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모습 잃은 삼층석탑, 어디로 사라졌나?
신라 말과 고려 초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삼층석탑 한 기. 경기도 양평군 지제면 지평리 지평초등학교 교문을 들어서면, 좌측 담장 앞에 자리하고 있다. 삼층석탑의 주변에는 작은 연못을 만들어, 나름대로 이 탑 주변의 조경에 애를 쓴 듯하다. 이 탑이 처음부터 이곳에 있었던 것은 아니라고 한다. 지평의 한 야산에 있었던 것을, 1945년 현 위치로 옮겨 2001년에 복원을 하였다고 한다.
삼층석탑의 1층 몸돌에는 사면으로 여래상이 부조되어 있다. 여래상은 사면 모두 연화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형태로 앉아있는 좌불상이다. 이 부조로 조각한 불상을 자세히 보면, 그 조각을 한 솜씨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몸돌 위에 높인 옥개석은 밑을 4단으로, 위로는 2단으로 층을 만들었다.
옥개석의 낙수면은 완만하면서도 날렵하게 표현을 하여, 이 삼층석탑이 제대로 형체가 있었다면 뛰어난 문화재였을 것으로 보인다. 남아있는 부분을 보아 이 석탑의 원 모습을 그려본다. 아마도 처음 이 석탑을 축조했을 때에는 상당히 뛰어난 석탑이란 생각이다. 석탑을 보면서, 이렇게 제대로 간수가 되지 않은 수많은 문화재들로 인해 마음이 씁쓸해 진다.
몸돌에 새겨진 사면불은 모두 머리 부분에 두광을 표현하였다. 육계가 뚜렷하고 나발의 머리에 목에는 삼도를 표현했다. 법의는 우견편단이며 배 부분에는 모두 띠 매듭으로 처리를 하였다. 수인도 각각 달라 이 탑을 조성할 때, 어떤 염원을 갖고 조성된 것이란 생각이다.
현재 탑이 서 있는 방위로 보아, 남쪽면의 여래상은 왼손은 내려 단전 부근에 두었고, 오른손은 가슴 위로 들어 올렸는데 손에 기물을 지녔다. 서쪽면의 여래상은 남쪽과 수인의 형태는 같지만 기물을 들지 않았다. 북쪽면의 여래상은 왼손은 단전에 두고 오른손은 무릎에 두고 있는데, 석가모니의 별인인 항마촉지인을 표현하고 있다. 항마촉지인이란 모든 악마를 굴복시켜 없앤다는 수인이다. 동쪽면의 여래상은 왼손과 오른손을 모두 들어 가슴께에 두고 있다. 이렇게 사면에 여래불을 조성한 형태나 옥개석의 받침의 모습 등으로 보아, 이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기에 조성된 탑으로 보인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0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탑의 높이는 2m 70cm 정도이다. 하지만 이 탑에서 보이는 현재의 1층의 몸돌은 기단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삼층석탑을 조성하면 기단을 이층으로 쌓아, 이층 기단부에 조각을 하는 것이 통일신라에서 고려 초의 석탑에서 보이는 형태이다. 그렇다면 이 탑에서 사라진 것은 3층의 몸돌 전체와 2개의 옥개석이 없어진 것이다. 우선 기단과 옥개석이 발견이 되었는데, 나머지 몸돌과 옥개석, 노반은 어디로 간 것일까?
수없이 일제에 의해 찬탈되고 사라진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들. 그 많은 문화재들이 제 자리로 돌아올 수는 없는 것인지. 답답하기만 하다.
거란을 물리치기 위한 염원을 담은 빈신사지 석탑
충북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에 소재하고 있는, 보물 제94호 사자빈신사지 석탑. 이 석탑은 언제 보아도 아름답다는 생각이 든다. 충주와 제천의 문화재를 답사하기 위해 지나던 길에 두 번째로 들린 빈신사지. 문화재란 볼 때마다 조금씩 느끼는 바가 다른 것은, 아마 그만큼 우리 문화재에 대해 나름대로 눈을 뜨고 있기 때문인가 보다.
조성 연대와 이유가 확실한 빈신사지 석탑
문화재는 대개 그 형태 등으로 보아 연대를 추정한다. 그만큼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가 힘이들기 때문이다. 문화재의 복장물 등이 모두 도난을 당하거나 도난을 당하기 때문이다. 그런 덤에서 빈신사지 석탑은 조성 연대와 목적이 확실하다는데 특징이 있다. 그것은 기단에 명문을 음각해 놓았기 때문이다.
