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101호 ‘법천사지 지광국사탑(法泉寺址 智光國師塔)’은 고려시대의 승려 지광국사 해린(984∼1070)을 기리기 위한 것으로 수난의 세월을 지내온 문화재다.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 법천사지에 서 있던 현묘탑은 1912년 일본 오사카로 밀반출이 되었다가, 3년 후인 1915년 반환되어 현재는 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이사를 할 때도 오직 이 탑만이 남았다. 그 이유는 6,25 동란 때 폭격을 받아 부수어졌던 것을 그 후 다시 맞추어 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탑을 자세히 살펴보면 폭격을 맞아 부수어잔 부분을 시멘트로 발라놓은 것을 볼 수 있다. 만일 이전을 한다고 탑을 해체했을 때 심각한 훼손을 가져올 수도 있어, 구 국립중앙박물관 자리에 보존하였다. 탑의 높이는 610㎝다.

 

고려시대 탑의 걸작, 아름다운 비길 수 없어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부도 가운데 그 어떤 것에 비할 수 없을 만큼 우수한 작품인 현묘탑은 기단의 네 귀퉁이마다 한 마리씩 놓여 있던 사자상을 모두 도둑을 맞았다. 이렇듯 수난을 당한 지광국사 현묘탑은 우리 문화재 중 가장 수난을 당한 문화유산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신라 이후의 부도가 8각을 기본형으로 만들어진 것에 비해, 이 부도는 전체적으로 4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는 새로운 양식을 보여준다. 한 마디로 통일신라시대 이후 계속된 팔각형 평면에서 벗어나 새로운 양식을 보여주는 이형부도이다.

 

현재 법천사지에는 지광국사의 탑비가 그대로 남아있는데, 탑비를 세운 때가 고려 선종 2년(1085)인 점으로 보아 묘탑의 조성 시기는 지광국사의 입적 직후인 1070∼1085년경에 세워진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사리를 운반하던 외국풍의 가마형태

 

부도 전체에는 사방에 여러 가지 꾸밈을 두고 있다. 4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자유로운 양식에 따라 만들어졌으며 장식이 정교하며 혼란스럽지 않다. 바닥돌은 네 귀퉁이마다 용의 발톱 같은 조각을 두어 땅에 밀착된 듯 한 안정감이 느껴진다. 탑은 모두 7단으로 기단의 맨윗돌은 장막을 드리운 것처럼 돌을 깎아 엄숙함을 더했다.

 

기단부에는 여러 단을 두어 꽃, 상여, 신선, 장막 등을 장식했다. 탑신에는 앞뒤로 페르시아풍의 창문을 내고, 드림새 장식을 하였다. 지붕돌은 네 모서리가 추켜올려졌으며, 밑면에는 불보살, 봉황, 연꽃 등을 조각해 놓았다. 머리장식 역시 양화, 복발, 보개, 보주가 층층이 쌓아 올려졌다. 이 현묘탑은 지광국사의 장례 때 사리를 운반하던 화려한 외국풍의 가마를 본떠 만든 것으로 보인다.

 

 

 

지광국사탑에는 특별한 것이 보인다. 바로 보련(寶輦)인 임금이 타던 옥교를 메고 가는 고려시대 가마꾼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흑색 관모를 머리에 쓰고, 무릎까지 오는 둥근 깃의 단령포를 착용하였다. 우리나라의 묘탑 중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를 받고 있는 국보 제101호 지광국사현묘탑. 수난의 역사를 지내온 이 탑을 본을 삼아 앞으로 이 같은 불행이 다시는 없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사적 제466호 법천사지.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에 있는 법천사지는 원래 경기도 여주의 땅이었다. 통일신라시대에 창건하여 고려시대에 융성했던 것으로 알려진 법천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이 된 후 중창을 이루지 못한 절이다. 이곳을 찾았을 때는 초겨울의 바람이 불고 날씨가 급격히 추워져서인가, 법천사의 발굴 복원 작업이 중단되고 있었다.

길가에 세워진 복원을 위한 중장비가 을씨년스러워 보인다. 그 차가운 금속물질이 더욱 날씨를 차갑게 느끼게 한다. 법천사는 권람, 한명희, 서거정 등이 시를 읊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그만큼 이 법천사가 한 때는 중요한 사찰이었음을 알려주는 기록이다. 이곳을 황려현이라고 사료에 표기된 것으로 보아 여주에 속했던 지역으로 보인다.


