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에 소재한 흑석사. 흑석사는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사찰이다. 오랜 역사를 지닌 흑석사는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폐찰로 내려오다가, 1945년부터 새롭게 중창을 하고 있다. 흑석사는 국보인 목조아미타불 좌상, 보물인 석조여래좌상, 그리고 문화재자료인 마애삼존불 등이 있는 절이다.

 

현재 불사 중에 있는 흑석사는 극락전에는 목조아미타불이, 그리고 경내의 가장 높은 곳에는 마애삼존불과 그 앞에 석조여래좌상이 자리하고 있다. 절 안에 모셔진 부처님들이 모두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곳이다.

 


부처님이 답답하시겠네

 

흑석사 경내를 들어서면 마애불로 오르기 전 좌측에 극락전이 있다. 이 극락전 주위에는 석물들이 있고, 극락전 안에는 국보 제282호인 목조아미타불이 유리 안에 모셔져 있다. 이 목조아미타불의 안에서 발견된 복장유물과 함께 국보로 지정된 아미타불은, 조선조 세조 4년인 1458년에 왕실과 종친들의 시주로 조성된 삼존불 중 한분임이 밝혀졌다. 이 목조아미타불이 처음 있었던 사찰도 흑석사가 아니고, 정암사 법천사라는 것도 복장유물로 인해 알게 되었다.

 

  
극락전에 모셔진 국보 제282호 목조아미타불. 1458년에 왕실과 종친들의 시주로 조성된 삼존불 중 한분이다.


국보를 만나는 마음은 조금은 다른 것 같다. 전문가가 아니니 국보와 보물의 차이점을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복장유물, 보존상태, 전체적인 형태의 생김새, 희귀성 등을 고려한다면 이 석조아미타불은 그 모든 조건을 다 갖추고 있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목조불상의 하나로 평가를 받는 이 목조아미타불은, 높이 72cm, 어깨 폭이 29cm, 무릎 폭 50cm이다. 바라다만 보아도 저절로 마음이 경건해짐을 느낀다.

 

조금은 수척한 듯한 안면과 단아한 모습에서, 그저 알기 쉬운 부처님의 미소를 찾기란 쉽지가 않다. 그러나 앞에 서서 손을 모으고 절을 한 후 올려다본 석조아미타불의 모습은 무엇인가 알 수 없는 따듯함이 배어나오게 만든다. 한참이나 앞에 앉아 마음속으로 간구를 하다가 문득 부처님이 답답하실 것이란 생각을 한다. 소중한 문화재를 보호하는 것은 좋지만, 꼭 저렇게 유리 상자 안에 가두어 놓았어야 할까? 조금은 마음이 편치가 않다.

 

  
보물인 석조여래좌상과 문화재자료인 마애삼존불을 모셔놓은 전각

 

높은 곳에서 중생을 바라보는 석불과 마애불

 

극락전을 나와 조금 위에 있는 전각으로 향한다. 축대를 쌓고 높다라니 모셔진 마애불과 석불이 함께 좌정하고 계시다. 보물 제681호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은 9세기 경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본다. 흑석사 주변에 매몰되어 있던 것을 발굴하여 마애불 잎에 모셔놓았다고 한다. 앞에 문화재 안내판이 없었다면, 아마 이 석불이 근자에 조성된 것으로 착각을 했을 것이다. 그 정도로 상태가 양호하다. 그래서 우리 문화재에 대한 공부는 끝이 없는 것인지. 아무리 열심히 답사를 하고 배워보지만, 그저 답답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전문적으로 공부를 하지 못했다는 것이 늘 아쉬운 부분이다.

 

  
보물 제681호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은 9세기 경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본다


석조여래좌상은 높이 160cm, 어깨 폭 80cm, 무릎 폭 90cm로 전체적인 표현이 안정감이 있다. 이 좌상의 뒤에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55호로 지정된 마애삼존불상이 있다. 커다란 자연 바위에 새긴 이 마애삼존불은 입상으로, 중앙의 본존불과 앙편에 협시불을 모셨다. 그런데 이 삼존불에서 특이한 점을 발견한다. 본존불은 가슴 이하, 협시불은 목 부분 이하를 조각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통일신라 말이나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마애불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자연바위에 조각한 마애불의 앞에는 석조여래좌상이 자리한다

  
마애불의 상단부분. 통일신라 말이나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마애불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마애불을 제외하고는 제 자리를 벗어난 부처님들. 세상에는 '처처불상 사사불공(處處佛像 事事佛供)'이라 했던가? 어디에나 부처님이 계시고, 어느 때나 불공을 드리라는 소리인지. 이 흑석사에 모셔진 부처님들이 모두 문화재라고 해서 세상이 달라질 것은 하나도 없다. 다만 그 믿음이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 그리고 얼마나 인간적인 삶을 사느냐에 따라 세상이 달라질 뿐이다.