명문에 적힌 것을 보면 빈신사지 석탑은 고려 현종 13년인 1022년에 조성을 했으며, 왕의 장수와 국가의 안녕, 불법의 융성으로 인해 적국인 거란족을 영원히 물리칠 수 있기를 염원해 세웠다고 적고 있다. 이 석탑은 명문을 보아 처음 조성했을 때는 9층 석탑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름다운 상층 기단은 뛰어난 작품
상층 기단의 중석은 이 빈신사지 석탑의 백미라고 보여진다. 네 마리의 사자가 머리에 갑석을 이고 있는데, 네 마리의 사자는 모두 다르게 조형이 되었다. 갈기를 세운 네 마리의 사자 중 앞쪽에 있는 좌우 두 마리의 사자는, 고개를 약간 비스듬히 돌려 사선으로 밖을 보고 있다 뒤편의 두 마리는 정면을 바라보고 있다.
네 마리의 사자가 받치고 있는 옥개석의 밑면 중앙에는 연꽃이 양각되어 있다. 이 연꽃은 가운데 연밥을 두고 주변에 꽃잎을 새겨 넣은 것으로, 그 조각 솜씨가 뛰어나다. 현재는 위로 5층의 몸돌과 4층의 옥개석만이 남아있다. 그러나 현재의 탑만으로도 고려 시대 석탑의 아름다움을 충분히 간직하고 있다.
오늘 나라의 평안을 빈신사지에서 빌고싶다
한계사지 남 삼층석탑에 깃든 장인의 마음은?
강원도 인제군 북면 한계리 90-4번지에 자리하고 있는 옛 한계사 터. 한계령 중턱의 장수대에 자리하고 있는 이 사지에는 보물 제1275호인 한계사지 ‘남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 다. 앞으로는 한계천이 흐르고, 뒤로는 산줄기가 병풍처럼 펼쳐져 있는 이 한계사는, 만해 한용운이 지은 책에 의하면 신라 진덕여왕 원년인 647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그 후 몇 차례의 보수를 거쳐 약 17세기 말까지는 절의 명맥을 유지했던 것으로 짐작이 되는데, 이는 정확한 것은 아니다. 현재 이 한계사지에는 건물의 주춧돌과 석수, 불좌대 등이 남아 있고, 삼층석탑 2기와 불상, 석등 등 많은 석조물이 있다.
떨어져 있는 남북 탑, 쌍탑으로도 추정해
한계사지에는 두 기의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이 두 기의 탑을 쌍탑으로 보기도 한다. 그 이유는 두 삼층석탑이 비슷한 시기에 삼층석탑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남 삼층석탑은 금당터 앞에 서있는데, 받침대 역할을 하는 이층의 기단을 두고 있으며, 그 위로 3층의 탑신을 세운 모습이다.
이 탑은 통일신라 당시의 전형적인 신라탑 형식으로 조성이 되었다. 처음으로 이 탑을 보는 사람들도 ‘참 반듯하다’라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아래층 기단에는 한 면에 3개씩의 안상을 새겨 넣었다. 그저 화려하지 않고 단아한 형태의 탑으로, 그 가운데서도 기품을 느끼게 하는 탑이다.
지붕돌에는 풍경을 단 흔적이 있어
위층 기단은 네 모서리와 각 면의 중앙에 기둥을 본떠 새겼다. 양우주와 중앙에 탱주를 돋을새김 한 것이다. 탑신의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수가 1, 2층은 5단으로, 3층은 4단으로 줄어져 있다.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끝부분에 이르러 살짝 들려 있어 밋밋함을 벗어나고 있다. 상륜부의 장식은 다 없어졌으니, 최근에 둥근 돌을 하나 복원하여 얹어놓았다.
이 남 삼층석탑은 9세기 중반을 전후하여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계사지를 정리할 때 낡은 산장 옆에 옮겨져 있던 것을, 원래의 자리를 찾아 복원한 것이다. 탑은 파손되었던 부분을 복원하면서, 일부를 너무 모나게 다듬어서인가, 원래의 석재들과 잘 맞지 않는다. 서북쪽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는 북 삼층석탑과 비교하면, 기단에 새긴 조각의 모양이나 지붕돌받침수가 서로 달라 석탑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붕돌의 끝 모서리 부분에는 작은 구멍이 하나씩 보인다. 아마 풍경을 매달았던 것으로 보인다. 탑의 크기 등으로 보아 무게가 나가는 풍탁을 매단 것 같지는 않다. 오랜 세월 한계사지를 지켜 온 남 삼층석탑. 그 모습만으로도 사람의 마음을 편안하게 만든다.
