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는 그 안에 이야기가 있다. 그 이야기 하나하나에는 우리들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숨어있다. 그것은 상반을 초월한다. 내가 정자를 찾아 먼 길을 떠나는 것도 그런 이야기 때문이다. 요즈음처럼 있는 자들이 하나라도 더 가지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스스로 본이 되게 하려고 많은 애를 쓴 흔적이 남아있다.

 

이런 이야기를 자랑하고 있는 정자가 있다. 마음은 흐르는 맑은 물과 같다는 말이 있다. 경주 양동마을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고 있는 심수정(心水亭). 마음을 깨끗이 비우고 세상 탐욕에서 멀리하다 보니, 이런 아름다운 정자가 생길 만도 하다.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정자

 

중요민속문화재 제81호로 지정이 된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리에 있는 심수정. 마을 전체가 중요민속문화재 제189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곳이다. 마을에 들어서면서 초입 우측으로 오래된 나무들이 굵은 줄기에 이끼를 가득 안고 있는 집이 있다. 멀리서 보기에도 예사롭지가 않은 집, 바로 심수정이다.

 

심수정은 농재 이언괄을 추모하여 지은 정자다. 조선 명종 15년인 1560년경에 지어졌으니 벌써 450년이 지났다. 이언괄은 형인 회재 이언적을 대신하여 벼슬길을 마다하고, 나이 드신 어머니를 극진히 모셨다. 양반의 가문에서 태어나 벼슬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모를 모신 이언괄. 아마 그 마음이 예전이나 지금이나 더럽고 추하게 세속에서 탐하는 벼슬을 마다하고, 흐르는 물에 씻듯 모든 것을 다 씻어버린 것은 아니었을까? 그런 마음을 기리기 위해 지어진 정자가 바로 심수정이다.

 

 

 

벼슬을 버리고 효를 택한 마음 심수정

 

세상 사람들은 물질과 벼슬에 탐닉을 한다. 그것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다를 바가 없다. 온갖 추하고 역겨운 인간들이 자리를 탐하면서도, 스스로 반성을 할 줄 모르는 모양새를 보면 이 심수정이 더욱 빛이 난다. 모든 여건이 다 만들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모를 위해 스스로 벼슬길을 마다할 수 있는 이언괄의 마음이야 말로, 바로 맑은 물이라는 생각이다. 심수정은 그와 같은 마음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고 본다.

 

 

명종 때에 처음으로 지은 심수정은 철종 때에 이르러 소실이 되었다. 그 후 1917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심수정은 아름답다. 그 안에 배인 마음이 있어 더욱 아름답다. 7칸 대청에 양편으로 방을 둔 팔작집이다. 서쪽 방 옆으로는 난간이 있는 누마루를 두었다. 심수정의 아름다움은 바로 이 누마루에 있다. 3면이 훤히 트인 누마루에 오르면 양동마을이 다 보인다. 아마 이 누마루에 올라 이언괄의 효심을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를 했을 것이다.

 

심수정, 이언괄이 그러했다. 벼슬길이 보장이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형을 대신해 노모를 극진히 모시기 위해 벼슬을 마다한 이언괄. 그 마음이 배어있는 정자이기 때문에, 더 아름다웠는지도 모른다. 정자 하나가 이토록 먼 길을 찾아 온 나그네를 기분 좋게 하다니. 그래서 정자기행이 계속되는가보다.

 

세상을 살아가기 힘들 때 이곳 정자에 올라 마음 한 자락을 내려놓을 수 있어서 좋다. 아마도 그런 마음의 여유를 갖지 못한다면 어찌 이 불편한 세상을 살아갈 수가 있을까? 심수정 누마루에 더럽혀진 마음 한 자락을 꺼내어 훌훌 털어본다.

정자란 나에게는 참 묘한 곳이다. 남들은 그저 정자를 보면 ‘참 아름답다’거나 ‘주변 경관이 훌륭하다’라고 이야기를 한다. 그런데 왜 난 정자들을 볼 때마다 하나하나 곰꼼이 따져보아야만 하는지. 그저 나도 남들처럼 정자려니 하고 지나치면 가슴 아픈 일도 없을 것을. 일일이 따져보다가 괜한 상처를 입기도 한다.

 

전북 장수군 번암면 죽산리, 죽산 입구 북쪽 냇가 산기슭에 정자가 서 있다. 작은 내를 건너 찾아간 곳은 내를 끼고 들어가는 곳이다. 정자 앞에는 상추를 심은 밭이 있는, 무주를 거쳐 남원으로 내려가는 길에서 만난 만취정이다.

