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종은 영월 땅에서 어린 나이에 삼촌인 수양대군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그러나 영월에서 멀지 않은 영주 땅에서는, 수양대군의 친 동생인 금성대군이 위리안치라는 형벌에도 굴하지 않고, 단종복위 운동을 하다가 끝내는 죽음을 맞았다.

 

그 슬픈 역사의 장소인 금성단.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70번지 일원에 자리한 사적 제491호 영주 금성대군 신단. 한 많은 세월을 살다가 간 금성대군 역시, 권력에 의해 불행하게 일생을 마친 슬픈 역사의 주인공이다. 소수서원에서 부석 방향으로 조금만 가면, 좌측에 금성제군 신단이라는 이정표가 보인다.

 

 

 

 

위리안치지에 세운 금성대군 신단

 

사적 제491호인 금성대군 신단은 세조 2년인 1456년에,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등 사육신의 단종복위 운동에 연루가 되어 금성대군이 위리안치 당한 곳이다. 금성대군은 이곳에서 순흥부사 이보흠과 향중 유림들과 더불어, 단종복위를 꾀하다가 순절을 하였다. 금성대군 신단은 바로 이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단이다.

 

단종복위를 꾀했다는 이유로 순흥부는 폐부가 되었다. 그 후 숙종 9년인 1683, 200여년이 훨씬 지난 다음에 순흥부가 복원이 되고, 순절을 당한 사람들을 위로하는 제단을 꾸몄다. 숙종 19년인 1693년에는 순흥부사 정중창이 금성대군이 위리안치 당했던 자리에 제단을 쌓았고, 숙종 45년인 1719년에는 부사 이명희가 삼단으로 고쳐쌓았다.

 

그 후 영주 18년인 1742년에는 경상감사 심성희가 처음 자리에서 서쪽으로 30~40보를 옮겨 단을 정비하고, 순의비를 세웠다. 그때부터 관리사를 지어 매년 봄 가을에 제향을 지낸다.

 

 

 

찾는 이 하나 없어 외로운 신단

 

금성제군 신단을 찾은 날은 마침 제각을 도배하고 있었다. 집은 여기저기 도배를 하느라 정리가 되어있지를 않아 단으로 올랐다. 문을 들어서니 양편 담장 앞에 있는 커다란 나무를 자른 흔적이 보인다. 오래된 고목인 듯한데, 왜 잘라내었을까? 돌담을 두른 제단에는 중앙에 금성대군지위란 쓴 상석이 보이고, 양편에는 부사이공보흠지위제의사지위라 음각한 상석이 있다. 금성대군의 상석 곁에는 유명조선 단종조충신 금성대군성인신단지비라 음각한 순의비가 서 있다.

 

넓지 않은 금성단. 푸른 잔디들이 애써 그 푸름을 자랑하지 않는 것도, 아마 그 피비린내 나는 골육상잔의 비극이 싫어서는 아니었을까? 차가운 상석 하나 남겨놓고 사라져간, 그런 슬픔은 아니었을까? 찾아주는 이도 없고, 아무도 그런 역사의 소용돌이를 눈여겨보지도 않는다.

 

 

 

 

그저 길 앞으로 하루 종일 오가는 그 많은 차들도, 이곳에 멈추지도 않는다. 그때나 지금이나 외로움은 마찬가지인지. 아마 그 혼백은 아직도 위리안치의 고통에서 가시지 않은 것은 아닐까? 근처 고목에서 까치 한 마리가 시끄럽게 울어댄다. 모처럼 들린 객을 반기는 것인지.

 

근처에 위리안치지도 조성해

 

금성대군신단은 단종 복위운동과 관련된 유적으로 18세기에 탕평정치의 움직임이 활성화됨에 따라 국왕에 대한 의리가 다시금 강조되는 정치적 분위기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당대 왕조의 인신(人神)을 위한 제단의 사례는 극히 드물다는 점에서, 당시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문화재로 평가된다는 것이다.

 

지금이야 사적지로 지정을 받아 관리가 되고 있지만, 이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금성대군의 위리안치지를 조성해 놓은 곳이 있어 마음이 더욱 애잔하다. 위리안치, 도대체 권력이 무엇이기에 친 동생까지 죽여야 했을까? 위리안치는 왕족의 형벌 가운데서도 가장 독한 형벌로 알려져 있다.

 

 

금성대군의 위리안치지. 금성대군 신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조성을 해 놓았다. 초가지붕 밑으로는 구덩이를 파고 돌로 벽을 둘렀으며, 그덩이 외부로는  탱자나무를 촘춤히 심어 놓아 밖으로 나갈 수가 없다.  