 

높은 곳에서 인간들을 내려다보고 있는 흑석사의 부처님들은, 오늘도 세상을 자기 아집으로 살아가는 인간들을 측은함으로 보고 있지나 않을까? 흑석사를 떠나면서 몇 번이고 뒤를 돌아다보게 한다. 난 과연 인간답게 살았는가를 생각하면서.

사자란 갈기를 세우고, 날카로운 이빨을 드러내 보이는 모습을 연상하게 한다. 그러나 그런 사자가 아니라 모나지 않은 얼굴로, 네발을 딛고 상체를 세운 체 앉아있는 모습에서 오히려 친근감이 든다. 홍천군 홍천읍 희망리 홍천읍사무소 앞에 자리하고 있는, 보물 제540호인 홍천 괘석리 사사자삼층석탑의 모습이다.

 

이 탑은 원래 홍천군 두촌면 괘석리에 있던 탑이었으나, 1969년에 이곳으로 옮겨왔다. 2단의 기단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로, 네 마리의 돌사자가 있어 ‘4사자탑이라 부르고 있다. 사사자탑은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제천 빈신사지 사사자 삼층석탑과 경남 한안군 주리사의 탑 등이 유명하다.

 

 

뛰어나지 않고, 소박한 사사자탑

 

홍천 희망리의 사사자 삼층석탑은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안상을 조각하였다. 그 안에는 꽃무늬조각이 장식되어 있어, 이 탑이 고려시대의 석탑이라는 특징이 잘 담겨 있다. 위층의 기단에는 각 모서리에 돌사자 한 마리씩을 두어 넓적한 윗돌을 받치게 하였는데, 이러한 형태가 사사자 삼층석탑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사방을 비스듬히 밖으로 바라보고 있는 사자들이 둘러싸고 있는, 중앙의 바닥과 천장에는 연꽃받침대가 놓여 있다. 아랫면에는 무엇인가 놓여있던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아마 네 마리의 사자가 호위를 하고 있던 석불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상층 기단에 놓인 네 마리의 사자는, 많이 마모가 되어서인지 모나지 않고 오히려 친근한 모습이다.

 

 

강원지역 고려 탑의 형태를 구루 갖춰

 

아래 기단이 네 마리의 사자를 표현하느라 넓게 자리한데 비해, 탑신부는 좁게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는 3단의 받침을 새겼고, 가파른 경사면 탓인지 얇고 밋밋하다. 네 귀퉁이는 살짝 위로 치켜져 올렸으며, 탑의 꼭대기인 상륜부에는 머리장식으로 네모난 노반만 남아 있다.

 

몸돌에는 양 우주를 새겼으며, 지붕돌은 전체적으로 곳곳에 파손된 부분이 있다. 세월이 흘러 닳은 흔적이 보이지만, 대체로 원래의 형태를 잘 보존하고 있는 탑이다. 기단에서 보이는 안상 조각수법과 네 마리의 돌사자, 연꽃받침 및 지붕돌의 3단 받침 등에서 고려시대 후기 강원지역 석탑의 특징이 그대로 나타난다.

 

 

사사자의 중앙에 있던 석불은?

 

49일 오후 6시가 다되어서 홍천읍에 도착을 했다. 마음이 바쁜 탓에 아는 길도 이리저리 돌아야 하다니. 늦은 시간 답사는 괜히 사람의 마음을 분주하게 만든다. 그래도 겨울보다는 해가 한결 길어지는 바람에, 조금은 느긋하다.

 

괘석리 사사자 삼층석탑을 볼 때마다 아쉬운 점은, 바로 네 마리의 사자가 호위를 하고 있던 무엇이다. 그 중앙에 보면 자국이 나 있는데, 도대체 어떤 석불을 모셨던 것일까? 그에 대한 기록을 찾을 수가 없으니 답답하기만 하다. 아마도 지장보살을 그 안에 모셨던 것은 아니었을까?

