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답사를 하다가보면, 옛 절터를 찾아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사지(寺址)’에는 절터만 있는 곳도 있지만, 많은 문화재가 함께 있는 곳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사지를 들어가면 많게는 5 ~ 6점의 문화재를 함께 답사를 할 수가 있으니, 답사를 하는 나로서는 정말로 횡재를 한 셈이 된다.

경남 합천군 가회면 둔내리에 소재한 사적 제131호인 영암사지. 황매산의 남쪽 기슭에 있는 신라 때의 절터이다. 처음 지어진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여러 정황으로 보아 신라시대에 처음으로 지어진 절로 보인다. 고려 현종 5년인 1014년에는 ‘적연선사’가 이곳에서 83세에 입적했다는 기록이 있어, 그 이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마치 견고한 성을 연상케 하는 사적 제131호 합천 영암사지의 석축


신라시대에 세워진 고찰 터

합천 영암사지. 비가 아침부터 줄기차게 쏟아진다. 요즈음은 이상하게 멀쩡하던 날씨가 나만 움직이면 비가 온다고 한다. 그래서인가 요즘 별명이 ‘비를 몰고 다니는 사나이’로 바뀌어 버렸다. 이런 별명 농사를 짓는 분들에게는 정말로 죄송한 별명이다. 영암사지에 도착해서도 비는 멈추지를 않는다.

처음 영암사지를 보고 내가 한 행동은 탄성이었다. 이런 곳에 어떻게 이렇게 대규모 사찰을 이룩할 수가 있었을까? 그 당시는 교통도 좋지 않아, 많은 석재를 날아오기도 힘들었을 텐데. 정말로 대단한 절터였다. 지금은 복원을 많이 해 놓아 정비가 되어있긴 하지만, 아직도 한편에는 미쳐 정비를 하지 못한 듯하다.


삼층석탑이 서 있는 축대 아래편의 절터와(위) 금당지로 오르는 중앙계단 


저 곳까지 마저 복원을 마친다면, 얼마나 웅장한 절이었을까를 생각하게 만든다. 영암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홍각선사비의 조각 중에도, ‘영암사’라는 절의 이름이 보인다. 홍각선사비가 886년에 세워졌다는 점을 보면, 영암사의 연대를 짐작할 수 있다. 886년은 신라 정강왕 원년이다. 그런 점으로 보면 아마도 신라 헌강왕 이전에 지은 절이란 생각이다.

밀교의 절이었을 가능성이 있는 영암사지

황매산의 절경인 암벽을 뒤로하고 있는 영암사지는 모두 세 단으로 나뉘어져 있다. 높은 돌로 쌓은 축대는 성벽을 방불케 한다. 발굴을 통해 조사해본 결과로는 불상을 모셨던 금당과 더 위쪽에 자리한 서금당. 회랑터와 기타 건물터 등이 확인이 되어, 당시 절의 규모를 알 수 있다. 조사된 바로는 금당은 세 차례에 걸쳐 다시 지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삼층석탑이 있는 곳에서 축대 밑으로도 넓은 절터가 조성이 되어있으며, 삼층석탑 부분, 그리고 석등이 있는 곳의 금당터와, 양편에 귀부가 남아있는 곳으로 구분이 된다. 절터에는 통일신라시대에 만든 보물 제353호인 쌍사자석등과, 보물인 삼층석탑, 귀부 등 당시의 건물 받침돌과 각종 기와조각 들이 남아있다.

이곳 영암사지의 건물터는 일반 사찰 건물과 다른 몇 가지 특징이 있다. 금당이 있는 상단 축대의 중앙 돌출부 좌우에 계단이 있는 점과, 금당지 연석에 얼굴모양이 조각되어 있다는 점, 후면을 제외한 삼면에 동물상을 돋을새김한 점이다. 이런 조형의 특이함과 입지 조건, 서남쪽 건물의 구획 안에서 많은 재가 나오는 점으로 보아, 신라 말에 성행한 밀교의 수법으로 세워진 절로 보인다.


금당지 위를 돌아보다가 비에 젖은 잔디에 주저 앉고 말았다. 15cm정도의 석재 같에 돋을새김한 정교한 조각(위)과 금당지 축대 외벽에 조각한 동물상 때문이다.


금당지를 돌아보다가 그 자리에 주저앉다.

금당터, 석등을 본 후 금당터로 오른다. 중앙에 분리를 시켜 양편으로 오를 수 있도록 계단을 놓았다. 계단의 남은 석물로 보아, 화려한 조각이 되어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남은 삼면으로도 층계를 놓았다. 위로 오르니 주춧돌과 함께, 본존불을 모셨을 자리가 있다. 그 한쪽 편을 보고 놀라움에 주저앉고 말았다.

