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천송리에 소재한 신륵사. 경기도내의 절 중에서는 많은 문화재를 소유하고 있는 고찰이다. 이 신륵사 서북쪽 언덕 위에 세워져 있는 8각 석등은, 보물 제231호로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이라는 명칭을 갖고 있다. 이곳에는 보제존자의 석등과 석종, 그리고 석종 비가 한 자리에 모여있다.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은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세부분으로 이루어진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보제존자(1320∼1376)는 여주 신륵사에서 입적한 나옹화상을 말한다. 석등으로 오르기 전 신륵사 조사당에는 나옹화상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네.

 

나옹화상 혜근(1320∼1376)은 고려 말의 고승이다. 성은 아(牙)씨였으며. 속명은 원혜이다. 호는 나옹, 또는 강월헌(江月軒)이다. 이곳 신륵사에서 강월헌(원래의 강월헌은 수해로 인해 사라졌다)에 기거하였다. 여주 신륵사 앞을 흐르는 남한강에는 용이 살았는데, 나옹화상이 그 용을 굴레를 씌워 제압하였다고 하여 ‘신륵’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臺下江流百丈聽. 當年說法句紳聽.(대하강류백장청. 당년설법구신청).

川女朱下方丈實. 龍王惹參蓮花經.(천여주하방장실. 용왕야참연화경).

동 아래 강물은 일백 장으로 맑구나. 당시 설법하면 귀신이 와서 들었다네.

천녀는 낮에 방장에 내려오고 용왕은 밤에 연화법석에 참여하였지.

 

신륵사에서 나옹화상이 설법을 하면 귀신도 참여를 하였다고, 정두경의 고시 ‘신륵사’에 적고 있다. 그럴 정도로 나옹화상은 뛰어난 법력을 지녔는가 보다. 유명한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네’라는 글도 나옹화상이 지은 것이다.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愛而無憎兮 (료무애이무증혜) 사랑도 벗어놓고 미움도 벗어놓고

如水如風而終我(여수여풍이종아)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靑山兮要我以無語 (청산혜요아이무어)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하고

蒼空兮要我以無垢 (창공혜요아이무구)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하네

聊無怒而無惜兮(료무노이무석혜) 성냄도 벗어놓고 탐욕도 벗어놓고

如水如風而終我(여수여풍이종아) 물같이 바람같이 살다가 가라하네

 

고려 말 예주부(지금의 경북 영덕군 창수면 갈천리)에서 출생한 나옹화상. 그는 원나라 유학을 했고 인도의 고승 지공스님의 제자로서, 인도불교를 한국불교로 승화시킨 역사적 인물로서 조선태조의 왕사였던 무학대사의 스승 이었다,

 

 

이무기를 조각한 아름다운 석등

 

6월 17일(월) 한 낮의 기온이 30도를 웃도는 날이다. 신륵사를 찾아가 경내를 한 바퀴 돌아본 후 조사당을 거쳐 뒷산으로 난 계단을 따라 오른다. 오후의 시간이라 땀이 비 오듯 흐르지만, 그런 것이 대수이랴. 문화재를 만날 수 있다는 즐거움은 더위도 잊게 만든다. 그런 즐거움을 느끼기에 답사를 계속할 수 있는 가보다.

 

석등은 그리 크지 않다. 고려 말에 나옹화상이 입적을 한 후 세웠다고 하니 700년 가까운 새월을 이 자리에 서 있는 것이다. 석등의 받침에는 표면 전체에 꽃무늬를 가득 새겨 장식하고 있다. 화사석은 각 면에 무지개 모양의 창을 낸 후, 나머지 공간에 비천상과 이무기를 조각했다.

 

 

비천상과 함께 화사석에 새긴 이무기. 화사석을 들고 승천이라도 할 기세이다. 비천상들은 오랜 세월이 흐른 탓에 얼굴이 모두 떨어져 나갔다. 하지만 허공을 가르며 날리고 있는 복대를 보고 있자니, 곧 석등을 뛰쳐나와 하늘로 오를 듯한 기세이다.

