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18-1에 소재한 백제시대의 고찰인 무량사. 일주문을 지나면 담장 옆에 서 있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7호인 무량사당간지주(無量寺幢竿支柱)’가 서 있다.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기 위한 것이다.

 

이 깃발을 걸 수 있도록 길게 만든 쇠 등으로 만든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의 양쪽에 서서 이를 지탱해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우리나라에는 아직도 청주, 공주 갑사, 안성 칠장사 등에 드물게 철당간이 남아 있다. 하지만 그 외에는 대부분 당간을 붙들어 매는 버팀돌인 두 기둥만이 남아 있다.

 

고려 전기에 마련한 무량사 당간

 

이 당간지주는 무량사 천왕문 동쪽에 남아 있는 것으로, 두 개의 돌기둥이 서로 마주보고 있다. 기둥 끝은 안쪽면 에서 바깥쪽으로 둥글게 다듬었고, 앞뒷면의 가장자리에는 테두리 선을 돌렸다. 또한 양 옆면 가운데에는 세로로 돌출된 띠를 새겨 넣었다. 마주보는 기둥의 안쪽면에는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2개의 구멍을 위 아래로 각각 뚫어 놓았다.

 

돌기둥 사이에는 당간을 세울 수 있는 받침돌이 끼워져 있는데, 그 중앙에 당간을 받는 기둥자리를 파고 그 주위를 둥글고 도드라지게 만들었다. 무량사 당간지주는 전체적으로 아무런 장식이 없는 소박하고 단아한 모습으로, 통일신라시대에서 굳어진 제작방식을 따라 고려 전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천년 세월 그 자리에

 

눈이 하얗게 쌓였다. 그 눈을 밟는 것만으로도 죄스럽다. 당간을 보기 위해 담장 밑으로 다가선다. 당간을 받는 중앙에 돌 위에도 눈이 수북이 쌓였다. 눈을 대충 손으로 쓸어내니, 가운에 당간을 받는 자리가 보이고, 주변은 둥그렇게 돋을새김을 해 놓았다. 이렇게 돌로 다듬어 세워 놓은 당간지주.

 

남들은 그저 두 개의 돌기둥을 왜 세워놓았을까 조차도 생각지 않는 듯 무심하게 지나친다. 하지만 이 두 개의 기둥은 나름대로 절의 크고 작은 행사 때 당을 매달기 위한 구조물이다. 이 당간에 얼마나 많이 당이 걸렸던 것일까? 천년 넘는 세월을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당간지주가 새삼 경이롭다.

 

 

많은 문화재로 인해 선조들을 만난다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문화재들. 그리고 그 오랜 세월을 자리를 지켜낸 석조물들. 절을 찾을 때마다 그런 옛 문화재들에 대해 새삼 고마운 마음이 든다. 지난 선조들과의 조우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그런 것들을 찾아다녀 무엇을 할 것이냐고 질문을 한다. 그렇게 문화재를 찾아 사철을 돌아다니고 있는 내사 이해가 되지 않는 모양이다.

 

하지만 그 수많은 문화재를 만나면서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선조들의 장인정신과 마음을 만난다. 그리고 그 선조들의 숱한 정성을 만난다. 그런 문화재들을 만날 때마다 그저 눈물이 나도록 감동적이다. 아무렇지도 않게 담장 옆에 서서 비바람과 눈을 맞으면서 천년 세월을 서 있는 무량사 당간지주. 그 아무렇지도 않게 버틴 천년의 세월동안 얼마나 많은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을까? 문화재를 만날 때마다 고마움을 간직해야 하는 이유이다.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에 자리하고 있는 고찰 무량사. 무량사는 신라 문무왕 때 범일국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신라 말 무염선사가 중수하고, 고려 고종 때 중창을 하여 요사채 3-여 동과 산내 12개의 부속암자가 있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이 된 것을 조선 인조 때 대중창을 하였으며, 1872년 원영화상이 중창을 해 오늘에 이른다.