 

구덩이를 파고 그 벽을 돌로 에워 쌓고 구덩이 주변은 모두 탱자나무를 촘촘히 심어 놓는다. 구덩이에서는 벽에 기댈 수도 없다. 땅은 축축해 앉아있기도 힘들다. 구덩이 밖으로 나온다고 해도 탱자나무를 촘촘히 심어놓아 밖으로 나갈 수도 없다. 눕지도 앉지도 못하고 있다가 형장으로 끌려가는 것이다.

 

친형에게 위리안치라는 극악한 형벌을 받고 결국엔 목숨까지 잃어야했던 금성대군. 이곳을 들릴 때마다 마음이 아픈 것은, 권력은 형제도 죽일 수 있다는 역사의 아픔 때문이다. 지금도 별반 다를 것은 없지만 말이다.

 

경남 산청군 신등면 율곡사길 182(율현리)에 소대한 율곡사. 신라 경순왕 4년인 930년에 감악조사(感岳祖師)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절이다. 절과 관련된 사초 중 고려와 조선시대의 역사는 자세히 전하지 않지만, 현재의 대웅전은 2003년 해체과정에서 어칸 종도리 하부에서 강희십팔년기미월일상량기(康熙十八年己未月日上樑記)”의 묵서명 기록이 나와, 조선 숙종 4년인 1679년에 대대적으로 중수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율곡사의 대웅전은 보물 제374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정면 3,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이다. 지붕 무게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짠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대웅전 앞쪽의 어간문을 비롯한 문의 문살은, 여러 문양으로 복잡하게 꾸며 건물에 더욱 다양한 느낌을 주고 있다.

 

 

화려한 닫집 밑에 아미타삼존불상 모셔

 

건물 안쪽 천장은 우물 정()자 모양의 우물천장으로 만들어 천장 속을 가리고 있고 불단 위쪽으로 지붕 모형의 닫집을 만들어 놓았다. 율곡사 대웅전은 산 중에 자리한 건물치고는 비교적 큰 규모의 조선 중기 건물이다. 전체적으로는 간결하면서도 웅장한 멋을 갖추고 있어 조선조의 건축문화 연구에 소중한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

 

대웅전 정면에 마련된 불단 위에는 닫집을 달아내고 그 밑에는 아미타삼존불상을 모셨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73호로 지정되어 있는 나무로 만든 아미타삼존불좌상이다. 가운데 본존인 아미타여래상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관음보살상이 배치되고, 오른쪽에는 대세지보살상이 자리하고 있다.

 

 

삼존불의 크기는 1m 이상의 사람의 키만 한 불상으로서, 자세는 등을 세우고 고개를 약간 숙인 모습의 반가부좌상으로 전체적으로 균형감 있는 모습이다. 중앙에 좌정한 아미타여래상은 머리의 육계는 구분이 명확치 않으나 정상계주와 중앙계주를 표현하였다. 나발의 표현은 촘촘한 편으로, 얼굴은 방형에 가깝고 턱의 선은 비교적 둥글게 처리하였다.

 

아미타여래상은 이목구비가 뚜렷하여 서로 조화를 이룬다. 짧은 목 아래로 삼도를 뚜렷이 표현하였다. 삼도란 수행의 3단계인 견도(見道) · 수도(修道) · 무학도(無學道)를 말한다. 삼도는 성문과 보살 모두에게 해당하는 수행의 3단계이다. 아미타여래의 법의는 양어깨를 모두 덮은 두꺼운 대의를 입었고, 가슴 아래로 수평의 군의자락이 보인다.

 

양손은 따로 만들어 끼웠으며 엄지와 장지를 맞대고 있는데, 그 사이에 작은 구슬을 쥐고 있다. 오른팔은 구부려 손바닥을 바깥으로 향한 채 어깨부위까지 들어 올린 상태이고, 왼손은 반가부좌한 오른발 위에 얹고 있다.

 

 

세분의 상이 흡사한 것이 같은 시기에 조성

 

관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은 자세, 손모양, 얼굴, 법의 등 거의 모든 면에서 본존인 아미타여래상과 공통적인 특징을 보인다. , 두 보살상은 장신구를 전혀 착용하지 않았으나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다. 얼굴 표현은 아미타여래상과 같고, 다만 본존불에 비해 조금 길고 갸름한 편이다.