그 낮은 석축 표면에 정교한 조각들이 새겨져 있다. 아마도 그 남은 부분에도 이런 비천인인 듯한 조각이 새겨져 있었을 것이다. 비가 오는데도 다리에 힘이 풀린다. 영암사지의 옛 모습은 어떠했을까? 눈을 감고 옛 모습을 그려내 본다. 장엄한 영암사의 모습이 그려진다. 황매산을 뒤로하고, 아름답게 자리하고 있는 가람이.


아마도 이런 사지는 본 적이 없는 듯하다. 그 자리에서 한참이나 머물러 있었던 것만 같다. 영암사지, 그 장엄한 절이 언제 소실이 되어버린 것일까? 아마도 두고두고 생각이 날 것만 같은 곳이다.

우리나라의 석탑 중에서 가장 특별한 석탑을 꼽으라고 한다면, 당연히 지리산 대원사에 소재한 보물 제1112호인 ‘대원사 다층석탑’일 것이다. 경남 산청군 삼장면 유평리에 소재한 지리산 대원사는, 손꼽히는 참선도량 중 하나로서 지리산의 절경과 잘 어우러진 사찰이다. 경내 사리전 앞에 서 있는 이 다층석탑은, 2단의 기단 위에 8층의 탑신을 세운 모습으로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일부만 남아있다.

이 탑이 왜 특별한 것인가는 한 눈에 알아볼 수가 있다. 기단부 모서리 기둥 모양을 본 떠 만든 문인상이 네 귀퉁이에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웃기단부 사면에는 사천왕상을 새겨 놓았으며, 탑은 붉은 기운이 감돌고 있다. 석재나 형태 모두가 일반적인 석탑과는 다르다.


어렵게 들어가 본 다층석탑

대원사 다층석탑이 서 있는 곳에는 일반인들의 출입이 금지되어 있는 곳이다. 그 동안 두어 번 대원사를 찾았지만, 밖에서 탑의 윗부분 밖에 볼 수가 없었다. 이번에는 큰 맘 먹고 찾아갔던 차라 종무실에 허락을 받고나서야, 잠시 사진만 조용히 찍고 나오겠다는 허락을 받고 안으로 들어갈 수가 있었다.

이 탑은 646년 신라의 자장율사가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해 세운 높이 6.6m의 탑이다. 석탑 앞에 있는 배례석에는 조선조 정조 8년인 1784년에, 다시 세웠다고 새겨져 있다. 그 후 1989년 해체복원 때에 58과의 부처님 사리와, 사리를 넣는 사리장엄구편이 발견이 되었다.




상상을 초월하는 다층석탑

그저 밖에서 바라다볼 때는 붉은 색이 감도는 탑으로만 여겼다. 그러나 안으로 들어가 보니, 전체적인 모습에서 다른 석탑과는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한 마디로 상상을 초월한 모습이다. 2단의 기단부에 8층의 탑신을 올렸는데, 기단 맨 위 갑석을 일층으로 삼아 전체를 9층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석탑의 경우 짝수로 몸돌을 올리지를 않기 때문이다. 상륜부에는 탑의 높이와 비례가 되는 찰주가 솟아있다. 그 밑으로는 보주와 복발이 남아있다. 전체적인 상륜부는 보존되지 못했다고 해도, 남은 것만으로도 탑의 모습을 한결 신비롭게 만든다.



2단의 주름이 있는 지붕돌은 약간 투박한 듯하며, 각 지붕돌의 처마는 두껍고 네 귀퉁이에서 약간 들려있다. 맨 위 8층 지붕돌에는 금방이라도 맑은 소리를 내며 경내를 잠 깨울 풍탁을 달아놓았다. 현재 달려있는 풍탁은 아마도 후에 달은 것으로 보인다.

기단석 사방 모서리를 받친 문인석, 그 이전에는 무엇이?

임진왜란 때에 탑이 파괴가 되자, 정조 8년인 1784년에 다시 세웠다는 대원사 대층석탑. 8층이나 되는 탑은 높지만 전체적으로 체감비율이 뛰어나다. 조각은 웃기단부 사면에 새겨 놓은 사천왕상뿐이다. 이 탑은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는 탑에서 서광이 비치고, 향기가 경내에 가득했다고 한다. 또한 마음이 맑은 사람은 근처 연못에 비친 탑의 그림자로 탑 안의 사리를 볼 수 있었다고도 전한다.