 

천년 고찰인 무량사에는 보물 5점과 충남 지방문화재 8점 등이 자리하고 있다. 이 중 보물로 지정된 2층으로 조성된 극락전 앞으로는 보물로 지정된 오층석탑과 석등이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런 사찰의 배치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보이는 배치형식이다. 백제불교의 혼을 지니고 있다는 무량사. 눈이 쌓인 무량사는 정취가 남다르다.

 

선이 고운 무량사 석등

 

극락전 앞에 오층석탑을 세우고, 그 앞에 자리한 보물 제233호로 지정된 무량사 석등이 석등을 볼 때마다 참 선이 곱다는 생각이 든다. 지붕돌인 보개석 위에 눈이 한 편에 쌓인 석등은 또 다른 아름다움을 보이고 있다. 부여 무량사 석등은 선이나 비례가 매우 아름답다. 이 석등을 볼 때마다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새색시의 버선코 같다는 느낌이 든다.

 

 

석등은 부처나 보살의 지혜를 밝혀 중생을 제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탑 앞에 조성한 석등의 불을 밝히면, 33천에 다시 태어나 허물이나 번뇌에서 벗어날 수가 있다는 것이다. 무량사 석등은 아래 받침돌 위에 기단부를 놓고 그 위에 간주석과 불을 밝히는 화사석, 그리고 맨 위에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올렸다.

 

부여 무량사 석등은 화려하지가 않다.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로 넘어오는 시기에 조성을 한 것으로 보이는 석등은, 한 마디로 단아한 형태이다. 하지만 완벽하게 보존이 되어있는 이 석등은 간결하면서도 품위가 있어 보인다. 이 석등을 만날 때마다 기품있는 반가의 새색시 같다는 생각이 드는 이유이다.

 

 

간결한 연꽃이 기품을 더해 

 

무량사 석등의 기단부에는 안상을 새겼으며, 아래받침돌에는 연꽃 8잎이 조각되어 있다. 가운데 간주석은 팔각의 기둥으로 길게 세워져있으며, 그 위로 연꽃이 새겨진 윗받침돌을 놓았다. 윗받침돌인 상대석과 아래받침돌인 하대석에 새긴 연꽃은 통통하게 살이 올랐다. 간결한 조형에 비추어 풍성한 느낌을 주는 연꽃을 조각하였다.

 

상대석은 좀 좁은 편이지만 간주석인 팔각기둥이 짧은 편으로, 그 덕에 전체적으로 둔중하지 않고 날렵함을 표현하였다. 팔각으로 조형한 불을 밝히는 화사석은, 네 군데로 난 화창은 넓고 그 나머지 면은 좁게 했다. 화사석의 8면 중 넓은 4면에 화창을 내어, 전체적으로 조형미에 신경을 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처마의 경사가 버선코를 닮아

 

화사석 위에 얹은 지붕돌은 여덟 귀퉁이의 추켜올림과 처마의 경사가 잘 어울린다. 이렇게 경쾌하고 자연스럽게 올려진 귀퉁이의 선이 새색시의 버선코를 닮았다고 생각한다. 그 위에 올린 작은 연꽃봉오리모양의 보주 또한 단아함의 극치이다. 많은 상륜부가 없는 것이 오히여 이 석등의 아름다움을 더하는 듯하다.

 

눈이 쌓인 날 찾아간 부여 무량사. 그곳에서 만난 석등 한 기가 발을 붙들고 놓아주지 않는다. 언제 이렇게 단아하고 기품있는 석등을 본 적이 있었던가? 전체적으로 지붕돌이 약간 큰 감이 있긴 하지만. 경쾌한 곡선으로 인해 무거움이 느껴지지 않는다. 연꽃 문양 역시 신라시대의 화려함에 비할 바가 아니지만, 오히려 그런 것이 무엇인가를 숨기고 있는 아름다움이 있을 것만 같다.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에 소재한 고찰 쌍계사. 지리산의 남쪽기슭에 자리한 쌍계사의 경내에 서 있는 8각 석등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8쌍계사석등(雙磎寺石燈)’으로 지정이 되어있다. 이 석등을 보면서 이해가 가질 않았다. 석등이란 세상을 밝힌다는 의미로 불을 켜는 화사석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쌍계사 석등에는 화사석과 지붕돌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석등이란 원래 3단으로 이루어진 받침 위에,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올리고 지붕돌을 덮는다. 그리고 그 위에 머리장식을 얹어야 하지만, 이 쌍계사 석등은 화사석과 지붕돌이 보이지 않는다. 언제 어떤 연유로 인해 이렇게 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석등의 의미는 매우 깊어

