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탑이라고 하는데, 그런 것 같지가 않다. 부도탑 보다는 오히려 석등이라고 해야 옳을 듯하다. 논산시 부적면 탑정리 산 5에 소재하고 있는, 충남 유형문화재 제50호인 논산 탑정리 석탑을 보고 느낀 소감이다. 탑정리 석탑은 탑정저수지 북쪽 제방 끝에 서 있는 탑으로, 원래의 자리는 이곳에서 50m 정도 떨어진 남쪽에 있었다고 한다.

 

탑정리 석탑을 옮긴 이유는 일제 시대에 저수지 공사를 하면서, 탑이 있던 자리에 물이 차자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이 탑은 고려시대의 탑으로 보고 있으며, 탑의 전체 높이는 283cm에 기단부의 높이가 184cm이다. 탑신의 높이는 54cm에 지나지 않는다. 이 탑을 부도탑으로 보아야 하느냐, 아니면 석등으로 보아야 하느냐를 놓고 한참이나 망설였다.

 

 

태조 왕건이 지었다는 어린사(魚鱗寺)’

 

사료에 의하면 연산현 서쪽 17리에 탑정리가 있고, 탑정리에 어린사(魚鱗寺)가 있었다고 한다.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고려 태조 왕건이 남으로 견훤을 정벌할 때에, 이곳에 주둔하여 어린사라는 절을 지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주변에 성을 쌓았다고 하나, 지금은 성의 흔적을 찾아볼 수가 없다. 이 탑은 왕건이 개국사찰로 세운 개태사에 속해 있던 많은 암자 중, 적사암의 대명스님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한 것이었다고도 하지만 문헌상 기록은 없다.

 

이 탑을 보면서 다소 엉뚱한 생각을 한다. ‘어린사라는 절 이름을 들으면서 우리 조상들의 지혜에 그저 감탄을 할 뿐이다. 고려 초에 왕건이 이곳에 성을 쌓았다는 것은, 이곳의 지형이 평지이거나 높지 않은 구릉이었을 것이다. 그 당시에 이곳에 절을 지으면서 어떻게 이곳에 호수가 들어찰 것을 미리 알았던 것일까?

 

 

천년 후에 이곳에 저수지가 생길 것을 미리 알았다.

 

탑정호는 충남 논산시 부적면과 가야곡면에 걸쳐 있는 저수지를 말한다. 1941년에 착공을 하여 1944년에 완공을 한 인공호수로, 그 규모가 상당하다. 면적은 1522천 평에 달하며, 제방길이는 573m이고, 둘레가 20km이나 되는 거대한 저수지이다. 이 저수지가 들어선 곳에 어린사라는 절이 있었다는 것이다.

 

어린(魚鱗)’이라는 말은 말 그대로 물고기와 물속에 사는 온갖 것들을 말한다. 결국 어린사는 물고기가 많은 절이라는 표현인데, 당시에는 이곳에 물고기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성을 쌓을 수 있는 곳이었다는 것이다. 그런 점으로 볼 때 고쳐 초기에 왕건은 이곳이 천년 후에 저수지가 들어설 것을 미리 알았던 것은 아니었을까?

 

 

이런 지명을 찾아보면 상당히 많이 있다. 용인시 이동면에 있는 이동저수지 인근에도 이와 같은 지명이 있다. ‘어비리라는 곳이다. 논밭이 즐비한 이곳이 고기가 살이 찐다는 표현을 한 것이다. 용인 어비리는 이동저수지가 들어서 그야말로 물고기가 살이 찐다는 지명이 맞아 떨어졌다. 어린사 역시 그렇게 절 이름에, 이미 이곳이 저수지가 들어설 것을 예측한 것이다.

 

석등과 같은 형태의 탑정리 석탑

 

탑정리 석탑은 지대석 위에 8각의 간주석을 세우고, 그 위로 받침돌을 두어 탑신을 받치도록 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탑의 구성을 보면 하대석, 간석, 중대석, 탑신부와 옥개석으로 되어있다. 이런 형태는 어디서도 볼 수가 없는 모습이다. 흡사 석등과 탑을 합쳐 놓은 듯한 형태로 보인다.

 

더구나 이 탑의 탑신 아래의 받침 부분은, 전형적인 고려시대의 석등 양식이다. 8개의 연꽃잎을 양각하여 장식하였다. 혹 이 탑이 별개의 탑신을 올린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즉 화사석이 들어설 자리에 있는 지금의 탑신이, 제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혹 화사석 대신 놓아 둔 것은 아니었을까?

