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행궁을 들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이 바로 ‘신풍루(新豊樓)’이다. 신풍루는 화성 행궁의 정문으로, 정조 14년인 1790년에 세운 누문이다. 처음에는 6칸으로 된 문을 세우고 조심태가 편액을 써서 ‘진남루(鎭南樓)’라고 하였다. 정조는 1795년에 문의 이름을 ‘신풍루’로 고치라고 명하여, 조윤형으로 하여금 다시 편액을 쓰게 하였다.

'신풍'이란 명칭은 일찍이 한나라 고조가 '풍 땅은 새로운 또 하나의 고향' 이라고 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정조에게 있어 화성은 고향과 같은 고장이라는 의미로 편액을 걸게 한 것이다. 정조는 이름을 고치고 1795년 을묘 행차시에 신풍루 앞에서 친히 참석하여 화성부의 백성들에게 쌀을 나누어 주고, 굶주린 백성에게는 죽을 끊여 먹이는 진휼 행사를 벌리기도 했다.



2월 13일, 신풍루에 오르다

정조 18년인 1794년 가을 행궁을 대대적으로 증축할 때는 누대 양편에 군영을 설치하고, 정조 19년인 1795년에는 누문 앞으로 길이 114척, 넓이 35척의 돌다리를 설치하여 ‘신풍교’라 이름하였다.

2월 13일(월) 화성 행궁을 찾았다. 그동안 몇 번이나 간 곳이지만, 신풍루는 아래에서만 사진을 찍었을 뿐, 위로는 한 번도 올라가지 못했다. 이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에 출입을 금한다는 푯말 때문이다. 화성사업소에 들려 신풍루를 촬영하겠다고 허락을 받고 신풍루로 올랐다.

1907년 헤르만 산더의 사진


신풍루는 수원시 팔달구 신풍동 123번지에 소재한다. 국립민속박물관에 보관중인 1907년 헤르만 산더의 사진에는 신풍루가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남아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가파른 계단을 올라 신풍루 위로 올라보니, 팔달문 밑으로 놓인 행궁이 한 눈에 내려다보인다. 문밖으로는 팔달문에서 장안문으로 가는 도로와, 건너편 창룡문 쪽으로 가는 도로가 보인다.

아마도 이 행궁을 짓고 난 정조 당시에도 이곳 신풍루 앞은 이렇게 길이 나 있었을 것이다. 뒤로는 팔달산을 끼고, 앞으로는 넓은 도로를 볼 수 있는 곳, 이 신풍루의 누각에 올라 정조는 마음속에 담은 큰 뜻을 펼치려고 했을 것이다.




장초석으로 바친 기둥, 장엄함의 상징

6칸 규모의 중층 누각으로 지어진 신풍루는 위로는 누마루를 놓고, 아래는 3개의 얼문을 설치하였다. 정조는 나중에 왕위를 물려주고 이곳에 내려와 살 생각을 하였다고 하였으니, 그 행궁의 정문 또한 남다른 신경을 써서 축조를 한 것으로 보인다.




어른 키만한 장초석을 놓고 그 위에 기둥을 올려 이층 누각을 받치게 하였다. 안쪽으로는 바깥과 마찬가지로 그렇게 장초석을 사용하여 웅장함을 더했다. 삼문은 판문으로 해서 달았으며, 문의 좌우에도 판벽을 둘렀다. 이층 누각으로 올라가는 누각은 가파르다. 그만큼 누각을 높였다는 것이다. 누마루를 깐 이층에는 사방을 둘러 난간을 달아냈다.


이층 누각으로 오르면 좌우로는 남군영과 북군영의 지붕들이 보이고, 팔달산 쪽으로는 시원하게 공간을 내어 정전의 바깥 출입문인 좌익문을 만나게 하였다. 화성 행궁은 미로처럼 이어져 있다. 그 행궁의 문인 신풍루. 아마도 이 신풍루의 이름을 직접 지은 정조는, 이 누각 위에서 강한 군주가 통치하는 나라를 그렸을 것이다.