 

석등이란 절 안의 어둠만을 밝히는 것이 아니다. 석등은 부처님의 진리를 빛으로 시방세계를 비춘다는 뜻으로 조성한다. 이것은 곧 중생을 빛으로 깨우쳐 선한 길로 인도한다는 의미가 깊다고 하겠다. 또한 석등의 등불 하나하나는 부처님이 계시다는 수미산과 같고, 석등에 불을 켜는 기름은 넓은 바다를 상징한다고 한다.

 

하기에 사찰에서 조성을 하는 석등은 공양구 주에서도 가장 으뜸으로 여긴다. 하기에 석등은 언제나 부처님이 계시다는 대웅전과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거나 부처님을 상징하여 조성하는 탑과 함께 조성을 하는 것이다. 하동 쌍계사 대웅전 앞에 있는 석등은 화사석과 보개석이 없기 때문에 그 원형을 알기가 어렵다.

 

 

 

조각만으로도 대단한 작품이었을 것으로 보여

 

경남 유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쌍계사 석등은 화사석을 올리는 상대석 위에 복발과 보주가 놓여있다. 상대석 아래로는 팔각의 간주석이 놓여있으며, 그 밑으로는 아래 받침돌인 하대석이 놓여있다. 석등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화사석과 지붕돌이 사라져버려 처음의 형태는 알 수가 없다.

 

아래받침돌인 하대석에는 엎어놓은 연꽃문양인 복련을 둘렀고, 상대석인 위받침돌에는 아래와 대칭되는 솟은 연꽃문양인 앙련을 조각하였다. 가운데기둥인 간주석은 가늘고 길며 중간이 부러져 있던 것을 나중에 맞추어 놓았다. 처음에 얼핏 보면 흡사 두 개의 돌로 간주석을 조성한 것처럼 보인다.

 

 

불을 켜는 곳인 화사석과 지붕돌인 보개석이 없어진 자리에는, 상륜부에 올려놓았던 머리장식만 놓여 있다. 상륜부는 낮은 받침위로 연꽃봉오리 모양의 장식인 보주와, 엎어놓은 그릇모양을 한 복발 등이 남아있다. 이 쌍계사 석등은 가운데기둥의 단조로움과, 상대석과 하재석 등에 조각한 세련된 연꽃무늬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짐작된다. 또한 제대로 된 형태로 보존이 되었다고 하면, 뛰어난 걸작품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발길 닿는 곳마다 문화재

 

쌍계사는 신라 성덕왕 22년인 723년에 삼법, 대비 두 스님이 당나라 6조 혜능대사의 정상을 모시고 와서, 꿈의 계시대로 눈 속에 칡꽃이 핀 곳을 찾아 정상을 봉안하고 절을 창건했다고 전한다. 830년에는 진감해소 국사가 당나라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두 스님이 지은 절에 영당을 짓고, 절을 크게 중창한 후 사찰명을 옥천사로 고치고 이곳에서 입적을 했다.

 

 

그 후 정강왕이 이웃마을에는 옥천사가 있고 산문 밖에는 두 내가 만난다고 하여 쌍계사라고 불렀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에는 많은 문화재가 전하고 있다. 국보 제47호인 진감국사 대공탑비를 비롯해, 보물 제500호인 대웅전을 비롯한 보물 9, 일주문과 천왕문 등 지방문화재 20점 등 총 30점의 문화재가 있는 곳이다.

