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정(茅亭)'이라 하면 어떤 정자를 생각할까? 모정이란 세상에서 가장 소박한 정자dl다. 또한 민초들이 많은 돈을 들이지 않고 직접 지은 정자이기도 하다. 모정은 여름철에 농사를 짓다가, 더위를 피하기 위해서 짚이나 새(마른 풀) 등으로 지붕을 덮어 만든 작은 정자를 말한다.

 

모정은 농정(農亭), 농청(農廳) 혹은 양정(凉亭) 등으로도 부른다. 모정은 일반적인 정자들이 경관이 수려한 곳에 짓는데 비해, 논이나 밭 등의 주변에 짓는다. 주로 논농사를 많이 짓는 곳에서 볼 수 있는 모정은 농사일을 많이 하는 남성들이 많이 이용을 한다. 모정에서는 청·장년층의 농민들이 쉬는 시간을 이용해 이야기꽃을 피운다. 모정에서 나누는 대화는 양반가의 정자가 시를 짓고 세상을 논하는데 비해서, 서민적이고 대중적인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주민 모두가 주인인 모정

  

모정에 모인 사람들은 한 마을에 사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쉽게 대화를 할 수 있으며, 마을의 잡다한 이야기가 이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모정은 마을 공동체의 산실이기도 하다. 세상에서 가장 소박한 정자 모정은 특별한 정자의 명칭을 붙이지 않는다. 혹은 멋들어진 이름을 붙이기도 하지만, 통상 모정이란 명칭으로 불린다.

 

대전시 무수동에 자리한 대전시 유형문화재 제29호 안돈권씨 유회당 종가

 

유회당은 권이진이 부모를 위해 지은 것이다.

 

대전시 중구 무수동에 가면 안동권씨 유회당 종가가 있다. 유회당은 영조 때 호조판서를 지낸 유회당 권이진(1668 ~ 1734)이 처음으로 터를 잡았던 곳이다. 이곳에는 종가 외에 권이진이 부모를 생각하여 지은 유회당이 있다. 이곳 무수동 대전 보문산 남쪽에 자리 잡은 종가 앞에 모정이 서 있다.

 

옛 전통이 살아있는 마을

 

무수동의 모정은 안동권씨 종가의 정원을 함께 어우르며 서 있다. 길가 곁에 서 있는 모정은 작고 소박하다. 모정 곁에는 연못이 있고, 가을이면 불게 물드는 나무들이 모정을 더욱 정답게 만들어 준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곳에 자리를 잡고 있는 무수동 모정. 요즈음에는 천편일률적으로 만들어 놓은 시멘트 모정이나, 기와를 올린 모정들이 옛 정취를 사라지게 만든다.

 

 

유회당을 한 바퀴 돌아 내려오다가 모정에 피곤한 발길을 맡긴다. 사대부가의 양반네들이 지은 화려한 정자는 사람을 가린다. 문을 달아 내거나 집 안, 혹은 근처에 있어 아무나 들어갈 수가 없다. 하지만 모정은 다르다.

 

길을 걷는 사람이거나, 그 마을 사람이 아니라고 해도 누구나 그 모정을 이용해 피곤한 다리를 쉴 수가 있다. 그래서 모정은 담을 필요로 하지도 않고, 문을 달지도 않는다. 그저 물 한 모금으로 목을 축이고 새 기운을 얻을 수 있는 곳이 바로 모종이다. 

 

그래서 모정은 마을마다 논두렁이나밭두렁, 혹은 입구 정자 나무 그늘에도 하나씩 서 있었다. 지나는 사람까지도 반갑게 맞아들이고, 마음놓고 사람들과 함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장소이다. 무수동 모정에 걸터 앉나본다. 미처 새로 바꾸지 못한 초가의 짚 냄새가 정겹다. 어디를 가나 있었던 지역 공동체의 산실 모정. 그 정취가 그립다. 

