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원군에서 역모로 몰려 사약을 받고, 그 뒤 부관참시까지 당하는 수모를 당했다면 참으로 기구한 운명이라고 밖에는 할 수가 없다. 영욕의 세월이란 그런 것인가 보다. 딸이 왕후가 되어 부원군이라는 칭호를 듣던 김제남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연안으로 자는 공언이다. 1602년 둘째 딸이 선조의 계비인 인목왕후로 뽑히자, 연흥부원군으로 책봉이 되었다.

 

‘역사는 사람을 만든다.’ 하지만 헛된 꿈에 사로잡힌 사람들은, 사람이 역사를 만든다는 착각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여기 역사가 사람을 만든 주인공을 만날 수가 있는 곳이 있다.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2차선 도로 길가 안쪽에 있는 신도비는, 그러한 슬픈 역사의 주인공을 말하고 있다.

  

슬픈 역사의 주인공 김제남

 

원주 법흥사지로 들어가는 길목 오른편에는 높이 35m에 둘레 6m, 수령 500년인 보호수로 지정된 느티나무가 서 있다. 그리고 그 옆에 쓸쓸히 서 있는 신도비 1기가 자리를 한다. 현재는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1호로 지정이 된 김제남의 신도비다.

 

 

신도비란 묘역에 세우는 일종의 비석이다. 그러나 아무나 신도비를 세울 수는 없다. 임금이나 2품 이상의 벼슬을 지내야만 세울 수가 있는 것이다. 대개 무덤 동남쪽에 세우는 이 신도비는 그 품계가 아니라고 해도, 저명한 공신이나 유학자의 경우에는 왕명에 의해서 세우기도 했다.

 

역사가 그를 놓아두지 않았다

 

‘권불십년(權不十年)’ 이라 했던가. 1602년 연흥부원군으로 책봉이 되고, 광해군 5년인 1613년에는 이이첨 등에 의해 인목왕후의 소생인 영창대군을 세자로 추대하려 했다는 모함을 받아, 사약을 받고 세 아들과 함께 죽음을 당했다. 1616년에는 인목왕후의 폐모론이 일자, 다시 부관참시를 당하는 불운을 겪었다.

 

‘부관참시(剖棺斬屍)’는 이미 사망한 사람이 죽은 후에 큰 죄가 드러났을 때 처하는 극형으로, 무덤에서 관을 꺼내어 시신을 참수하는 것으로 사람을 두 번 죽이는 형벌이 아니던가. 그리고 ‘인간만세 새옹지마’라는 말이 있듯,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후인 1623년, 인조반정 으로 관작이 복구되고, 왕명으로 사당이 세워졌으며 영의정으로 추증이 되었다. 그래서 역사가 사람을 만드는 것이지, 결코 사람이 역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머리를 뒤로 돌린 귀두, 세상이 보기 싫었을까?

 

김제남의 신도비는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구조이다. 받침돌의 거북머리가 비를 바라보듯 뒤를 향하고 있으며, 머릿돌에는 구름 속을 헤치는 용의 모습이 가득 새겨 있다. 많은 신도비를 보았으나, 거북의 머리가 비문를 바라보듯 고개를 뒤로 돌리고 있는 것은 보질 못했다.

 

그런데 왜 이 신도비의 거북이는 머리를 돌리고 있을까? 그것은 아마 우리 후대들에게 주는 교훈인지 모르겠다. 즉 개구리 올챙이 시절을 잊어버리지 말고, 지나온 어려움의 발자취를 돌아보라는 뜻인가 보다. 그것이 아니라면 세상의 모든 영화를 고개를 돌리고, 보지 말라는 뜻은 아닐까?