 

 

탑의 주인이 된다는 사사자 삼층석탑의 중앙에 모셔졌던 석불. 앞으로 이 사사자 삼층석탑을 몇 번을 더 만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그 안에 혹 네 마리의 사자가 호위를 하던 석불의 존재를 알아낼 수 있으려는지. 온전치 못한 문화재를 만날 때마다 늘 가슴 한편이 허전하다.


전북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에 가면 견우직녀가 된 석불입상이 서 있다. 200m의 거리를 두고 마주하고 있는 이 석불입상은 일 년에 단 한 번 12월 해일 자시에 만난다고 한다. 두 석불은 일 년간의 회포를 풀다가 새벽 첫 닭이 우는 소리가 나면 제 자리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이 석불입상은 석불이라기보다는 마을 입구에 세우는 장승이나, 묘 앞에 서 있는 석인과도 같은 모습이다. 다만 이 석불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머리에 4각형의 높은 관과 보개를 쓰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보물 제46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석불입상을 보기 위해 비가 부슬거리는 날 길을 나섰다. 익산 왕궁리 터와 1km 정도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왕궁리 석탑도 볼 겸 겸사겸사 길을 나선 것이다.

 

빗길에 만난 고도리 석불입상

 

부슬거리는 비를 맞으며 서로 마주하고 서 있는 두 기의 석불입상. 보기만 해도 마음이 찡하게 만든다. 서로 마주하고 있는 석불입상이 어떤 이유에서 이렇게 멀리 있게 되었는지는 몰라도, 마을에서는 예전에 이곳에 커다란 수문이 있어, 수문의 허를 보완하기 위한 방편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정도의 거리에 수문의 허를 막았다고 보기에는 맞지가 않다. 그런 커다란 수문이 있었다면 아직도 흔적이 있었을 것이다. 또한 수문의 허를 보완하기 위해 석불입상을 세웠다는 것도 이해가 가질 않는 부분이다. 만일 그렇다고 하며 이 석불입상은 불상이기보다는 석장승으로 보아야 타당하다. 아마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이 두기의 불상이 옥룡천을 사이에 두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두기의 석불입상은 견우직녀처럼 일년에 단 한 번 12월 해일 자시에 만난다고 전해진다.
  
사다리꼴의 화강암에 지극히 절제된 수법으로 표현을 하였다. 눈은 가늘게 떴으며 입은 약간 벌리고 있어 웃는 상이다.

 

두 석불입상이 부부라는데

 

높이가 4,24m에 화강암 세로 사다리꼴로 조성이 된 이 석불입상은 마을 안쪽에 있는 서 있는 불상이 여성이고, 왕궁리 쪽으로 서 있는 것이 남성이라고 한다. 두 기의 석불입상은 조각을 한 수법이 동일하다. 사다리꼴의 몸체에 팔이 따로 없으며, 마주한 두 손을 깍지 낀 모양만 주변을 파서 돋을새김한 것처럼 조각을 하였다. 웃음을 띤 얼굴은 두 눈이 가늘게 표현을 하였고, 입은 약간 벌어져 있다.

 

전체적인 모습으로 보아서는 석불이라기보다는 마을의 수호신의 역할을 하는 석장승에 가깝게 표현이 되었다. 다만 고려시대에 들어서면서 석불의 조각기법이 표현을 절제하고 있기 때문에, 고려시대의 석불입상으로 추정하고 있다.

 

  
남 석불입상과 마주하며 마을 안쪽에 서 있다.

 

두기의 마주하고 있는 석불입상. 부슬부슬 내리는 비가 흡사 두 석불입상의 마주하고도 만나지 못함을 안타까워하는 듯하다. 올 12월 해일에는 동고도리에 가서 두 석불입상의 해후를 보아야겠다는 미련한 생각을 하면서 돌아선다. 아마도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이렇게 이별이라는 아픔을 수도없이 보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 아픔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금강산의 한 봉우리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절의 앞 계곡으로 맑은 물을 보낸다. 그 위에 석재로 된 다리는 우리나라의 많은 홍예교 중에서도 아름답다고 소문이 나 있다. 보물 제1336호인 능파교’. 이름만으로도 충분히 아름다운 이 다리는,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냉천리 38 ~1 건봉사 경내로 들어가는 다리이다.