응청각은 원래부터 청풍 한벽루의 좌측에 자리하고 있었던 전각이다. 지금도 제천청풍문화재단지 안 한벽루의 좌측에 예전 그대로 자리를 하고 있다. 이 응청각의 용도는 정확하지가 않다. 다만 인조 15년인 1637년에 충청감사 정세규의 일기에 응청각에서 유숙한 기록이 나오는 것을 보아, 이 응청각이 한벽루 옆의 있는 잠을 잘 수 있는 공간이라는 점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응청각의 뒤편으로 돌아가면 관수당이라는 당호가 붙어있다. 일반적으로 당이라고 하면 누정의 효과를 나타내는, 관아 안의 건물 등에 많이 붙이는 명칭이다. 물을 바라보는 집이라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는 관수당(觀水堂)은 아마 당시에도 이 건물이 물가에 서 있었음을 알게 한다.

 

 

관수당의 당호가 주는 의미

 

관수당이라고 전각의 뒤편에 붙인 현판으로 보아, 이 건물은 관아의 한 건물이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누정의 형태를 보면 누(樓), 정(亭), 대(臺), 당(堂), 제(齊), 헌(軒) 등 다양한 명칭으로 나타난다. 조선조 중기 이후에 들어서 이 이름이 모두 혼용이 되어있지만, 엄밀히 따지면 그 명칭에 따라 용도가 다 다르다.

 

우선 '누'란 밑으로 사람들이 다닐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이층의 전각을 말한다. 거기에 비해 '정'이란 공간이 없이 단층으로 되어있는 경우이다. 간혹 주추를 높여 밑으로 공간이 생기기도 하지만, 그런 공간이 사람들이 다닐 수 있을 정도는 아니다. 거기에 비해 '대'란 관아에 속해있는 정자를 말할 때 흔히 사용한다. '제'는 향교나 서원 등의 기숙을 할 수 있는 집이며, '헌'은 원래 왕실의 가족들이 묵는 공간에 붙이는 이름이다.

 

 

 

이외에도 '합(閤)'과 '각(閣)'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당'은 여러 사람이 집회를 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을 말한다. 흔히 '서당'이란 배우는 학동들이 모이는 곳을 의미한다. 이런 용도로 볼 때 '관수당'이란 물가에 서 있는 청풍현의 관아 중 사람들이 모여 이야기도 하고, 묵을 수도 있는 정자 건물로 추정할 수 있다.

 

아래층을 벽으로 막은 응청각

 

응청각은 일반적인 전각과는 달리 아래층을 석축벽으로 막았다. 토석을 섞어 아래를 둘렀으며, 한편은 트여놓았다. 아마 그곳은 기물 등을 둘 수 있는 공간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층은 나무로 만든 목조계단을 통해 올라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층의 둘레는 난간을 둘렀다. 응청각이 언제 지어졌는가는 확실히 알 수 없지만, 조선조 명조 초에 이황(1501 ~ 1570)이 단양군수로 있을 때 '응청각'이라고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그런 기록으로 보면 응청각은 500년 세월을 지키고 있는 셈이다.

 

 

 

현재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90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응청각. 이층은 계단을 올라 문을 열면 마루방이고, 문을 지나면 온돌로 놓여있다. 뒤편으로 돌아가면 기둥을 세우고 그 틈을 모두 돌과 황토를 섞어 발랐는데, 중간부분 가운데에 커다란 구멍이 하나 보인다. 구멍을 들여다보면 위로 비스듬히 뚫려있다. 아마 이곳이 방에 창불을 때는 곳은 아니었을까?

 

일반적인 전각과는 전혀 다른 형태로 지어진 응청각. 주변을 돌아보면 여기저기 의아한 곳이 많은 집이다. 그래서 이런 집을 돌아볼 때는, 더 많은 상상을 할 수 있어 즐겁지만.

 

참으로 아름답고 편안한 정자다. 어느 정자라도 아름답기는 하지만, 이상하게 이 정자만 보면 마음이 편해진다. 강릉시 운정동 경포호 서쪽에 자리잡은 해운정. 보물 제183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흔치 않은 가치를 지닌 정자다. 해운정을 처음 찾았을 때는 실망을 금치 못했다.

 

보물임에도 불구하고 널려진 쓰레기와 수북한 담배꽁초, 그리고 부수어진 건물잔해. 그것이 내가 처음으로 만난 해운정의 모습이었다. 그러나 지난 해 9월 해운정을 세 번째로 찾았을 때, 해운정은 본 모습을 하고 있었다.