법천사에는 국보 제101호인 지광국사현묘탑이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인 1912년 일본 사람들이 밀반출하였다. 그 후 1915년에 되돌려 받아 현재는 경복궁 경내 구 국립중앙박물관 자리 앞에 서 있다. 이 현묘탑이 새로 지은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가지 못하는 것은, 한국전쟁 때 폭격을 맞아 옮길 수 없을 정도의 피해를 입었기 때문이다.

국보 제59호 지광국사 현묘탑비

현재 법천사지는 발굴, 복원 중에 있다. 안으로 들어가 살펴보니 전각이 있던 자리들이 여기저기 보인다. 그 전각의 자리로만 추정해도 이 절이 얼마나 대단했던가를 알 수가 있다. 현묘탑비는 고려시대의 스님인 지광국사(984 ~ 1067)의 사리를 모신 현묘탑을 세운 이후, 고려 선종 2년인 1085년에 지광국사의 업적과 삶을 기록한 비다. 국보 제101호인 탑은 제자리를 떠나고, 탑비만 쓸쓸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탑비 귀부의 머리. 신라말에서 고료 초기로 넘어오는 과정에 나타나는 용머리이다


수많은 석재들이 쌓여있는 법천사지. 그 하나하나가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조까지 이어지면서 수많은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었을 것이다. 여기저기 쌓여있는 석재들 틈에는, 보기만 해도 상당히 귀한 석조물들이 보인다. 벌써 몇 년째 이렇게 발굴과 복원을 하고 있다.

현묘탑비의 앞면에는 지광국사가 984년에 태어났고, 이름은 원혜린이라고 기록돼 있다. 16세(999년)에 스님이 되어 승통, 왕사, 국사의 칭호를 얻었으며, 84세인 1067년에 이곳 법천사에서 돌아가신 것을 기록하였다.




고려초기의 특징을 나타내는 받침돌

국보 제59호 현묘탑비를 보면 놀랍다. 받침돌은 고려 초기 탑비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삼국통일을 한 신라 말기부터 고려조로 넘어오면서 받침돌의 형태가 달라진다. 즉 거북의 몸에 머리는 용머리로 조성했다. 이러한 형태는 고려 초기의 받침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새로운 받침돌의 형태는 그 시대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용머리는 두 눈을 부릅뜨고 이를 드러내고 있다. 얼핏 보면 무섭기도 하지만, 조금은 해학적이기도 하다. 그런데다 목 부분에는 또 다른 버팀석을 만들어 놓아 머리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몸체인 거북의 등에는 '王'자가 육각형의 무늬 안에 새겨져 있다. 왕사나 국사의 비에서 보일 수 있는 글자다.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는 현묘탑비

지광국사현묘탑비를 찬찬히 살펴보면 뛰어난 작품성을 엿볼 수 있다. 천년이 지난 과거에 이렇게 대단한 작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 연꽃의 잎과 구름속의 용이 조각된 왕관 모양의 머릿돌. 그리고 비 몸돌에 새겨진 화려한 문양과, 금방이라도 몸돌에서 뛰쳐나올 것만 같은 용. 섬세하고 화려한 구름 등이 현묘탑비의 뛰어난 예술성을 느끼게 만든다.

국보 현묘탑. 제 자리를 떠나 더욱 안타깝다. 제 자리로 돌아갈 수 있었으면


현묘탑비의 뒷면에는 1370명의 제자들의 이름이 음각되어 있다. 전체 높이 4.55m의 현묘탑비는 거북이의 몸에 용머리를 붙인 받침돌. 그리고 양편에 비천하는 용을 새긴 탑비와, 왕관모양의 머릿돌로 이루어져 있다. 날씨가 추운데도 불구하고 탑비 곁을 쉽사리 떠나지 못한다. 이런 대단한 조각을 후대에 남겨줄 수 있는 우리의 선조들에 대한 마음을, 조금이라도 더 느끼고 싶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충격이였습니다. 20여 년간 문화재답사를 하면서 나름 꽤 많이 안다고 생각을 했는데, 여주 고달사지에서 만난 보물 제7호인 원종대사탑을 보는 순간, 내 20년간의 답사가 얼마나 잘못 된 것인지를 깨달았습니다. 그런 마음을 적기 위해 오랫만에 집을 찾아들었습니다.