 

더구나 일제시대에 저수지를 조성하고, 그들에 의해서 옮겨졌다고 하니 더욱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한다. 문헌상으로 확실하다면 무슨 걱정을 할까? 문헌도 없고, 받침이나 간주석의 형태 등으로 보면 부도이기 보다는 석등이라야 맞는다는 생각이다. 탑정리 석탑에는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석탑을 보라갔다가 어린사라는 절이 더 궁금해지는 날이다.

하남시 춘궁동 이성산 남쪽 고골저수지 옆으로, 나지막한 야산에 자리한 고려 초기의 대규모 절터가 있다. 이곳을 동사지라고 하는데, 발굴 당시 명문에서 ‘동사(桐寺)’라 적힌 기와가 발견이 되었기 때문이다. 발굴 당시 금당지의 초석이 발굴이 되었는데, 이 초석의 넓이로 보아, 신라시대 경주 황룡사의 금당에 버금가는 크기였다는 것이다.

 

이 고려 때의 절인 동사는 10세기경에 새롭게 지어진 절로, 현재 동사지 안에는 보물 제13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춘궁동 삼층석탑과, 보물 제12호인 춘궁동 오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2011년 첫 번째 답사일인 1월 3일에 눈길을 미끄러지면서 찾아간 춘궁리 동사지. 그 한편에 삼층석탑과 오층석탑이 나란히 서 있다.

 

 

당당한 모습으로 서 있는 삼층석탑

 

춘궁리 삼층석탑은 보물 제13호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동사지 안에 남동향으로 서 있다. 이 석탑은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이층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세웠다. 아래층 기단부의 밑 부분은 눈이 쌓여 있어 자세히는 볼 수가 없다. 상륜부는 사라져 본 모습은 알 수 없지만, 남아있는 부분만으로도 당당하다.

 

하층 기단은 조각이 나 있기는 하지만, 아래층 기단부에 눈 모양을 한 안상이 한 면에 3구씩 새겨져 있다. 상층 기단은 판석으로 조성을 하였는데 양편에 모서리 기둥인 우주와, 가운데 버팀기둥인 탱주가 새겨져 있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일석으로 조성을 하였다. 탑 몸돌의 각 면에는 모서리 기둥인 우주만을 새겨 넣었다.

 

신라 석탑의 양식을 계승하다

 

 

 

이 탑을 보면 신라 석탑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음을 일 수 있다. 몸돌을 덮고 있는 지붕돌의 지붕인 낙수면의 경사가 완만하고,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가 끝에서 약간 위로 치켜져 있다. 이층 이상의 몸돌이 일층에 비해 급격히 낮아지고 있는 형태나, 지붕돌의 형태 등에서 신라 탑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탑은 여기저기 상당한 부분이 훼손이 되었다. 그러나 그 당당함은 고려 초기의 석탑에서 보이는 국권의 상징처럼 보인다. 이렇게 석재로 조성을 한 석탑 하나에서도 국권을 회복하고, 북벌을 하여 옛 고구려의 고토를 회복하겠다는 고려의 열망이 보인다.

 

 

경기도에서 보기 힘든 춘궁동 오층석탑

 

삼층석탑 옆에는 보물 제12호로 지정된 춘궁동 오층석탑이 서 있다. 남동향으로 서 있는 이 오층석탑은 높이가 7.5m에 이르는 탑으로, 경기도에서는 이렇게 큰 탑을 보기가 힘들다. 이 탑은 이층의 기단 위에 오층의 탑신을 쌓아 올렸는데, 여러 장의 석재를 이용하여 석탑을 조성하였다.

 

사각형의 석재를 여러 장을 이용해 조성한 춘궁동 오층석탑. 각 면에는 우주와 탱주를 새겨 넣고, 일층 탑신은 상하 2단으로 탑신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탑의 형태는 딴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이다. 이 오층석탑 역시 고려 초기에 조성을 하였으나, 신라 석탑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

 

 

층마다 석재를 사용한 것이 달라

 

이 오층석탑은 층마다 사용한 지붕돌의 석재의 숫자가 다르다는 것이다. 오층은 1장, 사층은 2장, 3층 이하는 4장의 석재를 이용하여 지붕돌을 조성하였다. 또한 일층 탑신의 하단은 4장의 방형 석재를 시용하였으며, 상단은 1장의 석재로 만들었는데, 이곳에도 모서리 기둥인 우주가 마련되어 있다.