옛 선조들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을까?
답사를 하면서 늘 궁금하게 느끼는 것은, 이렇게 많은 석탑과 석불을 만든 장인들의 마음이다. 무슨 마음을 갖고 이렇게 힘든 작업을 한 것일까? 물론 지금도 석불이나 석탑을 조성한다. 하지만 그 당시와 지금의 작업방법은 전혀 다르다. 망치 하나와 정만을 갖고 조성했을 당시의 장인들. 아마 이렇게 석탑이나 석불, 그 외에 많은 문화재를 보고 감동을 받는 것은, 그러한 장인정신의 마음을 읽기 때문이나 아닐는지.
한계령을 오르다 만난 한계사지 남 삼층석탑에서 그 해답을 얻어 보고도 싶지만, 아직은 그럴만큼 농익지 않은 문화재 답사길이다.
혹 이 칠층석탑이 배의 깃대는 아니었을까?
남원 시청에서 요천에 난 다리를 건너 좌측 길로 가다가 보면, 도로 좌측에 ‘용담사’라는 이정표가 나타난다. 남원시 주천면 용담리에 소재한 이 절 안으로 200m 정도를 들어가면, 절 문을 들어서면서 커다란 탑 하나를 만나게 된다. 탑이라고 하지만, 이 탑의 생김새가 일반 석탑과는 아주 다르다. 흡사 석재를 높이 쌓기를 한 것처럼 느껴진다.
용담사는 정확하게 어느 시기에 세워진 사찰인지를 알 수가 없다. 다만 백제 성왕 때 창건하였다고도 하고, 통일신라 말기에 선각국사 도선이 창건하였다는 설도 있다. 하지만 절에 전하는 전설이나 여러 가지 유물로 보아서, 통일신라 말기에 창건하였다는 설이 유력하다.
고려 때에 세워진 칠층석탑, 이상한 탑일세.
한 마디로 이런 형태의 탑은 보기가 어렵다. 흡사 높이 쌓기 내기라도 한 듯한 모양이다. 높이가 워낙 높다보니 안정감이라고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탑은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정하는데, 현재 상륜부는 사라진 상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이가 상당히 높다.
탑은 1층의 기단 위에 7층의 탑신을 얹었는데, 너무 길쭉하고 홀쭉한데다가 지붕돌이 몸돌보다 유난히 크고 두터워서 불안정한 모습이다. 기단은 하나의 돌로 간단하게 되어 있다. 탑신의 몸돌은 2층에서부터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1∼3층은 6단, 4층은 5단, 5층은 4단, 6∼7층은 3단으로, 위로 오를수록 받침수가 줄어들고 있으며, 윗면의 경사가 완만하고 네 귀퉁이도 희미하게 들려 있다.
이 칠층석탑은 탑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불안정하다. 전체적으로 투박한 형태의 칠층석탑은 탑신의 5층 몸돌은 편편한 돌 2개를 양쪽으로 세워 위를 받치고 있는데, 이렇듯 불안정한 부분 때문에 탑이 기울어져 있는 듯해, 보는 이들을 안타깝게 하고 있다.
높이가 9.95m에 이르고 있는 용담사 칠층석탑. 이 탑은 용담사 창건당시의 유물 22점 가운데 하나로 보이는데,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용담사의 최초 창건연대가 고려 초기가 아닌가도 생각하게 만든다.
왜 이런 탑을 조성했을까?
11월 4일 찾아간 용담사. 시간이 늦어 제대로 사진을 찍을까도 걱정이다. 용담사는 이번이 초행은 아니다. 벌써 세 번째 찾아왔다. 첫 번 째와 두 번 째는 이상하게 비가 오는 바람에 탑을 제대로 찍을 수가 없었다. 위부분이 까맣게 나왔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날이 흐린데다 시간까지 늦어 걱정이 앞선다.
여름철과는 달리 11월부터는 답사도 힘이 든다. 날이 금방 어두워지기 때문이다. 같은 답사를 해도 겨울철에는 짧아진 해 때문에, 여름철의 절반 정도 밖에는 답사를 할 수가 없다. 마음이 바쁜 김에 먼저 사진부터 찍어놓고 탑 주위를 살핀다.
높이 10m의 칠층석탑. 그 형태로 보나 조각을 한 것으로 보나. 지방의 장인에 의해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왜 이런 모양의 탑을 세운 것일까? 그러고 보면 남원은 배의 형상이라고 했다. 그리고 물에 떠내려 갈 것을 염려해 선원사에는 배를 묶는 석주가 남아있다. 물론 상징적인 것이다. 그렇다면 이 높게 조성한 탑은 혹 배의 깃대는 아니었을까? 좌우로 바람에 따라 중심을 잡기 위한.