화성행궁은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후에 정조가 왕위에 오르면서 장헌세자라 하였고, 1899년에 의황제로 봉해졌다) 혜경궁홍씨(사도세자가 의황제가 된 후 혜경궁홍씨도 의황후가 되었다)의 묘인 융릉에 전배하기 위하여 행행 때에 머물던 임시 처소이다.

평상시에는 부사(뒤에는 유수)가 집무하는 부아(관청)로도 활용하였다. 정조는 13년 10월에 이루어진 현륭원 천봉부터, 정조 24년 1월까지 12년간 13차례에 걸친 원행을 정기적으로 행하였다. 이때마다 정조는 화성행궁에 머물면서 여러 가지 행사를 거행하였다.


왕권강화 정책의 상징인 화성행궁

현재 사적 제478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화성행궁은, 그 일부만이 남아 있던 것을 복원하였다. 화성행궁은 화성축조가 완공되는 것과 때를 같이하여, 576칸 규모의 웅장한 건물이 되었다. 화성행궁은 화성과 더불어 단순한 건축조형물이 아니라, 개혁적인 계몽군주 정조가 지향하던 왕권강화정책의 상징물이기도 하다.

화성행궁 이외에도 한양의 궁궐에서 현륭원에 이르는 원행의 노정에도, 왕의 주필하는 행궁이 건립되었다. 즉, 초기의 '과천로' 때는 과천행궁과 사근참행궁을 건립하였고, 정조 18년 '시흥로'가 새로 개척됨에 따라, 이 해 시흥행궁 114칸과 안양행궁, 이듬해인 정조 19년인 1795년에는 안산행궁 등을 건립하였다.


그러나 이들 과천이나 시흥, 안양과 안산, 사근참 등 속읍에 건축된 행궁은, 원행의 노정에 잠시 쉬어가는 주필소에 불과했다. 또 그 규모와 활용면에서도 화성행궁과의 비교가 안될 정도였다.

화성행궁을 돌아보다

화성행궁에는 현재 어떠한 건물이 있으며, 그 전각의 용도는 무엇이었을까? 현재 복원이 된 행궁은 정조 당시와는 비교가 안되지만, 그 행궁의 곳곳을 돌아보는 것 또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그냥 구경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전각에 얽힌 이야기들을 풀어가고자 한다.




행궁의 정전인 봉수당은 화성 행궁의 정전건물이자, 화성 유수부의 동헌 건물로 <장남헌(壯南軒)>이라고도 한다. 정조 19년인 1795년에 정조는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진찬례를 이 건물에서 거행 하였다. 이 때 정조는 혜경궁의 장수를 기원하며 '만년의 수를 받들어 빈다'는 뜻의 <봉수당>이라는 당호를 지어, 조윤형으로 하여금 현판을 쓰게 하였다.

이 건물은 원래 정조 18년인 1789년 8월 19일 상량하고, 9월 25일 완공 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파괴가 된 봉수당은, 1997년에 복원 되었다.

내포사에 오르다

이 봉수당 뒤로는 팔달산이다. 팔달산으로 오르는 곳에 작은 1평 남짓한 전각이 한 채 서 있다. 그저 행궁을 돌아보는 사람들도 이곳은 눈여겨보지를 않는다. 내포사(內鋪舍), 이 작은 전각은 성 밖의 위험을, 성 안에 알리는 신호를 하는 곳이다. 화성에 포루(鋪樓)가 있다면, 행궁 안에는 포사(鋪舍)가 있다.



화성 안에는 원래 서남포사, 증포사, 내포사 등 세 곳에 포사가 있었다. 이 내포사는 화성 행궁의 뒤편 높은 곳에 자리를 하고 있다. 화성 행궁 밖에서 알려주는 신호를 받아, 깃발을 흔들거나 목어를 쳐서 방어태세를 갖출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내포사 역시 일제에 의해 파괴가 되었던 것을 2006년에 복원을 하였다.