 

춘궁동 오층석탑의 지붕돌의 낙수면은 경사가 완만하다. 추녀는 수평을 이루다가 전각에 이르면 반전을 보이고 있다. 상륜부에는 노반석만이 남아있다. 동사지에 남아있는 춘궁동 삼층석탑과 오층석탑을 돌아보면, 이 동사지의 규모가 짐작이 간다. 아마도 이렇게 공을 들여 석탑을 조성한 이유도, 고려의 국권을 상징하는 것은 아니었을까? 눈길에 미끄러지면서 찾아간 동사지에서, 옛 고려의 강성하고자 했던 기운을 느낀다.

한 때는 수많은 승려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그리고 이곳에서 나름대로의 구도자의 글을 모색하며, 사시사철 변하는 구룡령의 모습을 눈 안에 담아두고 있었을 것이다. 속초에서 옛 속초비행장 앞을 지나 구룡령을 향해서 가다가보면 구룡령 초입 못 미쳐 좌측으로 선림원지 이정표가 보인다.

 

사람들에게는 ‘미천골’이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진 이곳은 강원도 양양군 서면 황이리에 속한다. 미천골은 아름답기로 유명한 곳이다. 가족들이 휴양할 수 있는 시설이 마련되어 있어, 여름과 가을이면 수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 하루를 즐기고는 한다. 미천골에는 선림원이 있던 사지가 남아있다.

 

 

통일신라시대 흥성한 선림원

 

선림원지는 통일신라시대의 절터로, 동국대학교 발굴조사단의 발굴에서 나타난 많은 유물유적들 발견이 된 곳이다. 발굴조사 결과 선림원은 804년경에 순응법사 등이 창건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당대에는 선림원에서 한 끼 밥을 먹기 위해 씻은 쌀뜨물이 계곡을 따라 하류까지 흘러 미천골이라 불렀다고 한다.

 

이 선림원이 10세기를 전후해 산사태와 대홍수로 매몰되었다고 추정한다. 요즈음 강원도에 내린 집중호우로 근동이 홍수와 산사태가 나서 많은 인명피해가 난 것으로 보아도 선림원의 산사태의 매몰이 이해가 가기도 한다. 선림원지에는 현재 9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보물 4점이 남아있어, 9세기 후반에 대대적인 중창이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돋을새김한 팔부중상은 곧 걸어 나올 듯

 

선림원지에서는 1948년에 명문이 적힌 신라 범종이 발견되어 주목을 받았다. 선림원이 얼마나 큰 절이었나는 가늠할 수가 없다. 다만 지금 남아있는 문화재를 보고 유추할 뿐이다. 축대를 쌓은 계단을 오르면 보물 제444호로 지정이 된 삼층석탑은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몸돌을 올린 전형적인 신라석탑으로, 법당터 남쪽의 원래 위치에 복원되었다. 2층으로 되어있는 기단은, 아래층 기단을 올려 각 면 모서리와 중앙에 기둥을 새겼다. 2층 기단 역시 각 면 모서리와 중앙에 기둥을 새겼는데, 한 면을 두기씩 8부중상을 돋을새김 하였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한 장으로 되어 있으며, 1층 몸돌은 높은 편이며 2층 몸돌은 반으로 줄어들었다.

 

지붕돌은 넓은 편이며 지붕의 경사가 급하게 내려오다가 처마의 네 귀퉁이에서 약간 들려 있다. 지붕돌의 밑면 받침은 5단이다. 신라 석탑의 양식을 충실히 이어받고 있는 이 삼층석탑은, 기단부의 짜임이나 각 부의 조각수법으로 보아 조성연대는 9세기경 신라 후기에 가까운 것으로 짐작된다.

 

화려한 장식을 한 석등, 특별한 미를 지녀

 

신라 정강왕 원년인 886년에 세운 것으로 추정하는, 보물 제445호 석등은 선림원지 안의 서쪽 언덕 위에 놓여있다. 화사석은 8각으로 빛이 새어나오도록 4개의 창을 뚫었고, 각 면의 아래에는 작은 공간에 무늬를 새긴 매우 드문 모습을 취하고 있다.