 

이 신도비를 보면서 참으로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그리고 이 신도비가 우리에게 주는 역사의 교훈이 너무나도 이 시대에 걸 맞는 듯도 하다. 2차선 도로 길 건너에 있는 사당인 의민사는 1923년 세워졌으나, 그 후 두 차례에 걸쳐 소실이 되었다. 현재의 사우는 1965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김제남의 신도비가 주는 역사의 교훈, 우리는 그 의미를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일이 넘게 계속된 찜통더위. 그 찜통더위가 기승을 부리던 8월 4일에 찾아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에 소재한 사적 고달사지. 그곳에서 난 땀을 비오 듯 흘리면서도 그늘을 찾아갈 생각을 할 수가 없었다. 바로 보물 제6호인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때문이었다. 바람 한 점 없는 날 찾아간 고달사지에서, 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원종대사는 신라 경문왕 9년인 869년에 태어나, 고려 광종 9년인 958년에 90세로 입적을 하였다. 광종은 신하를 보내어 그의 시호를 ‘원종’이라 하고, 탑 이름을 ‘혜진’이라 추시하고 대사의 진영일정을 그리게 하였다. 이 탑비는 대사가 입적 후, 17년 뒤에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벌써 몇 번째 찾아간 탑비, 그런데 이럴 수가

 

이 비는 몸돌은 무너져 내려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져 있으며, 이곳 고달사지에는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만 남아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비문에는 원종대사의 가문과 출생, 행적, 그리고 고승으로서의 학덕 및 교화, 입적 등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다고 한다.

 

몸돌인 비문을 볼 수가 없어 매번 갈 때마다 아쉬움이 컸던 원종대사탑비였다. 언제가 답사를 함께하던 동료 한 사람이, 도대체 왜 그렇게 갈 때마다 사진을 많이 찍어대느냐고 물은 적이 있다. 하지만 내가 이렇게 세세하게 사진을 찍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다. 시간이 흐른 다음에 혹 무엇이 변하지는 않았는가를 비교해 보기 위해서이다.

 

 

 

 

이번에도 다를 바가 없다. 탑비의 구석구석을 살펴보며 한 장씩 찍어댄다. 40도를 육박하는 땡볕에서 사진을 찍다가보니, 이미 몸은 땀으로 다 젖어버렸다. 얼굴과 등에서는 연신 땀이 흘러내린다. 닦을 엄두도 나질 않는다. 그런데 그렇게 사진을 찍다가 그만 몸이 굳어버렸다. 이걸 왜 보지 못했을까? 지난번에는 제대로 잘 찍었었는데.

 

배워도 배워도 끝이 없는 문화재 이야기

 

받침돌의 거북머리는 눈을 부릅떠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데, 눈 꼬리가 길게 치켜 올라가 매우 험상궂은 모습이다. 이 비에 조성된 거북의 머리는 험상궂은 용의 머리에 가깝고, 목이 짧고 앞을 똑바로 바라보고 있는 점. 머릿돌인 이수의 표현이 격동적이며 소용돌이치는 구름무늬의 번잡한 장식 등이,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전기로 진전되는 탑비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귀두의 이는 큼지막하니 두텁게 표현을 하였고, 콧구멍을 크게 뚫렸다. 영화에서처럼 이 콧구멍에서 불이라도 뿜어대는 것일까? 눈썹은 짙고 굵게 표현을 하였으며, 왕방을 눈은 금방이라도 사람에게 위압을 줄 것만 같다. 귀두를 살펴본 후 그 위에 비문을 올려놓았던 장방형의 비좌를 살펴본다.

 

비좌는 받침돌과 일석으로 조성을 하였으며, 이중의 육각형 벌집 모양이 정연하게 조각된 귀갑문을 중앙부로 가면서 한 단 높게 소용돌이치는 구름을 첨가하여, 비를 끼워두는 비좌를 돌출시켰다. 그런데 지난번에도 그랬고, 그 이전에는 이 비좌를 놓치고 말았다. 비좌에 새겨놓은 문양을 돌아보다가 그만 굳어버리고 만 것이다.

 

 

 

이렇게 더위먹고 내가 제대로 살 수는 있을까?

 

꽃과 구름문양을 새겨 넣은 비좌의 밑면에도 세세하게 조각을 해놓았다. 그저 지나치기 쉬운 부분인데도 불구하고, 그 섬세함에 눈을 떼지 못한다. 그리고 이수를 보다가 ‘아’하고 탄성을 지른다. 몸을 꼬아 용트림을 하는 조각의 놀라움이다. 어찌 그리도 섬세하게 표현을 해 놓았을까?

