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군 홍성읍 오관라에는 옛 홍주목의 관아가 자리하고 있다. 사적 제23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홍주성은 조양문과 아문, 산성 등을 합쳐 지정을 했다. 아문 뒤편에는 건물이 들어서 있고 그 뒤편에 옛 관아건물인 안회당 있으며, 그 뒤에 연못 가운데 자리한 여하정이 있다. 여하정은 고종 33년인 1896년 당시 홍주목사인 이승우가 옛 청수정 자리에 지은 정자이다.

 

고목과 연못이 어우러진 정자, 극치미를 자랑해

 

여하정은 관아에서 집무를 보던 목사들이 관아 일을 보다가 잠시 휴식을 취하고는 했던 장소라고 한다. 연못에는 정자로 들어가는 돌다리가 놓여 있고, 다리를 건너면 정자 앞으로는 고목 한 그루가 서 있다. 어림잡아도 수백 년은 될 성 싶은 고목이다.

 

 

 

정자는 6각형으로 지어졌는데, 자연석을 잘 다듬은 돌로 주초를 만들고 그 위에 육각형의 기둥을 세웠다. 지면에서 약간 띄워 마르를 깔았으며, 마루의 각 변에는 장식을 한 난간을 둘렀다. 지붕의 중앙에는 커다란 꽃 봉우리 하나가 매달려 중심을 잡았다.

 

정자는 그리 화려하지는 않다. 하지만 주변 경관과 너무나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다. 5월 29일 여주를 떠나 달려간 홍주성. 성을 한 바퀴 돌아 내려 온 곳에서 만난 여하정. 멀리서도 그 아름다움에 취해 한 달음에 달려갔다. 어떻게 성 안에 이렇게 아름다운 정자를 만들 생각을 한 것일까? 초여름 잎을 녹색으로 바꾸어가는 고목이 한 그루 서 있어 운치를 더한다.

 

 

 

12현판의 걸린 시액, 아름다움 논해

 

정자의 기둥에는 한 기둥에 두 편씩 열두 편의 시액이 걸려있다. 3평 남짓한 크지 않은 정자 여하정. 연못에 그림자를 느리며 서 있는 고목의 풍광도 일품이지만, 육각형인 정자의 기둥마다 걸린 현판의 글은 작자미상이나 그 내용은 아름답다.

 

余方宥公事 내 목사로서 공사를 보게 되어

作小樓二間 조그마한 누 두 칸을 지었다

懷伊水中央 연못의 물은 중앙으로 맴돌고

樹環焉泉縣 등나무가지는 샘가에 느렸다

開方塘半畝 반이랑 정도 수문을 열어놓으니

九日湖之湄 햇빛에 비친 연못의 물살에 아름답구나.

一人斗以南 남쪽은 한 사람의 도량으로 가하건만

捨北官何求 싫다하면 관직을 어찌 구하려하는가

環除也皆山 환제는 모두가 다 산인데

於北豈無隹 그 북쪽에 어찌 새가 없을쏘냐?

賓主東南美 손과 주인이 동남에서 만나 좋아하니

其必宥所樂 반드시 즐거움이 있을 수밖에.

 

 

 

열두 편의 편액은 모두 이어지는 내용이다. 그것을 두 편씩 기둥에 걸어놓았다. 이런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 지나는 과객들이 어찌 글 한 수 떠올리지 않을까? 아마 여하정을 바라보는 많은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에 취해 시 한 수 걸어놓고 싶어 했을 것이다.

 

 

 

기나긴 세월 속에 많은 환난의 아픔을 겪기도 한 홍주성. 그 한편에 자리하고 있는 이 여하정이 있어, 홍주성의 복원이 하루 빨리 이루어진 모습을 그려보는가 보다. 사방 어디서 바라보아도 아름다운 여하정. 초여름의 지친 심신을 시원한 나뭇잎과 작은 연못의 물이 식혀준다. 연못 속으로 빠져들 듯 기울어버린 고목. 그 고목을 버티고 있는 석주. 그 모든 것이 여하정을 더욱 여유롭게 만든다. 나그네의 땀을 식혀주는 이런 여유가 있어 나들이 길이 좋은 것이련만.

너른바희 우히

松竹을 헤혀고

亭子를 언쳐시니

구름탄 청학이

천리를 가리라

두나래 버렷난듯

玉泉山 龍泉山

나린 믈리

亭子압 너븐들히

올올이 펴진드시

넙거든 기디마나

푸르거든 희디마나

 


전라남도 담양군 봉산면 제월리 대나무 숲 위에 자리하고 있는, 면앙정 앞에 서 있는 '면앙정 가비(俛仰亭 歌碑)'에 적힌 글이다. 면앙정은 전라남도 기념물 제6호로 지정이 되어 있으며, 도로변에서 조금 위로 오르는 대숲을 지나 길 위에 자리하고 있다.


