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3에 소재한,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3호인 성주사지석등 (聖住寺址石燈)’. 성주사지 내에 소재한 보물 제19호인 성주사지 오층석탑 앞에 놓여있는 8각 석등이다. 이 석등은 석탑 앞에 각 부분이 흩어져 있던 것을, 1971년 석탑을 수리하면서 현재의 자리에 세워 둔 것이다.

 

불교중앙박물관 관장이자 문화재위원인 흥선 스님은 절 안에 놓는 석등에는 불타, 진리, 지혜의 상징, 공양물 등 어둠을 밝힌다는 의미와 기능이 복합적으로 담겨 있다고 했다. 사찰마다 만나볼 수 있는 석등은 대개 대웅전이나 탑 앞에 자리하고 있다. 성주사지의 석등은 중문 터를 들어서 가장 먼저 만나게 된다.

 

통일신라시대의 석등

 

석등의 형태는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3단을 이루는 받침을 두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성주사지의 석등 역시 머릿돌 아래 불을 밝히는 화사석을 두고, 그 밑에 화사석을 받치고 있는 간주석과 받침돌로 이루어졌다.

 

성주사지의 석등은 하나의 돌로 다듬어 놓은 바닥돌과, 받침의 아랫부분은 그 윗면에 연꽃무늬를 둘렀다. 아무런 조각이 없는 가운데기둥인 간주석은 가늘고 긴 편이다. 위 받침돌은 맨 아래의 받침을 거꾸로 놓은 듯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팔각의 화사석은 불빛이 퍼지도록 4면에 창을 내었다. 지붕돌은 밑면에 1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낙수면의 경사는 완만하다.

 

 

단아한 자태를 지녀

 

높이 220cm 정도인 이 석등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화사석에 마련된 창의 주변에 창문을 걸기 위한 구멍의 흔적이 없는 점이나, 가운데기둥이 가늘고 길어 전체적인 균형이 잘 맞지 않는다. 하지만 군더더기가 없는 단아한 자태로 조성이 되어있어, 보는 이들로 하여금 부담이 없게 조성되었다.

 

106일에 찾아간 보령시. 그 첫 번째로 만난 성주사지의 석등은 마음 편하게 답사를 할 수 있는 문화재였다. 여러모로 따져보기 위해 고민을 할 필요도, 이것저것 생각할 필요도 없는 문화재였다는 생각이다. 한 가지 이 석등의 시기가 불분명하다는 것은 아쉽다. 보령시의 석등 안내판에는 통일신라시대에 조성이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비해, 문화재청 안내판에는 뒤편의 오층석탑 보다 조성시기가 늦은 조선조 것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문화재청 안내자료까지 오류를 범해

 

그런데 문화재청의 자료에 오류가 보인다. 시기는 통일신라시대라고 기술하고, 설명에는 조선조의 것이라고 한다면 도대체 어느 것이 맞는 것일까? 문화재청은 우리나라 문화재를 보호, 관리해야 하는 최고의 기관이다. 당연히 모든 문화재에 대해 꼼꼼히 따져보고, 그것을 관리, 감독할 의무를 지닌 곳이다.

 

그런 문화재청의 자료에서부터 오류가 발생한다면, 도대체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는 누가 지켜가야 하는 것일까? 많은 자료를 정리하다가 보면 실수를 저지를 수도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이런 지정 문화재 안내 하나 제대로 관리를 하지 못한다면, 굳이 문화재청이라는 존재가 필요는 한 것일까? 철 지난 자료사진, 설명의 오류, 준비 중에 있다는 메시지. 우리 문화재청의 현주소이다. 참담하기 이를 데 없다.

 

문화재청의 홈페이지 성주사지 석증에 관한 문화재 설명이다. 분류에는 시대가 통일신라로 표기되어 있는데 설명은 조선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성주사지 안내판에는 통일신라로 되어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