 

석등은 지붕돌은 두꺼우나 여덟 귀퉁이에서의 치켜올림이 경쾌하여 무거운 느낌을 덜어준다. 고려 우왕 5년인 1379년에 보제존자석종 및 석비와 함께 세워진 작품으로,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유물이며, 고려 후기의 대표적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당간이란 절에서 커다란 행사를 할 때 내거는 깃발을 말한다. 대개는 절 입구에 당간을 내 걸게 되며, 이 당간을 거는 지주 대를 당간지주라고 한다. 당간을 세우는데 필요한 버팀기둥인 당간지주는, 돌을 양편에 세우고 위아래에 구멍을 뚫어 깃대를 받쳐주는 빗장을 끼워 당간을 고정시킨다.

 

과거 전국의 있는 절집을 찾아가면 이 당간을 만날 수가 있다. 당간은 대개 나무나 돌로 만들어 세우는데, 어느 곳에는 철로 만든 당간이 있는 곳도 있다. 국보 제41호 용두사지 철당간은 당간지주를 세우고, 깃대를 세우는 당간을 철로 만들었다.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에 자리한 용두사지는 고려 광종 13년인 962에 창건되었으나, 고려 말의 잦은 전쟁과 난으로 인해 폐허가 된 절이다.

 

부석사 입구에 선 당간지주

 

지금은 국보로 지정된 철당간 하나가 덩그러니 남아있을 뿐이다. 라지만 이 철당간의 위용으로 보아 당시 용두사가 어떠한 절이었는가를 가늠할 수 있다.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17에 소재한 부석사. 많은 국보와 보물이 있는 부석사 입구에 서 있는 이 당간지주는 보물 제255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부석사 입구에 1m 간격을 두고 마주 서 있는 이 당간지주는, 마주보는 안쪽 옆면과 바깥면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다. 양쪽의 모서리의 모를 둥글게 다듬었으며, 기둥 윗부분은 원을 2겹으로 경사지게 조각하였다. 옆면에는 3줄의 세로줄이 새겨져 있기도 하다. 기둥머리에는 깃대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네모 모양의 홈이 파여 있다.

 

기둥 사이에는 한 돌로 된 정사각형의 받침 위에 원형을 돌출시켜, 깃대를 세우기 위한 자리가 마련되어 있다. 이 주변에는 연꽃을 장식하고, 윗면 중앙에는 구멍을 뚫어 당간의 밑면을 받치고 있다.

 

 

통일신라 전기에 세운 당간지주

 

천년 세월을 훌쩍 뛰어넘어 부석사의 입구에 서서, 부석사를 드나드는 많은 인간들을 비켜보았을 당간지주. 높이 2.28m의 부석사 당간지주는 양 기둥의 꼭대기에 내면 상단에서 외면으로 내려오면서, 호선을 그리며 외부로 꺾어졌다. 이 호선은 1단의 굴곡을 두었을 뿐, 별다른 장식이 없이 밋밋하다.

 

이 굴곡부에서 당간지주 사이에는 아름다운 연꽃을 조각한, 원형의 간대석이 놓여 있다. 앞뒷면이 중앙에 종선문이 내려오고, 정상부에는 2단의 아름다운 원호가 경사진 형태로 조각이 되었다. 측면에도 3조의 종선문이 있다.

 

 

부석사 당간지주는 대체로 꾸밈을 두지 않아 소박한 느낌을 주는 당간지주이다. 또한 가늘고 길면서도 아래위에 다소 두께 차이가 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안정감을 주며, 간결하고 단아한 각 부분의 조각으로 보아 통일신라 전기의 작품으로 추정한다. 그 오랜 시간을 풍화에 노출이 되어있었으면서도, 아직도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이러한 부석사의 당간지주를 만나면서 느끼는 것이 있다. 이 절집을 드나들던 수많은 사람들이, 이 당간지주 앞에 서서 합장을 하고 얼마나 많은 서원들을 했을까? 그리고 그 서원들이 모여, 이 당간지주가 천년을 넘기면서도 이렇게 당당하게 서 있는 것은 아닐까? 그런 생각이다. 아마도 앞으로 또 천년, 부석사의 당간지주는 그렇게 손들을 맞을 것이다.

국보 제17호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은,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경내에 자리한다. 국보 제18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무량수전 앞에 서 있다고 하여,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이라고 명명하였다.

 

석등은 흔히 ‘광명등’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부처의 광명을 상징하여 붙여진 별칭이다. 석등은 절의 가장 중요한 곳인 대웅전 앞이나 탑과 같은 건축물 앞에 세워진다. 석등은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을 중심으로, 아래로는 간주석과 받침돌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을 올린 후 꼭대기에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다.

