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령 400년이 되어가는 역사를 간직한 느티나무 한 그루가 마을의 입구에 서 있다. 이 나무는 여름이면 마을 주민들이 논, 밭일을 할 때 잠시 동안이라도 쉬라고,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준다. 이 나무가 누군가가 속빈 곳에 불을 붙였다고 한다. 그래도 수술을 거쳐 끈질긴 생명을 이어가고 있다.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금산길 42(대안리)에서 자라고 있는 천연기념물 제279원성 대안리 느티나무이다. 말이 수령이 400년 가까이라고 하지만, 그 오랜 시간 동안 역사를 다 보면서 그 자리에 서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마을의 주민들이 10대가 넘게 바뀌는 것을 보아 온 느티나무, 어찌 경외하는 마음이 생기지 않겠는가?

 

 

겉모양으로 만도 압도당해

 

느티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자라서 둥근 형태로 보이며,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원반모양으로 10월에 익는다. 줄기가 굵고 수명이 길어서 쉼터역할을 하는 정자목(亭子木)으로 이용되거나, 마을을 보호하고 지켜주는 당산나무로 보호를 받아왔다.

 

대안천을 따라 난 도로를 대안리 방향으로 따라가다가 보면 대안교가 나온다. 다안교를 지나기 전이나 대안교를 지나 우측으로 길을 잡아 들어가면 좌측 마을입구에 커다란 느티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멀리서 보기에도 쉽게 구별이 갈만큼 거대목이다. 높이가 24m 정도나 되니 원거리에서도 눈에 잘 띤다.

 

 

이 원성 대안리 느티나무는 나이가 400년 가까이 된 것으로 추정되며, 나무의 크기는 높이가 24m, 가슴높이의 둘레가 8.1m, 근원부의 둘레 10.11m, 가지 밑의 높이가 1.7m이고, 수관 폭은 동-26.4m, -21.3m이다. 마을로 들어가는 농로 옆에 서 있는 정자목으로 마을에서 위하고 있는 나무이다.

 

누군가 이 느티나무에 불을 질렀다고?

 

대안리 느티나무는 겉으로 보기에는 튼튼하게 보인다. 수세도 건전하고 수형도 실하다.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지상에서 6m 정도 올라간 부위의 밑 부분이 썩어 들어가서 밑 부분까지 공동(空洞)이 생겼다. 그 뿐만 아니라 누군가 이 비어있는 부분에 불을 질렀기 때문에, 불에 타 탄화된 부분을 1993년 수술을 하였다.

 

 

다행히 수술을 한 후에 수세가 좋아지긴 했지만, 이런 몰지각한 행동을 했다는 것에 노여움이 인다. 수백 년을 한 자리에 서서 마을의 온갖 역사를 다 보고 있었을 느티나무 한 그루. 숱한 비바람과 태풍, 추위를 이겨내고 살아남은 나무들이다. 이런 천연기념물을 해치려고 했다는 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전국의 천연기념물을 돌아보면, 생각 밖으로 피해를 당한 나무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어딘가의 소나무는 땅 주인이 농약을 쳐서 죽이려고도 했고, 수령 500년이 넘은 소나무는 갑자기 이유 없는 고사를 하기도 했다. 고사를 한 나무가 이유가 없지는 않겠지만, 이유를 모르겠다고 한다. 이런 답답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원성 대안리 느티나무. 우리가 꼭 지켜주어야 할 소중한 천연기념물이다. 한 번의 아픔을 당했다면, 더 이상은 이 나무가 아픔을 당하게 해서는 안 된다. 앞으로도 더 많은 세월을 우리 자손들과 함께 살아가야 할 소중한 문화자산이기 때문이다.

강원도 영월군 북면 문곡리 산3번지 일대에는 천연기념물 제413영월 문곡리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가 있다. 영월군 문곡리 연덕천 가 절벽에 있는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약 45억 년 전에 생긴, 오르도비스기 하부고생대 지층에 형성되어 있다.

 

지구는 생성된 이래 지금까지 많은 멸종을 겪어왔다. 지구가 멸종할 때마다 생명이 사라질 위기에 놓이면, 자연은 놀라운 치유력으로 그 멸종을 막아냈다. 그 첫 번째의 대멸종이 바로 오르도비스기이다. 지금으로부터 약 45천 만 년 전에 고생대 대멸종인 오르도비스기가 있었는데, 오르도비스기는 48830만 년 전 캄브리아기 멸종으로 시작해 4460만년 동안 계속되었다.