 


해운정은 언제나 아름답다. 전국에 산재한 수 많은 정자들 중에 열개를 꼽으라고 한다면, 언제나 난 머리에 해운정을 둔다. 그만큼 아름다운 정자이기 때문이다. 해운정에는 언제나 바람이 분다. 그래서 난 이 정자에는 늘 바람이 쉬어간다고 생각을 한다.

 

중종 25년인 1530년에 지어졌으니 벌써 지은 지가 480년이 지났다. 아직도 그 때의 고고함을 그대로 간직한 정자. 강원도 관찰사로 재임한 어촌 심언광이 별당으로 지은 건물이라고 한다. 해운정의 현판은 우암 송시열의 글씨다.

 

  

 

해운정은 오른쪽 두 칸은 마루로 만들었다. 문은 모두 네 짝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여 시원하게 개방을 할 수 있도록 했으며, 왼쪽은 온돌방으로 꾸미고 중간을 장지문으로 막아 구분을 해 놓았다. 여름과 겨울을 모두 이곳에서 지내겠다는 소박한 마음이 담겨져 있다.

 

해운정은 대문을 두었다. 대문에는 방을 마련해 기거를 할 수 있도록 했는데, 아마 늘 이곳을 지키고 싶었는가 보다. 그만큼 지은이는 이 해운정에 마음을 두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늘 발길이 머무는 곳, 해운정. 해운정 마루에는 율곡 이이 등의 글이 걸려 있고, 명의 사신 공용경이 쓴 <경호어촌>이란 글과, 부사 오희맹의 <해운소정> 등의 글이 있다. 그만큼 해운정은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그 아름다움에 취했다는 이야기다.

 

해운정의 뒷편에는 가지를 처트린 소나무가 서 있다. 늘 보아도 그 자리에 있는 처진 소나무는 해운정의 역사를 이야기하는 듯하다. 언제나 보아도 그 소나무 가지에는 바람 한 점이 걸려 있다. 모처럼 들른 해운정 앞에는 작은 연못이 생겨났다. 그리고 철 늦은 연 몇 송이 수줍은 듯 얼굴을 감추고 있다.

 

  

  

 

바람이 쉬어가는 정자 해운정. 그 정겨운 모습에 근처를 지날 때면 꼭 들르고는 한다. 그곳에서는 다리를 편히 놓고 바람과 이야기를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기단을 높이 쌓고 처마를 높여 아름다움을 더했지만, 결코 드러나지는 않는다. 그저 숨 죽이고 다소곳 아름다움을 간직한 새색시 같다는 생각이다.

 

  
보물 제183호 강릉 해운정

 

보물 제183호 강릉 해운정. 앞으로 또 많은 시간이 지나도, 아마 바람은 해운정을 그냥 지나치지 못할 것이란 생각이다. 그저 마루에 걸터앉아 한 여름을 쉬어도 좋고, 온돌방을 달구어 놓고 담소를 해도 좋다. 언제나 들러보아도 정겨운 곳. 해운정은 그래서 바람의 발길을 붙들고 있는가 보다. 

경북 안동시 법흥동에 가면 보물 제182호인 임청각이 있다. 임청각은 중종 14년인 1519년에 형조좌랑을 지냈던 고성 이씨인 ‘이명’이 지은 고택이다. 원래는 99칸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70여 칸만 남아있다. 70여 칸이 남은 현재의 집안을 둘러보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집이다. 과거에는 과연 어떠했을까?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민가 중 하나인 임청각은, 독립 운동가이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이상룡(1858 ~ 1932)의 생가이다. 석주 이상룡은 아들과 손자가 모두 독립운동을 했던 집안으로, 삼대가 독립운동을 한 유공자다.

 

 

주거공간이 구분된 임청각

 

임청각은 흔하지 않게 보물로 지정이 된 집이다. 우리나라에 고택 등이 보물로 지정이 된 경우는 경주 안강읍에 소재한 보물 제413호인 독락당 등 몇 채에 불과하다. 그만큼 임청각은 독특한 구성과, 오랜 세월 원형을 잘 보존한 고택임을 알 수 있다.