강호제현이 다 모여들다


면앙정은 송순(1493~1582)이 관직을 그만두고 물러난 후, 고향으로 내려와 지은 정자이다. 이곳에 정자를 지은 송순은 퇴계 이황을 비롯하여, 강호제현들과 나라의 일을 논하고 학문을 논했다. 이 면앙정에 모인 문인들을 '면앙정가단'이라고 불렀다고 하는데, 그렇게 부른 것도 이곳에 수많은 시인묵객들이 모여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송순이 관직에 나아가 있는 50년 동안에는 4대 사화가 일어나는 등 혼란한 시기였다. 그러나 단 1년의 유배생활을 한 것을 보면, 그의 인품이 뛰어나고 사람들과 교류가 좋았음을 의미한다.


'가단(歌壇)'이란 노래를 부르는 장소를 말한다. 가단은 가대(歌臺), 가소(歌所), 가당(歌堂) 등의 명칭으로도 불렀는데, 이는 송순이 중심이 되는 면앙정의 '면앙정가단'과 정철이 중심이 되는 '성산가단' 등이 유명하다. 이 가단이라는 것은 문인들이 상호교류를 하면서 시가활동을 하는 특수집단을 말하는 것이다.


면앙정이 더 유명한 것은 바로 이곳에서 배출해 낸 많은 인물들 때문이다. 송강 정철을 비롯하여 기대승, 고경명, 임제 등이 송순이 이곳에 정자를 지은 후, 이곳을 통해 이름을 떨쳤기 때문이다.

 

 


평범한 가운데 품위를 지니다


면앙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정자이다. 전면과 좌우에 누마루를 깔고 중앙에는 한 칸의 방을 마련하였다. 추녀의 각 귀퉁이에는 길게 삐쳐 나온 지붕처마를 받치기 위한 활주가 받치고 있다. 그저 화려하지도 않고, 딴 정자에 비해 뛰어난 절경을 자랑하지도 않는다.


현재의 건물은 송순이 지은 뒤 여러 차례 보수를 한 것이며, 1979년과 2004년에 지붕을 새로 잇고 주변 정리를 하였다고 한다. 이렇게 평범함 면앙정이 한국의 고전 문학사에 커다란 의미를 두는 것은, 이곳을 중심으로 활동한 면앙정가단 때문일 것이다. 면앙정가단의 장소답게 면앙정 여기저기 걸린 각종 글을 적은 게판들이 수없이 많다. 아마 전국의 어느 정자에도 이렇듯 많은 글이 걸린 곳은 보기가 힘들 것이다.

 

 

 


바람이 지나는 자리에 덩그러니 앉아있는 면앙정. 지금은 찾는 이조차 없는 쓸쓸한 날을 보내고 있지만, 한 때 이곳은 수많은 강호를 넘나든 시인묵객들의 각축장이 아니었을까? 찜통이라고 말하는 깊은 여름의 뙤약볕을 받고 찾아간 면앙정에서 옛 소리를 듣는다.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은 누구랄 것이 없다. 예나 지금이나 아름다운 경치에 반하여 그 아름다움을 글로 남겨놓기를 좋아한 우리 선조들이다. 그것이 임금이라고 해서 다를 것이 없다. 누정 하나를 두고도 그렇게 임금들 까지도 그 아름다움을 후대에 전했다.


관동팔경. 동해안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 여덟 곳을 이르는 말이다. 강원도 고성부터 7번 국도를 따라 내려가면서 볼 수 있는 관동팔경은 몇 번을 둘러보아도 아름답기 그지없다. 관동팔경은 강원도 통천의 총석정과 고성의 삼일포를 비롯해 청간정, 양양의 낙산사, 강릉의 경포대, 삼척의 죽서루, 경상북도 울진의 망양정과 월송정을 일컫는 말이다. 현재는 이 관동팔경을 다 볼 수 없음이 안타깝다.

 


비가 오는 날 오른 망양정


정자기행을 하면서 망양정을 찾은 날은 비가 뿌리는 날이었다. 망양정에 오르니 주변에 원추리꽃이 흐드러지게 피어있다. 넓은 동해를 바라보며 작은 능선 위에 올라앉은 망양정. 가히 관동팔경 안에 들어갈 만한 곳이다.


이 망양정은 팔경 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정자라 하여, 조선 숙종이 <관동제일루>란 현판을 하사할 정도였다.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다름이 없는가 보다. 비가 뿌리는 망양정. 그 멋스러움은 몇 해가 지났건만 아직도 잊을 수가 없다.