 

 

오르도비스기는 지질 시대의 하나로, 고생대의 캄브리아기 이후 실루리아기 이전의 시대로 약 44천만 년 전부터 5억 년 전이다. ‘오르도비스(Ordovice)’의 음역어는 오도(奧陶)’이다.

 

희귀한 지질구조인 건열구조

 

영월군 문곡리 연덕천 변 절벽에 있는 건열구조 및 스트로마톨라이트는, 4~ 5억 년 전에 생긴 오르도비스기 하부고생대 지층에 형성되어 있는데, 당시의 퇴적환경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는 학술적 보존가치가 매우 높아, 이를 보존하기 위해 이 일대 205,091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였다.

 

 

건열구조란 얕은 물 밑에 쌓인 퇴적물이 물 위로 나와 퇴적물이 마를 때, 퇴적물이 줄어들거나 오그라들면서 생긴 틈이 그대로 굳어져 형성된 지질구조이다. 이는 이 지역이 과거에 물 밑에 있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귀중한 학술자료가 된다.

 

'스트로마톨라이트(stromatolite)‘는 이 지구상에 출현한 최초의 생물 중 하나인 단세포 원시 미생물(남조류) 위에, 작은 퇴적물 입자들이 겹겹이 쌓여 형성된 퇴적구조이다. 이런 구조는 우리나라에서는 선캠브리아기(7억년~10억 년 전)와 중생대 백악기(1억 년 전)에 형성된 퇴적암에서 아주 드물게 발견되고 있는 희귀한 지질자료이다.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지금도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 계속 생성되고 있는데, 특히 서부 오스트레일리아의 샤크베이에서 많이 자라고 있다. 이들 구조가 발견된 암석은 돌로마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돌로마이트 내에는 바닷물이 증발하면서 형성된 증발암 광물인 석고 결정의 흔적이 남아있다.

 

이 퇴적층은 현재 서해안의 조간대와는 매우 다르다. 이 퇴적층의 형태는 저위도(적도근처) 지역에서 매우 건조한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퇴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천연기념물은 과연 보존이 잘 되고 있을까? 천연기념물의 종류는 다양하다. 천연기념물은 「자연 가운데 학술적, 자연사적, 지리학적으로 중요하거나 그것이 가진 희귀성, 고유성, 심미성 때문에 특별한 보호가 필요하여 법률로 규정한 개체. 창조물이나 특이 현상 또는 그것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일정 구역(다음 백과사전)」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그렇다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식물종류는 과연 잘 자라고 있는 것일까? 오랫동안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문화재 답사를 하다가 만난 천연기념물들. 물론 대개의 천연기념물은 관리도 잘되고 생육상태도 좋았다.

 


 

하지만 그 중에는 관리소홀로 인해 해를 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천연기념물 중에서 울안에 있거나 마을의 신목(神木) 등으로 위하는 나무, 그리고 거목 등은 비교적 관리가 잘 되고 있는 편이었다. 그러나 인가가 없는 곳에 외따로 서 있거나, 작은 나무 종류들은 손쉽게 해를 당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런 것을 보면 우리나라의 천연기념물의 관리, 보존에 문제점이 있지나 않은 것인지 의아스럽다. 
 

독극물에 의해 고사위기에 처했던 곰솔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에 소재하는 천연기념물 제355호 곰솔. 이 곰솔은 원인을 알 수 없는 독극물 투여 등으로 고사위기에 처했었다. 2001년 여름 누군가가 나무 밑 부분에 독극물을 투입해, 전체 가지 16개 중 12개가 말라 죽었다. 관계당국에서는 더 이상의 피해를 막기 위해 2005년 6월, 말라죽은 가지들을 모두 잘라내고 회생 가능성이 있는 4개만 남겨두는 대대적인 수술을 감행했다.

 

2008년 5월 21일 곰솔을 찾았다. 보기에도 안타까운 모습이다. 전주 삼천동의 곰솔은 수령이 약 250년 정도로 추정한다. 높이 14m, 가슴높이의 둘레 3.92m의 크기이다. 이 곰솔은 인동 장씨의 묘역을 표시하기 위해 심어졌다고 전해진다. 답사 당시 주변에 사는 주민들의 이야기로는 이 곰솔이 자라는 땅이 개인 토지라서,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되자 재산 행사를 할 수 없어 이렇게 한 것 같다고 한다. 지금은 주변 땅을 매입해 관리를 하고 있다.

