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가 말을 맸다는 수령 600년의 은행나무
전남 담양군 고서면 산덕리 485-1에는 전남 지방기념물 제45호로 지정이 된 ‘담양후산리은행나무(潭陽后山里銀杏)’가 있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조선조 인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지금의 호남지방을 돌아보던 중, 이곳 후산에 살고 있던 선비 명곡 오희도(1583∼1623)를 방문한 적이 있다고 한다.
당시에도 명곡의 북쪽 정원에는 거대한 은행나무 한 그루가 있었고, 명옥헌 뒤에는 오동나무가 있었다고 한다. 이들 나무 밑에 인조가 타고 온 말을 맸다는 것이다. ’인조대왕 계마행(仁祖大王 繫馬杏)’ 또는 ’인조대왕 계마상(仁祖大王 繫馬橡)‘이라고 이 은행나무를 부르는 것은 이러한 연유에서인데, 현재 오동나무는 고사하여 없어졌고 은행나무만 남아있다.
이 은행나무는 높이가 30m 정도이다. 가슴높이의 둘레는 7.7m에 동서로 펼친 가지가 20m정도에 남북으로는 각각 14m와 10m 정도의 거대한 은행나무이다.
지난 6월 18일 담양군의 답사 일정 중에 만난 후산리 은행나무. 마을 입구에 들어서면서 벌써 나무의 윗부분이 보일 정도로 거대하다. 600년 세월을 그렇게 한 자리에 서서 인간들의 온갖 모습을 지켜보았을 것이다. 그 안에 얼마나 많은 인간이 태어나고 죽음을 맞이했을까? 그런 것을 눈을 감고 있던 은행나무의 속내를 닮고 싶다.
처진 소나무님, 막걸리 열 두 말에 춤이라도 추시나요?
경북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에 소재한 운문사는, 신라 진흥왕 21년인 560년에 창건된 비구니 사찰이다. 역사적으로 본다면 벌써 1,500년 전에 세워진 고찰이다. 이 운문사 경내 만세루 옆에 서식하고 있는 처진 소나무 한 그루는, 수령 500년이 지난 천연기념물 제180호이다. 이 나무의 키는 9.4m에 가슴둘레의 높이는 3.4m 정도이다.
처진 소나무의 밑동 둘레는 2.9m, 가지는 동으로 8.4m에 서로 9.2m, 남으로는 10.3m에 북으로는 10m 정도로 뻗어 30여 평을 뒤덮고 있다. 사방으로 고르게 발달한 모습을 하고 있는 이 나무는, 가지가 밑으로 축 처진 모습을 한 보기 드문 품종이다. 우리나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 된 수많은 소나무 중, 이렇게 가지가 처진 소나무는 몇 그루되지 않는다.
‘삽목(揷木)’으로 새 생명을 얻은 처진 소나무
우리나라에 있는 고목(古木)이나 거목(巨木) 등에는 많은 전설이 전하고 있다. 그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이 바로 ‘삽목(揷木)’에 대한 전설이다. 삽목이란 말 그대로 나무를 땅에 꽂았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삽목의 전설은 고승이나 유명한 인물들과 관련이 지어진다. 이 운문사 처진 소나무 역시 어느 대사가 이곳을 지나다가, 시든 나뭇가지를 땅에 꽂아 이렇게 큰 나무로 자랐다는 전설을 갖고 있다.
어느 방향으로 보던지 삼각형에 가까운 형태로 자란 운문사 처진 소나무. 아마 이 삽목에 대한 전설은 새 생명을 불어 넣는다는 종교적 의미를 갖고 있을 것이다. 실제로 절 안에 서식하고 있는 수령이 오래 된 나무들은, 거의가 역사적 인물이나 고승들이 마른 지팡이 등을 꽂아 새 생명을 주었다는 삽목의 전설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막걸리를 마시는 운문사 처진 소나무
운문사 처진 소나무가 기이한 나무라는 것은 전하는 이야기만 들어도 알 수가 있다. 시든가지를 꽂아 생명을 얻은 이 나무는, 임진왜란 때 절이 모두 불타버렸지만 칡넝쿨이 나무를 감고 있어 살려냈다고 하다. 운문사에서는 1970년대부터 매년 음력 삼월삼짇날이 되면, 막걸리 12말에 물 열두 말을 타서 나무 둘레에 뿌려주는 ‘처진 소나무 막걸리 먹이기’를 펼치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처진 소나무에 막걸리를 먹이는 것은, 소나무가 막걸리를 마시면 생육에 도움이 된다고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막걸리에는 많은 영양분을 함유라고 있기 때문에, 나무를 옮겨 심거나 할 때도 막걸리를 주변이 뿌려주고는 한다. 운문사 스님들은 이 나무를 ‘선정(禪定)에 든 나무’라고 한다. 오랜 세월을 스님들의 염불소리를 듣고, 도를 닦아 스스로를 낮추는 나무라는 것이다.
