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돌과 지붕돌 사이에 또 돌이...
도선국사가 처음으로 절을 지었다는 만복사지. 이 만복사지 안으로 들어가면 동편에 높다랗게 서 있는 5층 석탑이 보인다. 그 옆으로는 석불을 모신 전각이 있어, 5층 석탑을 찾기가 수월하다. 보물 제30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만복사지 5층 석탑은 아무리 둘러보아도 일반 석탑과는 다른 형태로 꾸며져 있다. 모르는 사람들이 보기에는 여기저기 널린 석탑의 부재들을 한 곳에 쌓아 놓은 듯하기도 하다.
원래 만복사에는 절터 중앙에 목탑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979년부터 1985년까지 7차에 걸친 발굴조사 때 많은 건물지와 다수의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5층 석탑은 현재 4층까지만 남아있고, 5층 이상은 모두 없어진 상태이다.
몸돌을 괴기 위한 네모난 돌
탑의 받침대 역할을 하고 있는 하층 기단부는 2단으로 얇게 조성을 했으며, 그 위에 우주를 새긴 커다란 돌을 올린 상층 기단부가 자리하고 있다. 몸돌은 1층이 대단히 높고, 2층 이상은 약 3분의 1로 크기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인 우주를 조각하였고, 지붕돌은 밑면 전체가 위로 들려 있다. 이러한 형태는 마치 목조건축의 지붕을 보고 있는 듯하다.
아무리 보아도 일반적인 석탑과는 무엇인가 다르다. 석탑을 몇 번을 돌면서 무엇이 이 석탑의 특이한 점인가를 찾아본다. 바로 저것 때문이다. 각 지붕돌 위에 몸돌을 괴기 위한 별도의 네모난 돌이 하나씩 끼워져 있는 것이 보인다. 그 네모난 돌로 인해 석탑의 모형이 일반적인 5층 석탑과는 판이한 모습으로 서 있다. 이런 형태는 당대 석탑의 특징을 보여주는 한 예라고 하지만, 쉽게 찾아볼 수가 없다.
몸돌 삼층에 특이한 형태의 감실이 있다. 만복사지 5층 석탑은 고려 문종 때인 11세기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한다. 1968년 이 탑을 보수하다가, 탑신의 1층 몸돌에서 사리장치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 5층 석탑의 또 다른 특징은 3층 몸돌의 사방에 작은 소물을 모셔놓았던 감실이 있다는 점이다. 감실의 경우 이렇게 탑의 상부에 두는 경우가 잦지 않아, 이러한 감실 하나에서도 만복사지 5층 석탑의 특이함을 엿볼 수가 있다.
이 감실은 그다지 크지가 않다. 3층의 몸돌 자체가 그리 큰 돌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 3층 몸돌의 사방에 겨우 소불 하나가 들어갈 만한 감실을 내었다는 점이 특이하다. 아마 이곳에서 사리함이 발견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사리함을 지키기 위한 소불을 모시느라 조성한 감실로 보인다.
많은 문화재들. 그 나름의 특징과 멋을 자랑하는 문화재야 말로, 우리가 이 시대에 온전히 보존해야 할 문화자산이다. 만덕사지를 찾아 또 하나의 특이한 보물을 발견했다는 것과, 조금은 그 특징에 대해 알았다는 것에 희열을 느낀다. 그래서 땀을 흘리며 걷는 답사 길은, 늘 기대에 차 있는가 보다.
보물 300호 화엄사 사자탑은 무엇에 쓰였을까?
당시 화엄사 일주문 밖에는 큰 창고를 짓고, 경상도와 잔라도에서 실어오는 곡물을 저장했다고 한다. 화엄사는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7년 만에 여러 건물들을 다시 세웠다. 그 뒤로도 여러 번의 보수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많은 전각들이 중창되었다.