이 탑의 기단부 모서리에 세운 문인상은 왜 세운 것일까? 이 문인상이 조선 정조 때에 탑을 새로 고쳐 세울 때, 사방 모서리에 기둥을 대신하여 세웠다고 추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 이전에 다층석탑의 사방 모서리에는 무엇이 있었던 것일까? 웃기단부 돌이 일층 몸돌보다 작은 것을 보면, 처음부터 사방에 무엇인가가 몸돌을 받치고 있었다는 뜻이다.

문인상을 사방에 세운 이유도, 그리고 그 이전에 있었던 모서리의 모습도 다 궁금하다. 외국인들까지도 이 탑의 아름다움에 반해, 출입금지 구역인데도 들어와 열심히 촬영을 한다. 우리나라의 많은 석탑 중에서도 독특한 형태를 갖고 있는 대원사 다층석탑. 처음으로 전체를 다 볼 수 있었던 다층석탑은, 오랜 시간 눈앞에 아른거릴 것만 같다.

해인사의 정 중앙에는 무엇이 자리하고 있을까? 위로는 대적광전이 자리하고 있고, 옆으로는 대광루가 자리하고 있는 중간에 서 있는 삼층석탑 한 기. 이 석탑은 신라시대 해인사를 처음 창건할 당시에 세운 것으로 전해진다.

석탑이란 원래 부처님의 사리를 모셔 놓은 곳으로, 부처님과 동일시하던 신표였다. 그러나 후에는 사리와 경전, 소물 등을 모셔두고 예경을 하는 곳으로 반전을 하게 된다. 이 해인사 중앙에 자리한 정중 삼층석탑은 불상을 모셔 놓고 있다. 9세기 신라의 전형적인 삼층석탑의 모형을 그대로 갖추고 있는 소중한 탑이다.


공간 마련을 위해 한 옆으로 비켜서다

정중앙에 있다고 해서 ‘정중 삼층석탑’ 혹은 ‘정중탑’이라고도 하지만, 이 탑은 마당의 정 가운데 있는 것이 아니다. 해인사 안마당의 중심축에서 6m 정도 동쪽으로 치우쳐 자리하고 있다. 이는 구광루를 지나 대적광전으로 오르는 사람들의 시야를 확보하고, 공간을 넓게 보이기 위해서이다.

정중삼층석탑은 신라시대의 전형적인 석탑이다. 정중삼층석탑은 2중 기단과 5단의 옥개받침을 둔 전형적인 신라의 석탑이지만, 1926년에 중수하는 과정에서 기단을 확장하여 높이를 높여놓았다. 1926년에 탑을 중수할 때 상층 기단의 석함 속에서 소불상 9구가 발견되었는데, 석탑을 중수한 후에 다시 석탑 안에 봉안하였다고 한다.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삼층석탑

이 정중 삼층석탑은 전체적으로 볼 때, 신라 석탑의 기본 형식이 잘 나타나 있다. 조각 수법 등으로 미루어 볼 때,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석탑의 높이는 6m로 큰 탑에 속하며,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3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이 있고, 상륜부에는 노반, 앙화, 구륜과 보주가 남아있다.

원래는 이 석탑은 2층 기단이었으나, 1926년 중수할 때 1층이 더해졌다고 한다. 기단부는 상층 기단 양쪽에 우주와 장주를 하나씩 모각했으며, 탑신에는 우주 이외의 별다른 조각이 없다. 소박하면서도 위엄을 잃지 않고 있는 해인사 정중 삼층석탑. 후대에 설치한 옥개석의 풍경이 달려 있어 옅은 바람에도 풍경소리가 울린다.



해인사 정중 삼층석탑. 보는 것만으로도 고맙다. 다만 한 가지 아쉬움이 있다면, 석탑을 보존하기 위해 가장자리에 들러 친 석조물이 석탑의 아름다움을 반감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역시 우리 문화재는 있는 그대로가 가장 아름답다는 것을 또 한 번 느낀다.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산1-1, 합천 해인사를 들어서다가 보면 좌측으로 탑과 비 등이 서 있다. 해인사 절 입구의 일주문에서 남쪽으로 약 50m 지점에 서 있는 이 유물 중 유난히 눈에 띠는 탑이 한 기 서 있다. ‘길상탑’이라 하는 탑이다. 이 삼층석탑은 일반적인 절의 건물 배치와는 무관하게 길가에 세워져 있다.