 

다리가 있는 곳은 신라 법흥왕 7년인 520년에 아도스님이 창건을 해 원각사라고 이름을 붙였다는 절이다. 그 뒤 신라 말에 도선국사가 절 서쪽에 봉황새처럼 생긴 돌이 있다고 하여, 서봉사라고도 불렀다. 현재의 명칭인 건봉사는 고려 공민왕 7년인 1358년에 나옹스님이 붙인 이름이다.

 

 

여러 번 수난을 당한 능파교

 

1월 6일 찾아간 고성에서 만난 다리. 능파교는 건봉사의 대웅전 지역과 극락전 지역을 연결하는 무지개 모양의 다리이다. 다리는 한 칸의 홍예를 조성한 것으로는, 그 규모가 상당히 규모가 크다. 폭이 3m에 길이는 14.3m에 이른다. 다리 중앙부의 높이는 5.4m이다.

 

능파교는 조선 숙종 34년인 1708년에 건립된 능파교신창기비(凌波橋新創記碑)가 남아있어, 축조된 시기 및 내력에 관해 자세히 알 수 있다. 비문에 따르면 숙종 30년인 1704년부터 숙종 33년인 1707년 사이에 처음으로 축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영조 21년인 1745년에 대홍수로 인해 붕괴가 된 것을, 영조 25년인 1749년에 중수하였다. 고종 17년인 1880년에 다시 무너져, 그 석재를 대웅전의 돌층계와 산영루를 고쳐 쌓는데에 이용하기도 하였다.

 

2003년에는 능파교 홍예틀과 접하는 호안석 중 변형을 해체하여 원형을 찾아 보수를 하였다. 그러나 보수를 하던 중에 능파교가 훼손되어, 문화재 전문가의 도움으로 200510월에 원형 복원을 하여 오늘에 이른다.

 

 

뛰어난 조형미를 보이는 홍예교

 

능파교는 다리의 중앙부분에 무지개 모양의 홍예를 틀고, 그 좌우에는 장대석으로 쌓아서 다리를 구성하였다. 홍예는 하부 지름이 7.8m이고 높이는 기석의 하단에서 4.5m이므로, 실제 높이는 이보다 조금 더 높다.

 

지난 410일 고성지역을 답사하면서 찾아간 능파교. 아직 이른 철이기는 해도 많은 사람들이 능파교를 지나 대웅전을 향하고 있다. 능파교 밑으로 흐르는 물은 맑기만 하다. 주변에는 산수유가 망울을 터트려 사람들을 즐겁게 만든다.

 

능파교의 교각 밑으로 들어가 본다. 밑에서 바라보니 능파교의 양편으로 삐죽이 고개를 내민 산영루의 처마가, 마치 능파교에 날개를 달아놓은 듯하다. 장대석으로 고르게 쌓은 홍예를 바라보고 있자니, 과거 석재를 이용한 조상들의 조형술에 감탄이 절로 터져 나온다. 어떻게 이렇게 반듯하니 돌을 쌓아올려 서로 버티는 힘을 이용할 수가 있었을까?

 

 

수많은 사람들이 그 다리를 지나 대웅전을 향하고 있지만, 그 많은 무게를 버틸 수 있도록 축조를 하였다니 그저 놀랍기만 하다. 다리 밑으로 흐르는 맑은 물에 손을 넣어본다. 폐부 깊숙이 한기가 전해진다. 한 여름에도 이곳은 물이 차가워 오래 물속에 있지를 못하는 곳이다. 그만큼 자연이 살아 숨 쉬는 곳이기도 하다.

 

석재를 이용해 조성한 다리 하나가 갖는 의미. 그저 다리라는 것이 사람들이 건너기 위한 조형물이려니 생각을 하겠지만, 그 다리가 결코 자연을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과거 우리의 모든 건축물은 결코 자연을 넘어선 적이 없다. 그것이 자연과 인간이 하나가 될 수 있는 방법이었기 때문이다.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 산11에 자리하고 있는 청계사. 2012년 첫 답사를 청계사로 정하고, 오후에 길을 나섰다. 청계사에는 조선조 때의 유명한 종장인 사인비구가 주조한 사인비구 동종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사인비구의 종은 보물 제11호로 지정이 되어있으며, 청계사 동종은 보물 제11-7호로 지정이 되었다.

