 보성정사, 천태종 신도회장, 용화종 대표, 보문종 대표 등이(무순) 가마솥 주변에 둘러서 커다란 주걱으로 자장면을 볶았다.

 

행사에 참석한 분들이 힘을 합쳐 자장을 볶고 있다.

퍼포먼스가 끝난 다음 사람들은 몇 줄로 서서 밥에 자장을 담아 먹기 시작한다. 한 줄에 20m 정도로 길게 늘어선 사람들의 숫자는 순식간에 불어났다. 이런 행사를 하는 선원사 주지 운천스님은 '사람들에게 무엇인가를 해 줄 수 있다는 자체가 즐거움이다. 우리 봉사단원들도 모두 힘이 들지만, 끝나고 나면 보람된 일을 했다는 것에 뿌듯해 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사랑실은 스님짜장'에서 제공하는 자장밥을 먹기 위해 줄은 선 인파


 

자장면을 떠 주고 있는 스님짜장의 주인공인 선원사 주지 운천스님

사람들은 자장면을 받아들고 의자에 앉아 한 그릇을 먹은 후, 다시와서 한 그릇씩을 더 먹는 사람들도 있다. '스님이 직접 짜장을 볶아주어서 그런지 더 맛이 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에게 짜장면을 먹을 수 있도록 준비를 해주신 선원사분들께 너무나 감사하다'고 말한다. 사랑실은 스님짜장은 오늘도 구석지게 외로운 곳에서 힘들게 살아가는 이웃을 찾아 길을 나선다.

전북 진안군 마령면 강정리 248-1에는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 2층집이 있다. 현재 등록문화재 제19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집은, 한식 민가의 건축기술을 기반으로 한 2층 집이다. 근대에 지어진 농촌지역의 집으로는 드물게 보이는 2층집으로, 당시의 농촌 건축문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5월 3일 찾아간 진안군. 마령면 소재지를 지나 전주 방향으로 가다가 만난 강정리 길가에, 진안 전영표 가옥이라는 안내판이 보인다. 고택답사를 연재하는 나로서는 이런 안내판이 보이면 그보다 더 반가울 수가 없다. 마을 안으로 들어가 집을 찾는데, 영 고택다운 집이 보이지를 않는다. 마을 주민들에게 물러 겨우 집을 찾았다. 담장이 아니라면 그저 지나칠 듯한 집이다.


꽁꽁 닫힌 철문, 담 밖으로만 돌아

전영표 가옥은 일제강점기 지역의 민간인 목수에 의해 지어진 집으로, 당시 지방 목수들의 기능을 살펴 볼 수 있는 집이다. 당시에 이렇게 2층으로 집을 지을 수 있었다는 것은, 상당한 재력을 갖고 있음을 뜻한다. 담 밖에서 안을 들여다보니 원래는 기와지붕이었을 것이나, 현재는 슬레이트 지붕으로 이어 놓았다.

최근에 담장을 새로 조성한 듯한 이 집은, 전통 돌담에 철 대문을 달아놓아 보기에도 이상하다. 안을 마주하면 중앙 뒤쪽으로 이층으로 올린 안채가 서 있고, 우측에는 사랑채가 있다. 사랑채의 맞은편에는 헛간채가 서 있는데, 블록 담으로 꾸민 것으로 보아 나중에 다시 지은 듯하다.




이층은 유리창을 넓게 달아내

일제강점기에는 지역에도 2층집을 많이 지었다. 이런 유풍은 대도시나 지방의 작은 도시나 다를 바가 없었던 것 같다. 한식으로 짓기도 하고, 일본식의 건물도 상당수가 건축이 되었다. 이 집은 궁이나 사찰 등을 짓는 대목수가 지은 것이 아니라, 지역에 있는 일반 목수들이 지은 집으로 당시 목수들의 기능을 살펴 볼 수 있는 집이다.

진안 전영표 가옥은 1924년에 지은 것으로 추정이 된다. 이 집을 지은 건축주인 전영표는 집을 크게 지으면 안된다고 하였다고 하지만, 이집은 마을에서는 눈에 EL게 큰 집이다. 집 앞으로 가니 밭에서 일을 하고 있던 주민 한 분이, ‘문화재라고 하는데 담장만 새로 해서 멀쩡하지 볼 것이 없다’라고 하신다. 아마 그 분들이야 등록문화재라는 것이 얼마만한 가치를 갖고 있는지 모르는 듯하다.



안채는 정면에서 바라보면 좌측에 부엌을 내고 옆으로 안방을 드렸다. 중앙의 두 칸은 앞에 툇마루를 놓았으며, 우측으로는 반 칸 정도의 누마루를 깔았다.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으니 담장 밖으로 이리저리 다니면서, 집안을 살펴 볼 수밖에.

이층은 세 칸으로 되었으며 좌측 한 칸은 담벼락을 구성하고, 우측의 두 칸은 커다란 유리창을 달아냈다. 아마도 이렇게 커다란 유리창문을 앞뒤로 달아낸 것은, 주변의 경치를 보기 위함이었는가도 모르겠다. 이층으로 오르는 계단은 안에 있는지 밖에서는 찾을 수가 없다.

평범한 2층 집은 당시의 유행이었을 듯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전영표 가옥. 당시 지역 목수들의 기능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알아볼 수 있는 집이라고는 하지만, 특별한 꾸밈은 보이지를 않는다. 다만 그 당시에 2층집들이 많이 지어졌고, 이런 시골의 소도시에서도 이런 집이 있는 것으로 볼 때 그 당시에 유행하던 가옥의 형태가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안으로 들어가 꼼꼼히 살펴볼 수가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안채 뒤편에 장독대가 있고, 사랑채의 앞으로는 작은 연못도 보인다. 건축주인 전영표는 당시 이런 집을 지을 정도의 재력가였던 것 같다. 정원에는 각종 꽃나무들이 아름답게 꽃을 피우고 있다. 기와 대신 올린 슬레이트가 조금은 부담을 주기는 하지만.


장애우들에게 자장면을 만들어 주는 곳을 따라갔다가 화단이 너무 예뻐 사진에 담았다. 그런데 그 화단 석축 돌에 앉은 잡자리 한 마리가 있다. 벌써 잠자리가 나올 때인가 궁금하다. 화단에는 할미꽃도 있고, 이름 모를 화산한 꽃들도 있어 담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