 

이 석등은 신라시대의 전형적인 8각 형식을 따르면서도 받침돌의 구성만은 매우 독특하여 눈길을 끈다. 아래받침돌의 귀꽃조각은 앙증맞게 돌출되어 아름답고, 그 위로 가운데받침돌을 기둥처럼 세웠는데, 마치 서 있는 장고와 같은 모양이며 그 장식이 화려하다.

 

즉 기둥의 양끝에는 구름무늬띠를 두르고 홀쭉한 가운데에는 꽃송이를 조각한 마디를 둔 후, 이 마디 위아래로 대칭되는 연꽃조각의 띠를 둘러 모두 3개의 마디를 이루게 하였다.

 

 

 

파편이 된 비문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

 

보물 제446호인 홍각선사 탑비 귀부 및 이수는 통일신라 정강왕 원년인 886년에 세워진 것이다. 탑비는 일반적으로 비의 받침인 거북머리의 귀부와 몸돌, 이수로 구성되는데 이 비는 비받침 위에 비머리가 올려져있다. 비문이 새겨지는 몸돌은 파편만 남아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하고 있다. 파편을 본을 삼아 재현된 몸돌이라도 현장에 있었다면,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귀부의 거북은 목을 곧추세운 용의 머리모양으로 바뀌어있고, 등에는 6각형의 무늬가 있다. 이러한 형태는 통일신라에서 고려로 넘어가면서 보이는 기법이다. 등에 붙어 있는 네모난 돌은 몸돌을 세우는 자리로 연꽃무늬와 구름무늬가 새겨 있다. 이수에는 전체적으로 구름과 용이 사실적으로 조각되었고, 중앙에 비의 주인공이 홍각선사임을 밝히는 글씨가 있다.

 

금방이라도 승천할 것만 같은 용

 

보물 제447호인 선림원 부도는 일제시대에 완전히 파손되었던 것을, 1965년 11월에 각 부분을 수습하여 현재의 자리에 복원한 것으로 기단부만이 남아있다. 기단의 구조로 보아 8각을 기본으로 삼고 있는 신라의 전형적인 형태로 조성이 되었다. 정사각형으로 조성된 받침돌 위로 기단의 하단, 중단, 상단돌을 올렸다. 아래받침돌은 2단인데, 아래단이 바닥돌과 한 돌로 짜여진 점이 특이하다.

 

 

 

윗단에는 두 겹으로 8장의 연꽃잎을 큼직하게 새기고, 그 위에 괴임을 2단으로 두툼하게 두었다. 중간받침돌은 거의 둥그스름한데 여기에 높게 돋을새김해 놓은 용과 구름무늬의 조각수법이 매우 웅장한 느낌을 준다. 윗받침돌에 2겹으로 새긴 8장의 연꽃잎은 밑돌에서의 수법과 거의 같다. 신라 정강왕 원년인 886년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부도는 위아래를 마무리하는 수법에서 뛰어난 안정감을 보이고 있다. 기단 아래받침돌 밑을 크게 강조한 것은 8각형의 일반적인 부도양식에서 벗어난 것으로,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쌀뜨물이 계곡을 메웠다는 선림원. 그런 이야기로는 상상이 가질 않는다. 현재 남아있는 대웅전의 초석으로는 상상이 가질 않는 이야기다. 이곳을 벗어난 인근 어디에 또 수많은 유물이 묻혀 있는 것은 아닐까? 맑은 물이 흐르는 미천골 계곡. 도대체 얼마나 쌀을 씻어야 저 계곡을 다 뿌옇게 물들일 수 있을까? 지난 역사 속의 선림원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벅차다. 역사는 그렇게 스러져가도, 그 역사의 흔적은 이리 남아있는 것을.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은 참 다양하다. 어떤 사람들은 비가 오면 꼼짝도 하지 않는다. 이래저래 후줄근하게 되는 것이 싫다는 것이다. 하지만 난 정 반대다. 비만 오면 짐을 싸서 길을 나선다. 버릇치고는 참 희한한 버릇이다.

 

좋은 날은 방에 들어앉아 자료 정리를 하다가, 비만 오면 미친 듯 석조문화재를 찾아 길을 나서는 이유. 이런 나를 보고 비만 오면 살짝 이상해지느냐고 농담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기야 그럴 수도 있겠다. 좋은 날 두고, 하필이면 비가 오는 날 돌아다니니 말이다. 