 

이 임청각은 남녀의 주거공간이 매우 뚜렷하게 구분되어 있어서, 건물의 위계질서가 명확함을 알 수 있다. 별당형식인 임청각의 정자인 ‘군자정(君子亭)’은 사랑채로, <정(丁)>자를 옆으로 누인 형태이다. 수많은 시인과 묵객들이 이곳을 거쳐 갔다고 하는 군자정은, 임청각의 한편에 자리를 잡고 있다.

 

 

 

좁은 지하통로를 통해 다가선 군자정

 

지금은 앞으로 철로가 지나고 있어서, 좁은 지하통로로 들어가야 하는 군자정. 작은 문 안으로 들어가면 바로 정자로 오를 수 있는 돌계단이 있어, 나그네들이 들어오기에 편하게 만들었다. 안으로 통하는 작은 문이 또 하나가 나 있어, 주인이 손님을 맞이하기에 불편함이 없이 만들어 놓았다. 문은 나무로 짜서 양편으로 열리게 만들었으며, 난간을 둘러 운치를 더했다.

 

일각문을 열고 들어가면 바로 계단이다. 잘 다듬은 장대석으로 쌓아 기단을 놓고, 그 위에 한편은 담으로 둘러 온돌을 놓았다. 그리고 우측으로는 장초석을 이용해 높임 누마루를 놓아 운치를 더했다. 높임마루 앞으로는 작은 연못을 두어, 주변경관을 아름답게 꾸몄다. 임청각의 주인이 남다른 건축미에 대한 해박한 식견을 갖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자나 누각은 대개 하나의 개별 형태로 떨어져 지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는 사랑채로 사용하는 누정은 사랑채 한편을 돌출시켜, 누정의 형태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인 가독의 경우이다. 하지만 임청각의 군자정은 집 안에 사랑채를 정자를 지어, 사람들과 교류를 통하게 하였다는 것이 의미가 크다.

 

요즈음 사람들 군자정에서 소통의 의미를 배웠으면

 

요즈음 어느 계통에 사는 사람들이나 서로 소통이 안 되는 바람에 목소리들을 높이고 있는 현실을 보면서, 이 군자정의 지어진 형태를 보면서 주인의 마음을 읽어본다. 밖에서 들어오는 과객들조차 마음 편하게 오를 수 있도록 꾸며 놓은 군자정. 지금은 철길로 인해 시야가 막혀있지만, 그 예전에는 앞으로 흐르는 도도한 물줄기를 바라다보면서 시흥에 취했을 것 같다.

 

 

수많은 정자들이 서로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 군자정은 세상 속에서 스스로 군자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주인의 여유 있는 마음을 느낄 수가 있다. 그래서 더 멋진 정자라는 생각이다. 오늘 군자정을 기억하면서, 세상을 사는 지혜 한 자락을 배운다.

 

괴산의 애한정은 정자 중에서도 그 의미나 경계가 남다른 곳이다. 괴강 삼거리 가까이 있는 애한정은 뒤로는 소나무 숲이 우거지고, 앞으로는 괴강이 흐르고 있다.

 

애한정은 임진왜란 때 선조 임금을 의주까지 호위를 하여 그 공으로 별좌에 올랐다가, 광해군 때 낙향한 박지겸이 광해군 6년인 1614에 지은 정자 겸 아이들을 가르치던 학당이다. 원래의 애한정은 현재의 애한정 앞에 서 있다.

 

 

두 채가 나란히 서 있는 애한정

 

애한정으로 오르다가 보면 현 애한정 앞에 흙 담으로 둘러 친 정면 3칸, 측면 한 칸 반의집이 있다. 앞으로는 느티나무 보호수들이 둘러친 이 전각이 바로 박지겸이 처음에 지은 애한정이다. 이 구 애한정은 지금은 퇴락하여 여기저기 담에 흙이 떨어져 있다. 애한정을 바라보고 좌측 한 칸은 마루를 만들고, 우측 두 칸은 방을 드렸는데, 툇마루와 대청마루를 연결해 전체를 놓았다.