 

 

단아한 아름다움을 표현한 석등

 

부석사 무량수전 앞의 석등은 문화재를 잘 모르는 사람이 본다고 해도, 그 균형이 잘 맞는다고 느낄 정도이다. 4각으로 조성한 바닥돌은 옆면에 무늬를 새겨 꾸몄으며, 그 위의 아래받침돌은 큼직한 연꽃 조각을 얹어 가운데 기중인 간주석을 받치고 있다. 전형적인 8각 기둥형태인 이 간주석은 굵기나 높이에서 아름다운 비례를 보인다.

 

간주석의 위로는 연꽃무늬를 조각해 놓은 윗받침돌을 얹어놓았다. 받침돌의 끝마다 조각한 귀꽃이 더 없이 아름답다. 8각의 화사석은 불빛이 퍼져 나오도록 4개의 창을 두었고, 나머지 4면에는 세련된 모습의 보살상을 새겨놓았다. 이 보살상들은 금방이라도 불을 밝히고 석등을 빠져 나올 것만 같다. 그만큼 이 석등은 간결하면서도 조각 하나하나가 세련된 미를 자랑하고 있다.

 

뛰어난 균형미에 아름다운 선

 

지붕돌도 역시 8각이다. 지붕돌은 모서리 끝이 가볍게 들려있어 경쾌해 보인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얹었던 받침돌만이 남아있다.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하는 가장 아름다운 석등. 부석사 석등은 그 비례의 조화가 아름답고, 화려하면서도 단아한 멋을 지니고 있다. 특히, 화사석 4면에 새겨진 보살상 조각의 정교함은 이 석등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무량수전 측면에서 석등을 바라본다. 하늘 끝과 맞닿은 안양루와 석등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다. 아마도 이런 멋진 모습 때문에 사람들은 이 석등이 가장 아름답다고 표현을 하는가 보다. 그 앞에서 걸음을 땔 수가 없다. 언제 또 이곳을 들려 이렇게 아름다운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인지.

 

이렇게 아름다운 문화재를 하나하나 만날 때마다 항상 고마움을 느끼는 것은, 이렇게 문화재 답사를 할 수 있도록 내가 답사가가 되었다는 점이다. 만일 이렇게 전국을 돌아다니지를 않았다면 생활은 좀 더 편했겠지만, 우리 문화재에 대한 고마움은 느낄 수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배례석의 조화로움

 

자칫 석등에 빠져 그 앞에 놓인 배례석을 놓칠 수도 있다. 석등 앞에 놓인 배례석은 그 존재만으로도 아름답다. 네모난 일석으로 조성을 한 배례석은 윗면에 커다란 연꽃 한 송이를 돋을새김 하였다. 그 밑으로는 조금 층지게 파 들어가서 둘레를 안상을 새겨 넣었다. 밑 부분은 밋밋하게 표현을 하였으나, 전체적으로는 균형이 잘 잡혀있다.

 

영주 부석사에서 만난 통일신라시대의 가장 아름다운 석등. 크지 않은 석등이지만, 그동안 만나왔던 수많은 석등보다 월등히 아름답다. 이렇게 아름다운 문화재를 만날 수 있다는 것만 해도 정말 고마운 일이다. 그래서 늘 길 위에 서 있는 것이지만.

천흥사는 고려 태조 4년인 921에 창건되었다가, 조선시대에 폐사되어 지금은 그 터만 남아 있다. 천흥사지는 충남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 일대를 말한다. 이곳에는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을 옮겨 보관이 되고 있는, 국보 제280호인 천흥사지 동종과 아울러 천흥사지에 남아있는 보물 제99호 당간지주와 보물 제354호인 천흥사지 오층석탑이 있다.

 

이 국보인 천흥사지 동종 위패형 명문에 양각이 되어있는 "聖居山天興寺鐘銘 統和二十八年庚戌二月日"이라는 문구로 보아, 고려 현종 원년인 1010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명문가운데 '통화(統和)는 중국 요의 연호로 고려 현종 원년에 해당한다. 이 당간지주와 오층석탑도 범종과 같은 해에 조성된 것으로 보여, 올해가 벌써 햇수로 1000년이 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천년 지난 고려 초의 당간지주

 