 

옷차림은 대체적으로 본존불과 같으나, 관음보살상은 오른쪽 어깨에 반쯤 걸친 소위 반단형식이며, 등 쪽에는 왼쪽 어깨에서 넘어온 대의자락이 보이는데, 이러한 표현은 아미타여래상과 대세지보살상의 경우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규모는 1m 이상의 비교적 큰 크기의 아미타삼존불좌상으로, 전체적으로 균형적이고 안정감 있는 조형성을 지니고 있다. 삼존불의 특징이 거의 일치하여 같은 시기에 함께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복장 유물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조선전기에 제작된 작품으로 추정한다.

 

산청 율곡사에서 만난 대웅전과 아미타삼존불상. 문화재를 답사하면서도 이런 삼존불을 만나면 그 자리에 머리를 조아릴 수밖에 없다. 만나는 부처마다 한 가지 원은 꼭 하는 편이다. 그저 우리나라에 산재한 많은 문화재가 훼손이 되지 않기를 먼저 바란다. 그리고 아직도 제자리를 찾아오지 못하고 있는 많은 문화재들의 조속한 귀환을 바라는 마음으로.

 

신원사는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산의 서쪽에 위치한 사찰이다. 백제 의자왕 11년인 651년에 창건되었으며, 경내에서 백제연화문와당이 출토되었다. 신원사의 중악단은 삼국시대부터 산신사상이 전해 내려오는 곳이다. 산신제는 신라 문무왕이 오악제를 올린 이후, 곳에 따라 현재까지 제사가 계속 이어져오고 있다.

 

신원사는 고종이 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바꾸고, 신원사의 사명을 새 나라의 시작을 의미하도록 신원사(神院寺)에서 신원사(新元寺)로 고쳤다. 신원사의 중악단은 조선왕조가 계룡산신에게 봄 , 가을 두 차례에 걸쳐 제사를 드리던 장소이다. 중악단은 조선시대의 건축물로 궁중의 건물을 짓는 건축형태로 조성이 되었으며, 199932일 보물 제1293호로 지정이 되었다.

 

 

삼악 중 중앙에 있다고 붙여진 이름 중악단

 

충남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산8 신원사 결내에 자리하고 있는 보물 제1293호인 공주 계룡산 중악단. 중악단은 나라에서 계룡산신에게 제사 지내기 위해 마련한,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중악단은 묘향산의 상악단, 지리산의 하악단 중에서 그 중앙에 있다고 하여 중악단이라 불렀으며, 지금은 중악단만이 남아있다.

 

계룡산은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산으로 여겨져 왔으며, 신라 때는 오악의 한 곳으로 제사를 지냈다. 조선시대에는 북쪽의 묘향산을 상악으로, 무학대사의 꿈에 산신이 나타났다는 말을 듣고 태조 3년인 1394에 처음으로 제사를 지냈다고 전하며, 효종 2년인 1651년에 제단이 폐지되었다. 그 후 고종 16년인 1879년에 명성황후의 명으로 다시 짓고 중악단이라 하였다.

 

 

난 가을이면 계룍산 신원사를 찾는다.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신원사의 가을은 아름다움의 극치를 선보이기 때문이다. 절은 온통 노란색과 붉은색으로 도배를 한다. 경내에 들어서면 마치 신선이 살고 있는 곳을 찾아온 듯하다. 중악단으로 오르는 길에 만나게 되는 신원사의 단풍은, 매년 보아도 특별하다.

 

단묘의 건축법을 엄격히 지킨 중악단

 

공주 계룡산 구릉지에 마련한 중악단은 동북과 서남을 중심축으로 하여, 대문간채, 중문간채, 중악단을 일직선상에 대칭으로 배치했다. 중악단의 둘레에는 담장을 둘러 이곳이 신성한 곳임을 나타내고 있다. 건물배치와 공간구성에 단묘(壇廟)건축의 격식과 기법을 엄격히 적용하고 있다.

 

중악단의 현판은 조선 후기 문신 이중하(18461917)가 쓴 것이라고 한다. 중악단 내부 중앙 뒤쪽에 단을 마련하고, 단 위에 나무상자를 설치하여 그 안에 계룡산신의 신위와 영정을 모셔 두었다.

 

 

중악단은 1.5m의 높은 돌 기단 위에 정면 3, 측면 3칸의 규모에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짠 구조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인데, 조선 후기의 특징적인 수법으로 조각, 장식하여 화려하고 위엄이 있다. 중악단은 국가에서 시행하는 산신제를 지내는 곳이기 때문에 특별한 것이 있다.

 

각 지붕 위에는 각각 7개씩 잡상을 배치하여, 궁궐의 전각이나 문루 또는 도성의 문루에서 사용하던 기법을 쓴 점도 특이하다. 지금은 조선시대에 산신제를 지내던 상악단과 하악단이 없어져 그 유적 내용을 알 수 없으나, 중악단이 잘 보존되어 있어 나라에서 산신에게 제사지냈던 유일한 유적으로 남아있는 소중한 전각이다.