소나무 길을 조금 걸어 올라가면 만나게 되는 내포사. 행궁 쪽으로 목어를 걸어두었다. 목어를 건 반 칸은 개방이 되었으며, 그 뒤편으로 작은 온돌방이 있다. 사시사철 이곳에서 경계를 서는 병사가 지키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행궁은 화성 내에서도 가장 중요한 곳이다. 이곳에 빠른 신호를 보내야 하기 때문에, 행궁 바로 뒤편에 자리를 한 듯하다.



작은 건물 하나가 얼마나 큰일을 감당하고 있는 것일까? 내포사 위로 오르면 소나무 사이로 행궁이 한 눈에 들어온다. 화성 행궁을 돌아보는 걸음을 이 내포사로부터 시작을 한다. 2012년 1월 29일, 갑자기 날씨가 차가워졌다. 바람이 부는 날 찾아간 행궁의 뒤편 내포사를 아이폰으로 촬영을 하였다.

화성행궁은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후에 정조가 왕위에 오르면서 장헌세자라 하였고, 1899년에 의황제로 봉해졌다.) 혜경궁홍씨(사도세자가 의황제가 된 후 혜경궁홍씨도 의황후가 되었다)의 묘인 융릉에 전배하기 위하여 행행 때에 머물던 임시 처소이다.

평상시에는 부사(뒤에는 유수)가 집무하는 부아(관청)로도 활용하였다. 정조는 13년 10월에 이루어진 현륭원 천봉부터, 정조 24년 1월까지 12년간 13차례에 걸친 원행을 정기적으로 행하였다. 이때마다 정조는 화성행궁에 머물면서 여러 가지 행사를 거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정조가 승하한 뒤 순조 1년인 1801년에는, 행궁 곁에 화령전을 건립하여 정조의 진영을 봉안하였다. 그 뒤 순조, 헌종, 고종 등 역대 왕들이 화성행궁을 찾아 이곳에 머물기도 했다. 화성 행궁은 행궁과 그 북쪽에 정조 사후에 건립한 화령전으로 구분이 되어있으며, 행궁은 사적 제478호로, 화령전은 사적 제115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행궁이야기를 시작하며

사적 제478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화성행궁은, 조선조 정조 때(1794~1796년) 축조되었다. 역대 임금이 화성시 융릉(사도세자 부부무덤)과, 건릉(정조 무덤)으로 행차할 때 묵었던 곳이기도 하다. 일제에 의해 의도적으로 멸실이 되어버린 이 화성 행궁 옆에는, 화령전이라는 별궁이 있다. 화령전 역시 일제에 의해 멸실이 되었지만, 화령전의 정전인 운한각과 풍화당이 원형을 유지한 채 남아있었다.

화령전은 정조가 살아생전 지어진 것이 아니고, 1800년 6월 28일 정조가 승하하고 난 뒤에, 정조의 어진을 봉안하기 위해서 지어진 어진 봉안각이다. 수원 화성의 이야기에 이어 행궁과 화령전의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정조의 마음을 이곳에서 읽어보리라 마음을 먹는다. 바람이 불고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날 찾아간 행궁과 화령전. 먼저 화령전의 이야기부터 시작하고자 한다.




재인(才人)의 기능 전수장소로 변했던 화령전

화령전은 화성 행궁이 복원을 하기 전에는, 어진을 모신 화령전의 정전인 운한각과 풍화당이 남아있었다. 운한각은 1801년에 건립된 조선 후기의 가장 대표적인 건물이기도 하다. 화성행궁이 멸실되고 난 뒤, 이 화령전에는 재인인 무형문화재 발탈의 기능보유자였던 고 이동안옹과 그의 딸인 고 정경파가 이곳에서 제자들을 가르치고 있기도 했다.

만일 행궁의 복원이 되지 않았다면, 정조의 어진을 모셨던 화령전은 영원히 재인들의 춤과 음악소리가 끊이지 않을 뻔 했다.