 

 

망양정에서 내려다 본 동해바다와 숙종의 어제시

 

망양정의 아름다움을 읊은 시와 글로는 숙종과 정조의 어제시, 정철의 관동별곡 등이 전해진다. 그림으로도 정선의 백납병, 관동명승첩에 있는 망양정도 등이 유명하다. 아름다움을 글과 그림으로 남기기를 좋아했던 선조들. 그만큼 망양정은 많은 사람들의 기억에 남을만 한 정자다.


관동별곡 중 망양정 부분을 보면 파도가 치고 포말이 일고 있음을 묘사하고 있다. 아마도 정철이 이곳에 올랐을 때 동해에 파도가 심하게 치고 있었는 듯하다.


션사(仙사)를 띄워 내여 두우(斗牛)로 향(向)하살까.

션인(仙人)을 차자려 단혈(丹穴)의 머므살까.

텬근(天根)을 못내 보와 망양뎡(望洋亭)의 올은말이,

바다 밧근 하늘이니 하늘 밧근 므서신고.

갓득 노(怒)한 고래, 뉘라셔 놀내관대,

블거니 쁨거니 어즈러이 구난디고.

은산(銀山)을 것거 내여 뉵합(六合)의 나리는 듯

오월(五月) 댱텬(長天)의 백셜(白雪)은 므스 일고.

 


자리를 옮긴 망양정


원래 망양정은 지금의 자리에 있었던 것이 아니다. 기성면 망양리 현종산 기슭에 있던 것을 조선 철종 11년인 1860년에 지금의 자리로 이전한 것이다. 그 후 망양정은 몇 번의 수난을 당했다. 허물어져 없어졌던 것을 1958년 중건하였으며, 2005년에 완전 해체, 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관동팔경 중 수일루라고 일컫는 망양정. 그저 누각에 올라 동해만 바라다보아도 가슴이 트이는 듯 하다. 이런 절경에 누각을 짓고 누대에 올라 어떤 꿈을 꾸었을까?


수많은 선조들이 이곳을 거쳤을 것이다. 그 많은 선조들은 각기 가슴에 망양정이라는 절경을 품고 길을 떠났을 것이다. 정자를 찾아 길을 나설 때마다 마음이 설렌다. 오늘은 또 어느 곳에서 아름다운 정자를 만날 수가 있을까? 그리고 그 정자에는 어떤 사연들이 기다리고 있을까?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정자들을 찾아 길을 나서지만, 그 여정이 언제 끝나려는 지는 모르겠다. 그저 언젠가 아름다운 정자를 작은 책에 담아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이다. 오늘도 누정을 찾아 길을 나서고 싶다. 그리고 그 아름다움을 많은 사람들과 공유 하고 싶다. 그 작은 이야기 속으로 함께 들어가고 싶다.

정자는 집안이나 경치가 좋은 곳에 짓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다. 그리고 그 용도는 대개 후학을 양성하거나 시를 짓고, 주변 경관을 감상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정자를 지은 주인의 심성을 가장 잘 표현하는 건조물이기도 하다.


경북 영주시 영주1동 19-1번지에 소재한 영훈정은 현재 학교 안에 자리하고 있다. 그래서인가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원래 영훈정은 15세기 중반 군수 정종소가 사신을 맞이하고 배웅할 목적으로 지어졌다. 그후 조선조 인조 21년인 1643년에 신숙이 다시 세우고 퇴계 이황 선생의 친필을 모각하여 영훈정이라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관청으로 사용하였던 정자


영훈정은 군 남쪽 3리에 처음에 지었으나, 일제시대에 현 위치로 이건하고 관청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대개의 정자가 가문에서 지어지는 것과는 달리 관용으로 지었다는 점이 색다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영훈정은 사방이 개방되어 있다.


이는 가문에서 짓는 정자들이 방을 마련하는 것에 비해, 사신을 영접하기 위한 정자로 지어졌기 때문에 사방의 경치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지역에 산재한 많은 정자들을 보면 가문에서 지은 정자는 방이 있다. 하지만 경치를 보기 위한 정자는 대개 사방이 트여있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다.

 

 


한 정자에 붙이는 여러 개의 명칭


정자를 답사하다가 보면 한 정자 안에, 정자의 이름이 여러 개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해가 뜨는 방향으로는 일출정, 달을 볼 수 있는 서편은 영월루, 그리고 바라다 보이는 경관을 향해 또 다른 이름을 붙인다. 그만큼 한 정자를 갖고도 나름대로 멋을 생각하고 명칭을 붙여 사방이 다른 명칭으로 불리는 정자들도 있다.


