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팔달구 매향동에 보면 화성을 본떠 조형한 ‘수원화성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 박물관을 바라보고 우측 도로 쪽으로 보면, 비와 함께 탑의 형태로 조형한 구조물이 보인다. 얼핏 보기에는 그저 누군가 조각이라도 해 놓은 듯하지만, 사실 이 조형물은 정조의 태를 묻은 태실을 그대로 모사하여 만든 구조물이다.

 

원래 정조의 태실과 비는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정양리 산133에 소재한다. 강원 유형문화재 제114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태실은 조선조 제22대 왕인 정조의 태를 모셨던 곳으로, 그 앞에는 태를 모신 것을 기념한 비가 놓여 있다.

 

 

 수원화성박물관에 있는 모형 태실과(위) 영월에 있는 강원 유형문화재 태실 및 비(아래) 

 

태실도 수난을 당한 정조

 

태실이란 왕이나 왕실 자손의 태를 모셔두는 작은 돌방이다. 전국에는 태봉, 태재 등의 명칭이 붙은 수많은 태를 묻은 곳들이 보인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충청도 진천현의 태령산에 김유신의 태를 묻고 사우를 지어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이 보인다. 이런 점으로 볼 때 태실의 풍습은 매우 오래된 듯하나, 조선시대 이전의 태실은 찾아볼 수 없다.

 

정조는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 사이의 맏아들로,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해 험한 일들을 많이 겪어야 했다. 그러나 정조이산은 조부인 영조의 탕평책을 이어받아 당론의 조화를 이루었고, 규장각을 통한 문화사업을 활발히 하여 실학을 크게 발전시켰다.

 

 

 

 

정조의 태를 안치했던 태실은 정조가 탄생한 이듬해인, 영조 29년인 1753에 안태사 서명구에 의해 영월읍 정양리 계족산 태봉에 처음으로 조성되었다. 국왕이 된 뒤 석물을 추가하는 가봉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민폐를 우려하여 후일로 미루었다. 그 뒤 정조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인 순조 원년인 1800년에 가봉을 하고 태실비를 세웠다.

 

현재 영월에 남아있는 정조의 태실은 1929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전국의 태실을 창경궁 안으로 옮길 때, 태항아리를 꺼내 관리상의 이유로 서삼릉 경내로 옮겨졌다. 태실과 태실비는 광산의 개발로 매몰되었던 것을 수습하여, 1967년 영월읍에 소재한 KBS 영월방송국 안으로 옮겼다가, 현재의 위치에 복원한 것이다.

 

 

 

 

원당형 부도를 닮은 정조의 태실

 

정조의 태실은 모두 2기가 남아 있다. 하나는 조선시대의 사찰 등에서 스님들의 사리 등을 모셔 놓는 팔각 원당형 부도를 연상하게 하는 형태로 조성하였다. 비교적 꽃무늬나 도형을 장식이 많은 태실을 안치하고, 석조난간을 돌렸다. 다른 한 점은 원통형의 석함 위에 정상부분에 원형대를 각출한 반구형 개석이 놓여 있다.

 

태실비는 귀부와 이수를 갖추고 있는데, 귀부에는 귀갑문과 하엽문을 이수는 쌍룡을 양 측면에 배치하고 그사이에는 구름문양을 채웠다. 비의 몸돌은 이수와 일석으로 조성하였으며, 전면에는 ‘정종대왕태실(正宗大王胎室)’, 후면에는 ‘가경 육년시월이십칠일 건(嘉慶 六年十月二十七日 建)’이라 종서로 음각했다.

 

 

 

 

 

수원화성박물관 앞뜰에 놓인 정조대왕의 태실과 비. 수원이라는 곳은 정조대왕의 삶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곳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이 태실의 조형물에 대해 무관심한 듯하다. 곁으로 지나치면서도, 안내판 하나 꼼꼼하게 읽어보는 이들을 보기 어렵다. 왜 이런 것을 여기 세워야 했는지조차 모르는 듯한 모습에서, 우리 역사, 특히 수원과 정조대왕의 역사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기울여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태풍 '볼라벤'은 국보와 보물급 문화재에도 상처를 남겼다. 바람이 강하게 부는 속초 등에서 실제로 목격한 바로는, 기왓장 등이 수시로 바람에 날리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그럴 당시 바람은 초속 10~15m 정도였던 것을 감안하면, 이번 태풍 블라벤의 바람은 기왓장 정도는 당연히 날아갈 것을 염두에 두어야 했다.