 

 

그 뿐만이 아니다. 지금까지 그저 겉으로 보이는 것만을 보아왔던 것이다. 비좌의 밑에도 이수의 밑에도 아름답게 조각을 한 문양들. 그런 것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저 그렇게 멍하니 넋을 잃고 있는 사이, 더위는 더욱 기승을 부린다. 그렇게 꽤 시간이 흘렀다. 정신을 차려 걸음을 옮기면서 되뇐다.

 

“이 문화재 때문에 아무래도 내가 제 명대로 살지 못할 수도 있을 텐데”

문화재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그 문화재에서 기운을 얻고는 한다. 언젠가 문화재 답사를 하다가 만난 노스님 한 분이 이런 말씀을 하셨다. ‘자네는 그렇게 천년이 지난 것들을 보고 다니니, 그것에서 나오는 기운을 많이 받을 것이네’라는 말씀이셨다. 아마도 그런 기운이 답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517-2에는 강원도 문화재 자료 제45호인 흥법사 터가 있다. 이 흥법사 터에는 보물 제463호인 진공대사 탑비 귀부 및 이수와 제464호인 흥법사지 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이 중 진공대사 탑비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활약한, 진공대사(869∼940)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비문이 새겨진 탑비의 몸돌은 깨어진 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놓아, 이곳에는 비의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만 남아 있다.

 

 

뛰어난 조각기술이 돋보이는 받침돌인 귀부

 

진공대사는 장순선사 밑에서 승려가 되었으며, 당나라에서 수도하고 공양왕 때 귀국하여 왕사가 되었다. 신라가 망하고 고려의 건국 후에는, 고려 태조 왕건이 그의 설법에 감응하여 스승으로 머물기를 원하였다. 그러나 진공대사는 이를 사양하고 소백산으로 들어가 수도하였다. 고려 태조 23년에 입적하니 태조가 손수 비문을 짓고, 최광윤이 당나라 태종의 글씨를 모아 비를 세웠다.

 

탑의 몸돌이 없어져 받침인 귀부 위에 머릿돌인 이수를 올려놓은 형태로 있는 진공대사 탑비 귀부 및 이수. 거북의 몸에 용머리를 한 고려 초기의 특이한 형태를 보이는 이 귀부는 용머리의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다. 귀의 옆에는 물고기의 아가미가 벌어진 것처럼 펼쳐져 있으며, 귀는 위로 솟아 있다. 용의 머리 위에는 네모난 구멍이 나 있는데, 이 구멍은 용 뿔을 조각해서 끼웠던 것으로 보인다.

 

 

 

 

앞 뒤 네발로 바닥을 힘차게 딛고 있는 형태로 조각이 된 발은, 동적인 힘을 느낄 수가 있다. 목은 짧은 편이며 거북의 등껍질 무늬는 정육각형으로, 만(卍)자 무늬와 연꽃을 새겨 넣었다.

 

머릿돌의 조각솜씨 보고 절로 탄성이

 

비의 몸돌이 없어져 귀부 위에 이수만 얹혀 있는 진공대사 탑비의 머릿돌. 앞면 중앙에는 <진공대사>라는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고, 그 주위에는 구름 속을 요동치는 용을 조각하였다. 머릿돌에는 모두 여섯 마리의 용이 새겨져 있다. 중앙으로 용 두 마리가 서로 무섭게 노려보고 있고, 양편에 밖을 주시하고 있는 각각 한 마리씩의 용이 있다. 뒤편으로도 양편에 한 마리씩의 용이 있어, 전체적으로 네 마리의 용이 사방을 주시하고 있는 형태이다.