문화재를 답사하면서 늘 시간에 쫒긴 것이 화근이라는 핑계를 대기에는, 너무나 큰 충격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더 많이 공부를 하고, 더 꼼꼼히 답사를 하려고 합니다. 처음부터 다시 하겠다는 생각으로 말입니다. 정말 마음을 놓고 문화재를 만나고, 글을 쓸 수 있게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입니다. 처음부터 다시. 


원종대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9년인 869년에 태어나, 고려 광종 9년인 958년에 입적한 고승이다.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 413번지 혜목산 고달사지 안에 소재하고 있는 이 탑의 건립연대는, 원종대사탑비의 비문에 의하면 고려 경종 2년인 977년으로 세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원종대사탑은 넓은 고달사지 절터 안에 있는 석조 유물들 가운데, 탑비의 귀부, 이수와 함께 거의 완전한 형태로 보존되고 있다. 탑은 3단으로 이루어진 기단 위에 탑신과 지붕돌을 올린 형태로, 몸돌은 전체적으로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기단부에서 특이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귀꽃을 이중으로 새긴 지붕돌

탑의 맨 위에 있는 상륜부인 지붕은 처마가 수평이나, 귀퉁이 부분에서 약간 위로 향하고 있다. 팔각으로 조성한 끝에는 꽃장식인 귀꽃을 큼지막하게 새겨 넣어 아름답게 하였으며, 그 위에도 지붕돌을 축소한 듯한 머리장식인 복발 위에 작은 보개와 보주가 놓여있다.

팔각으로 조성한 탑신은 4면에는 문 모양을 새겨 넣었고, 다른 4면에는 사천왕상을 돋을새김 하였다. 구름 위에 올려놓은 사천왕상은 힘이 있게 조각이 되어, 탑 안에 있는 복장물을 지키는 듯하다. 이 탑은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팔각원당형 부도 탑으로 높이는 2.5m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기단부가 약간 비대한 듯하지만, 안정감이 있어 보인다.



화려한 기단부의 조각이 뛰어나

기단부는 네모난 바닥돌에 연꽃잎을 돌려 새겼다. 4장의 돌로 이루어진 사각의 지대석 위에 3단으로 하대석, 중대석, 상대석을 올려놓았다. 하대석에는 연꽃무늬인 앙화가 새겨져 있으며, 중대석에는 용과 구름이 어우러지는 화려한 조각이 눈길을 끈다. 중대석에는 윗부분에 8각의 평면이 보인다. 윗부분에 1줄로 8각의 띠를 두르고, 밑은 아래·위로 피어오르는 구름무늬를 조각하였다.

그리고 그 사이에는 용의 머리를 한 거북이가 몸을 앞으로 두고, 머리는 오른쪽을 향한 조각이 있다. 이를 중심으로 돌아가면서 4마리의 용들이. 그 사이에 가득 새겨 넣은 구름 속에서 날고 있는 형상이다. 위 받침돌에는 연꽃이 새겨져 있다. 가운데 받침돌의 조각이 가장 두드러지는데, 이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시대로 넘어오면서 보이는 조각수법이다.



기단부에 들어있는 귀부, 무지의 극치인 나

그동안 전국을 돌면서 숱한 문화재와 만났다. 그렇게 세월이 한 20여 년이 지났으니, 이제 문화재를 보는 안목도 조금은 높아진 듯도 하다. 스스로도 문화재에 대해 ‘수박 겉핥기’는 조금 지났다고 생각을 했다. 남들은 이런 나를 두고 ‘우리 문화재에 미친 사내’라고 한다. 나 역시 그렇다는 것에 반대를 하지 않는다.

그러나 원종대사탑을 보면서 조금 이상한 것이 보인다. 한 면에 세 마리의 용머리가 보이는데, 중간에 용머리가 크고 한편으로 돌려져 있다. 벌써 몇 번인가 본 원종대사탑이다. 한 번도 이상한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것이, 우선 쥐구멍이라도 있으면 들어갈 만큼 부끄럽다. 그 가운데 목을 비튼 용두는 바로 귀부의 머리였던 것이다.



그 용머리 밑으로는 거북의 등이 조각이 되어있고, 양편으로는 앞발이 힘차게 표현이 되어있다. 한 마디로 놀라움이다. 왜 아직 이것을 제대로 보지 못한 것일까? 바로 귀부의 앞부분이 조각이 되어있다. 탑의 뒤편으로 돌아가 보았다. 세상에 이럴 수가. 그곳에는 귀부의 뒷부분인 꼬리와 귀갑을 선명하게 표현을 해 놓은 것이다. 탑의 기단부에 귀부를 넣어 놓은 것이다.