 

 아름다운 돌담과 좁디좁은 일각문, 그리고 뒤로 보이는 정자의 활주가 발길을 붙잡는다


길도 막혀버린 정자 만취정

 

만취정을 오르려는데 마땅한 길을 찾지 못해, 비탈진 곳을 찾아 기어오르듯 정자로 향했다. 담장을 두른 정자 정면에 작은 문을 두었다. 안으로 들어가 보니, 세상에, 이런 아름다운 정자가 그대로 방치되어 퇴락해져 가고 있다. 목조 누각에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만취정은 6개의 현판이 걸려있다.

 

글의 내용으로 보아 이 정자는 1929년도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정자에 걸린 게판에는 남평 문석린의 만취정 상량문을 비롯해, 숭록대부 예조판서 원임, 규장각 제한 안동 김종한 등이 쓴 만취정기가 보인다.

 

 

 

그리고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역시 만취정 팔경이다. 성산귀운(聖山歸雲), 기령숙무(箕岺宿霧), 죽림청풍(竹林淸風), 국포추월(菊圃秋月), 반계어가(磻溪漁歌), 사평목적(社坪牧笛), 취봉낙조(鷲峰落照), 용림모우(龍林暮雨) 등을 들었다. 이 만취정 팔경만 보아도 이 정자가 얼마나 운치가 있었는가를 알 수 있다. 그런데 어찌하여 이렇게 퇴락해져 가고 있는 것일까?

 

퇴락해가는 정자, 주인은 어델가고

 

정자 안으로 들어가니 꽤나 단아하다. 이 정자의 주인은 멋을 아는 사람이다. 한 눈에 보아도 정자에 많은 공을 들였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죽림청풍이라 했던가? 정자의 뒤로는 대나무가 서 있다. 바람이 부니 와사삭하는 대잎 부딪는 소리가 들린다. 이런 소리를 만취정 팔경 중에 넣어 멋을 일궈냈다.

 

 

 

정자 옆 암벽에도 만취정이라 음각을 한 글이 보인다. 그것이 만취정의 멋을 더한다. 창호 하나에도 정성을 쏟았다. 이런 정자가 주인을 잃어 사그라진다는 것에 마음이 아프다. 만취정 앞으로 내가 흐른다. 맑디맑은 물이 흐른다. 그리도 만취정 좌측 조금 떨어진 곳에 빨래터가 있다. 바로 이런 멋을 알기 때문에 만취정의 주인은 이곳에 정자를 지었을 것이다.

 

앞을 흐르는 냇물과 빨래터에서 빨래를 하는 아낙네들. 그 빨래터에서 도란거리는 소리가 들려오는 정자에서 대바람 소리를 들으며, 술 한 잔과 시 한 수가 있었다면 이보다 더한 풍취가 어디 있을까? 만취정은 그런 자리에 몸을 낮추고 앉아있다.

 

왜 퇴락한 정자만 보면 눈물이 나는지

 

이 아름다운 만취정이 부서지고 있다는 것이 아프다. 왈칵 눈물이 쏟아진다. 왜일까? 이런 아름다운 정자가, 어쩌다가 이리 손을 보지 못해 망가지고 있을까? 정자 뒤로 돌아가니 아궁이가 보인다. 뒤를 제외한 삼면에 마루를 내고, 그 가운데 방을 드렸다. 이곳에서 사시사철 주변을 돌아보며 세월을 낚았을 것이다.

 

 

 

그것도 부족하면 앞을 흐르는 내에서 작은 물고기라도 잡는 천렵을 하지는 않았을까? 그저 정자에 올라만 있어도 흐뭇하다. 모든 것을 상상만 해도 즐거운 정자. 그것이 바로 만취정이다.

 

만취정을 돌아보고 떠나면서도 자꾸만 뒤를 돌아보게 된다. 행여 저 만취정은 어느 날 다 사그라져 버릴 것만 같아서다. 몇 번이고 눈 안에 담아두고 떠나는 길에, 갈 까마귀 한 마리 저리도 서럽게 운다.

옥 같이 맑은 물이 흐르는 바위 위에 정자를 짓고, 그 이름을 <옥류각>이라 붙였다.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다운 정자가 있다. 대전 대덕구 비래동 산 1-11에 소재한 옥류각은 대전시 유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옥류각은 바위 위에 지어진 아름다운 정자다. '옥 같이 맑은 물이 흐른다'는 뜻으로 당호를 붙인 옥류각은 동춘당 송준길(1606∼1672)이 학문을 연구하던 2층 누각 형태의 건물이다.