운한각은 정조의 어진을 모신 전각이다. 화령전의 정전인 운한각의 앞쪽에는 악공들이 제사를 지낼 때 연주를 할 수 있는 월대가 있고, 장대석으로 쌓은 기단에는 세 곳의 계단이 놓여있다. 이 중 가운데 계단은 혼백만이 사용하는 계단이지만, 요즈음은 그저 아무나 이 계단을 오르내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만큼 우리는 역사적인 인물에 대한 경외감이 사라져 버린 것일까?

살창으로 꾸며진 외삼문의 특별함

화령전에서 또 하나 특이한 것은 바로 외삼문이다. 화령전의 운한각 앞으로는 내삼문이 있고, 그 밖으로 양편에 작은 골방을 드린 외삼문이 있다. 양편에 작은 방은 이곳을 지키는 병사들이라도 묵었던 곳인가 보다. 그런데 이 외삼문은 어떠한 전각에서도 보기가 힘든 모습으로 꾸며 놓았다.



모두 세 칸으로 되어있는 외삼문은 솟을대문이 아니다. 지붕은 모두가 - 자로 평형하게 되어있다. 그리고 문의 밑 부분은 판자문으로 막고, 그 위를 살창으로 꾸민 살문이다. 일반적인 궁이나 별궁의 문들이 안을 들여다 볼 수 없도록 폐쇄적인 방법을 쓴데 비해, 화령전의 문은 왜 이렇게 안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만들었을까?

아마 그 뜻을 모르긴 해도 평소 백성들을 사랑했던 정조대왕이, 운한각에서 지나는 백성들을 볼 수 있도록 배려를 한 것은 아니었을까? 아니면 이 외삼문 앞을 지나는 백성들이, 정조대왕의 어진을 알현하도록 한 것은 아니었을까? 행궁의 한편에 지어진 화령전은 그래서 오랜 시간 발길을 붙들고 있다.

외국에는 자신들의 문화콘텐츠를 이용해 많은 이득을 창출하고 있다. 문화콘텐츠는 무한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중국의 경우 자신들의 역사적인 문화재 등을 갖고, 그곳에서 이야기꺼리를 도출해 연극이나 영화로 제작, 많은 돈을 벌어들이고 있다고 한다.

24반 무예 시범. 화성 행궁 앞. 수원화성운영재단 자료


우리나라는 역사가 오래된 나라이다. 세계 어느 곳에 견주어도 자랑할 만한 유구한 문화와 문화재를 갖고 있다. 그러한 문화재를 이용한 문화콘텐츠의 활용은, 우리가 끊임없이 연구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어느 나라나 자신들의 문화를 갖고 있다. 아주 작은 책 한 권으로도 세계적인 명소로 발 돋음 한 곳도 있다.

화성과 화성문화재는 대단한 자원

수원 화성은 세계문화유산이다. 화성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잘 축성한 성이라고 한다. 그 성을 보러 수원을 찾는 사람들도 해마다 늘고 있다. 하지만 정작 화성의 유명세만큼 관광객들이 찾아오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늘 생각을 다시 한 번 하게 만든다. 화성을 찾아오는 외국인들이 화성일부를 돌아보고, 행궁에 들린다.

행궁에서는 주말이면 신풍루 앞에서 각종 공연이 펼쳐진다. 또한 3월부터는 매일 무예24기를 볼 수 있으며, 장용영 수위의식 등도 볼 수가 있다. 또한 이제는 전국적으로 유명해진 정조대왕의 능행차 연시도 한 몫을 거들고 있다.

그러나 이 많은 행사들이 과연 문화컨텐츠 산업으로 자리를 잡았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확언이 서질 않는다. 우리나라에 문화컨텐츠산업이 새로이 부각하기 시작한 것은 1999년부터이다. 문화산업은 2003년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연평균 21.1%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사진은 단편소설 '드라큐라'의 저자 <브램 스토커-다음 검색에서 인용한 사진)

이러한 성장률은 2001년~2002년 상반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6.1%를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문화산업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제는 각 지자체마다 자신들의 문화를 이용한 문화산업에 열을 올리고 있다. 각종 문화콘텐츠는 지역 경제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안동하회마을에서 열리는 탈 축제, 진주 연등축제, 3일간 열리는 진도군 고군면 회동리와 의신면 모도일원을 연결하는 뽕할머니 바닷길 축제, 그리고 강릉의 단오제 등이다.