 

쌍계사는 언제 세웠는지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현재 남아있는 유적으로 미루어 보면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영조 15년인 1739년에 세운 비가 남아있어 그 당시 절을 고쳐 지은 것으로 보인다. 쌍계사하면 사람들은 먼저 하동 쌍계사를 떠 올리지만, 대웅전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논산 쌍계사는 충남 논산시 양촌면 중산리에 소재하고 있다.

 

논산 쌍계사에는 많은 전설이 전하고 있다. 마치 전설을 만들기 위해 창건된 절인 듯하다. 그만큼 쌍계사의 전설은 한두 가지 아니다. 대개 어느 고찰이나 전설 한 두가야 있기 마련이지만, 쌍계사는 그런 정도가 아니다. 그저 쌍계사 주변 곳곳이 전설이 전한다. 그만큼 이 절이 창건 이후 유명세를 탔다는 뜻이기도 하다.

 

 

사부대중이 얼마나 많았기에

 

쌍계사에 전하는 전설 중에는 그저 허황된 소리 같은 것들도 전한다. 하지만 전설이라는 것이 전혀 맹랑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면 쌍계사는 한 때 많은 사부대중이 기거를 했던 절임을 알 수 있다. 오죽하면 쌀을 씻은 뜨물이 큰 길까지 흘러내렸을까? 그 뿐만이 아니다. 대웅전에 있는 탱화를 파랑새가 붓을 입고 물고 그렸다고도 한다.

 

대웅전 앞에 낸 문짝의 꽃 창살은 가히 일품이다. 꽃 창살을 사용한 절들은 많다. 하지만 아마 도 어느 절도 이렇게 아름답지는 않을 것이다. 그 꽃 창살의 문양만 바라보고 있어도 기분이 황홀해진다. 쌍계사의 기둥 하나가 칡넝쿨로 만들었는데, 이 기둥을 안고 돌면 병을 앓지 않고 저승으로 간다고도 한다.

 

 

이런저런 이야기가 많이 전하는 고찰 쌍계사. 이 절에서 사용하는 북이 얼마나 소리가 크고 고랑을 쩡쩡 울린 것일까? 북의 가죽을 한 겹을 볏겨 냈다고 한다. 또한 절 동편 고개 밑에는 샘물이 있다고 한다. 이 샘은 약효가 뛰어나 피부병 등을 앓고 있는 사람들을 이 물을 마시기 위해 전라북도에서까지 찾아왔다는 것이다.

 

보물로 지정이 된 쌍계사 대웅전

 

보물 제408호로 지정이 된 쌍계사 대웅전은 절의 중심 법당이다. 대웅전은 건축 형식으로 보면 조선 후기 건물로, 영조 14년인 1738년에 지은 건물로 보인다. 그 뒤 1972년 보수공사가 있었고, 1973년에 단청을 다시 하였다.

 

쌍계사 대웅전의 규모는 정면 5칸에 측면 3칸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짠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정면의 문은 정면 5칸을 모두 같은 간격으로 2짝씩 달아, 문살에 화려한 꽃을 새긴 꽃 창살로 마련하였다. 문의 꽃무늬는 연꽃, 모란을 비롯해 6가지 무늬로 새겨 색을 칠하였는데 섬세하고 정교한 조각 솜씨를 엿보게 한다.

 

 

대웅전의 건물 안쪽은 우물 정()자 모양의 우물천장으로 꾸몄으며, 석가여래삼존불을 모신 불단 위쪽으로, 불상마다 지붕 모형의 닫집을 만들어 엄숙한 분위기를 더해 주고 있다. 쌍계사의 대웅전은 예술 가치가 높은 문살 조각을 볼 수 있고, 조선 후기 건축사 연구에 소중한 자료로 평가를 받고 있다.

 

내가 30년 가까운 세월을 길 위에 서 있는 것은 이런 소중한 문화재를 만나게 되는 즐거움 때문이다. 문화재 하나를 만날 때마다 어떤 때는 즐거움으로, 어떤 때는 비통함으로 접하게 되지만, 그 안에 내재된 사고는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기에 또 바람따라 길 위에 늘 서있기는 하지만. (꽃 창살과 닫집은 문화재청 자료입니다)

 

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2번지에 소재한 갑사에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05호로 지정이 된 갑사대웅전이 있다. 대웅전이란 절의 중심건물로 석가모니 부처님을 봉안한 전각이다. 이 갑사대웅전은 원래 지금의 자리가 아닌 대적전 자리에 있던 것을, 선조 37년인 1604년에 새로 지으면서 자리를 옮긴 듯하다.