 

조선조 인조 17년인 1639년에 계곡의 바위 위에 지은 건물이다. 이곳에서 송준길은 우암 송시열, 송애 김경여, 창주 김익희 등 당시의 훌륭한 학자들과 함께 학문을 토론하였다. 옥류각은 전면 3칸, 측면 2칸 규모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계곡 사이의 바위를 의지하여 서로 다른 높이의 기둥을 세우고 마루를 짠, 특이한 하부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것이 바로 자연사랑이란다.

 

자연 그대로의 바위를 살려 다른 높이의 기둥을 세운 정자. 정자를 지은 송준길의 자연사랑을 알 것 같다. 정자는 앞면이 계곡 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옆면으로 출입하도록 하였으며, 입구 쪽부터 2칸은 마루, 1칸은 온돌방이다. 현재 건물 위쪽에는 현재 비래암이라는 절이 자리하고 있다.

 

대전 고속버스터미널에서 가까운 곳이라, 일부러 여행길에 송준길 선생의 흔적을 찾아 동춘당이며, 이곳저곳을 돌아보고 싶어 여정을 그쪽으로 잡았다. 좁은 시멘트 포장길을 따라 비래사라는 이정표를 따라 들어간다.

 

 

송준길 선생의 마음을 만나러 가다

 

마을을 지나 산으로 오르면서 하산을 하는 사람들에게 물어본다. 절집이 어디쯤 있느냐고. 걸어가기는 좀 멀고, 차를 타고가면 절집 마당까지도 차가 들어간다고 한다. 하지만 어떻게 차를 몰고 절집까지 갈 수가 있으랴. 천천히 산행도 즐길 겸 걸어 올라가기로 했다.

 

딴 곳이라면 몰라도 현장을 돌아보면서 나름대로 지키는 것이 있다. 절집과 정자는 가까운 곳에서부터 걷는 것으로 정한 바가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그 정취를 더 음미하고자 함이다. 절집과 정자는 여느 문화재가 있는 곳과는 다르게 풍광이 뛰어난 곳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저만큼 건물 한 채가 눈에 들어온다. 앞에는 커다란 고목이 한그루 서 있다. 보기에도 풍치가 있어 보인다. 걸음을 재촉해 가까이 다가갔다. 옥류각이라는 현판이 보인다. 찬찬히 주변을 돌면서 살펴본다. 어찌 이리 흐르는 계곡 위에 누각을 지었을까? 자연 그대로를 살려지은 정자가 더욱 멋이 있다고 느낀다.

 

주인을 그대로 닮은 옥류각

 

방 밑으로 흐르는 계곡물은 맑기만 하다. 지금은 비록 퇴락한 주인 잃은 누각이지만, 한 때는 이곳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이야기로 밤을 지새웠을까? 선생은 이 옥류각을 짓고 사람들에게 세상을 멀리하라고 가르쳤다. 그것은 험한 세상에서 스스로를 지키기 위한 자구책이었는지도 모른다.

 

 

오늘 이 계곡 물 위에 지어놓은 누각 하나가 참으로 많은 것을 느끼게 해준다. 그리고 송준길 선생의 앞을 내다보고, 후손들에게 당부를 하고 싶은 마음을 느끼게 해준다. 그래서 우리 문화재를 찾는 일을 계속하는 것도, 그 안에 많은 깨달음이 있기 때문이다. 세상이 어떻게 변하든지, 그 안에는 변하지 않는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옥류각 밑으로 흐르는 물소리가 유난히 청아하게 들리는 것도, 오늘 또 작은 깨달음 하나를 얻었기 때문인가 보다.

 

벌써 옥류각을 다녀온 지가 꽤나 많은 시간이 흘렀다. 지금쯤은 어떤 모습으로 나그네를 반길 것인지. 시간을 내어 옥류각의 녹음을 보고 와야겠다.

충청북도 괴산군 문광면 광덕리 327에 소재한, 충청북도 기념물 제7호인 칠충사. 순창 조씨 가문에서 배출된 충신 가운데 『괴산삼강록(槐山三綱錄)』에 등재되어 있는 조신, 조종, 조복, 조반, 조덕공, 조덕용, 조은 등 7명의 충절인을 뽑아 그들의 행적을 기리기 위하여 세워진 사당이다.

 

괴산읍에서 문광면 방향으로 길을 가다가 보면, 삼거리가 나오고 그 앞에는 문광초등학교가 있어 찾기가 수월하다. 삼거리 이정표에는 ‘문광삼거리’라고 표시가 되어있다. 도로변에서도 눈에 띠는 곳이라, 초행길이라고 해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가 있다.