이 축제들은 이제 문화콘텐츠로 자리를 확실히 잡고 있으면서, 지역 수입원에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한다. 이 축제들을 보면 모든 것이 연계가 되어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화성과 화성문화재의 볼거리는 연계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점을 감안해 더 질 좋은 상품을 창출해 내지 않는다면, 세계 최고의 문화유산을 갖고 있는 화성의 문화적 가치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흡혈귀 드라큐라는 소설 속에 나오는 이름일 뿐

‘흡혈귀 드라큐라’는 소설가 브램 스토커의 단편소설의 책 이름일 뿐이다. 하지만 그 흡혈귀 드라큐라는 수많은 소재로 발전하면서 TV드라마, 영화, 연극, 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에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제는 단순히 피를 빨아먹는 흡혈귀가 아니라, 좀 더 매력적이고 섹시한 모습으로 사람들을 만나고 있다.(좌측 사진은 토드 브라우닝 감독의 드라큐라 포스터 - 다음 검색 사진 인용)

중국 항주의 ‘송성가무쇼’는 송나라 때의 전설과 역사를 표현한 공연으로, 이제는 세계 3대 공연 중 하나로 자리를 잡고 있다. 이 쇼의 영어 제목은 ‘The Romance of the Song Dynasty’이다. 약 천 년 전 송조의 고도 항쪼우를 중심으로 한 신화와 전설, 자연 그리고 애뜻한 사랑 이야기와 치열했던 전쟁 등을 4개의 단막극으로 연출한 작품이다. <宋城千古情>이란 이 가무쇼는 그 규모의 웅장함과 아름다움이 관객을 압도한다. 450명의 출연진이 한번에 3,000명이 관람할 수 있는 대형극장에서, 일 년 내 공연하는데도 연일 좌석이 만석이라고 한다.

중국 광쩌우의 극 '송성천고정'의 포스터 - 홈페이지 사진 인용


이런 점을 볼 때 화성과 행궁을 모티브로 삼아 이야기 줄거리를 엮어 상품을 만든다고 하면, 무한한 잠재력을 갖고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제는 판에 박은 공연보다는 좀 더 질 좋은 많은 문화콘텐츠를 개발해, 지역 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주) 이 글은 '수원인터넷뉴스'에 실린 칼럼입니다

세계문화유산 화성(華城)을 걷다(10) - 동북노대와 적대

화성에는 두 곳의 노대가 있다. 동북노대는 창룡문의 북쪽 96보의 거리에 있으며, 서노대는 가장 높은 서장대 뒤편에 자리한다. 동북노대는 치 위에 벽돌을 쌓아 대를 조성하였다. 대 아래의 석축은 높이가 13척, 대의 전체 높이는 18척이다. 대의 밑에는 화강암으로 견고하게 쌓아 올렸으며, 위는 벽돌로 쌓았다. 벽돌을 쌓는 방식은 사각형이지만, 모서리를 깎아 벌의 허리처럼 만들어서 모를 죽인다.

노대의 안쪽 너비는 17척 4촌이고, 바깥쪽 너비는 19척이다. 성 밖으로 나온 부분이 25척 5촌, 2개의 현안을 뚫었고, 위에 둥근 여장을 만들었다. 3면에 각각 1타씩이고, 바깥 쪽 2모퉁이에는 둥근 타구를 굽게 접히게 설치하였는데, 모두 방안 3구멍을 뚫어 놓았으며, 타구마다 좌우에 凸모양의 여장을 끼고 있다.


