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파장동에서 길게 지지대비로 넘어가는 길. 약 5km 정도의 이 길은 예전 정조대왕이 능침에 잠들어 있는 아버지인 장헌세자(사도세자)를 만나러 다니는 길목이었다. 이 길은 정조의 지극한 효성을 느낄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수령 200여년을 넘는 소나무들이 줄을 지어 있는 노송 길. 예수가 이 땅의 고통을 짊어지러 왔다는 12월 25일, 노송지대를 걸었다.

지난 23일에 내린 많은 눈으로 인해, 소나무가 있는 곳에는 아직 눈이 녹지 않아 미끄럽다. 기온이 떨어진데다가 바람까지 분다. 손이 시려 사진을 찍기가 조금은 불편하다. 2차선 도로를 따라 양편으로 자란 소나무들은 정조 당시에 심었다고 하니, 아마 수령이 200여년은 족히 지났을 것이다.


500주의 소나무를 심은 정조

경수간 국도를 따라 5km 정도에 조성되어 있는 노송지대. 기록으로는 이곳에 500주 이상의 소나무들이 살고 있어야 한다. 이산 정조(1776~1800)가 부친인 장헌세자의 원침인 현륭원의 식목관에게, 내탕금 1,000량을 하사하여 이곳에 소나무 500주와 능수버들 40주를 심게 하였다고 했기 때문이다.

소나무들은 자라면서 솔씨를 퍼트려 새로운 종자를 키워내기 때문에, 200년이 지난 세월이라면 울창한 소나무 숲이 조성되어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현재는 대부분 고사하고 38주 정도의 노송만이 보존되어 있다. 이 노송지대는 경기도 기념물 제19호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1973년 7월 10일에 지정이 되었다.



정조의 마음은 무엇이었을까?

노송 길 끝에 있다는 지지대비.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산 47-2에 소재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4호인 지지대비는 정조의 지극한 효심을 추모하기 위해, 순조 7년인 1807년에 화성 어사 신현의 건의로 세워진 비이다. 정조는 아버지인 장헌세자의 능을 참배를 마치고 궁으로 돌아가는 길에, 늘 이곳에서 거동을 멈추고 능침이 있는 방향을 돌아보았다고 전한다.

그래서 이 비의 이름이 ‘지지대비’이다. 지지대란 정조대왕이 이곳에 오르면 행차가 느릿느릿해진다고 하여, 느릴 ‘지(遲)’자 두 개를 붙여 썼다고 한다. 정조 이산의 그런 효심이 만들어 낸 것이 바로 노송지대일 것이란 생각이다.



노송이 길을 따라 울창한 이 길. 이 길에 얽힌 사연은 도대체 무엇이었을까? 무슨 이유로 정조 이산은 자신이 부친의 능침을 돌아보는 길목에 소나무를 500주나 심었던 것일까? 아마도 소나무의 생명이 길다는 것을 감안한 것은 아니었을까? 즉 소나무처럼 생명이 강한 조선을 기대한 것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다.



정조대왕의 효심 길을 따라 걷다

소나무는 다른 나무들이 자라기 힘든 메마른 곳에서도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자란다. 또한 사철 푸르른 잎을 지니기 때문에, 강인한 인상을 준다. 늘 변함없는 푸름 때문에 대나무와 함께 송죽지절(松竹之節 : 변하지 않는 절개)이라고 한다. 이렇게 소나무를 심어 놓은 이산 정조의 마음속에서는 변하지 않는 효심과 강인한 조선, 그리고 강한 왕조를 의식한 것은 아니었을까?


바람이 차다. 500그루나 되는 소나무들이 10분의 1도 남지 않았다는 것이 마음이 아프다. 아마 제대로 관리가 되었다면, 이 일대는 정조의 효심을 가득담은 솔밭이 되었어야 할 것이다. 지금도 양편으로 늘어선 소나무 사이를 매연을 내뿜으며 달리는 차량들을 보며, 저 나무들도 언젠가는 매연으로 인해 사라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앞선다. 그것은 이산 정조의 효심이 사라지는 것일 텐데 말이다.