비가 뿌리는 날 만난 처진 소나무, 그대로 춤이었다.
땅 위 2m 정도에서 사방으로 뻗친 가지는 지주를 대고 있다. 아마 이 지주들이 없다면 가지들이 모두 땅에 닿아있을 것이다. 7월 15일 금요일. 아침 일찍 운문사에서 생활을 하고 계시는 250여 명의 비구니 스님들에게, ‘스님짜장’ 봉사를 하기 위해 운문사로 떠났다. 맑던 날씨가 청도에 들어서면서 비가 뿌리기 시작한다.
운문사에 내려 처음 만난 것이 바로 처진 소나무였다. 운문사는 그동안 몇 차례나 방문한 곳이지만 갈 때마다 새롭다. 비를 맞으면서 처진 소나무 주변을 돌아본다. 호거산 운문사. 주변 산에는 호랑이에 관한 전설도 전해지고 있는 곳이다. 6,25 때도 방화로 일부 전각을 잃었지만, 이 소나무는 재앙을 피했다고 한다. 그만큼 신령한 나무이기도 하다.
운문사 처진 소나무는 수형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처진 소나무 중에는 최고로 친다. 빗물이 떨어지는 가지 밑으로 들어가 본다. 마치 춤을 추듯 늘어진 가지들. 그 모습에서 수많은 무희들이 팔을 뻗쳐 춤을 추고 있는 모습을 본다. 아마도 새 생명을 얻은 희열을 그렇게 표현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가 알지 못하는 자연의 신비. 운문사 처진 소나무를 보면서, 그 아름답고 신비한 자연에 고개를 숙인다. 비를 맞으며 만난 소나무 한 그루에서, 난 또 다른 자연의 힘을 얻어간다. 새로운 생명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낮출 줄 아는 겸손과 함께.
가족, 연인이 함께하면 좋은 동해안 해수욕장
그저 물 속을 들락거린다면 그것도 별 재미가 없다. 느낄 수 있고, 좀 더 색다른 재미가 있는 곳. 동해안의 많은 해수욕장 중에서 비교적 사람들이 붐비지 않고, 재미를 느낄 수 있는 곳을 돌아본다. 단 강원도 고성, 속초, 양양의 헤수욕장 중에서. 물론 몸짱이신 분들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신 곳에서 몸매 자랑을 하셔야 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을 위해서 몇 곳을 소개한다.
조개가 발을 물어요. 천진해수욕장
고성군 토성면에 위치한 천진해수욕장. 해안선을 따라 포물선을 그리며 형성이 된 천진해수욕장은 연이어 봉포해수욕장이 있다. 이곳은 물 속에 들어가 발로 조개를 잡을 수 있는 곳. 주변에는 경동대학이 있어 원룸시설이 많은 곳이기도 하다. 해안선을 따라 주변 해수욕장으로 이동을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바위와 맑은 물이 일품인 아야진 해수욕장
아야진해수욕장은 도로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아야진할 해변도로를 따라가다가 북쪽 끝에 위치한 곳으로 물 속 바위와 맑은 물이 어우러진 조용한 곳이다. 주변에는 관동팔경 중 한 곳인 청간정이 자리하고 있어 두루두루 주변을 둘러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오징어 맨손잡기가 즐거운 장사해수욕장
속초시 장사항 인근에 자리한 장사해수욕장. 해수욕장으로서는 그리 좋은 곳은 아니다. 바로 옆에 항이 있고, 바닷가로는 많은 횟집들이 즐비한 곳이다. 그러나 이곳은 색다른 재미가 있는 곳이다. 바로 맨손 오징어잡기이다. 아이들과 아른들이 함께 맨손으로 오징어를 잡아, 그 자리에서 회로 먹을 수 있는 곳. 운이 좋으면 20만원을 홋가하는 녀석도 잡을 수가 있다. 바로 인근에는 나무도 조용한 등대해수욕장이 자리한다.
싱싱한 회가 즐거운 외옹치 해수욕장
속초해수욕장은 수많은 사람들로 붐비는 곳이다. 그러나 외옹치 해수욕장은 속초 해수욕장과 연결이 되어있으면서도 조용한 곳이다. 두 해수욕장이 해안 산책로로 연결이 되어있다. 외옹치 해수욕장은 2005년에 처음으로 문을 연 곳이며, 주변에는 외옹치항과 대포항이 자리하고 있어, 싱싱한 해산물을 즐길 수도 있는 곳이다.