정말 부끄럽다. 몇 번을 보았으면서도 이런 대단한 조각을 보지 못하고 돌아섰다니. 그동안 나름대로 문화재를 보면서 조금은 안다고 생각을 했는데. 다리에 힘이 풀린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겠다. 문화재의 구석구석을 다시 살펴야겠다. 20년간의 답사가 이렇게 부끄럽게 무지를 보이다니. 하지만 그도 다행이란 생각을 한다. 더 늦지는 않았으니. 첫걸음부터 다시 시작해야겠다. 몇 년을 더 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
가끔 다음 지도를 찾아본다. 문화재 검색도 해본다. 요즈음에는 지도는 물론이고 문화재 사진까지 곁들여져 있어, 검색을 이용하면서도 늘 고마움을 느낀다. 그러나 오늘 아침 참 희안한 일을 당한다. 글을 쓰기 위해 보물 제14호인 '창성사진각국사대각원조탑비'를 검색해보았다. 그런데 이게 어쩐 일일까?

틀림없이 대각국사조탑비를 검색을 했는데 로드뷰에 나오는 사진은 엉뚱한 화성의 건물 하나가 나타난다. 주소 인근에 있는 포루려니 해서 로드뷰를 이동을 시켜보았다. 역시 한 바퀴 돌아도 창성사진각국사대각원조탑비각은 나타나지를 않는다.

다음 로드뷰에 나오는 보물 제14호 창성사진각국사대각원조탑비의 사진. 화성의 동북포루 사진이다.

문화재는 각별한 신경을 써야

문화재란 각별한 신경을 싸야한다. 요즈음은 모든 사람들이 인터넷으로 검색을 하고 길을 찾아나선다. 우리만이 아니고 외국인들까지 인터넷 검색으로 문화재를 찾아나선다. 그런데 정작 포털이라는 다음의 안내에서 이런 과오를 저지르고 있다는 것은 이해가 가질 않는다.

우리 문화재에 대해 평소 관심이 없어서인지. 아니면 담당자의 실수인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화성 동북포루 사진 위에 떡 하니 자막까지 쳐 놓은 것은 어떠한 이유로도 용납이 되지 않는 행위이다. 하루 빨리 시정을 바란다. 창성사지를 떠나 엉뚱한 곳에 서 있는 보물도 안타까운데, 이렇게 엉뚱한 화성의 건물이 진각국사탑이라고 알려주고 있다는 것에 대해 그저 속이 아플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틀림없이 창성사진각국사대각원조탑비를 검색했다. 그러나 로드뷰는 화성의 동북포루를 소개하고 있다.

이번에는 스카이뷰로 찾아보았다. A라는 글자로 그 자리를 소개하고 있는데. 동북포루 위에 떡하니 지점표시를 하고 있다. 동북포루와 진각국사탑비는 거리가 있는데도 말이다. 우리 문화재의 홀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그러나 포털 중 최고라는 다음에서 이런 실수를 한다는 것은, 우리 문화재에 대해 그 정도로 무관심하다는 이야기가 아닌지. 참으로 안타깝다. 조속한 시정을 바란다. 

검색지점을 알려주는 표시인 A는 동북포루 자막위에 올려져 있다, 정작 탑비의 위치는 붉은 원 안에 서 있다. 

문화재란 참 기묘한 것이란 생각을 할 때가 있다. 내가 문화재를 답사할 때는, 가급적이면 철마다 한 번씩 찾아간다. 물론 일부러 철마다 찾아가는 곳도 있으나, 대개는 그 지역을 지나칠 때 들려가는 경우가 많다. 10월 29일 전주에서 ‘오마이뉴스’ 전북지역 시민기자들의 모임이 있었다. 그곳 가까운 곳에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모셔 놓은 경기전이 있다.

경기전은 가을마다 한 번씩은 꼭 들리는 곳이다. 가을경치가 그만큼 뛰어나기 때문이다. 한옥마을에는 주말을 맞아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경기전 역시 여기저기 사람들이 삼삼오오 짝을 지어, 깊어진 가을의 정취를 느끼려고 북적인다. 경기전 안에는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26호인 ‘예종대왕 태실 및 비’가 자리하고 있다.