 

태풍 '볼라벤'의 영향으로 오늘 오전 국보 67호인 전남 구례 화엄사 각황전 기와 일부가 파손되었으며. 또 보물 396호인 여수 흥국사 대웅전 용마루 일부도 파손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아무래도 사찰 등은 지붕을 기와로 올리기 때문에, 그만큼 태풍이 강한 바람을 동반하면 전각의 지붕들이 가장 심한 피해를 당하기도 한다.

 

 

전라남도가 문화재청에 보고한 것으로 밝혀진 문화재의 훼손은, 국보 각황전과 보물 흥국사 대웅전 정도겠지만, 태풍이 끝난 뒤 전국의 사찰 등에서는 기왓장이 훼손 등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볼라벤은 내륙으로 진입을 했다고 하지만, 문제는 14호 태풍인 덴빈이 바로 올라온다고 한다. 문화재 보존 등에 각별한 주의를 요하는 대목이다.

 

‘어서각(御書閣)’이라고 하면 듣기에는 생소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전국에 수많은 어서각이 건립되어 있다. 어서각은 바로 왕이나 왕비 등이 친히 내린 글을 보관하는 곳이다. 왕이 친히 내린 어필은 자손과 신하에게 내린 명령이나 가르침인, 교시(敎示), 훈유(訓諭), 편지, 현판, 시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어필을 민간에서는 어서각을 세워 봉안하는 것이다.

 

전북 장수군 번암면 노단리 1118에 위치한 어서각은, 추담 장현경에게 영조가 하사한 친필을 보관하기 위하여 정조 23년인 1799년에 건립된 전각이다. 무주에서 장수를 거쳐 남원으로 내려가는 길에, 어서각의 표지판을 보고 찾아 들어갔다. 장수의 어서각은 전각을 둘러친 내담이 있고, 그 밖에는 철문으로 막은 외담으로 구성이 되어있다.

 

 

잠긴 철문, 알고 보니 열려 있어

 

철문은 잠긴 듯해 밖에서만 촬영을 하다가보니, 안으로 잠근 쇠가 그냥 열게 되어 있다. 이렇게 반가울 수가. 까치발을 들고 촬영을 하고 있었는데, 이런 경우에는 정말로 기분이 좋아진다.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면 홍살문이 있고, 삼문을 단 벽은 꽃담으로 장식이 되어있다.

 

그 안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어서각을 지었다. 전각의 중앙에는 ‘어서각(御書閣)’이라는 현판이 걸려있고, 자물쇠를 걸어놓았다. 한편에는 어서각을 수리한 내용을 기록한 중수기를 기록한 현판이 걸려 있다. 그 안에는 영조가 직접 써서 장현경에게 내린 글씨를 보관하고 있다고 하나 볼 수가 없어 안타깝다.

 

 

 

정조가 친히 어서를 내려

 

장현경(1730∼1805)은 흥덕사람으로 자는 백회, 혹은 사응이며, 호는 추담이다. 영조 28년인 1752년에 정시에 급제한 후, 홍문관박사를 시작으로 춘추관, 기주관, 편수관 등을 역임하였다. 어서각에 보관된 어서는 22㎝× 35㎝의 크기인 홍저지에 쓴 영조의 친필이다.

 

영조 39년인 1763년 겨울 장현경이 사관으로 입직하였을 때, 영조께서 정청에 나오시어 잣죽과 꿩구이를 내리자, 성은에 감복하여 율시를 지어 올리니 대왕께서도 크게 기뻐하시어 어서를 하사하신 것이라고 한다. 장현경은 이 글을 가지고 고향으로 돌아가 어서각을 짓고 이곳에 보관하였다.

 

 

 

잘 보관된 문화재에도 옥에 티가 있어

 

장수의 어서각은 여러 차례 중수를 하였다고 전한다. 넓지 않은 터에 자리를 잡고 있는 어서각. 아마 장현경 당시에는 그 누구도 이곳에 접근하지를 못했을 것이다. 어서각 여기저기에 CC카메라가 달려 있다. 영조의 친필이라면 그 자체만으로도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누군가 어서각을 출입하였는지 마루에 무엇이 놓여있다. 들여다보니 이곳에서 고추를 말렸는가 보다. 하기에 집안사람들이 이곳에 살고 있을 테니, 고추인들 말리지 못할 까닭이 없다고 하겠다. 그러나 예전 같으면 있을 수도 없는 일이다. 감히 임금님의 글씨를 보관한 집인데 말이다. 하기야 요즘 세상 사람들에게 임금의 친필이 무슨 대수가 될까?