마을 인심이 후덕한 양양 정암 해수욕장
정암 해수욕장은 7번 국도변에 위치하고 있어, 해수욕장으로서는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또한 주차장이 따로 없어 주차도 국도변에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물치항과 설악 해수욕장이 인근에 있어 조용하게 가족이나 연인끼리 찾아 쉬기에는 제격이다. 주변에는 호텔과 모텔 숙박시설이 있어 숙박을 하기에는 편리한 점이 있다. 음식점은 마을부녀회에서 운영을 하기 때문에 깨끗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선사유적지가 있는 오산해수욕장
양양 오산해수욕장은 내수면 연구소와 선사유적지 등이 잇는 곳이다. 이곳은 연인이나 가족들이 찾기에 적당한 곳이며, 아이들과 함께 주변에 있는 오산리 선사유적지 등을 돌아보는 재미 또한 쏠쏠하다. 양양 남대천 연어축제 때는 현장 체험 코스로도 이용을 하고 있다.
파도타기가 즐거운 기사문(3,8) 해수욕장
7번 국도를 따라 속초방향으로 올라가다가 보면 3, 8 휴게소가 나온다. 그 안 마을에 자리한 이 해수욕장은 기사문 해수욕장이지만, 3. 8 해수욕장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곳은 주변에 숙박시설이 많아 가족들이 함께하기에 좋다. 또한 운이 좋으면 아름다운 아가씨들이 써핑을 하는 모습도 볼 수가 있기도 하다.
송림 야영지가 즐거운 연곡해수욕장
가족들이 즐겨 찾는 곳 중 한 곳은 바로 양양에 위치한 연곡해수욕장이다. 이곳은 해수욕장과 물려있는 송림이 아름답다. 피서에는 이보다 더 좋은 곳은 그리 많지가 않다는 생각이다. 더위를 피할 수 있는 맑은 바다다 있어 좋고, 수영을 마치고 나면 우거진 송림 사이에 텐트를 치고 산림욕도 할 수 있으니 말이다.
이 바위가 일주문이라니, 옛 가섭암이 그려지다.
경남 거창군 상천면 위천리에 소재한 가섭암지. 지금은 보물 제530호 가섭암지 마애삼존입상만 남아있는 이 곳 금원산 지재미골 입구에 서 있는 커다란 바위를 볼 수 있다. 단일 바위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다는 이 바위는 ‘문바위(=門岩)’이라고 부른다. 아마도 예전에는 이 바위가 가섭암의 일주문 역할을 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 문바위의 앞으로는 맑은 계곡물이 흐르고 있으며, 지금은 바위 앞으로 등산로가 나 있다. 이 바위는 가섭암, 금달암, 두문암, 기도암, 지우암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렸다고 한다. 그 중 가장 신비한 이름은 ‘용의 여의주’라는 명칭으로 불렸다는 것이다. 주변에는 가섬암지를 비롯한 많은 절터가 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옛날부터 이 문바위를 사람들이 신성시했음을 알 수 있다.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을 기려
바위의 앞면에는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킨, 고려 말의 사람 이원달의 순절동이란 글자를 네모나게 바위를 판 후 음각을 해놓았다. 이원달은 합천사람으로 호는 ‘달암(達岩)’이며 병조참판을 지낸 분이다. 아마도 이 달암 선생을 기리기 위해 새겨 놓은 듯한데, 언제 누구에 의해서 새겨진 것인지는 확실치가 않다.
이 문바위는 보는 방향에 따라서 그 모습이 각기 다르다. 커다란 돌고래 같기도 한 이 문바위는 길가에서 보면 그 면이 부드럽게 보이지만, 뒷면으로 돌아가면 칼로 자른 듯하다. 이렇게 보는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바위의 형태가 예사롭지가 않다. 아마도 예전 이곳을 지나 가섭암으로 오르던 사람들은, 이 문바위부터 머리를 숙였을 듯하다.
쐐기돌이 받치고 있는 거대한 바위
문바위 밑으로 들어가 본다. 지금은 돌로 받침 담을 쌓아 놓았다. 그러나 그 담이 처음부터 있었던 것은 아닌 듯하다. 몇 개의 쐐기돌이 이 커대한 바위를 받치고 있다. 그 쐐기바위들은 그리 크지가 않다. 그런데도 그 오랜 시간을 이 바위를 받치고 있었다는 것이 정말로 놀랍기만 하다.