(주) 요즈음 블로그 돌아가는 모습이 하도 한심해, 우측에 달았던 마크를 접었습니다. 같은 블로거들에게 상처주기를 일삼는 '자칭 파워블로거'라고 하는 사람들의 작태가 우스꽝스러워, 그런 것을 달고 있다는 것이 쪽을 까기 때문입니다. 왜 그랬는가는 글을 통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수일 내로.

딴 나무를 타고 오르며 생육하는 줄사철나무

<노박덩굴과>에 속하는 상록관목인 줄사철나무는 옆으로 기면서 자란다. 줄기에서 뿌리가 내리는 이 나무는 초록색의 어린 가지는 약간 모가 져 있다. 잎은 길이가 2~5㎝, 너비가 1~2㎝로 마주나는데, 약간 두터우며 가장자리에 고르지 않은 톱니들이 있다. 꽃은 5 ~ 6월에 피고, 양성이며 취산화서에 15개 내외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 조각, 꽃잎 및 수술은 4개씩 이고, 열매는 4각상 편구형이다. 성숙하면 벌어져서 황적색 각종 피에 싸인 종자가 나타난다. 관상용으로 많이 키우며, 전라도와 경상도에서 자라고, 일본 오끼나와 및 중국에 분포한다.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에 있는 마이산의 줄사철나무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제380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진안읍 가림리에서 만난 줄사철나무

진안군 마령면의 문화재를 답사하다가, 진안읍 쪽으로 길을 들어섰다. 도로변 옆에 문화재 안내판 하나가 서 있다. 지나치려다가 무엇인가 궁금하여 차를 세우고 다가가 보았다. 전라북도 기념물 제95호로 지정이 된 줄사철나무가 있다는 것이다. 이 줄사철나무는 마이산 줄사철나무와 동종으로 가림리 은천마을 앞 길 건너 도로변에서, 다른 나무에 줄기를 뻗어 자라고 있다.




가림리 줄사철나무는 모두 세 그루가 자라고 있다. 팽나무와 느티나무를 타고 오르며 자라고 있는 이 나무들은 높이가 모두 5m 내외이다. 9월 7일 찾아간 가림리 줄사철나무. 원래는 네그루가 자라고 있었다고 한다. 그중 거북바위 등을 타고 오르던 나무는 고사하였다고 한다. 이 마을은 숲이 우거져 있으며, 이 숲을 ‘은천마을숲’이라고 부르고 있다.

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어 붙여진 이름

이 마을은 예전에는 마을 앞을 흐르는 냇물이 땅 속으로 스며들어 흐르기 때문에 ‘은(隱)’자를 써서 ‘은천(隱川)’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마을의 숲은 예전 은천이 흐르던 자리에 조성되어 있다. 이 은천마을 숲은 느티나무 21주, 팽나무 12주, 은행나무 8주, 줄사철나무 3주, 개서어나무 2주 등이 숲을 이루고 있다.



이 중에서 3주의 줄사철나무는 전라북도 기념물 제95호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나무 주변에는 철책을 둘러 보호를 하고 있다. 나무는 길가에 한 주가 있고, 아래쪽 숲속에 두 그루가 서 있다. 나무들은 모두 딴 나무줄기에 기생하여 위로 오르고 있으며, 독특한 형태로 생육을 하고 있다.

줄사철나무는 겨울에 진가를 보여

은천마을 줄사철나무의 진가는 겨울철에 볼 수 있다고 한다. 그것은 줄사철나무가 타고 오르는 나무들이 팽나무와 느티나무이기 때문에, 가을이 되면 모두 잎이 떨어져 버린다. 그리고 나면 줄사철나무의 푸른 잎이 그대로 남아있어, 제 모습을 확연히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이다.



나무의 줄기를 따라 오르며 많은 가지를 뻗는 줄사철나무. 우연히 길을 가다가 만난 문화재 안내판 하나가 이런 귀한 자료를 만나게 해준다. 다만 한 가지 흠이라면 진안을 답사하면서 큰길가에 문화재 안내판이 제대로 서 있지를 않아, 문화재를 찾을 때마다 곤욕을 치렀다는 것이다. 언제나 문화재를 찾는데 시간을 허비하지 않으려는지. 이번에도 반 이상을 길에서 허비를 하고 말았다.