 

경기도 문화재재료 제6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청계사는, 신라시대에 처음으로 창건이 되어 고려 충렬왕 10년인 1284년에 크게 중창이 되었다고 한다. 조선조 연산군이 도성 안에 절을 폐쇄하였을 때는 봉은사를 대신하여 선종의 본산으로도 정해졌던 절이다. 청계사에 소재하고 있는 동종에 보면, 현재의 청계산은 숙종조 당시에는 ‘청룡산’으로 불렀다고 적고있다.

 

 

주종장 사인비구의 독특한 동종

 

사인비구는 18세기의 뛰어난 승려이자 종을 만드는 장인이다. 사인비구는 전통적인 신라 종의 제조기법에, 자신만의 독창성을 합친 종을 만들었다. 현재 보물 제11호로 지정된 8구의 사인비구의 범종은, 각기 독특한 형태로 제작이 되어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며 전해지고 있다. 청계사 동종도 그 중의 하나이다.

 

사인비구의 동동 중에서 초기 작품세계를 엿볼 수 있는 것은, 보물 제11-1호인 포항 보경사 서운암의 동종이다. 서운암 동종은 종신에 보살상이나 명문이 아닌, 불경의 내용을 새긴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보물 제11-2호 문경 김룡사 동종과 제11-3호 홍천 수타사 동종은,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를 딴 종과는 다르게 독특하게 표현했다.

 

 

전통적인 신라 범종 형태로는, 보물 제11-4호인 안성 청룡사동종과, 제11-8호로 지정된 강화 동종이 있다. 보물 제11-6호로 지정이 된 양산 통도사 동종은 팔괘를 문양으로 새겨 넣어 딴 사인비구의 종과는 다른 모습이다. 용뉴 부분에 두 마리 용을 조각한 보물 제11-5호인 서울 화계사 동종과, 보물 제11-7호인 의왕 청계사 동종이 있다.

 

사당패의 내력을 적은 시인비구 동종

 

사인비구 동종의 면문에는 사당패가 언급되어 있다. 이는 조선조 후기에 사찰의 경제적인 면에 유랑집단인 사당패가 깊숙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랑집단은 조선조 말에는 ‘절걸립’이라고 하여, 절에서 발행한 신표를 갖고 걸립을 하기도 했다. 아마도 청계사의 동종을 주조할 당시에도 이러한 사당패의 도움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청계사 동종은 청계사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한 때 서울 봉은사로 이전되었다가 다시 돌아왔다. 이 청계사 동종은 사인비구가 명간, 계일, 여석, 수강, 귀선, 임선 등과 함께 60세 이후에 제작한 종이라고 명문에 기록하고 있다. 전통적인 특징을 벗어난 이 종은 사인비구의 또 다른 주종의 형태를 볼 수 있다.

 

쌍룡으로 조성한 용뉴

 

청계사 동종의 특징은 종을 매단 용뉴를 쌍룡으로 조성을 하였다는 점이다. 이런 쌍룡으로 용뉴를 조성하는 것은 중국 종의 특징이기도 하다. 대개는 용뉴에 음통을 만들어 함께 붙이지만, 청계사 동종은 음통을 두지 않고 공기구멍을 뚫어 소리를 조절한 것으로 보인다.

 

 

종신에는 상대와 하대에 굵게 두 줄로 띠 장식을 둘렀는데, 상대에는 당초문으로 하였으며 하대에는 보상화문을 둘렀다. 상대 밑으로는 유곽을 내었으며 9개의 꽃에는 중앙에 유두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그 유곽의 사이에는 보살상을 새겨 넣었다. 유곽의 아래에는 시주자들의 이름 등을 명문으로 적어 넣었다.

 

사인비구의 다양한 주종형태를 볼 수 있는 동종. 그 중에서도 청계사 동종은 또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는 동종이다. 그 소리가 얼마나 아름다운지를 들을 수 없음이 아쉽기도 하지만, 종의 아랫부분에 깨진 듯한 흔적이 보인다. 오랜 세월 인간의 억압된 영혼을 번뇌에서 구하기 위해 울렸을 청계사 동종이, 더욱 소중하게 느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