 

 

이제는 문화재라는 의미도 사람들에게는 점점 퇴색되는 듯하다. 하기야 누군가 이렇게 전국을 다니면서 답사를 하는 나에게 물은 말이 있다. 참 가슴 아프게 받아들인 말이지만.

 

“문화재가 밥 먹여줍디까?”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에 소재한 송광사. 김제 금산사의 말사이면서도 사세는 어느 고찰 못지않다. 송광사는 많은 문화재가 있지만, 그 중 돋보이는 것은 당연히 조선시대에 축조된 보물 제1244호 종루이다. 송광사 종루는 십자각으로 지어진 종루이다. 중앙에 종을 매달고 동서남북 사방을 돌출시켜 열 십(十)자 모양으로 지어진 이층 누각을 말한다.

 

통일신라시대에 지어진 고찰 송광사

 

완주 송광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7년인 867년에 도의선사가 처음으로 창건했다고 한다. 신라 때의 승려 도의는 가지산파의 개조로 추앙을 받은 승려이다. 가지산파란 구산선문의 하나로, 헌덕왕 때 보조선사 체징이 도의를 종조로 삼고 가지산 보림사에서 일으킨 선풍을 말한다.

 

 

송광사는 그 뒤에 폐허가 되어가던 것을 고려 중기의 고승 보조국사가 중건을 하려고 했지만, 오랫동안 짓지 못하다가, 광해군 14년인 1622년에 응호, 승명, 운정 등이 중건을 했다고 한다. 이후로도 계속해서 절의 확장공사가 있었으며, 현재도 많은 불사를 하고 있는 절이다.

 

화려한 이층 누각으로 마련한 종루

 

송광사의 종루는 조선조 세조 때 처음으로 지었다고 한다. 그 뒤 임진왜란 때 불타버렸던 것을 철종 8년인 1857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조선조에 세워진 수많은 건조물 중 유일한 이층 십자형 종각으로, 그 문화재적 가치가 매우 높은 건조물이다. 이 종각은 중앙에 종을 매달고 돌출된 부분에는 각각 북과 목어, 운판을 걸어놓았다.

 

 

 

이 네 가지의 기물은 불당 앞에 위치하고 있어 '불전사물(佛前四物)'이라고 하고 있으며, 아침과 저녁 예불을 올리기 전에 울린다. 북은 땅 위에 사는 네발을 가진 짐승을 위해서, 목어는 물속에 사는 생명체를 위해서, 운판은 창공을 나는 모든 날짐승을 이해서, 그리고 종은 지옥에서 고통 받는 영혼들을 위한 것이다.

 

송광사 종루는 화려하면서도 소박하다. 자연석인 정평주초 석을 놓고 그 위에 기둥들은 원형기둥과 사각기둥이 섞여 있다. 그 중에는 자연적인 목재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 있어, 소박함이 느껴진다. 누 위에 기둥들은 모두 원형기둥을 세워 놓았다. 송광사 종루의 공포는 화려하기가 이를 데 없다. 사방 팔작집으로 마련한 종루는 지붕 중심 용마루의 장식 또한 색다르다. 이러한 종각은 우리나라에 유일한 것이기에 그 가치가 더욱 크다고 하겠다.

 

 

 

 

 

볼수록 빠져드는 송광사 종루

 

요즈음은 참 일기가 가늠하기가 힘들다. 맑았다가도 비가오기도 하고, 여름 같은 날씨이기도 하다가 갑자기 가을이 온 듯한 착각에 빠지기도 한다. 완주군 소양면 방향으로 일을 보러나갔다가 송광사를 들렸다. 사월 초파일 준비로 한창인 경내에는 수많은 등에 여기저기 걸려 그 화려함을 자랑한다. 대웅전 앞에 자리한 이층 종루는 언제 보아도 아름답다. 전국의 고찰을 다니면서 수많은 종각을 보았지만, 송광사 중층 종각과 같은 것을 보지 못했다.