 

비가 오는 날 모악산 용각부도를 보라

 

모악산에는 천년고찰 대원사가 있다. 대원사는 진묵스님이 술을 보고 '곡차'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했다는 절이다. 모악산 중턱에 있는 대원사는 금산사의 말사다. 금산사는 모악산 북쪽 김제에 있는데 비해, 대원사는 모악산의 남쪽 완주군 구이면에 자리하고 있다. 대원사는 매년 4월 둘째 주 토요일에, 수만 명이 모여드는 <진달래 화전축제>로 더 유명해진 절이다. 이 대원사 향적당 뒤편 산에는 부도 몇 기가 자리하고 있다.

 

 

평상시의 용각부도

 

그 중에 유난히 눈길을 끄는 부도가 한 기 있다. 용이 부도를 감고 올라가는 모습이 예사 부도 같지가 않다. 고려 때의 부도로 추정하는 이 용각부도는 정확한 조성 시기는 모르지만, 문양 등으로 보아 고려 때의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다. 용은 이 부도를 감고 있다. 머리를 아래로 하고 있는 이 용은, 금방이라도 부도를 벗어나 승천을 할 것만 같다.

 

비가 오는 날 승천하는 부도의 용

 

그런데 이 부도의 용 문양이 날이 좋은 날은 확실치가 않다. 물론 자세히 들여다보면 용이 발로 여의주를 감싸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그러나 비가 오는 날 이 부도를 보면 전혀 다르다. 비늘 하나하나가 모두 들어나 보인다. 그리고 용은 금방 승천을 할 듯한 기세다. 바로 이런 것 때문에 비가 오는 날이 되면, 미친 듯 석조문화재를 찾아 달려 나가게 된다. 그 생생한 모습을 보기 위해서다.

 

 

비가오는 날 용각부도

 

이 용각부도 역시 마찬가지다. 비가 오는 날이면 섬세하게 조각을 한 용의 모습이 확연히 들어나 보인다. 살아서 움직이는 듯한 용의 모습. 힘차게 비상을 하기 위해 준비를 하는 듯 하다. 용의 문양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 때 고승의 부도로 보이는 이 용각부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7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용각부도의 문양이 드러나 듯, 나는 비가 오는 날이면 석조문화재를 찾아 길을 나선다.

 

국보 진전사지탑도 비가 오면 부처님이 일어나신다

 

비가 오는 날 답사를 나서는 까닭은 맑은 날 선명하게 볼 수 없던 탑이나 마애불 등의 조각이 선명하게 들어나기 때문이다. 남들은 이런 나를 미쳤다고 한다. 아무리 선명한 조각을 볼 수 있다고 비가 오는데 길을 나서느냐고 핀잔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한 가지라도 더 섬세한 모습을 담아 여러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마음은 비도 어쩌지를 못한다.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에는 신라시대의 절이었던 진전사지가 있다. 이곳에는 국보 제122호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진전사지 삼층석탑은 높은 2단의 기단 위에 삼층으로 조성을 한 통일신라 8세기 후반의 작품이다.

 

 

 

 

진전사지 삼층석탑은 그 조각 하나하나가 뛰어난 작품이다. 통일신라의 탑 중에서도 예술성이 뛰어난 작품으로 손꼽힌다. 1층 탑신에는 여래좌상이 각 면에 한구씩 조각이 되어있다. 진전사지 삼층석탑은 기단부 하단에는 연화좌 위에 광배를 갖춘 비천상을 조각하였다. 그리고 기단부 상단에는 팔부중상이 역동적으로 표현이 되어있다. 높이가 5m인 이 탑은 볼 때마다 감탄을 하게 만든다. 그저 평범한 돌을 이용한 조성한 신라시대의 탑. 그 조각 하나하나가 이렇게 비가 오는 날 만나면 돌을 박차고 뛰어 나올 것만 같다.

 

비가 오면 난 짐을 싼다. 그리로 문화재를 찾아 떠난다. 오늘 비가 오려나? 하늘에 가득 구름이 끼기 시작한다. 이제 비에 젖지 않게 갈무리를 잘한 짐을 싸 놓아야 할 때가 되었다. 비가 오는 날 꼭 보아야 할 마애불이 있어서이다.