가공할 위력의 쇠뇌를 날리는 동북노대

동북노대의 안쪽 두 모퉁이는 평여장으로 굽게 접었는데, 모두 높이 6척 5촌이다. 가운데에 벽돌 계단을 돌계단과 이어지게 하였고, 대 위에는 네모난 벽돌을 깔았다. 이렇게 대 안을 네모난 벽돌로 깐 이유는 다연발 활인 쇠뇌를 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쇠뇌란 걸쇠라는 발사체를 유도하는 홈과, 그것을 발사하는 방아쇠를 갖추고 있다. 하기에 쇠뇌는 일반적인 활보다 그 힘이 강하며, 살상력이 뛰어나다고 한다. 쇠뇌는 비스듬히 적을 공격할 수 있어서 앞에 여장을 놓고도 적에게 피해를 줄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그 힘이 있다 하니 그 사정거리도 일반 활에 비해 월등히 멀리 나갔다고 한다.




더욱 다연발로 연달아 활을 적에게 날려 보냄으로 해서 가공할만한 위력을 보였을 것이다. 이러한 쇠뇌를 쏘기 위한 동북노대는 창룡문과 동북공심돈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었다.

감시와 공격의 효과를 노린 적대

장안문의 북서쪽 약 62.5m 지점에 있는 북서적대. 정조 19년인 1795년에 화성 축성과 함께 축조되었다. 적대란 성곽의 중간에 약 82.6m의 간격을 두고, 성곽보다 다소 높은 대를 마련하여 화창이나 활과 화살 등을 비치해 두는 한편, 적군의 동태와 접근을 감시하는 곳으로 옛날 축성법에 따른 성곽 시설물이다.

이 적대의 규모는 높이 6.7m 성곽의 성가퀴와 가지런히 쌓되, 반은 성 밖으로 나가 있고, 반은 안으로 들어와 있다. 아래 부분의 넓이는 7.8m이고 위는 좁아져서 6.4m인데, 거기에 현안 3개가 나있다. 적대의 상부는 凸자 모양으로 성가퀴를 둘러쌓고, 밖에 3면에는 높이 1.5m에 두께 85㎝의 성첩 11개를 쌓은 다음, 총안을 뚫어 놓았다.



성문을 보호하기 위한 적대

장안문의 동쪽에는 또 하나의 적대인 북동적대가 있다. 이렇게 장안문의 양편에 적대를 마련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적대 안에는 홍이포가 놓여 있다. ‘홍이포’는 네덜란드에서 중국을 거쳐 유래된 대포이다. 그 당시 네덜란드를 ‘홍이(紅夷)’라고 불렀기 때문에, 대포의 명칭을 홍이포라고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영조 때 2문이 주조되었다.

영조 때 홍이포가 주조되었다는 사실은, 화성 축성 때에는 이미 총포가 전쟁에 사용되던 때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장안문 양편에 조성한 적대는 법에 따라 적대를 만들어 창과 활 대신 총포를 쏠 수 있도록 총안을 마련하였다.



적대는 성문과 옹성에 접근하는 적을 막기 위해 성문의 좌우에 설치한 방어 시설물이다. 포루와 치성은 성곽 밖으로 완전히 돌출된 반면, 이 적대는 시설물의 반만 외부로 돌출되고 반은 성안으로 돌출되어 있다.

장안문 양편에 적대를 조성한 까닭은?

왜 적대 두 곳을 북문인 장안문의 양편에 설치한 것일까? 북문의 명칭을 장안문이라 붙인 것은 이산 정조의 남다른 뜻이 있었다. 장안이란 도성을 의미한다. 정조는 화성을 거점으로 하여 북진정책을 펴기 위해 많은 고심을 하였을 것이다. 그런 북진정책을 하기 위해서는 북문의 역할이 남다르다.


즉 만일에 북진정책으로 인해 적과 교전이 붙을 경우, 가장 중요한 곳이 바로 북문인 장안문이 된다. 그 장안문을 보호한다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하기에 장안문의 양편에 적대를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총포를 쏠 수 있도록 조성한 두 곳의 적대. 그곳에는 정조 이산의 깊은 뜻이 숨어 있다고 보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