 

갑사는 통일신라시대에는 오악 중 서악(西嶽), 고려시대엔 묘향산 상악(上嶽), 지리산의 하악(下嶽)과 더불어, 3악 중 중악(中嶽)으로 일컬어지는 명산 계룡산의 서편에 자리한다. 갑사는 백제 구이신왕 1년인 420년에 고구려 승려인 아도화상이 지었다는 설과, 556년에 혜명이 지었다는 설 등이 전한다.

 

 

 

고구려 승려 아도화상이 창건한 갑사

 

갑사는 고구려 승려 아도화상이 신라최초 사찰인 선산 도리사를 창건하고, 고구려로 돌아가기 위해 백제 땅 계룡산을 지나가게 되었단다. 갑자기 산중에서 상서로운 빛이 하늘까지 뻗쳐오르는 것을 보고 찾아가보니 천진보탑이 있었다는 것. 이로써 탑 아래에 배대에서 참례를 하고 갑사를 창건하였는데, 이때가 백제 구이신왕 원년인 420년이다.

 

위덕왕 3년인 556년에는 혜명대사가 천불전과 보광명전, 대광명전을 중건하였으며, 679년에는 의상이 수리해서 화엄종의 도량으로 삼으면서 신라 화엄 10찰의 하나가 되었다. 의상대사는 천여 칸의 당우를 중수하고 화엄대학지소를 창건하여, 화엄도량으로 삼아 전국의 화엄 10대 사찰의 하나가 되어 크게 번창되었다.

 

 

진흥왕 원년인 887년에는 무염대사가 중창한 것이 고려시대까지 이어졌으며, 임진왜란 와중에도 융성하였다. 그러나 선조30년인 1597년이 일어난 정유재란으로 많은 전각들이 소실되었다. 이후 선조37년인 1604년에 인호, 경순, 성안, 보윤 등이 대웅전과 진해당을 중건했고, 효종 5년인 1654년에는 사정, 신징, 경환 등이 중수하였다.

 

이 후에도 부분적인 개축과 중수를 거쳐 고종 12년인 1875년에 대웅전과 진해당이 중수되고, 1899년에는 적묵당이 신축되어 오늘에 전해지고 있다. 갑사에는 조선 후기 들어 새롭게 조성된 불상과 탱화 경판이 남아있다. 또한 갑사는 임진왜란 때 승병장 영규대사를 배출한 호국불교 도량으로도 유명한 유서 깊은 고찰이다.

 

 

맞배지붕에 다포계 양식인 대웅전

 

갑사의 대웅전은 859년과 889년에 새로 지었으나, 1597년의 정유재란으로 인해 건물이 모두 불타 버린 것을 선조 37년인 1604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현재 충남 유형문화재인 갑사대웅전은 정면 5, 측면 4칸으로 옆면이 사람인자 모양으로 생긴 맞배지붕 건물이다. 기둥 위에서 지붕 처마를 받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계양식이다.

 

가운데 3칸은 기둥 간격을 양 끝 칸보다 넓게 잡아 가운데는 공포를 2개씩 놓았고, 끝 칸에는 1개씩을 배치하였다. 내부는 우물천장으로 되어있으며 불단에는 충남유형문화재 제165호인 석가여래불을 중심으로 약사여래와 아미타여래의 삼세불을 모시고 있다. 삼세불의 뒤편에 걸린 탱화는 보물 제1651호로 지정된 영산회상도와 약사회상도, 아미타회상도가 걸려있다. 또한 국보 제298호인 삼신불괘불탱이 불단 뒤편에 보관되어 있다.

 

 

갑사를 답사한 지가 꽤나 시간이 흘렀다. 107일 가을 단풍이 계룡산 아랫자락을 물들이기 시작했을 때니 벌써 두 달이 더 지난 셈이다. 하지만 문화재 답사를 하고 바로 정리를 한다는 것이 쉽지가 않다. 한 번 답사에 많게는 20여 가지가 넘는 문화재를 보고오기 때문이다. 갑사에는 많은 문화재들이 있어 우선 몇 가지만 소개를 하고 미루고 있던 것이, 이렇게 시간이 훌쩍 지나버렸다.

 

앞으로 며칠간은 그동안 소개하지 못했던 갑사의 문화재를 소개하려고 한다, 문화재는 어느 것 하나도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주변의 모습은 바뀐다고 해도, 문화재가 바뀌지는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