천흥사는 고려 태조 4년인 921에 창건되었다가, 조선시대에 폐사되어 지금은 그 터만 남아 있다. 천흥사지는 충남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 일대를 말한다. 이곳에는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을 옮겨 보관이 되고 있는, 국보 제280호인 천흥사지 동종과 아울러 천흥사지에 남아있는 보물 제99호 당간지주와 보물 제354호인 천흥사지 오층석탑이 있다.

 

이 국보인 천흥사지 동종 위패형 명문에 양각이 되어있는 "聖居山天興寺鐘銘 統和二十八年庚戌二月日"이라는 문구로 보아, 고려 현종 원년인 1010년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명문가운데 '통화(統和)는 중국 요의 연호로 고려 현종 원년에 해당한다. 이 당간지주와 오층석탑도 범종과 같은 해에 조성된 것으로 보여, 올해가 벌써 햇수로 1000년이 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천년 지난 고려 초의 당간지주

 

당간지주란 절에서 각종 의식을 행할 때 악귀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당간(幢)'이라는 깃대를 세우는 지주를 말한다. 당이란 부처의 공덕을 표시하는 마귀를 내쫒는 깃발이다. 이 당을 깃대에 매달고 양편에 석물이나 철물로 조성된 지주를 세우게 되는데, 이를 '당간지주'라고 부른다.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당간지주보다, 상당히 정형화된 미를 나타내고 있다. 당간지주를 고이는 기단의 이층부에 새긴 안상 등이 우수하다. 더욱 두 개의 화강암 돌로 만들어 당간지주를 붙들고 있는, 기단의 이층은 안상의 조각만이 아니고, 상당히 섬세한 형태로 꾸며졌다. 전체적인 모습은 통일신라의 형태에서 약간 퇴화한 듯도 하지만, 일반적인 고려 때의 당간보다는 화려한 듯 하다.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양편의 지주석이 두자 정도 사이를 두고 있다. 그리고 그 사이에는 당간을 세우는 네모난 돌이 있고, 중앙에는 당간이 고정될 수 있도록 둥근 홈을 파 놓았다. 당간지주는 2단의 기단 위에 올렸는데, 양편의 지주 돌은 3m 정도의 높이로 밑을 2단의 지주가 받쳐 힘을 받게 했다.

 

오층석탑과 동일한 안상을 새겨

 

보물 제9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마을로 들어가 개울을 건너 민가 앞에 서 있으며, 내를 건너 300m 정도 떨어진 곳에는 보물 제354호로 지정된 천흥사지 오층석탑이 서 있다. 이 탑이 당간지주와 동일한 고려 현종 원년인 1010년에 세워졌다는 것은, 기단에 새긴 안상이 동일하다는 것이다.

 

 

 

결국 이 당간지주와 오층석탑의 안상이 동일하고, 그 조각 수법이 한 사람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어 두 개의 석물이 동일인에 의해 동일한 시가에 조성이 되었다는 것이다. 신라시대의 탑 형태를 하고 있는 천흥사지 오층석탑은 이층 기단을 갖추고 그 위에 오층탑을 쌓았는데, 이 석탑 역시 기단에 안상을 조각하였다. 각 면에 7구씩 새겨져 있는 안상은 당간지주의 안상과 동일하다.

 

탑과 당간지주가 300m 이상 떨어져 있다는 것은 천흥사가 당시에 얼마나 큰 사찰이었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고려 태조 왕건과도 관계가 있었다는 천흥사는, 태조 4년인 921년에 창건하여 현종 원년인 1010년에 대대적인 불사를 했음을 알 수 있다.

 

 천년 세월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

 

천흥사지 당간지주는 천년 세월을 지낸 화강암의 석조물치고는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당간지주의 상단은 훼손이 되었지만, 뒤편에 있는 기둥 돌의 선 등은 그대로 나타나 있다. 또한 자주와 지주 사이에 있는 당간을 세우는 받침돌이나, 기단부의 이층 돌들은 상당히 보존이 잘 되어있다. 1010년에 조성을 하였으니, 올 해로 꼭 천년을 서 있었던 셈이다. 이러한 당간지주가 천흥사지에 집들이 들어차면서, 당간지주와 오층석탑이 마을의 집들 가까이 있어 안타깝다.

 

 

천흥사지가 조선시대에 폐사가 되었다고 하지만, 국보인 동종이나 오층석탑, 당간지주 등이 남아있어 역사적으로 소중한 사지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지의 문화재 주변에 있는 민가들이라도 정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문화재 주변이 정리가 되어있지 않아, 또 다른 이차 훼손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