2단의 기단 위로 3층의 탑신을 세운 구조로 짜인 이 탑은,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석탑 양식을 갖추고 있다. 일반적으로 석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보관하는 것으로, 부처님과 동일시 여겨진다. 그러나 이 길상탑은 그런 용도로 세우진 것이 아니다. 길상탑은 도대체 무슨 이유로 이곳에 세워진 것일까?


1966년 탑에서 나온 복장물로 밝혀진 탑의 내용

길상탑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보아오던 탑과는 다르다. 신라 때의 탑이면서도 크기가 작고, 소박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현재 보물 제1242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길상탑은, 신라 진성여왕 8년인 895년에 해인사에 거주하던 훈혁스님이 조성을 했다고 한다. 벌써 이 탑을 세운지가 1,120년 가까이 된 고탑이다.

1966년 길상탑에서 나온 유물들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을 하고 있다. 탑에서는 작은 157개의 소탑과 함께 탑에 대한 기록을 적은 ‘탑지(塔誌)’가 발견이 되었는데, 모두 4장으로 된 이 탑지는 당시 신라의 대문호인 최치원이 지은 것으로 유명하다.


이 탑지의 내용을 보면 신라 진성여왕 8년인 895년에, 통일신라 후기의 혼란 속에서 절의 보물을 지키려다 희생된 스님들의 영혼을 달래기 위해 이 탑을 축조하였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한다. 탑 옆에 그 내용 중 일부라도 적었으면 좋았을 것을, 문화재를 답사하면서 가장 아쉬운 점은 바로 이렇게 탑의 외형만 소개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치원은 어떻게 길상탑의 탑지를 쓸 수 있었을까?

<삼국사기> ‘최치원 열전’에는 ‘서울(경주) 사량부(沙梁部) 사람이다. 역사 기록에 전하는 것이 없어 그 세계(世系)는 알 수 없다’라고 적고 있다. 가계를 알 수 없다는 것은 그의 가문이 진골이 아닌 육두품임을 뜻한다. 최치원은 육두품 출신으로 당시 신라의 진골제도로 인해 출세를 하지 못하게 되자, 당으로 유학을 떠난다.

12세에 당으로 건너간 최치원은 유학 6년 만인 18세의 나이로 과거에 급제를 하였다. 당에서 관직을 두루 거치던 최치원은 늘 고국인 신라로 돌아오고 싶어 했다. 동문선에 전하는 그의 시를 보면 그가 얼마나 고국을 그리워했는지 가늠이 간다.



가을바람에 오직 괴로이 읊나니
세상에 나를 알아주는 이 적구나
창밖 삼경에 비가 내리는데
등 앞의 외로운 마음 고향을 달리네.
(秋風惟苦吟/ 世路少知音/ 窓外三更雨/ 燈前萬里心)

신라로 돌아 온 최치원은 당에서 배운 정치와 행정경험을 토대로 신라를 개혁하려 했다. 그러나 진골세력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자, 은둔의 길을 택했다. 40여 살 장년의 나이로 관직에서 물러난 최치원은, 경주 남산과 청량사, 지리산 쌍계사 등을 두루 돌아다니며 자신의 뜻을 이루지 못했음을 안타까워했을 것이다.

그렇게 방랑을 하던 최치원이 합천 해인사에 들어온 것이 언제인지는 정확치가 않다. 다만 해인사에 최치원이 거닐던 ‘학사대’ 등이 있고, <삼국사기>에는 그가 해인사에서 여생을 마쳤다고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마 진성여왕 8년인 895년에는 최치원이 합천 해인사에 머물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때 마침 도적의 무리가 보물을 갈취하려고 하자, 스님들이 보물을 지키겠다고 싸우다가 목숨을 잃었다. 해인사에 머물던 최치원은 이를 보고 탑지를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최치원이 적은 탑지의 기록은, 당시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가 되고 있다.

단아한 자태를 보이는 길상탑

길상탑은 신라 탑의 전형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꼭대기의 머리 장식은 모두 다 없어진 상태로, 현재는 석재 하나를 올려놓았다. 탑신인 몸돌은 1층의 몸돌이 2, 3층보다 크며, 지붕돌의 층급받침은 모두 5단이다. 지붕돌인 옥개석의 처마는 반듯하다가, 네 귀퉁이에서 위로 치켜 올라 경쾌한 느낌을 준다.