 


예전 처음으로 지었던 애한정. 주변 느티나무와 어우러져 빼어난 풍취를 자랑하고 있다.

 

위로 오르면 솟을대문이 있는 애한정이 보인다. 솟을대문 앞에는 처진 소나무 한 그루가 서 있어 솟을대문과 어우러진다. 솟을대문은 양반가의 대문처럼 우측에 쪽문을 내어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자이면서도 하나의 독립된 가옥으로서의 구조를 하고 있는 애한정, 아마 학동들을 가르치기 위해서 이런 구조로 정자를 꾸민 것 같다. 솟을대문은 좌측에는 방을 드려 놓았다.  

 

이 새로운 애한정은 현종 15년인 1674년에, 박지겸의 손자인 박연준이 군수 황세구의 도움을 받아 새로 짓고, 그 후 숙종 38년인 1712년, 숙종 44년인 1718년, 영조 51년인 1775년에 중수를 하였다. 최근에는 1979년에 중수하였으며 정면 6칸, 측면 2칸 반의 팔작지붕 목조기와집으로 꾸몄다.

 


양반가의 집들처럼 솟을대문 우측에 쪽문을 내었다.

 

 
후일 새롭게 조성을 한 애한정. 정면 6칸으로 꾸며진 애한정은 뒤편 소나무 숲과 어우러져 있다.

 

팔각의 주춧돌을 사용한 정자

 

정자에는 애한정(愛閑亭)이라는 현판이 대청 우측으로 걸려있고, 안에는 광해군 6년인 1614년에 박지겸이 지은 '애한정기'와 '애한정팔경시'등 많은 편액이 걸려 있다. 그 중 눈에 띠는 것은 현종 15년인 1674년에 우암 송시열이 지은 '애한정이창기'와 '제애한정기첩후'이다. 그리고 몇 개의 편액이 더 걸려있다.

 

정면 6칸으로 된 애한정은 정자를 바라보면서 좌측의 한 칸은 누정 형태로 높게 꾸몄다. 그리고 앞을 문양으로 내어 마감을 했으며, 방안으로 들어가면 다락의 형태로 만들어졌다. 중앙에는 두 칸 대청이 있으며, 우측의 두 칸도 방으로 꾸몄다. 중앙 대청의 앞 창호는 모두 올려서 위로 걸어 놓을 수 있도록 하였다.

 


애한정의 대청에는 박지겸, 송시열 등이 쓴 글의 편액이 걸려있다.


누정과 같은 형태로 만든 끝방은 대청 옆방에서 위로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애한정의 특징은 주춧돌이다. 특이한 형태로 주춧돌을 만들어 놓았는데, 일석을 이용해 맡에는 사각형으로 조성하고, 그 위를 깎아내어 팔각형으로 만들었다. 양편 방 앞으로는 툇마루를 놓았는데, 대청과 연결을 하였다.

 


팔각으로 조형된 주축돌. 일석을 이용해 아래는 네모나게 다듬고, 위를 팔각으로 다듬었다.

 

주변 경관과 어우러진 애한정

 

애한정은 주변 경관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곳이다. 뒤편으로는 소나무 숲이 자리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괴강이 흐르고 있다. 뛰어나게 아름다운 이 정자 앞으로는 다리를 놓기 위해, 몇 년째 교각 공사를 하고 있다. 정자의 뒤편으로 돌아가니 아직 체 녹지 않은 고드름이 처마 끝에 달려있다. 소나무 숲에서 나는 솔향이 싱그럽다.

 

애한정을 내려 괴강 쪽으로 걸어본다. 주변에 여러 가지 소중한 것들이 모여 있다. 보호수로 지정된 느티나무들이 하늘을 찌를 듯 솟아있다. 백의로 선조 어가를 모시고 그 어려운 길을 다녀 온 박지겸. 아마 그 마음이 닮아 저렇게 높이 하늘을 바라는 것은 아닌지. 괴강 위로 놓인 다리를 달리는 차들의 소음이 시끄럽다. 역사는 그렇게 주변 환경을 바꾸고, 사람들의 모습을 바꾸어 놓는 것인지. 바람 한 점이 몸을 감싸고 계곡으로 달아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