이상하게 불안정한 칠층석탑을 올려다보면서, 많은 생각을 한다. 하지만 그 해답은 결국 얻지 못하고 돌아선다. 그러면서도 속으로 되뇐다. ‘저 탑 정말 배의 깃대가 맞을 것 같다’고.
영암사지 삼층석탑은 왜 무너져 있었을까?
경남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 1659 영암사지에는, 보물 제480호인 삼층석탑 한 기가 서 있다. 높은 축대 안쪽에 서 있는 이 탑은, 쌍사자 석등이 서 있는 금당터 앞에 있다. 영암사지는 황매산 남쪽 기슭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터로 알려져 있다. 절의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1014년에 ‘적연선사’가 이곳에서 입적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그런 기록으로 보아 영암사는 그 이전에 세워진 것으로 짐작된다. 현재 정비중인 절터에는 석탑을 비롯하여 보물인 쌍사자석등과 귀부 등 각종 석조유물이 남아 있다. 황매산의 바위산을 배경으로 조성된 영암사지는 아직도 정비를 하고 있는 듯하다. 8월 20일 비를 맞으며 찾아간 영암사지. 그곳에서 삼층석탑을 만났다.
무너져 있던 탑을 복원하다
이 삼층석탑은 영암사지에 탑신부가 무너져 있었다고 한다. 이곳의 쌍사자석등을 일본인들이 일본으로 가져가려는 것을 주민들이 막아냈다고 하는 점으로 보아, 아마도 이 삼층석탑도 일본으로 가져가려고 해체를 한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일제치하 하에서는 이렇게 수많은 문화재들이 해체가 되어 일본으로 건너갔기 때문이다.
이 탑은 2단의 기단 위에 세워진 삼층석탑으로, 1969년에 복원하였다.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의 양식을 따르고 있는 이 삼층석탑은, 화강암재로 조성을 하였다. 기단은 상당히 높은 편이며, 몸들은 1층에 비해 2, 3층이 유난히 낮다. 기단에는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인 우주와 탱주를 새겼으며,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개의 돌로 되어 있다.
몸돌의 모서리에는 우주를 새겼으며, 지붕돌 밑면의 층급받침은 4단씩이다. 몸돌의 비례가 정형을 벗어나 있으며, 처마 밑은 수평으로 조성하고 지붕의 경사가 완만한 곡선으로 흘러내려 네 귀퉁이에서 살짝 치켜 올라갔다. 탑의 상륜부인 머리장식부분은 모두 없어졌으며, 3층 지붕돌의 윗면에는 쇠막대인 철주를 끼우던 구멍이 있다.
간결하고 규모가 작은 영암사지 삼층석탑
비를 맞으며 영암사지의 이곳저곳을 돌아본다. 과거에는 이 영암사라는 절이 얼마나 대단한 가람이었는가를 추정해 내는 것은 그리 어렵지가 않다. 석등 뒤에 조성한 금당터와 위쪽에 있는 또 하나의 금당터, 그리고 석등과 삼층석탑. 귀부와 각종 석재 등을 보아도 상당한 절이었을 것이다.
그런 영암사지에 세워진 삼층석탑. 전체적으로 볼 때는 위층 기단과 1층 몸돌이 약간 높은 느낌은 있다. 하지만 전체적인 균형을 잃지 않고 있으며, 각 부재의 짜임새 또한 간결하다. 신라석탑의 전형적인 양식을 잘 이어받고는 있으나, 기둥 표현이 섬약하고 지붕돌의 층급받침수가 줄어든 점으로 보아 건립 시기는 9세기경으로 짐작된다.
보물 제480호인 영암사지 삼층석탑. 기단부와 머릿돌 등이 깨어지긴 했지만, 간결하면서도 나름대로 품위가 엿보인다. 삼층석탑 한편에 미륵형태의 조형물이 있다. 이 석조물은 무엇일까? 혹 이 탑을 조성하면서 공양상으로 함께 만들어 놓은 것은 아니었을까?
석탑의 부재가 여기저기 한편씩 깨어져 있는 것도, 혹 이 석탑을 해체해 운반을 하기 위한 것은 아니었는지. 비를 맞으면서도 석탑을 쉽게 떠나지 못하는 것은, 바로 석탑이 무너져 있었다는 것에 대한 의문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