각황전 한편에 자리한 사자탑
화엄사 각황전 앞에 난 계단을 오르면 우측에 탑이 서 있다. 보물 제300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이 탑은 <화엄사 사자탑>이다.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의 조성한 독특한 석탑으로, 네 마리의 사자가 길쭉하고 네모난 돌을 이고 있는 모습이다. 이런 형태를 사찰에서는 '노주'라고 부르는데, 무엇으로 사용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가 없다. 일설에는 불사리를 모셔놓은 것이라 하기도 하고, 불가의 공양대로 쓰였을 것이라는 추측만 있을 뿐이다.
기단은 이층으로 꾸며졌으며, 위층 기단을 네 마리의 사자가 머리에 받침돌을 이고 그 위에 비를 받치고 있다. 그 모습은 각황전 뒤 효대에 있는 국보 제35호인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을 모방했으니, 조각수법 등은 이에 미치지 못한다. 조성시기도 사사자삼층석탑보다 뒤인 9세기경에 만든 것으로 보인다.
비의 형태로 만들어진 탑이 독특해
탑을 받치는 역할을 하는 기단은 2단이다. 아래층 기단은 문양이 없는 단순한 석재를 이용해 꾸며 놓았다. 소박하면서도 꾸밈이 없는 모습은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로 넘어갈 당시의 석조물인 듯 하다. 이 탑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인 위층 기단의 각 모서리에 사자상을 놓은 모습이다. 사자들은 비스듬히 밖을 바라다보고 있으며, 그 표정이 각각 다르다.
네 마리의 사자들은 연꽃받침 위에 앉아, 연꽃이 조각된 돌을 머리에 이고 있다. 아마 불교적인 형태를 강조하기 위한 조각품으로 보인다. 이런 조각을 보아 이 사자탑ㅁ이 사리탑이었을 것이란 조심스런 추정을 해본다. 네 마리의 사자가 몸돌의 받침돌을 이고 있는데, 탑신에는 직육면체 모양의 몸돌이 있다. 몸돌의 각 면에는 직사각형의 테두리를 둘렀으며, 그 안에 신장상을 조각하였다. 몸돌 위에는 1장의 판돌이 있는데, 밑면에는 연꽃이 새겨져 있고 윗면에는 반구형의 돌이 솟아 있다.
몸돌에는 네모나게 판 후 그 안에 신장상을 조각하였다.
무엇에 쓰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는 화엄사 사자탑. 아마 당시에는 소중한 절의 기물로 여겼을 것이란 생각이다. 수많은 불교 유물이 전하지만, 아직은 지식이 모두에 미치지 못함이 안타깝다. 사자탑을 돌아보면서도 여러가지 생각을 해보지만, 짧기만한 지식을 어찌하랴. 해가 떨어지는 시간에 더 지체를 못하고, 아쉬움으로 뒤만 연신 돌아본다.
‘효’의 상징인 화엄사 효대 사사자 삼충석탑
얼마나 어머니의 정성에 감복을 하였으면, 직접 탑을 조성하고 스스로 어머니에게 공양을 올리는 자신의 모습을 조성하였을까? 화엄사 각황전 뒤편에 있는 ‘효대’는 어머니에게 고마움을 표현하기 위한 연기조사의 사사자 삼층석탑으로 인해 효를 상징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국보 제35호인 이 사사자 삼층석탑은 신라 진흥왕 5년인 544년에 연기조사가 화엄사에 조성한 것으로 탑 안에는 부처님의 진신사리 72과를 봉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사자 삼충석탑은 주변이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화엄사 서북쪽의 제일 높은 대지에 조성을 했으며 이 석탑이 있는 효대에는 연기조사가 어머니에게 공양을 올리는 형상이라는 석등과 마주보고 서 있다. 석탑은 2단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이다.
신라 최고의 걸작품 3층 석탑
2단으로 꾸며진 기단의 아래층에는 각 면에는 천인상을 돋을 새김하였다. 한 면에 3구씩 모두 12구의 천인상이 새겨져 있으며, 춤을 추고 악기를 연주하며, 공양물을 들고 있다. 이 기단석만으로도 뛰어난 걸작품이다. 그 위에는 사방에 암수 사자가 입을 벌리고 밖을 향해 앉아있다. 그리고 그 안에는 사자들에 둘러싸인 스님의 입상이 서 있다. 이 스님상이 연기조사의 어머니를 형용한 것이라고 한다.