단풍과 어우러진 문화재, 분위기 정말 좋아

가을에 많은 문화재를 만나기 위해 답사일정을 많이 잡는 것은, 바로 아름다운 주변 경치와 아울리는 문화재들의 모습을 담아내기 위함이다.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철마다 왜 문화재의 모습이 그리 달라져 보이는 것인지. 그렇다고 문화재의 본질이 변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그 문화재 주변의 경치가 달라지는 것이지.

29일 찾아간 경기전의 예종대왕 태실과 비도 마찬가지이다. 딴 때와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다가온다. 아마도 주변을 아름답게 수놓은 형형색색의 단풍 때문이란 생각이다. 그냥 볼 때는 조금은 삭막한 석재들이 단풍과 어우러지면, 그렇게 아름다운 모습으로 변한다는 것이 신기하다.



가을에는 이런 모습을 보는 사람들이 문화재에 조금은 더 신경을 쓰기도 한다. 평소 같으면 그냥 지나칠 사람들도, 주변과 어우러진 모습을 보면서 한 번 들여다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모든 문화재 주변에 단풍을 심을 수는 없을 테니, 예종대왕의 태실 및 비는 문화재 중에 복을 받았다고나 해야 할까?

태 항아리를 가져간 조선총독부, 좋아할 수 없는 이웃

이웃나라라고 한다. 그러나 난 일본이라는 나라를 한 번도 이웃이라고 생각해 본적이 없다. 문화재를 답사하는 나로서는 일본은 죽어도 이웃이 될 수 없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수많은 우리의 문화재를 강탈해 갔다. 그 수많은 문화재가 아직도 일본 땅 곳곳에 있다니, 이런 나라를 어떻게 이웃이라고 생각을 할 수가 있겠는가?



한 두 사람이 태실의 돌난간에 앉아 사진을 찍는다. 그것마저 무엇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렇게라도 아름다운 사진을 찍어 홍보를 해주기만 한다면.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안내판이라도 한 번 더 보아주었으면 하는 생각뿐이다.

‘태실(胎室)’이란 왕가에서는 아이가 태어나면 그 태를 소중히 석실에 보관하여 땅에 묻는다. 우리나라의 지명에 ‘태실’ 혹은 ‘태봉’이란 지명은 태를 묻은 곳이란 뜻이다. 예종대왕의 태도 항아리에 담아 놓은 것이다. 원래 이 태실은 선조 11년인 1578년 현 완주군 구이면 원덕리 태실마을 뒷산에 묻었다가, 영조 10년인 1734년에 다시 고쳐 지은 것이다.

그러나 일제의 조선총독부가 태 항아리를 가져가면서 태실이 파괴되어 구이초등학교 근처에 방치가 된 것을, 1970년 이곳으로 옮겨 온 것이다. 결국 이 태실 안에는 예종대왕의 태는 없고, 그 태를 감쌌던 석조물과 비만 남은 것이다.



화려하지 않은 태실과 비

예종대왕의 태실 및 비는 화려하지 않다. 태실은 팔각형으로 조성한 돌난간 안에 기단석을 놓고, 그 위에 배가 부른 원통형의 돌을 놓고 지붕돌을 올렸다. 전체적으로 보면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부도탑의 형태이다. 난간은 두 개의 6각형 장대석을 이용해 난간을 둘렀는데, 이음새 부분에는 문양을 한 받침돌을 놓았다.


석비는 태실과 함께 옮겨온 것이다. 비석의 앞면에는 예종대왕의 태실임을 알리는 글귀가 적혀있고, 뒷면에는 비석의 건립연대를 음각하였다. 머릿돌은 뿔이 없는 용의 얼굴과 구름 등을 새겨 넣었다. 앞뒤로 새긴 용은 금방이라도 불을 뿜어날 듯하다. 받침돌인 귀부는 평범하게 조각이 되었다. 다만 거북의 귀갑문을 사용하지 않고, 다채로운 문양으로 꾸민 것이 특이하다.

가을이 되면 문화재도 분위기에 사로잡힌다. 그러나 그 본질이야 어디로 갈 것인가? 예종대왕의 태실과 비를 보면서, 이 가을에도 미움이 가시지 않을 것만 같다. 그 태를 훔쳐다가 도대체 어떻게 한 것일까? 이 아름다운 단풍도 그 마음을 어쩌지는 못하는 것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