'사방지나무',  말로만 들었다. 나무 줄기 안이 비어있고, 그 속에 또 다른 줄기가 자란다는 나무이다. 사방지나무의 실체는 정읍에 존재하고 있었다. 전북 정읍시 흑암동 에 소재한 전라북도 기념물 제74호로 지정된 ‘정충사지(旌忠祠址)’. 정충사지는 조선 인조 10년인 1632년에 세운 서원이다. 그 후 조선조 효종 8년인 1657년에는 임금이 직접 글씨를 쓴 액자를 하사 받은 사액서원이기도 하다.

고종 5년인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해체되었다가, 1964년 지방 유림들에 의해 새로 지어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정충사에는 임진왜란 때 전사한 동래부사 천곡 송상현을 비롯하여, 무장공 신호, 장무공 김준의 제사를 모시고 있다.


한 뿌리에서 두 갈래로 갈라진 나무는 다시 하나로 붙어서 자라고 있다


정충사 입구에 늘어선 이상한 나무들

지난 9월 4일, 정읍과 고창을 답사하면서 들린 정충사지. 마을 안으로 들어가니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겠다. 갑자기 갈래 길이 나오고 이정표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문화재를 찾아다니다가 보면, 이런 일이 허다하다. 길이 갈라지면 작은 안내판 하나라도 붙여 놓으면, 모처럼 문화재를 찾아 나선 길이 수월하련만.

마침 마을 분이 계셔 정충사를 물어 찾아갈 수가 있었다. 그런데 마을 작은 냇가에 큰 느티나무들이 서너 그루가 이상하다. 나무의 속이 비어버린 것에서부터, 뿌리는 하나인데 줄기가 갈라졌다가 다시 붙었다. 어째 이런 나무가 있을까? 연리지도 아니고, 이것을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


속이 비어있는 나무는 그 안에 또 다른 표피를 가진 줄기가 자라고 있었다. 나무 안에 또 다른 나무라니. 그리고 그 위편으로 여성의 생식기와 같은 형태가 보인다. 사방지라 불리는 이상한 형태의 나무는 그렇게 나무가 속이 빈 안에 또 다른 줄기로 자라고 있다. 


거기다가 속이 텅 비어있다. 그런데 그 빈속에서 또 다른 줄기가 자라고 있다. 어떻게 이런 형태로 나무가 자랄 수가 있을까? 나무는 생육상태도 나쁜 편이 아니다. 수령은 600년 정도가 되었다고 하는 이 나무는, 어르신들이 쉴 수 있는 그늘까지 만들고 있다.

“그 나무 사방지여”

혹 ‘사방지’라는 조선조의 인물을 들어보았는지 모르겠다. 이 사방지에 대한 설은 분분하다. 사방지가 궁에 있었다는 이야기도 전하고 있는데, 사방지는 조선 성종 때 실제 인물이라는 것이다. 사방지는 외형적으로는 분명한 여자인데, 태어날 때부터 기형으로 태어났다는 것이다. 즉 낮에는 여성인데, 밤이 되면 남성이 된다는 것.


수령이 600년 정도라고 마을 어르신들이 이야기를 하는 이 나무. 정말로 '사방지'가 이곳에 나무로 환생을 한 것일까?


설이 정확한지는 모르겠지만 한 몸에 남녀의 성기를 함께 갖고 있는 사람이었다고 한다. 그러다보니 자연 밤이 되면 남자노릇을 할 수밖에. 그래서 문제가 생겼다는 이야기이다. 그런데 이 나무를 보고 있는데, 한 어르신이 말씀을 하신다.

“그 나무 사방지여”
“예, 사방지라뇨?”
“그 나무를 잘 봐 줄기가 터진 안에 무엇이 숨어있나”“
“여기 말인가요?”
“그려, 그것이 무엇 같은가?”
“글쎄요....”