 

쌍계사를 일러 문화재의 보고라 하는 것도 그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발길 닿는 곳마다 문화재를 만날 수 있는 쌍계사. 그 경내에 서 있는 석등의 화사석은 언제 사라진 것일까? 쌍계사를 들릴 때마다 궁금증이 일어난다.

 

() 오늘부터는 하루에 한 개씩만 송고 하겠습니다. 단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동안 너무 급하게 달려온 듯합니다. 이제 좀 벗어나고 싶습니다.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에 소재한,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3호인 성주사지석등 (聖住寺址石燈)’. 성주사지 내에 소재한 보물 제19호인 성주사지 오층석탑 앞에 놓여있는 8각 석등이다. 이 석등은 석탑 앞에 각 부분이 흩어져 있던 것을, 1971년 석탑을 수리하면서 현재의 자리에 세워 둔 것이다.

 

불교중앙박물관 관장이자 문화재위원인 흥선 스님은 절 안에 놓는 석등에는 불타, 진리, 지혜의 상징, 공양물 등 어둠을 밝힌다는 의미와 기능이 복합적으로 담겨 있다고 했다. 사찰마다 만나볼 수 있는 석등은 대개 대웅전이나 탑 앞에 자리하고 있다. 성주사지의 석등은 중문 터를 들어서 가장 먼저 만나게 된다.

 

통일신라시대의 석등

 

석등의 형태는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3단을 이루는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성주사지의 석등 역시 머릿돌 아래 불을 밝히는 화사석을 두고, 그 밑에 화사석을 받치고 있는 간주석과 받침돌로 이루어졌다.

 

성주사지의 석등은 하나의 돌로 다듬어 놓은 바닥돌과, 받침의 아랫부분은 그 윗면에 연꽃무늬를 둘렀다. 아무런 조각이 없는 가운데기둥인 간주석은 가늘고 긴 편이다. 위 받침돌은 맨 아래의 받침을 거꾸로 놓은 듯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팔각의 화사석은 불빛이 퍼지도록 4면에 창을 내었다. 지붕돌은 밑면에 1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낙수면의 경사는 완만하다.

 

 

단아한 자태를 지녀

 

높이 220cm 정도인 이 석등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화사석에 마련된 창의 주변에 창문을 걸기 위한 구멍의 흔적이 없는 점이나, 가운데기둥이 가늘고 길어 전체적인 균형이 잘 맞지 않는다. 하지만 군더더기가 없는 단아한 자태로 조성이 되어있어, 보는 이들로 하여금 부담이 없게 조성되었다.

 

106일에 찾아간 보령시. 그 첫 번째로 만난 성주사지의 석등은 마음 편하게 답사를 할 수 있는 문화재였다. 여러모로 따져보기 위해 고민을 할 필요도, 이것저것 생각할 필요도 없는 문화재였다는 생각이다. 한 가지 이 석등의 시기가 불분명하다는 것은 아쉽다. 보령시의 석등 안내판에는 통일신라시대에 조성이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비해, 문화재청 안내판에는 뒤편의 오층석탑 보다 조성시기가 늦은 조선조 것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문화재청 안내자료까지 오류를 범해

 

그런데 문화재청의 자료에 오류가 보인다. 시기는 통일신라시대라고 기술하고, 설명에는 조선조의 것이라고 한다면 도대체 어느 것이 맞는 것일까? 문화재청은 우리나라 문화재를 보호, 관리해야 하는 최고의 기관이다. 당연히 모든 문화재에 대해 꼼꼼히 따져보고, 그것을 관리, 감독할 의무를 지닌 곳이다.

 

그런 문화재청의 자료에서부터 오류가 발생한다면, 도대체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는 누가 지켜가야 하는 것일까? 많은 자료를 정리하다가 보면 실수를 저지를 수도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이런 지정 문화재 안내 하나 제대로 관리를 하지 못한다면, 굳이 문화재청이라는 존재가 필요는 한 것일까? 철 지난 자료사진, 설명의 오류, 준비 중에 있다는 메시지. 우리 문화재청의 현주소이다. 참담하기 이를 데 없다.