기단은 바닥돌 위에 아래층 기단을 쌓고, 윗면에 얇은 괴임을 새긴 후 위층 기단을 얹은 형식이다. 위층의 기단은 하나의 돌로 조성을 해, 다른 탑에서는 보기 힘든 독특한 형태로 조성이 되어있다. 몸돌이 기단부보다 갑자기 좁아져 균형이 깨어진 듯하지만, 전체적으로는 무리 없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스님들의 원혼을 달래기 위해 세웠다는 해인사 길상탑. 어쩌면 그 안에서 나온 유물들이 있어 더욱 귀하게 보이는지도 모르겠다. 오늘도 길가에 서서 해인사를 드나드는 많은 사람들을 바라보면서, 그 길상탑의 탑지를 적은 최치원은 이 시대를 동경하고 있지나 않을까? 정작 주인인 스님들보다 최치원에 더 마음이 가는 것은, 학사대에 꽂힌 지팡이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경북 문경시 가은읍 원북리 485에 소재한 봉암사 경내, 대웅보전 곁에는 전각이 하나 서 있다. 최근에 새로 지은 듯한 이 전각 안에는 국보 재315호 지증대사탑비와, 보물 제137호인 지증대사탑이 자리를 하고 있다. 지증대사(824∼882)는 이 절을 창건한 승려로, 17세에 승려가 되어 헌강왕 7년인 881년에 왕사로 임명되었으나, 이를 사양하고 봉암사로 돌아와 이듬해인 882년에 입적하였다.

은 ‘지증’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탑 이름을 ‘적조’라 하도록 하였다. 탑의 명칭을 ‘지증대사 적조탑’이라 부르는 이 탑은 사리를 넣어두는 탑신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에는 이를 받쳐주는 기단부를 두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었다.



온전한 지붕돌의 섬세한 꾸밈

8각으로 꾸며진 지붕돌은 아래에 서까래를 두 겹으로 표현한, 겹처마 지붕으로 아름답다. 서까래까지 세세하게 표현을 한 지붕돌의 처마는 살짝 들려 있다. 낙수면의 각 모서리 선은 굵직하고, 끝에는 귀꽃이 알맞게 돌출되어 있다. 지붕돌 꼭대기에는 연꽃받침 위로 머리장식이 차례로 얹혀 있다. 지붕돌의 일부분이 부서져 있으나, 각 부분의 꾸밈이 아름답고 정교하며 품격이 남다르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탑신은 8각의 몸돌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을 새겨두었다. 앞뒤의 양면에는 자물쇠와 문고리가 달린 문짝 모양을 조각하였다. 아마도 이 탑이 지증대사의 사리를 보관한 탑이기 때문에 이런 장식을 한 것으로 보인다. 양 옆으로는 불교의 법을 지킨다는 사천왕을, 나머지 두 면에는 보살의 모습을 돋을새김 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조각들이 지증대사 탑의 전체에 고르게 표현이 되어있다. 전국에 수많은 사리탑을 둘러보았지만, 이처럼 화려하게 장식을 한 탑은 그리 흔치가 않다. 위서부터 아래 기단까지 고르게 조각이 되어있기 때문이다.

많은 조각이 어우러진 탑

기단은 2단으로 이루어졌으며, 평면 모양은 8각으로 꾸며졌다. 밑단에는 각 면마다 사자를 도드라지게 조각하였고, 위단을 괴는 테두리 부분을 구름무늬로 가득 채워, 금방이라도 탑이 하늘로 날아오를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 윗단에는 각 모서리마다 구름이 새겨진 기둥조각을 세우고, 사이사이에 천상의 새라는 가릉빈가를 새겨 넣었는데 그 모습이 우아하다.




가릉빈가는 불교에서의 상상의 새로, 상반신은 사람 모습이며 하반신은 새의 모습이다. 가운데받침돌의 각 면에는 여러 형태의 조각을 새겨 넣었는데, 무릎을 굽힌 천인들이 악기를 연주하고 공양을 드리고 있는 모습들이 보인다. 이 조각은 더욱 정교하고 치밀하게 꾸며져 탑의 조형이 남다름을 알 수가 있다.

정녕 사람이 만든 탑일까?

윗받침돌은 윗면에 탑신을 고이기 위한 고임대를 두었으며, 모서리마다 작고 둥근 기둥 조각을 세워 입체감 있는 난간을 표현한 것도 이 탑의 특징이다. 전체적으로 비례가 잘 어울리는 지증대사 적조탑. 안정감이 있게 조형이 된 탑의 옆에 세워진 비문의 기록으로 보아, 통일신라 헌강왕 9년인 883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인이 출입할 수 없다는 문경 봉암사. 선방에서 수행 중인 스님들께 자장을 해 드리기 위해 7월 6일에 찾아간 봉 옛 고찰. 그곳에서 만난 지증대사탑의 모습은 한참이나 눈앞에 아른거리는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