 

 

 

이 이수의 형태는 웅장한 기운이 넘치면서도 섬세하게 조각되어, 당시의 높은 예술수준이 엿보인다. 돌로 만든 조각품이면서도 생동감이 넘치는 진공대사 탑비의 받침돌과 머릿돌.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는 비의 몸돌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깨져있어 부분적으로 비문을 알아보기가 힘든 상태라고 한다. 그러나 그 비문에는 진공대사의 생애와 업적 등이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흥법사지 정비 아쉬워

 

원주 지정면에서 다리를 건너 양평군 양동 방향으로 가다가 보면, 좌측으로 문막으로 빠지는 새로 난 길이 있다. 이 길로 접어들어 조금 가다가 우측으로 난 소로 길로 따라 들어가면 흥법사지가 있다. 현재 흥법사지에는 보물인 삼층석탑과 진공대사 탑비 귀두와 이수만이 덩그러니 놓여있다. 주변을 살펴보면 여기저기 주춧돌이었을 석물들도 보인다.

 

 

 

 

탑 옆에는 누군가 밭을 일구었고, 막 쌓은 축대 주변에도 모두 밭을 개간했다. 조성된 석물로 보아 한 때는 많은 사람들이 찾았을 흥법사지. 그러나 이렇게 오랜 세월 방치가 되어있다는 것이 마음 아프다. 두 기의 뛰어난 보물이 서 있으면서도 아직 제대로 정비조차 되어 있지 않다. 진입로나 주변이 속히 정비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들어 우리 문화재의 우수함을 느낄 수 있도록.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번지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서 있는 보물 제928호는, 조선 광해군 때 세워진 사리탑과 그 안에서 발견된 여러 사리장치들을 일괄 지정한 것이다. 사리탑 1기와 탑 안에서 발견이 된 6물 6점을 지정하였다. 이 사리탑은 영원히 우리 땅에서 볼 수 없었던 것 중 하나이다.

 

보물의 공식 지정 명칭은 ‘남양주 봉인사 부도암지 사리탑 및 사리장엄구’이다. 이 탑은 조선시대의 사리를 모셔 둔 탑으로, 광해군은 왕세자의 만수무강과 부처의 보호를 바라며 봉인사의 부도암이라는 암자에 사리탑을 세우게 하였다. 사리탑에는 승려의 사리를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탑에는 부처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일본으로 건너갔던 보물 사리탑

 

이 사리탑은 1620년경 봉인사 부도암(경기도 남양주군 진건면 송릉리 소재)에 세워졌던 것이다. 일제시대인 1927년 일본인들에 의하여 고베로 반출되고 그 뒤 대판 시립미술관에 보관되었다가, 1987년 2월에 다시 우리나라로 돌아오게 되었다. 이 봉인사 사리탑은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있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조선시대의 유물연구에 기초적인 자료가 되는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높이 3.08m의 사리탑은 8각의 평면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전체의 무게를 지탱하는 기단은 상·중·하의 세 부분으로 나누었고, 그 위로 북처럼 둥근 탑 몸돌을 올려 사리를 모셔 두었다. 8각의 지붕돌을 그 위에 올린 뒤 꼭대기에는 길쭉한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하였다. 보기에도 조선시대의 사리탑 중 걸작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초기 사리탑의 전형

 

이 탑의 뛰어난 조형은 기중돌인 중대석에 새겨진 구름과 당초문양, 꽃잎과 여의주무늬, 상대석 옆면 테두리 속의 당초무늬, 탑신부의 운룡무늬 등에서 새로운 조형적 특색을 엿볼 수 있다. 또한 경사가 급한 지붕에 처마 밑으로 서까래의 흔적을 남기고 있다거나, 윗면에 용머리를 새긴 수법 등은 기존의 사리탑과는 다른 형태이다.

 

상륜부가 길쭉하게 올라간 형태나 왕릉의 호석처럼 주위에 난간과 궁판석을 돌린 방식 등은 이 탑이 곧 조선 초기에 제작된 중원의 청룡사의 사리탑이나, 양주의 회암사의 사리탑을 모방하여 조선 초기 사리탑양식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작연대가 밝혀진 사리탑

 