 

외과 수술로 잘라진 부분이 흉물스럽다. 천연기념물의 관리소홀이 빚은 산물이다.

 

잘라진 가지들이 애처롭게 보이는 삼천동 곰솔. 처음부터 땅을 매입한 후 지정을 했다면 아마 이런 아픔은 당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유 없이 고사했다는 강릉 삼산리의 소나무, 석연치 않아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삼산리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350호 삼산리 소나무. 공식적으로 고사판정을 내린 후, 2008년 11월 29일에 유일하게 나무를 위한 천도제를 거행해 유명세를 탄 나무다. 수령 450여년으로 추정되는 삼산리 소나무는 키 21m에 가슴높이 둘레가 3.59m로 1988년 천연기념물 제350호로 지정이 되었다. 이 소나무는 마을의 수호신인 서낭목으로 섬기며 나무 주변에 돌담을 쌓아 정성껏 모셔왔다. 그러나 2006년부터 나뭇잎이 누렇게 마르는 등 고사 위기를 맞아 백방으로 보호를 하기 위해 노력을 하였으나, 끝내 고사를 하고 말았다.

 

  
수령 450년이던 이 소나무는 고사가 되었다

삼산리 소나무에 걸린 저 줄은 무엇일까? 그냥 오르기에는 너무 높은 곳에 걸려있었다. 몇 가닥으로 늘어진 줄은 무슨 용도였을까?

 

 

2008년 9월 4일 삼산리 소나무는 이미 고사가 되어있었다. 강릉시 관계자와 통화를 시도했다. 수명이 다한 것 같다는 이야기다. 그러나 소나무의 수령은 일반적으로 600년 정도이다. 삼산리 소나무의 수령은 450년 정도다. 그렇다면 수명이 다해 고사를 한 것은 아니란 생각이다. 나무를 조사하다가 이상한 것을 하나 발견했다. 나뭇가지에 걸린 줄이다. 꽤 높은 가지에 줄이 걸려있는데, 그 줄의 용도는 무엇이었을까? 아직도 그 줄이 마음에 걸린다. 수명이 다해 고사한 것이 아닌, 또 다른 해는 없었던 것일까?

 

작은 나무들은 불법 채취해가기도

 

2008년 7월 4일, 전라북도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387호 가침박달나무 군락지와, 제388호 산개나리 군락지를 찾아 나섰다. 아무리 설명을 따라 여기저기 찾아보았지만, 식견이 모자라 찾을 길이 없으니 답답하기만 하다. 할 수 없이 임실군에 전화를 해서 담당자가 나와 알려주었다. 그 자리에 하다못해 사진이라도 붙여놓았으면 찾기가 수월했을 것이란 이야기를 했더니, 그러면 불법 채취가 심해 일부러 사진을 안내판에 넣지 않았다는 것이다.

 

전라북도 임실군 관촌면 덕천리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387호 가침박달나무

1914년 처음으로 발견이 되었으며 변종이 없다고 한다.

 

천연기념물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 이곳은 아래쪽으로는 사선대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들르는 곳이란다. 그런데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된 나무들이 작다 보니, 불법으로 채취를 해가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이곳에 관리자를 배치하기도 어렵고, 보호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딱히 없다는 이야기다.

 

천연기념물 제388호 산개나리. 불법 채취가 있다고 한다.

 

세 곳을 돌아보면서 이런저런 이유로 우리의 천연기념물은 과연 온전히 보존이 되고 있을까 의아스럽다. 오늘 문화재청 홈페이지를 검색하다가 보니, 국민광장 국민의 소리 게시판에 제주도에 사시는 분이 자신의 땅 등 주변을 천연기념물로 고지한 것에 대해 땅 주인에게 한마디 상의도 없이 고지를 했다고 항의성 글을 올렸다. 나중에 보니 관리자에 의해 삭제가 됐는지 보이지가 않는다.

