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종은 영월 땅에서 어린 나이에 삼촌인 수양대군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그러나 영월에서 멀지 않은 영주 땅에서는, 수양대군의 친 동생인 금성대군이 위리안치라는 형벌에도 굴하지 않고, 단종복위 운동을 하다가 끝내는 죽음을 맞았다.

 

그 슬픈 역사의 장소인 금성단.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70번지 일원에 자리한 사적 제491호 영주 금성대군 신단. 한 많은 세월을 살다가 간 금성대군 역시, 권력에 의해 불행하게 일생을 마친 슬픈 역사의 주인공이다. 소수서원에서 부석 방향으로 조금만 가면, 좌측에 금성제군 신단이라는 이정표가 보인다.

 

 

 

 

위리안치지에 세운 금성대군 신단

 

사적 제491호인 금성대군 신단은 세조 2년인 1456년에,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등 사육신의 단종복위 운동에 연루가 되어 금성대군이 위리안치 당한 곳이다. 금성대군은 이곳에서 순흥부사 이보흠과 향중 유림들과 더불어, 단종복위를 꾀하다가 순절을 하였다. 금성대군 신단은 바로 이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마련된 제단이다.

 

단종복위를 꾀했다는 이유로 순흥부는 폐부가 되었다. 그 후 숙종 9년인 1683, 200여년이 훨씬 지난 다음에 순흥부가 복원이 되고, 순절을 당한 사람들을 위로하는 제단을 꾸몄다. 숙종 19년인 1693년에는 순흥부사 정중창이 금성대군이 위리안치 당했던 자리에 제단을 쌓았고, 숙종 45년인 1719년에는 부사 이명희가 삼단으로 고쳐쌓았다.

 

그 후 영주 18년인 1742년에는 경상감사 심성희가 처음 자리에서 서쪽으로 30~40보를 옮겨 단을 정비하고, 순의비를 세웠다. 그때부터 관리사를 지어 매년 봄 가을에 제향을 지낸다.

 

 

 

찾는 이 하나 없어 외로운 신단

 

금성제군 신단을 찾은 날은 마침 제각을 도배하고 있었다. 집은 여기저기 도배를 하느라 정리가 되어있지를 않아 단으로 올랐다. 문을 들어서니 양편 담장 앞에 있는 커다란 나무를 자른 흔적이 보인다. 오래된 고목인 듯한데, 왜 잘라내었을까? 돌담을 두른 제단에는 중앙에 금성대군지위란 쓴 상석이 보이고, 양편에는 부사이공보흠지위제의사지위라 음각한 상석이 있다. 금성대군의 상석 곁에는 유명조선 단종조충신 금성대군성인신단지비라 음각한 순의비가 서 있다.

 

넓지 않은 금성단. 푸른 잔디들이 애써 그 푸름을 자랑하지 않는 것도, 아마 그 피비린내 나는 골육상잔의 비극이 싫어서는 아니었을까? 차가운 상석 하나 남겨놓고 사라져간, 그런 슬픔은 아니었을까? 찾아주는 이도 없고, 아무도 그런 역사의 소용돌이를 눈여겨보지도 않는다.

 

 

 

 

그저 길 앞으로 하루 종일 오가는 그 많은 차들도, 이곳에 멈추지도 않는다. 그때나 지금이나 외로움은 마찬가지인지. 아마 그 혼백은 아직도 위리안치의 고통에서 가시지 않은 것은 아닐까? 근처 고목에서 까치 한 마리가 시끄럽게 울어댄다. 모처럼 들린 객을 반기는 것인지.

 

근처에 위리안치지도 조성해

 

금성대군신단은 단종 복위운동과 관련된 유적으로 18세기에 탕평정치의 움직임이 활성화됨에 따라 국왕에 대한 의리가 다시금 강조되는 정치적 분위기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당대 왕조의 인신(人神)을 위한 제단의 사례는 극히 드물다는 점에서, 당시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문화재로 평가된다는 것이다.

 

지금이야 사적지로 지정을 받아 관리가 되고 있지만, 이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금성대군의 위리안치지를 조성해 놓은 곳이 있어 마음이 더욱 애잔하다. 위리안치, 도대체 권력이 무엇이기에 친 동생까지 죽여야 했을까? 위리안치는 왕족의 형벌 가운데서도 가장 독한 형벌로 알려져 있다.

 

 

금성대군의 위리안치지. 금성대군 신단에서 멀지 않은 곳에 조성을 해 놓았다. 초가지붕 밑으로는 구덩이를 파고 돌로 벽을 둘렀으며, 그덩이 외부로는  탱자나무를 촘춤히 심어 놓아 밖으로 나갈 수가 없다.  

 

구덩이를 파고 그 벽을 돌로 에워 쌓고 구덩이 주변은 모두 탱자나무를 촘촘히 심어 놓는다. 구덩이에서는 벽에 기댈 수도 없다. 땅은 축축해 앉아있기도 힘들다. 구덩이 밖으로 나온다고 해도 탱자나무를 촘촘히 심어놓아 밖으로 나갈 수도 없다. 눕지도 앉지도 못하고 있다가 형장으로 끌려가는 것이다.

 

친형에게 위리안치라는 극악한 형벌을 받고 결국엔 목숨까지 잃어야했던 금성대군. 이곳을 들릴 때마다 마음이 아픈 것은, 권력은 형제도 죽일 수 있다는 역사의 아픔 때문이다. 지금도 별반 다를 것은 없지만 말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