그 앞에 석등을 머리에 이고 한 무릎을 세워 앉아있는 공양상은, 손이 공양물을 받쳐 들고 있다. 연기조사 스스로가 어머니를 위한 공양을 올리는 것을 상징하였다고 하며, 공양물은 차로 어머니에게 향한 연기조사의 효심을 알아볼 수 있는 조각상이다. 이 두 가지의 조각품을 합해 사사자 삼층석탐이라 하며, 국보 제20호인 불국사 다보탑과 더불어 우리나라 이형석탑의 쌍벽을 이룬다고 한다.
조각예술의 극치라는 사사자 삼층석탑의 기단부
3층의 몸돌에도 뛰어난 조각이
3층으로 구성된 몸돌은 1층 몸돌에 문짝 모양을 본떠 새기고, 양 옆으로 인왕상, 사천왕상, 보살상을 조각했다. 사면에 각각 조각을 한 상들도 뛰어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붕돌은 5단씩의 받침으로 평평하게 했으며, 처마는 네 귀퉁이만 살짝 치켜올려 여유로움을 보인다.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의 받침돌인 노반과 엎어놓은 그릇과 같은 복발만이 남아있다.
이 사사자 삼층석탑은 각 부분의 조각이 뛰어나며, 몸돌의 위에 올린 지붕돌에서 경쾌한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어, 통일신라 전성기인 8세기 중엽에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화엄사를 찾아갈 때마다 오르는 효대. 이곳을 찾을 때마다 지난 날 어머니께 효도를 하지 못한 것이 마음이 아프다. 그래서 이 효대를 찾아 무릎을 꿇을 때마다 눈물이 흐른다. 차라리 이 잎 석등 안에 쪼그리고 앉은 연기조사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삼층석탑의 석탑부와(위) 석탑 앞 석등의 공양상(가운데) 공양상은 연기조사 본인이라고 전한다(아래)
전국을 다니면서 수 없이 많은 석조물들을 보아왔지만, 이 효대에서 만나는 사사자 삼층석탑은 늘 고개를 조아리게 만든다. 공양상인 석등 뒤편에 마련한 자리에서 고개를 떨어트리고 일어날 수 없는 것은, 부끄럽기 때문만은 아니다. 어떻게 이런 대단한 조각품을 조성할 수가 있었을까 하는 생각 때문이다.
그 옛날 손으로 일일이 돌을 다듬어 만든 사사자 삼충석탑. 기단부에 돋을 새김한 비천상은 금방이라도 하늘로 날아오를 것만 같고, 1층 몸돌에 새겨진 사천왕상들은 바로 문을 열고 박으로 뛰쳐나올 것만 같다. 넋을 뺐기고 보고 있는데 저녁예불을 알리는 종소리가 들린다. 그리고 보니 벌써 시간이 꽤 지났다. 동행한 일행의 재촉하는 소리에 석탑을 뒤로하고 떠나면서도, 마음은 그곳에 두었나보다. 조금이라도 그 모습을 더 보려는 안타까움에.
도둑을 막아내는 조각들이 있는 화엄사 서오층석탑
오층석탑 한 기에 12지신상과 사천왕상, 인왕상, 팔부신상이 조각되어 있다. 탑에 조각된 수많은 조각들은 모두 뛰어나다. 보물 제133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구례 화엄사 경내 보제루 앞에 서있는 화엄사 서오층석탑. 통일신라 때의 탑으로 1997년 여름에 탑을 보수 할 때, 부처님 진신사리 22점과 수저 2점, 칼 3점, 금동제방울 1점, 수정염주 1점. 소탑 3점, 금속편 31점등 총 16종 72점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서 오층석탑은 2층 기단 위에 5층의 방형탑신을 올렸으며, 기단과 탑신부에 조각으로 장식이 가득하다. 서 오층석탑은 2층의 기단위에 5층의 몸돌을 올렸으며, 여러 장의 돌로 지대석을 놓고, 하대석과 중대석을 하나의 돌로 구성했다. 지대석의 각 면 안상 내에는 12지신상을 우수한 솜씨로 조각하였다. 이러한 조각기법은 화엄사 서 오층석탑이 보이는 특징이다.