 

 

사방으로 뻗어나간 용마루 중앙에 올린 장식도 아름답지만, 귀공포의 화려함은 말로 형용할 수가 없다. 그리고 누마루 밑의 자연스런 기둥들. 제각각 그 모습을 달리한 기둥의 형상들이, 마치 각양각색의 인간들을 보는 듯하다. 그 많은 중생들이 서로가 불전사물을 받치고 예라도 올리는 듯한 모습이다. 송광사 종루를 볼 때마다 마음이 경건해지는 것도 그러한 이유다.

 

언제나 그 자리에 그 모양을 하고 서 있지만, 볼 때마다 빠져드는 송광사 종루. 오늘도 온 곳에서 고통을 받고 있는 수많은 생명들을 위해 사물에서는 저절로 소리가 울릴 것만 같다.


전북 익산시 웅포면 송천리에 소재한 숭림사. 고려 충목왕 원년인 1345년에 처음으로 창건된 선종 고찰이다. 그러나 그 이후에 어떻게 변천이 되어왔는지는 확실하지가 않다. 다만 숭림사의 대웅전인 보광전 중수기에 따르면 순조 19년인 1819년에 중수를 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숭림'이라는 사찰명은 중국의 달마대사가 숭산 소림사에서 9년간 앉아 도를 닦고 득도하여, 첫 선종사찰이 되었으므로 숭산의 '숭(崇)'자와 소림의 '림(林)'자를 따서 숭림이라 이름 지었다고 전한다. 

 

 

맞배지붕인 보광전은 단아한 아름다움 배어있어

 

숭림사는 보광전이 대웅전이다. 보광전 안에는 목조석가여래좌상을 안치하였는데, 복장기문에 의하면 조선조 광해군 5년인 1613년에 조성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런 복장기문에 의해 보광전은 17세기 이전에 지은 건물로 추정하고 있다. 현재 보물 제825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보광전의 규모는, 정면 3칸·측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대웅전이 맞배지붕으로 구성된 예도 드문 경우이지만, 보광전의 건축기법과 법식이 특이해 조선조 후기 건축물 연구에 주목받는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 다포계 맞배지붕으로 조성된 숭림사 보광전. 주변을 돌면서 살펴보면 참으로 단아한 멋을 느낄 수가 있다. 맞배지붕으로 지어진 화려하지 않은 보광전은 중간 중간 기둥들이 자연 재목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게 다듬지 않고 사용한 나무들이 그대로 자연을 느끼게 만든다.

 

 

 

자연석인 주추의 위를 평평하게 다듬은 것 또한 그러하다. 지붕의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물인 다포양식임에도 건물 옆면에 공포를 배치하지 않은 것 또한 특이하다. 화려하지 않고 단아하면서도 기품을 잃지 않은 숭림사 보광전. 보물로 지정된 까닭을 알 만하다.

 

보광전 안 닫집의 아름다움

 

보광전의 불상 안에는 용과 구름으로 조각이 된 화려한 닫집이 장식되어 있다. 보광전 건물 안쪽은 보 끝에 용머리를 조각해 놓았고, 기둥 윗부분에는 연꽃, 용의 몸, 용 앞발이 여의주를 쥐고 있는 건축 부재들이 화려한 모양으로 장식이 되어있다. 화려하지 않고 단아한 외부의 장식과는 달리, 보광전의 내부 장식은 화려하게 치장이 되어있다.

 

 

 

퇴색할 대로 퇴색이 된 닫집은 그야말로 목조각 예술의 극치를 표현하고 있다. 연꽃과 구름 용 등이 서로가 자태를 드러내고 있는 닫집은 요즈음의 닫집의 형태와는 차이가 있다. 퇴색한 색이 오히려 닫집의 아름다움을 배가시키는 듯하다.

 

보물 제825호 숭림사 보광전. 그저 낮은 야산 자락에 자리를 하고 앉은 전각은 언제나 그 자리에 있어야할 것처럼 자리를 하고 있다. 오래된 고향집을 찾은 것처럼 편안함을 주는 숭림사 보광전. 화려하지 않은 모습이 마음을 편하게 하기 때문인가 보다. 크고 화려하게 지어대는 요즈음의 건축물 때문에 오히려 크지 않고 화려하지 않은 숭림사 보광전이 더욱 값지게 느껴지는 것은 아닐까? 오래도록 그 앞을 떠나지 못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