 

 

충절의 상징, 칠충각과 칠충사

 

칠충사는 순창 조씨 문중의 7명의 충신들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이 사당은 목조기와집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집이다. 1975년에 순창 조씨의 문중에서 건립하였다. 사당 아래에는 1973년에 건립한 정면 7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인 순창조문(淳昌趙門) 칠충각이 자리하고 있다.

 

칠충사로 오르기 전에 먼저 만나게 되는 칠충각은 평지에 길게 7칸으로 지었는데, 전각 안에는 각각 7명의 정려 현판이 자리하고 있다. 현판에는 「忠節 高麗國子進士麗亡不事二君大明洪武二十五年壬申七月避世遯于槐山松坪隱逸 趙紳 之閭」, 「忠臣 精忠出氣布義敵愾參原從功臣行通政大夫中樞府僉知出東 萊別中營穩城都護府使 趙 悰 之閭」등의 문구가 보인다.

 

 

순창 조씨 7명의 충절인의 충신정려가 걸려있는 칠충각과 정려(아래)

 

5월이라고는 해도 올해는 날이 일찍 더위가 찾아와서인가. 여기저기 잡풀이 널려있고, 그 한편에는 제초제를 뿌린 듯한 흔적도 보인다. 벌써 안내판을 가릴 정더로 자란 풀들이니, 곧 안내판을 가릴 듯하다. 조금은 바쁘다고 하지만, 큰길가에 서 있는 문화재이니 조금 더 신경을 써 주었으면 좋으련만.

 

난세를 피한다는 정자 ‘피세정(避世亭)’

 

칠충사로 들어가는 홍살문 옆으로 작은 안내판 하나가 산으로 화살표가 나 있다. ‘피세정’으로 오르는 길이라고 한다. 이곳은 이번 답사가 세 번째이다. 그동안 달라진 것은 없을까? 궁금하여 천천히 산길을 따라 올라본다. 그리 높지 않은 곳에 자리했지만, 한 낮에 오르다가보면 조금은 땀방울이 맺히기도 하는 곳이다.

 

들어갈 수 없어 밖에서 촬영한 칠충사. 마당에 잡풀이 가득하다. 관리를 좀 잘했으면

누군가 오르는 길의 풀을 잘라놓아 발을 감지는 않는다. 천천히 오르는 숲은, 백년 이상이 되었을 것 같은 소나무들이 서 있다. 숲에서만 맡을 수 있는 숲내가 코를 간질인다. 산에 오를 때는 조금 힘이 들기도 하지만, 이렇게 숲속 냄새가 좋아 산을 오른다.

 

원래 피세정이란 정자 이름은 ‘피세 조신’의 호를 따서 붙인 이름이다. 피세 조신은 고려 때의 충신이다. 1392년 고려가 망하자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며, 송평으로 낙향하여 오마산 깊은 골에 ‘피세정’이란 정자를 지었다. 그야말로 세상을 등진 정자라는 뜻이다.

 

 

좁은 산으로 오르는 오솔길과 그 위에 자리하고 있는 피세정(아래)

 

피세정은 한 때 터만 남기도 하였지만, 1506년 중종반정 이후 단경왕후가 죄도 없이 폐비가 되고 나라에 간신배들이 들끓자, 14세손인 송제 조세구가 다시 피세정 터에 정자를 세우고, 이름을 피세정이라 불렀다. 나라에서는 성격이 곧은 조세구에게 군자감 봉사를 제수하였으나, 부정한 조정에서는 벼슬을 하지 않겠다고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소박한 정자, 주인의 심성을 그대로 담아내

 

구불거리는 산길을 따라 오르다가 보면, 정자 하나가 서 있다. 피세정이다. 한 눈에 보아도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던 정자와는 다르다. 그저 꾸밈새 하나 없이 수수한 정자를 만나게 된다. 이 정자에 얽힌 의미를 모른다고 한다면, 신경조차 쓰지 않고 뒤돌아설만한 그런 정자이다.

 

 

 

피세정 현판과 정자 안에 가득한 게판들(가운데와 아래) 

 

그러나 이 정자의 주인들은 모두 난세가 싫어 피한 사람들이다. 굳이 세상 사람들과 같이 화려한 정자를 지어야 할 이유가 없다. 정자 위에 올라 사방을 돌아본다. 저 밑으로 보은으로 나가는 길이 보인다. 넓은 들판이 보이는 이곳, 피세정에서 정자의 주인들은 아마도 또 다른 벗을 기다리고 있었을 것이다.