 

문화재청의 홈페이지 성주사지 석증에 관한 문화재 설명이다. 분류에는 시대가 통일신라로 표기되어 있는데 설명은 조선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성주사지 안내판에는 통일신라로 되어있다.  

 

날이 잔뜩 흐렸다. 하늘에는 검은 구름이 몰려와, 금방이라도 한 줄기 비를 쏟아부을 듯한 기세이다. 이런 날 문화재 답사를 한다는 것은, 평소보다 두 배는 어렵다. 그것도 포장이 되어있는 도로로 다니는 것이 아니다. 질퍽한 맨 땅을 밝고 다녀야 하니, 그 고통은 답사를 해보지 않은 사람에게는 아무리 설명을 해도, 선뜻 이해하기가 힘들다.

 

경북 경주시 구황동 315-2에 소재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92호 ‘경주구황동당간지주 (慶州九黃洞幢竿支柱)’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걸게 되는데, 이 깃발을 꽂는 높이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당간을 양 쪽에서 지탱해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고 한다.

 

 

받침돌을 거북이인 당간지주, 이런 받침돌 처음이야

 

당간이야 절마다 볼 수가 있다. 대개는 절 입구에 세워 절에 큰 행사가 있을 때 이곳에 당을 걸어둔다. 그런 당간은 특별한 형태를 보이지 않는다. 거의 보편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 시대나 지역에 따라서 조형하는 방법은 약간씩 차이가 난다. 구황동 벌판에 외롭게 서 있는 당간지주 한 기.

 

분황사의 것으로 보이는 이 당간지주는, 양 기둥에 별다른 조각을 두지 않은 간결한 모습이다. 그런데 이 당간지주는 다른 면이 있다. 훼손이 되어 처음에는 무엇인지 잘 몰랐다. 그러나 기둥사이에 놓인 당간의 받침돌을 들여다보니 특이하게도 거북모양이다. 동편을 바라보고 있는 당간지주 사이의 간대가 돌거북이라니 놀랍다. 전국을 다니면서 수많은 당간지주를 보았지만, 이렇게 받침돌이 거북의 형상을 한 것은 처음 만났다.

 

하긴 아직 우리나라에 있는 문화재의 10% 정도나 보았을까? 20년이 넘는 세월을 전국을 다니면서 문화재 답사를 하였지만, 이제 겨우 눈을 떠가고 있는 정도이다. 그리고 그 많은 문화재들의 아주 작은 일부분을 보았을 뿐이다. 마음이 바빠진다는 것은 바로 이렇게 많은 문화재들이 아직도 기다리고 있다는 생각 때문이다.

 

분황사 것으로 추정되는 당간

 

분황사 바로 남쪽에 자리하고 있는 당간지주. 기둥의 안쪽 면에는 아래와 중간, 윗부분에는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을 뚫어 놓았다. 이 구멍은 당간지주를 관통해 당간을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밋밋한 형태로 조성을 한 당간지주는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한다.

 

 

천년 세월을 그렇게 서 있었을 당간지주 한 기. 분황사당간지주는 아마도 숱한 신라의 역사를 지켜보았을 것이다. 문화재를 답사하면서 만나게 되는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문화재들이 발길을 붙들고 있는 것은 바로 그런 문화재들이 안고 있을 이야기 때문이다. 아마도 대화를 할 수만 있다면 우리의 한 맺힌 역사를 더 많이 들을 수 있으련만.

 

빗방울이 떨어지기 시작한다. 걸음을 재촉해 당간지주를 떠난다. 비를 피할 수 있는 곳으로 이동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걸음을 옮기면서도 뒤를 자꾸만 돌아보게 되는 것은, 그 오랜 세월 저렇게 비바람에 씻기면서도, 그 자리를 지키기 있다는 굳건함 때문이다. 오늘 따라 조금만 더워도 답사를 미루고 있는 나 자신이 무척이나 초라하게 느껴진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