영훈정 안에도 두개의 현판이 더 걸려있다. 이 현판들이 처음부터 이 정자의 또 다른 명칭으로 사용되었는지는 모르겠다. 방위를 따라 현판을 거는 것이 일반적인데 한 편 벽에 모아놓은 것으로 보아서 딴 정자의 현판이거나, 아니며 또 다른 명칭으로 불렸을 때 걸었던 현판일 것으로 보인다.

 

 


정자를 찾아 전국을 다니면서 보면 사연도 많다. 그리고 정자 나름대로 한 가지 멋을 지니고 있다. 15세기 중반에 사신을 영접하기 위해 지어진 영훈정도 처음에는 남정자라고 부르다가 영훈정이 되었다. 아마 이 정자는 이 위에서 질펀하게 술을 취해 놀았던 곳이었을 것이다. 사신을 맞이한다는 명목으로. 관의 정자는 가문의 정자와는 달리 이야기는 많지 않다. 현재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14호로 지정이 된 영훈정. 학교 안에 있어서인가 깨끗하게 보존이 되어있다.


아이들이 오르면 낙서라도 할 것 같아서인지, 정자는 오르지 못하게 줄을 느려놓았다. 어디를 가나 아름다운 곳에 함께 아름다워지고 싶은 정자. 그런 정자들이 서 있어 길을 가는 나그네는 외롭지가 않다. 쉴 수도 있거니와, 정자에 올라 정자를 지은 주인의 마음을 함께 느낄 수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자를 찾는 길은 힘이 들어도 늘 즐겁기만 하다.

 

정자 앞을 흐르는 물이 차고 희다고 해서 붙혀진 이름 한벽당. 1404년 처음으로 지어졌으니 600년 가까이 되었다. 한벽당은 호남의 정자 중에서도 수일경이라 하는 곳이다. 앞으로는 작은 물고기가 노니는 맑은 물이 흐른다. 사시사철 물이 얼마나 시원하고 맑았기에 한벽당이라 불렀을까?

 

전주천 맑은 물을 내려다보고 있는 한벽당. 수많은 시인 묵객들이 들려 사시사철 그 이름다움에 취했던 곳이라고 한다. 한벽당은 승암산 기슭 절벽을 깎아내고 새웠다. 조선조 건국시 개국공신인 월당 최담이 태종 4년에 처음으로 건립을 했다고 하니, 벌써 600년 가까이 오랜 세월을 그 자리에 서 있는 것이다.

 

 

 

전주천을 바라보는 정자

 

한벽당은 운치가 있다. 물빛 고운 전주천에서 잡히는 물고기를 이용해 끓여내는 오모가리 매운탕 한 그릇을 들고 한벽당 밑으로 나가면 한 여름이 훌쩍 지난다. 까마득한 지난 날 아마 우리의 선인들도 그런 맛에 취해서 한벽당을 찾았던 것은 아니었을까?

 

한벽당 곁에 붙어지은 요월대가 있어 낮에는 한벽당에서 밤이면 떠오르는 달을 맞이하는 요월대에서 즐겼을 것이다. 어찌 짧은 시 한수 나오지 않을 것인가? 이곳을 찾아들었던 사람들도 그런 절경에 취해 거나하게 탁주 몇 잔을 마셨을 것이다.

 

 

 

주변이 모두 절경과 볼거리

 

한벽당 주변에는 볼거리가 많다. 오랜 세월 묵묵히 한 자리를 지키고 있는 전주한옥마을을 비롯하여 커다란 고목이 된 은행나무들이 경내에 즐비한 전주향교 등이 있다. 요즈음에는 주변에 전주전통문화센터에서 많은 공연을 하기 때문에 즐기고 먹고 볼거리가 풍부한 곳이다. 명소란 예전이나 지금이나 그렇게 전해지는 것인가 보다.

 

한벽당은 사시사철 아름답다. 봄이 되면 건너다보이는 산에 산벚꽃이 피어나는 모습이 아름답다. 여름이면 정자 앞을 흐르는 차디찬 물에 발을 담그고 있으면 더위가 가신다. 정자 주변에 있는 고목이 만들어내는 그늘은 더 더욱 시원함을 더한다. 가을이면 전주천을 덮는 억새가 하늘거린다. 찬 겨울이라도 정자는 언제나 운치가 있다. 경치만 놓고 가늠하자면 가히 선계라 할 만하다.

 

 

 

시인묵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던 곳 한벽당. 맑은 물빛이 고운 정자다. 한벽당 가까운 곳에는 월당 최담의 비가 서 있어, 이곳이 유서깊은 정자임을 알려주고 있다. 멋스럽지만 난해하지 않고, 아름답지만 화려하지 않은 정자. 물빛 고운 한벽당은 그렇게 속으로 멋스러움을 감추고 있는 정자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