당간지주란 절에서 각종 의식을 행할 때 악귀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당간(幢)'이라는 깃대를 세우는 지주를 말한다. 당이란 부처의 공덕을 표시하는 마귀를 내쫒는 깃발이다. 이 당을 깃대에 매달고 양편에 석물이나 철물로 조성된 지주를 세우게 되는데, 이를 '당간지주'라고 부른다.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당간지주보다, 상당히 정형화된 미를 나타내고 있다. 당간지주를 고이는 기단의 이층부에 새긴 안상 등이 우수하다. 더욱 두 개의 화강암 돌로 만들어 당간지주를 붙들고 있는, 기단의 이층은 안상의 조각만이 아니고, 상당히 섬세한 형태로 꾸며졌다. 전체적인 모습은 통일신라의 형태에서 약간 퇴화한 듯도 하지만, 일반적인 고려 때의 당간보다는 화려한 듯 하다.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양편의 지주석이 두자 정도 사이를 두고 있다. 그리고 그 사이에는 당간을 세우는 네모난 돌이 있고, 중앙에는 당간이 고정될 수 있도록 둥근 홈을 파 놓았다. 당간지주는 2단의 기단 위에 올렸는데, 양편의 지주 돌은 3m 정도의 높이로 밑을 2단의 지주가 받쳐 힘을 받게 했다.

 

오층석탑과 동일한 안상을 새겨

 

보물 제9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마을로 들어가 개울을 건너 민가 앞에 서 있으며, 내를 건너 300m 정도 떨어진 곳에는 보물 제354호로 지정된 천흥사지 오층석탑이 서 있다. 이 탑이 당간지주와 동일한 고려 현종 원년인 1010년에 세워졌다는 것은, 기단에 새긴 안상이 동일하다는 것이다.

 

 

 

결국 이 당간지주와 오층석탑의 안상이 동일하고, 그 조각 수법이 한 사람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어 두 개의 석물이 동일인에 의해 동일한 시가에 조성이 되었다는 것이다. 신라시대의 탑 형태를 하고 있는 천흥사지 오층석탑은 이층 기단을 갖추고 그 위에 오층탑을 쌓았는데, 이 석탑 역시 기단에 안상을 조각하였다. 각 면에 7구씩 새겨져 있는 안상은 당간지주의 안상과 동일하다.

 

탑과 당간지주가 300m 이상 떨어져 있다는 것은 천흥사가 당시에 얼마나 큰 사찰이었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고려 태조 왕건과도 관계가 있었다는 천흥사는, 태조 4년인 921년에 창건하여 현종 원년인 1010년에 대대적인 불사를 했음을 알 수 있다.

 

 천년 세월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천년 세월을 지낸 화강암의 석조물치고는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당간지주의 상단은 훼손이 되었지만, 뒤편에 있는 기둥 돌의 선 등은 그대로 나타나 있다. 또한 자주와 지주 사이에 있는 당간을 세우는 받침돌이나, 기단부의 이층 돌들은 상당히 보존이 잘 되어있다. 1010년에 조성을 하였으니, 올 해로 꼭 천년을 서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당간지주가 천흥사지에 집들이 들어차면서, 당간지주와 오층석탑이 마을의 집들 가까이 있어 안타깝다.

 

 

천흥사지가 조선시대에 폐사가 되었다고 하지만, 국보인 동종이나 오층석탑, 당간지주 등이 남아있어 역사적으로 소중한 사지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지의 문화재 주변에 있는 민가들이라도 정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문화재 주변이 정리가 되어있지 않아, 또 다른 이차 훼손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 103번길 4 (석수동 212 - 1)에 자리한 보물 제4호인 중초사지 당간지주.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시기가 당간에 적혀있어, 조성연대를 자세히 알 수 있는 소중한 문화재이다.

 

당간에 지주명이 명기되어 있어

 

당간에 기록된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보력 2년(신라 흥덕왕 1년, 826년) 세차 병오년 8월 초엿새 신축일에 중초사(中初寺) 동쪽 승악의 돌 하나가 둘로 갈라져 이를 얻었다. 같은 달 28일 두 무리가 일을 시작하여, 9월 1일 이곳에 이르렀으며, 이듬 해 정미년(827년) 2월 30일에 모두 마쳤다. 이 때의 주통은 황룡사의 항창화상이다. 상화상은 진행법사이며, 정좌는 의설법사이고, 상좌는 연숭법사이다. 사사는 둘인데 묘범법사와 칙영법사이다. 전내유내는 둘인데 창악법사와 법지법사이다. 도상은 둘인데 지생법사와 진방법사이며, 작상은 수남법사이다.」