바위의 끝으로는 쐐기 돌 옆으로 사람이 지나갈 만한 공간이 보인다. 아마도 이 공간이 일주문의 통로가 아니었을까? 지금도 누가 다닌 길의 흔적이 있다. 이곳을 지나 가섭암으로 들어선 후, 마애불까지 통했을 것이다. 주변 경치를 돌아보면서 옛 가섭암을 그려본다. 그리 크지 않은 가섭암의 모습이 떠오른다. 문바위와 하나가되어 자리를 했을 가섭암. 그리고 그 뒤편 바위 안에 새겨진 마애삼존입상.
가섭암은 사라지고 없지만 마애불과 문바위가 자리하고 있어, 가섭암이 그 가운에 있지나 않았을까 하는 상상을 해본다. 자연의 바위하나가 이렇게 클 수 있다는 것도 놀라운데, 누군가 그 위에 올라가 작은 돌탑을 쌓아놓았다. 어떻게 저 위로 올랐을까? 문바위의 궁금증은 점점 쌓여만 가는데, 빗줄기가 차츰 굵어진다. 다음에 이곳에 들릴 때는 더 많은 것을 알아볼 수 있기를 고대하며, 문바위를 뒤로한다.
아픔을 간직하고 있는 느티나무, 홀로 남다
경남 거창군 가조면 장기리 772-1번지에는 옛 가산초등학교가 자리하고 있다. 현재는 폐교가 된 이 초등학교 교정 안에는 커다란 느티나무 한 그루가 서있다. 경남 기념물 제197호로 1997년 12월 31일자로 지정이 된 이 느티나무는, 수령이 500년 이상 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높이 35m 정도에 밑동의 둘레가 8m에 가까운 이 느티나무는, 1480년경에 훈도인 전경륜심었다고 한다. 전경륜이 이 마을에 집터를 잡았는데 풍수지리적으로 마을이 배(=船)와 같다고 하여, 서편 냇가 남북 400m까지 느티나무 숲으로 조성하여 마음의 풍림 겸 배의 돛대로 삼았다고 전한다.
일제 말에 베어버린 숲
2,000평이나 되는 울창한 느티나무 숲. 아마도 장관이었을 것이다. 그런 넓은 장소에 서 있던 느티나무들을 일제 말에 모두 베어버리고, 현재 남아있는 한 그루만이 서 있다는 것이다. 이 마을은 ‘정천, 혹은 ’샘내‘라고도 부른다고 하는데,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동하다가 사후에 대사헌으로 추증이 된 전팔고 선생의 호를 따 ‘원천’이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1592년에는 의병들이 이 숲에 모여 회동을 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그런 이유로 일제에 의해 모든 나무를 베어버린 것으로 보인다.
결국 2,000여 평이나 되는 느티나무는 선비들의 풍류장소로 이용이 되다가, 임진왜란 때 수난을 당했으며, 그 뒤 한일합병의 슬픔까지 간직하고 있는 셈이다. 마을 사람들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이 나무에 모여, 매년 정월 대보름이 되면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마을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홀로 남은 느티나무 한 그루
지난 6월 24일 거창군을 답사하면서 찾아간 가조면 원천리. 옛 가산초등학교 교정에 느티나무가 한 그루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달려갔다. 그러나 문은 굳게 닫혀있고, 주변은 철망으로 울타리를 쳐 놓았다. 폐교가 된지 시간이 흘렀는지, 담장에는 넝쿨이 타올라 을씨년스런 모습이다.
이리저리 들어갈 방법을 찾고 있는데, 철문 옆에 조그마한 공간이 보인다. 그 안으로 들어갔더니 바로 학교 교정 안이다. 느티나무는 옛 학교 건물과 마주한 곳에 서 있다. 낮은 철책으로 보호막을 둘러놓은 느티나무. 나무의 밑동에는 혹처럼 달라붙은 것이 흡사 사람의 얼굴처럼 보인다.
생명의 원천, 느티나무
오래된 고목에는 정령이 산다고 하더니, 저 혹에 생명이라도 깃든 것일까? 아이들의 재잘거리는 소리를 듣고 자랐을 느티나무가, 소리가 사라진 지금은 왠지 측은해보이기까지 한다. 나무 가까이로 가서 나무를 쓰다듬어 본다. 거친 감촉사이로 온기가 느껴진다. 생육이 좋은 이 원천 느티나무는 홀로 이렇게 폐교가 된 교정에 서 있다.
밑동 근처에는 푸른 이끼가 가득 달라붙어 있는데, 위를 보니 중간이 잘려있다. 아마 원줄기의 한편이 잘려나간 듯하다. 이것도 일본에 의한 아픔은 아니었을까? 가는 곳마다 만나게 되는 일제의 만행, 그리고 뒤이어 맹목적인 종교적인 훼손. 거기다가 도적 떼들까지. 도대체 이 나라의 문화재가 정말 마음 편하게 그 자리에 서 있을 수는 없는 것일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