말은 그렇게 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니 영락없는 사방지이다. 한 뿌리에서 두 가지로 갈라져 나온 나무, 그리고 다시 하나로 합해졌는데 속은 비었다. 그리고 그 빈 속 안에 또 다른 줄기가 있다. 줄기의 표피까지 완연하다. 그것이 바로 숨은 남성이라는 것이다. 겉으로는 여성의 생식기와 같은 모습이 보인다. 어르신 말씀처럼 사방지라는 표현이 딱일 듯하다. 괜히 오래 이 나무를 들여다보는 것도 멋쩍어 보인다.

문화재답사를 하다가 우연히 만난 이상한 나무 한 그루. 가끔은 이런 재미난 일이 있어 답사 길이 즐겁다. 무료하기만한 답사가 주는 또 다른 재미가, 바로 어르신들께 듣는 희한한 이야기 한토막이라니.

자연의 힘, 그 힘의 무한함은 도대체 어디까지일까? 우리는 자연을 함부로 대했다가 수많은 아픔을 당한 기억이 있다. 개발이라는 명복으로 마구 파헤쳐진 산야가 노해, 인간들을 무참하게 만든 것이 한 두 번이 아니다. 그런데도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인간들은, 늘 자연으로부터 수많은 재해를 당해왔다.

과연 자연은 우리에게 무엇을 주었는가? 그런 질문은 이제는 참으로 허황된 것이다. 우리는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고 있으며, 자연에게서 수많은 혜택을 보고 살아왔기 때문이다. 인간이 살아갈 수 있는 이유 역시, 자연이 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다.


잎을 무성하게 달고 있는 느티나무 한 그루. 겉으로 보기에는 아무렇지도 않다.

놀라운 나무 한 그루를 만나다

답사를 하다가 보면 가끔은 재미있는 것을 보기도 하다. 그것을 재미로 보기에는 어떤 두려움을 느낄 때도 있다. 전라북도 정읍시 흑암동에는 전라북도 기념물 제74호인 ‘정충사지’가 있다. 정충사는 나라를 위해 목숨을 버린 충신들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에서 전사한 충신 송상현의 위패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목숨을 잃은 신호와 김준의 위패도 모시고 있다.

이 정충사지를 찾아가는 길에 개천가에 서 있는 몇 그루의 느티나무를 만났다. 그런데 그 중 한 나무를 보는 순간, 소름이 끼쳤다고 표현을 하는 것이 정확할 것 같다. 무성한 잎을 달고 그늘을 만들어 주고 있는 나무 한 그루. 아마 어림잡아도 그 수령이 수백 년은 지났을 것 같다.


잎을 무성하게 달고 있는 가지와 밑동

이 나무를 지나치다가 그만 발길을 멈추고 말았다. 그 나무를 보는 순간, 어떻게 이 나무가 살아서 잎을 무성하게 달고 있는 것인지 이해가 가질 않아서이다. 도저히 불가능 할 것만 같은 모습을 보면서, 자연이란 우리 인간의 머릿속에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을 한다. 한 마디로 자연의 놀라운 생명력을 그 나무에게서 본 것이다.



속이 텅 비어버린 느티나무. 위로 난 구멍으로 하늘이 올려다 보인다.

속이 비어버린 느티나무, 그래도 잎을 무성하게 달려

도대체 이 나무가 어떻게 살아있을 수가 있는 것일까? 한편은 껍질이 없고, 속은 텅 비어버렸다. 그리고 여기저기 난 구멍으로 밖과 하늘이 보인다. 작은 구멍으로는 옆에 있는 집의 담벼락이 다 들여다보인다.

어느 정도라면 그래도 이해를 할 만 하다. 그러나 이건 아예 속이 텅 비어버리고, 그 비어버린 속에는 거미들이 여기저기 줄을 치고, 곤충이 걸려들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아예 속이 비어있는 이 나무. 그 위로 올라가면 정충사 앞에 수령 600년의 느티나무 한 그루가 보호수로 지정이 되어있다. 마을 어르신 말씀으로는 이 나무도 그 정도 나이가 되었을 것이란다.


표피에 난 구멍으로 훤히 들여다 보인다.