몸돌에 돋을새김한 우수한 조각기법
기단석 위층에는 각 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본뜬 우주와 탱주를 새겼으며, 한 면에 두 명씩의 8부신중을 조각하였다. 팔부신중은 금방이라도 탑을 뛰쳐나올 만큼 역동적이다. 이 서 오층석탑의 탑신인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이며, 1층 몸돌의 4면에는 사천왕상을 조각 배치하였다. 탑신의 지붕돌은 각 층마다 밑면에 5단의 받침을 갖추고, 처마 밑은 수평이 되게 하였다. 탑의 꼭대기에 있는 머리장식은, 2층의 단이 있는 받침 위로 연꽃봉오리 모양의 장식인 보주가 놓여 있다.
기단석에는 12지신사이 새겨져 있다.
이 서 오층석탑에 이렇게 많은 12지신 상이나 팔부중상, 그리고 사천왕상을 조각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탑의 복원 시에 발견이 된 사리와 관계가 있을 것이다. 즉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탑 안에 두었기 때문에, 그 사리를 지키기 위한 수호적 기능을 갖고 있는 사천왕상 등을 조각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인가 이 탑 안에 복장물은 하나도 도난을 당하지 않은 채, 그대로 발견이 되었다.
이 탑은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경에 조성한 것으로 보는데, 그 이유는 조각상을 각 부분에 새긴 점 등이다. 또한 지붕의 조형이 보다 유연한 느낌을 주고 있고, 신라 말에서 고려 시대에 보이는 기단석에 안상이 보인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석탑의 남쪽으로는 안상과 연꽃이 조각된 배례석이 놓여 있다. 이 배례석 하나만으로도 훌륭한 미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한 면에 두 명씩의 팔부중상이 새겨진 석탑의 몸돌
한나절 만에 돌아본 화엄사
화엄사에는 국보와 보물들이 많다. 초가을로 접어들었다고 하지만, 한 낮의 날씨는 아직 따갑다. 구례에 볼일이 있어 길을 나섰다가(2010, 9, 16. 오후 3시 경) 화엄사를 들렸다. 그동안 수차례 다녀 온 화엄사다. 그러나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조금은 문화재에 대한 눈을 떴다고 할까? 지금까지 보아오던 문화재와는 또 다른 모습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층 몸돌에 새겨진 사천왕상은 금방이라도 뛰쳐나올 듯 힘이 있어 보인다.
화엄사 중심영역에는 국보 제67호 각황전을 비롯하여, 보물 제299호 대웅전, 국보 제12호 각황전 앞 석등, 보물 300호 사자탑 등이 있다. 그리고 보물 제132, 133호인 동, 서 오층석탑이 자리한다. 각황전 뒤 계단으로 오르면 국보인 사사자 삼층석탑이 있다. 이렇게 많은 문화재가 자리한 화엄사. 그 중에서 제일먼저 눈에 띤 것이 바로 서 오층석탑이다.
시간이 없어 이리 뛰고 저리 뛰며 돌아본 화엄사. 서 오층석탑 하나만으로도 한 시간은 족히 걸릴 듯하다. 그저 바람처럼 지나친 석탑이 못내 아쉬워지는데, 걸음을 재촉하는 소리가 그렇게 야박할 수가 없다. 시간이 되면 다시 한 번 찾아가, 하루 종일 그 문화재들을 붙들고 깊은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
국보, 왕궁리 5층 석탑은 정말 국보다웠다.
전북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산 80-1번지는 사적 제408호는 왕궁리 유적이다. 이곳은 ‘왕궁리성지’라고도 부른다. 이렇게 부르는 것은 이곳이 마한의 도읍지설, 백제 무왕의 천도설, 혹은 별도설 등이 이곳이라는 학설 때문이다. 또한 이곳은 안승의 보덕국설과 후백제 견훤의 도읍설이 전해지는 유적이기도 하다.
