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산청군 신등면 율곡사길 182(율현리)에 소대한 율곡사. 신라 경순왕 4년인 930년에 감악조사(感岳祖師)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절이다. 절과 관련된 사초 중 고려와 조선시대의 역사는 자세히 전하지 않지만, 현재의 대웅전은 2003년 해체과정에서 어칸 종도리 하부에서 강희십팔년기미월일상량기(康熙十八年己未月日上樑記)”의 묵서명 기록이 나와, 조선 숙종 4년인 1679년에 대대적으로 중수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율곡사의 대웅전은 보물 제374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정면 3,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이다. 지붕 무게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짠 구조가 기둥 위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이다. 대웅전 앞쪽의 어간문을 비롯한 문의 문살은, 여러 문양으로 복잡하게 꾸며 건물에 더욱 다양한 느낌을 주고 있다.

 

 

화려한 닫집 밑에 아미타삼존불상 모셔

 

건물 안쪽 천장은 우물 정()자 모양의 우물천장으로 만들어 천장 속을 가리고 있고 불단 위쪽으로 지붕 모형의 닫집을 만들어 놓았다. 율곡사 대웅전은 산 중에 자리한 건물치고는 비교적 큰 규모의 조선 중기 건물이다. 전체적으로는 간결하면서도 웅장한 멋을 갖추고 있어 조선조의 건축문화 연구에 소중한 문화재로 평가받고 있다.

 

대웅전 정면에 마련된 불단 위에는 닫집을 달아내고 그 밑에는 아미타삼존불상을 모셨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73호로 지정되어 있는 나무로 만든 아미타삼존불좌상이다. 가운데 본존인 아미타여래상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관음보살상이 배치되고, 오른쪽에는 대세지보살상이 자리하고 있다.

 

 

삼존불의 크기는 1m 이상의 사람의 키만 한 불상으로서, 자세는 등을 세우고 고개를 약간 숙인 모습의 반가부좌상으로 전체적으로 균형감 있는 모습이다. 중앙에 좌정한 아미타여래상은 머리의 육계는 구분이 명확치 않으나 정상계주와 중앙계주를 표현하였다. 나발의 표현은 촘촘한 편으로, 얼굴은 방형에 가깝고 턱의 선은 비교적 둥글게 처리하였다.

 

아미타여래상은 이목구비가 뚜렷하여 서로 조화를 이룬다. 짧은 목 아래로 삼도를 뚜렷이 표현하였다. 삼도란 수행의 3단계인 견도(見道) · 수도(修道) · 무학도(無學道)를 말한다. 삼도는 성문과 보살 모두에게 해당하는 수행의 3단계이다. 아미타여래의 법의는 양어깨를 모두 덮은 두꺼운 대의를 입었고, 가슴 아래로 수평의 군의자락이 보인다.

 

양손은 따로 만들어 끼웠으며 엄지와 장지를 맞대고 있는데, 그 사이에 작은 구슬을 쥐고 있다. 오른팔은 구부려 손바닥을 바깥으로 향한 채 어깨부위까지 들어 올린 상태이고, 왼손은 반가부좌한 오른발 위에 얹고 있다.

 

 

세분의 상이 흡사한 것이 같은 시기에 조성

 

관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은 자세, 손모양, 얼굴, 법의 등 거의 모든 면에서 본존인 아미타여래상과 공통적인 특징을 보인다. , 두 보살상은 장신구를 전혀 착용하지 않았으나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다. 얼굴 표현은 아미타여래상과 같고, 다만 본존불에 비해 조금 길고 갸름한 편이다.

 

옷차림은 대체적으로 본존불과 같으나, 관음보살상은 오른쪽 어깨에 반쯤 걸친 소위 반단형식이며, 등 쪽에는 왼쪽 어깨에서 넘어온 대의자락이 보이는데, 이러한 표현은 아미타여래상과 대세지보살상의 경우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규모는 1m 이상의 비교적 큰 크기의 아미타삼존불좌상으로, 전체적으로 균형적이고 안정감 있는 조형성을 지니고 있다. 삼존불의 특징이 거의 일치하여 같은 시기에 함께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복장 유물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조선전기에 제작된 작품으로 추정한다.

 

산청 율곡사에서 만난 대웅전과 아미타삼존불상. 문화재를 답사하면서도 이런 삼존불을 만나면 그 자리에 머리를 조아릴 수밖에 없다. 만나는 부처마다 한 가지 원은 꼭 하는 편이다. 그저 우리나라에 산재한 많은 문화재가 훼손이 되지 않기를 먼저 바란다. 그리고 아직도 제자리를 찾아오지 못하고 있는 많은 문화재들의 조속한 귀환을 바라는 마음으로.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