 

좀 심한 말을 쓰기는 했지만 천연기념물 지정 고지에 문제는 없는 것인지. 그런 문제 하나하나가 보존에 문제가 된다면, 민원인의 글을 지울 것이 아니라 성실한 답변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소중한 우리의 자산인 천연기념물이 온전히 보존될 수 있도록, 관계당국에서는 더 많은 노력을 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별 뜻 없습니다

쉬지 않고 글을 써 온 블로그

하루 쯤 냅두려고요

그래서 거창하게 파업을 마음 먹었습니다

 

그래도 왜 글을 안쓰지 하실까봐(머 그럴 분들도 안 계시겠지만)

파업 소식이나 전해 드리려두요

대신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나무 들이나 구경하고 가세요 

 

의녀 주논개가 심었다고도 하고, 남편인 최경희가 심었다고도 전하는 소나무. 수령은 약 500년 정도가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397호인 징수 의암송(義岩松)’은 전북 장수군청 청사 입구 앞에 자리하고 있다. 42일 장수군을 답사하면서 가장 먼저 달려가 보고 싶은 곳은, 바로 의암송이 자리하고 있다는 장수군청이었다.

 

장수군청 청사 현관 앞에 서 있는 의암송. 15936, 임진왜란 때 남편인 최경희를 따라 진주로 간 논개. 왜군과의 전투에서 최경희와 7만 민관군이 모두 전사를 하자, 기녀로 신분을 속이고 왜장들의 승전연에 참석을 한다. 그곳에서 왜장 게야무라 후미스케를 끌어안고, 남강으로 몸을 던져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

 

 

장수의 상징인 의암송

 

이 때 논개가 촉석루 아래 바위에서 남강으로 몸을 던진 곳을 의암(義岩)’이라 부르는데, 그 이름을 따서 의암송이라고 부른다. 이 의암송은 1,500년 후반쯤에 장수현감이던 최경희가 심었다고도 하고, 논개가 심었다고도 한다. 누가 심은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나무에 얽힌 뜻이 중요한 것이 아닐까? 이 나무를 장수군민들은 장수를 지키는 수호신으로 섬기고 있다는 점이다.

 

이 소나무에는 논개의 의로운 정기가 깃들어 있다고 하며, 논개의 절개를 상징한다고 한다. 하기에 장수군민들은 이 나무를 신성시한다. 현재 나무가 서 있는 곳은 옛날 장수현의 관아였다. 이곳에서 자라고 있는 의암송을 논개가 심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주논개를 기리는 뜻에서 의암송이라고 부른다는 것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도 무엇이라 할 수가 없다.

 

용트림을 하는 의암송

 

장수군청으로 마음 급하게 찾아갔다. 현관 앞에 당당한 모습으로 서 있는 천연기념물인 의암송. 아래서 한 줄기가 올라오면서 지상으로부터 2m 정도에서 두 갈래가 갈라진다. 줄기는 시계방향으로 뒤틀어져 나선형을 이루고 있다.

 

 

나무의 전체 높이는 그리 높지가 않다. 9m 정도의 높이에 가슴 높이의 둘레는 3.2m 정도이다. 두개의 큰 가지가 남북 방향으로 발달되어 있는데, 북쪽가지의 직경은 80이고 남쪽가지의 직경은 50정도이다. 그 위로 줄기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 마치 우산형과 같은 수관을 이루고 있다.

 

장수군의 사람들은 이 나무를 굳이 주논개가 1592년에 심었다고 이야기를 한다. 아마도 이 나무로 논개의 의로움을 상징하고 싶어서일 것이다. 그런 마음이 있기에 이 의암송이 더욱 당당해 보인다.

 

 

의암송은 마치 승천하려는 용과 같은 형태이다. 연륜이 지나 껍질은 갈라지고, 한편에는 사람 머리만한 옹이도 보인다. 줄기는 뒤틀어진 모습이 말로 형용하기가 어렵다. 어떻게 이런 모습으로 자라났을까? 자연의 오묘함에 감탄을 한다. 연신 속으로 멋지다라는 말만 해댄다. 정말로 그 안에 알지 못하는 기운이 가득한 것만 같다.

 

한 가지는 청사 쪽으로 바라고, 또 한 가지는 중간에서 방향을 바꾸어 구부러졌다. 곡예를 하듯 자라고 있는 장수 의암송. 아마도 저 두 가지에 주논개와 남편 최경희의 마음을 담아 낸 것은 아니었을까? 의암송 곁에서 오래 머물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