이 탑의 발견 당시 외합 속에는 명주실과 비단, 향이 남아 있었으며, 은으로 만든 내합의 뚜껑에는 마름모형의 무늬를 볼록 눌러새김의 수법으로 낸 후 그 안에 역동적인 운룡무늬를 장식하고 금박을 입혔다. 그리고 이 합의 밑바닥에는 네 줄의 명기와 함께 '만력 48년 경신 5월(萬曆四十八年庚申五月)의 글귀가 새겨져, 이 유물이 광해군 12년인 1620년에 봉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오사카시립미술관에 전시가 되어있던 이 사리탑은, 1987년 소유자인 이와다 센소의 자발적인 기증 반환으로 되돌아 오게 된 것이다. 이는 ‘해외로 유출된 문화재는 원소유국에 반환되어야 한다’는 유네스코 협약정신에 의해 돌아오게 된 것이다. 수많은 누리의 소중한 문화재를 찬탈해 간 일본인 중에, 이런 양심적인 사람이 있었다는 것에 대해 놀랍기만 하다.

 

 

아직도 제자리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수많은 우리의 문화유산들. 그 역사 속에서 찬연하게 빛을 발했던 문화재들이, 언제나 돌아와 제자리를 지키고 있을 것인지. 제자리를 떠난 문화재들의 빈자리를 볼 때마다 답답함만 더해간다.

경주시 충효동에 있는 김유신묘. 현재는 사적 제21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경주 어느 왕릉보다도 화려하게 조성이 된 김유신묘는 석물과 무덤을 두르고 있는 십이지신상들로 인해 유명하다. 묘의 입구에 서 있는 문은 <흥무문>이라고 현판이 걸려있다. 이는 후에 흥무대왕으로 추증을 받았기 때문이다.

 

제왕의 격식을 갖춘 묘

 

김유신의 무덤은 지름이 30m에 달하는 커다란 규모이며, 봉분은 둥근 모양이다. 봉분 아래에는 둘레돌을 배치하고 그 주위에는 돌난간을 둘렀는데, 둘레돌은 조각이 없는 것과 12지신상을 조각한 것을 교대로 배치하였다.

 

 

 

12지신상은 평복을 입고 무기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몸은 사람의 형체이고 머리는 동물 모양이다. 조각의 깊이는 얕지만 대단히 세련된 솜씨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처럼 무덤 주위의 둘레돌에 12지신상을 조각하는 것은 통일신라 이후에 보이는 무덤양식으로, 성덕왕릉으로 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김유신이 죽자 흥덕왕은 그를 흥무대왕으로 받들고, 왕릉의 예를 갖춰 무덤을 장식한 것으로 보인다. 또 『삼국사기』에는 김유신이 죽자 문무왕이 예를 갖추어 장례를 치르고 그의 공덕을 기리는 비를 세웠다고 전한다. 그러나 현재 그 비는 전하지 않고, 조선시대에 경주부윤이 세운 비만 남아있다.

 

 

 

비에 숨은 비밀, 왜 그랬을까?

 

이 비와 마주보고 서 있는 또 하나의 비. 그 비는 100여 년 전에 세워졌다고 한다. 비에는 <개국공순충장열흥무왕릉>이라고 적혀있다. 그런데 이 비의 맨 아래글자인 능(陵)자가 물에 젖으면 묘자가 나타난다고 한다. 왕으로 추증을 받아 흥무대왕이란 호칭을 받았지만, 김해 김씨들이 관리를 하지 못하는 동안 누군가가 이렇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김유신묘를 찾아간 날은 날씨가 좋아 <묘>자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가 없었다. 관리인인 듯 한 분에게 물을 부어도 되느냐고 했더니, 안 된다는 대답이다. 삼국을 통일하고, 왕으로까지 추증을 받은 김유신. 그러나 어느 시대이건 간에 시시비비를 따지고자 하는 사람들은 있게 마련이다. 하지만 천년이나 지난 세월에, 굳이 그렇게 임금이 아니었음을 강조를 했어야 했을까?

 

 

또 얼마의 세월이 흐르고 난 뒤 또 다른 무슨 일이 벌어질지 아무도 모른다. 참 우리네 인간이란 것들은 참 묘하다. 왜 굳이 그런 일을 벌어야했는지, 하기에 사람은 살아생전 자신의 의지를 굳게 하라고 성현들이 말씀하셨나 보다. 오늘 이 묘비 하나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