한창 발굴이 이루어지고 있는 왕궁리 유적지를 찾았다. 마침 공사를 쉬는 날이라 안내인의 안내를 받아 안으로 들어갔다. 지금은 유적지를 한창 발굴하고 있는 중인데, 성이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여기저기 표시를 한 곳은 아마 건물터인 듯하다. 유적지 앞쪽에 우뚝 서 있는 국보 289호인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백제석탑의 양식을 충실히 따른 통일신라 말, 또는 고려 초기의 석탑으로 보인다.
안정감 있는 형태의 왕궁리 석탑
오층석탑의 정확한 유래는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탑 주변에서 「관궁사」,「대궁」등의 명문기와가 발견이 된 점으로 미루어, 궁성과 관련된 사찰이 있지는 않았을까 추정하고 있다. 왕궁리 석탑은 발굴, 복원 전까지만 해도 기단부가 땅속에 파묻혀, 토단을 쌓고 그 위에 탑을 세운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1965년 11월∼1966년 5월의 해체 수리 때에 밑에 석물로 된 가단부가 발견이 되어 원형을 복원되었다.
발굴중인 사적 제408호 익산 왕궁리 유적
멀리서 보아도 왕궁리 오층석탑은 균형이 잘 잡혀있다. 돌 하나하나를 맞추어 쌓아올린 것이 빈틈이 보이지 않는다. 기단부의 네 모서리에 8각의 부등변 고주형 주춧돌이 놓고, 우주석 사이에는 길고 큰 돌을 몇 단 쌓아 올렸다. 탑은 옥신과·옥개석이 모두 몇 장의 돌로 구성되어 있다. 1층 몸돌은 우주가 새겨진 기둥모양의 우주석과, 탱주가 새겨진 중간석으로 되어 8개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 1층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몸돌은 작아지고, 옥개석도 그에 따라 넓이가 줄어들고 있다. 이렇게 5층까지 올라가면서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옥개석은 매우 넓은데, 받침과 지붕이 각각 딴 돌로 되어 있다. 받침은 각 층 3단으로 4개씩의 돌로 짜여 있으며, 등분을 하지는 않았다. 옥개석은 1층부터 3층까지는 8개의 돌로 짜여져 있으며, 4층과·5층은 4개의 돌로 구성하였다. 추녀는 얇고 추녀 밑은 수평이며, 끝부분에는 종을 매달았던 풍령공이 뚫려있다.
발굴 중이기 때문에 출입을 제한하는 줄을 쳐놓아 가까이는 갈 수가 없다. 뒷면과 탑 주위를 돌아보고 싶었으나, 금지를 시킨 줄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었다.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 쳐놓은 줄을 스스로 넘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탑이 높아 상륜부가 가려 잘 보이지는 않지만, 상륜부에는 노반과 부발, 앙화, 그리고 부서진 보륜 1개가 남아 있다.
왕궁리 석탑 국보라서 다르다. 그 아름다움이
전국을 다니면서 수많은 탑을 보아왔지만, 왕궁리 오층석탑 앞에서는 순간 숨이 막히는 듯하다. 어떻게 저렇게 안정감이 있게 조형물을 만들 수가 있었을까? 마치 거대한 틀에 부어 만든 것만 같은 정교함이 놀랍다. 국보로 지정이 된다는 것은 쉽지가 않다. 그렇다고 국보로 지정된 여느 석탑처럼 화려한 문양이 새겨진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엇인가 말로는 다 표현하기 어려운 고귀한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다.
마치 후원 한편에 꼭꼭 숨겨졌다가, 발을 걷고 버선코를 살며시 들고 나타나는 여인네와 같은 아름다움이 보인다. 그리고 그 단아한 자태는 범접할 수 없는 위엄이 있다. 한참이나 바라다보다가 ‘가자’는 일행의 목소리에 놀란다. 떨어지지 않는 발길을 억지로 끌며 돌아서지만, 그 단아한 아름다움은 한참이나 남아있을 것만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