 

 

이로 인한 내용으로 보아 당시 중초사에는 많은 무리의 승려들이 생활을 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크고작은 직분을 갖고 있는 승려만 보아도 10여명이 넘기 때문이다. 당시는 국통 밑에 주통과 군통이 있었는데, 중초사에 주통이 있었다는 것은 중초사가 작은 사찰이 아닌 위치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당시에 절의 살림을 맡아하는 원주(정좌), 교육을 담당하는 교무(사사), 자금의 츨납 및 사무를 관장하는 재무(상좌) 등이 있었다는 것은 소임을 맡지 않은 승려들이 있었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중초사에서 승악(현재의 관악산을 뜻한은 것으로 보임)에서 8월 6일 돌을 취하여, 28일에 두 개의 돌을 두 무리가 나누어 중초사로 운반을 시작하기 시작하였으며, 9월 1일에 중초사에 도착을 한 것으로 적고 있다.

 

 

 

 

부처와 보살의 공덕을 기리는 불구

 

당간이란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하기에 절의 입구에 세워 부처와 보살의 공덕을 기리는 이 당간은 당과 당간, 그리고 지주로 구분이 되어있다.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는 양 지주가 원래 모습대로 85㎝ 간격을 두고 동서로 서 있다. 이곳을 중초사터라고 하는 것은 서쪽지주의 바깥쪽에 새겨진 기록에 따른 것이다. 현재 지주의 기단은 남아있지 않고, 다만 지주 사이와 양쪽 지주의 바깥에 하나씩 총 3장을 깔아서 바닥돌로 삼고 있는데, 이 역시도 원래의 모습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기단 위에 당간을 세우는 받침은 지주 사이에 돌을 마련하고 그 중심에 지름 36㎝의 둥그런 구멍을 뚫어서 마련하였다. 양쪽 지주에 장식적인 꾸밈이 없으며, 윗부분을 둥글게 다듬은 흔적이 있어 시대가 오래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간구멍을 각각 지주의 상·중·하 세 곳에 뚫었다.

 

굳게 닫힌 문, 한 바퀴 돌아오니 활쫙 열려

 

2012년 3월 3일 안양으로 향했다. 이것저것 석수동 인근에 있다는 문화재들을 촬영한 욕심에서이다. 먼저 중초사터를 찾아 들었으나, 당간지주와 석탑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철문에는 굳게 잠을통이 걸려있다. 한참을 밖에서 애를 태우며 서성거리고 있는데, 마을 주민들이 토요일이면 12시에 문을 걸고 담당자가 퇴근을 한다는 것이다.

 

근 30분 이상을 안양시청과 구청, 동사무소 등에 연락을 취해 보았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잘 모르겠음’이란다. 어딜 가나 문화재를 이렇게 홀대하는 것에 가장 분통이 터진다. 더욱 요즈음은 주말과 휴일이면 문화재 답사를 다니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은 편이다. 이렇게 잠겨 있는 문화재를 볼 때마다 참 답답하다.

 

근처에 있다는 석수동 마애종을 먼저 찾아보고 돌아오는 길에 보니, 당간지주가 있는 곳에 사람들이 있다. 걸음을 빨리해 쫒아가니 굳게 닫힌 철문이 열려있다. 아마도 그 안에 건물이 볼일이 있었던 모양이다. 얼마나 다행한 일인가. 밖에서만 바라볼 수밖에 없었던 소중한 문화재를 만난 것이다.

 

 

 

 

중초사지 당간지주는 섬세하지는 않아도, 단정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서쪽 지주의 바깥쪽에 새겨진 명문은 모두 6행 123자로 해서체로 쓰여졌다. 이 글에 의하면 신라 흥덕왕 1년(826) 8월 6일에 돌을 골라서 827년 2월 30일에 건립이 끝났음을 알 수 있다. 당간지주에 문자를 새기는 것은 희귀한 예로, 만든 해를 뚜렷하게 알 수 있는 국내에서 유일한 당간지주이다.

 

중초사가 어떤 절이었는지, 지금은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주변 가까운 것에 마애종들을 볼 때 아마도 당시 중초사란 절은 상당한 규모의 절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한 중초사가 당간지주와 삼층석탑만을 남기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수많은 우리의 문화재들이 이렇게 제대로 된 기록하나 남기지 않고 사라져간 것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