이 나무의 수령이 얼마나 되었는지, 그리고 언제부터 이렇게 되었는지는 모르겠다. 마을 분도 예전부터 그런 모습이었다고 하신다. 그런데도 잎을 무성하게 달고 있는 느티나무 한 그루. 이런 자연의 끈질긴 생명력을 보면서, 우리는 과연 무엇을 느낄 수가 있을까? 그것은 바로 자연과 인간이 하나가 되지 않으면, 이런 생명력을 얻지 못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듯하다.

속이 비어비린 채로 살아가고 있는 흑암동의 속이 빈 느티나무 한 그루, 그 나무에게서 자연의 위대함을 본다. 그리고 인간의 오만을 함께 본다.

수령 450년의 매화나무. 수령이 오래되었다고 해서 명성을 얻은 것이 아니고, 남명 조식 선생이 심은 나무라 해서 더 유명하다. ‘남명매(南冥梅)’ 조식(1501 ~ 1572) 선생이 심었다고 해서, 사람들은 이 나무를 남명매라고 부른다. 산청의 오래 묵은 매화나무 두 그루 중 하나인 이 나무는, 선생이 61세에 심었다고 전한다.

선생은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이자, 영남학파의 거두이다. 본관은 창녕으로 자는 건중(楗仲), 호는 남명(南冥)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에만 열중한 선생은 천문, 역학, 지리, 그림, 의약, 군사 등에 재주가 뛰어났다. 한 마디로 팔방미인인 선생은 명종과 선조 대에 중앙과 지방의 여러 관직을 제안 받았다. 그러나 한 번도 벼슬에 나가지 않았으며, 오직 제자를 기르는 데만 힘썼다.


비를 맞으며 산천재를 찾아가다

남명매는 조식 선생이 61세에 지리산 천왕봉이 바라다 보이는 곳에 ‘산천재’를 짓고, 그 앞에 기념으로 심은 나무라고 한다. 8월 13일, 산천재에 도착했을 때는 장맛비처럼 비가 내리 쏟고 있었다. 우산을 들었다고 해도 바람까지 불어, 카메라가 비에 젖을까 봐 행동이 부자유스럽다. 그래도 그냥 지나칠 수는 없는 일. 남명매를 보러 안으로 들어갔다.

스스로 ‘산림처사’라고 자처한 선생은 천왕봉이 바라다 보이는 이곳에 산천재를 지었다. 61세에 이 집을 짓고 명이 다할 때까지 이곳에서 제자들을 양성한 것이다. 선생의 제자들은 늘 선생이 천왕봉과 같은 기개를 가져야 한다고 교육을 시켰다는 것이다.

그런 선생의 교육 때문에 제자들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곳에 모여 나라를 구할 것을 다짐하고 의병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런 연유로 선생은 우리의 역사상 가장 성공을 거둔 교육자로 평가받고 있기도 하다.


힘든 모습이 보이지만, 그래도 당당한 매화나무

선생이 남은여생을 보냈다는 산천재. 그 앞마당에 심은 매화나무는 10여 년 동안 선생과 함께 생활을 했다.

朱點小梅下 작은 매화 아래서 책에 붉은 점을 찍다가
高聲讀帝堯 큰 소리로 요전을 읽는다.
窓明星斗近 북두성이 낮아지니 창이 밝고
江闊水雲遙 강물 넓은데 아련히 구름 떠 있네.

아마도 이 시를 지을 때는 매화나무가 그리 크지 않았을 것이다. 매화를 심은 지 10여 년 후에 선생이 세상을 떠났으니. 그렇게 선생과 함께 한 매화나무는, 선생이 세상을 떠나고 난 뒤 450년 세월을 묵묵히 천왕봉을 바라보며 산천재를 지키고 있다.



비록 외과수술을 한 흔적이 보여 바라보는 이의 마음을 아프게 하지만, 그래도 그 오랜 세월 선생의 기개처럼 당당히 서 있는 나무이다. 매화나무를 보고 난 후 옆 전각의 마루에 걸터앉는다. 비는 좀처럼 그칠 기미를 보이지 않는데, 매화나무 잎 하나가 빗방울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떨어진다.

그 오랜 세월, 선생의 마음을 닮아 산 남명매. 앞으로 얼마나 더 선생의 이야기를 세상에 전할 것인지. 그저 세세연년 그렇게 당당한 모습으로 그 자리를 지켜주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