 

정자 안에 걸린 현판들이 그런 좋은 벗들이 있었음을 알려준다. 지금도 외진 피세정이다. 그 당시에는 이곳이 얼마나 외진 곳이었을까? 이곳까지 찾아와 글을 남겨줄 수 있는 좋은 벗들을 주변에 둔 주인들이다. 주변으로 자라나기 시작한 잡초들 틈에서, 다듬지 않아도 고결한 품성을 느낄 수 있는 피세정이다.

 

피세정에서 내려다 본 들판. 보은으로 나가는 길이 보인다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 신을 신고 마루에 올라갔는가 보다. 더럽혀진 마루에 털석 주저앉아 숨을 고른다. 노송 가지에서 ‘푸드덕’ 새 한 마리가 날아간다. 갑자기 찾아든 나그네가 반갑지 않은 모양이다. 피세정을 뒤로하면서 생각을 한다. 그래도 이 정자의 주인들은 행복한 사람들이라고. 그나마 우리는 이런 난세를 피할 장소조차 없음을 탄한다.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에 소재한 보물 제413호 독락당. 그 독락당 안에서 가장 눈에 띄는 곳이, 바로 계곡 가에 자리를 잡고 있는 정자 계정이다. ‘계정(溪亭)’이란 이름이 딱 알맞다고 생각이 드는 것은, 이 정자가 독락당 옆으로 흐르는 맑은 계곡을 내려다보고 있기 때문이다.

 

계정은 자연과 하나가 되어 있다. 아니, 자연과 스스로 동화가 되어 자연의 일부분인 양 서 있다. 널찍한 암반을 발아래 두고, 그 암반 사이로 맑은 물이 흐른다. 물은 맑다는 표현만으로는 부족한 정도로 푸르다. 계곡을 볼 수 있는 정자의 앞면은 축대 밖으로 돌출이 되어 있다. 기둥으로 떠받쳐 놓은 마루가 이 정자의 또 다른 멋을 연출한다.

 

 

500년 세월, 계곡과 함께 지내 온 정자

 

계정은 자손들이 독락당을 중건하면서 당시에 이미 있었음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보아, 처음 이언적이 독락당을 건축할 때 같이 조성이 된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500년 가까운 세월을 이 계곡을 내려다보고 있었으니, 이젠 스스로가 계곡이 되었을 것 같다. 그래서 전국의 수많은 정자를 답사하면서, 늘 마음속에 정자 하나를 그리워하는가 보다.

 

독락당 안으로 들어가 양편에 황토와 돌로 쌓은 담을 따라 들어가면 계곡으로 나가는 출구가 있다. 이곳은 건물을 모두 담장으로 둘러쌓았으면서도, 담장마다 계곡으로 출입을 하거나 계곡 바람이 통하게 문을 내어 놓았다, 그리고 그 한편에 높은 축대 위에 걸터앉은 계정이 자리하고 있다.

 

 

 

 

호화롭지 않은 정자, 선비의 마음을 닮아

 

계정의 뒤편으로도 건물을 달아내어, 땅을 밟지 않고도 계정으로 옮겨 다닐 수 있도록 한 점도 눈에 띤다. 그저 호화롭지는 않지만, 계곡의 아름다운 경치를 볼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했다는 점이 계정의 매력이다. 밑에서 계정을 올려다보면 마치 계곡 위에 떠 있는 선계의 누각과 같은 느낌이 든다.

 

아마도 이언적 선생의 마음이 그대로 이 정자에 배어 있는 것은 아닐까? 화려함을 멀리하고 올곧은 생활을 하고자 하는 계정의 주인이 심성이 그대로 배어 있는 듯하다. 계곡에서 정자를 바라보면 마루 좌측 벽에 '계정'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자연은 정자 내에도 자리해

 

오른쪽에는 방을 두었고, 방 앞에는 '인지헌(仁智軒)'이라는 현판이 보인다. 이 집을 드나드는 사람들이 어질고 지혜롭기를 바라는 이언적의 마음인가 보다. 바로 주인의 마음이 그대로 정자에 소롯히 담겨져 있다. 인지헌의 밑에는 축대 중간에 아궁이가 있다. 그 밑에서 불을 땔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을 최대한 활용했다. 계정 역시 담에 붙여 축대를 쌓고, 그 위에 정자를 지었다. 안에서 보면 단층이지만, 밖에서 보면 중층 누각처럼 보인다.

 

 

독락당의 모습도, 계정의 모습도 자연을 거스르지 않았다. 그리고 스스로 자연이 되어 있다. 계곡을 닮아 있는 정자, 계정의 아름다운 까닭이다. 이 계절, 날이 더워질 때가되면 더 없이 계정이 그리운 까닭이기도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