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담양군 무정면 면소재지에서 무정초등학교 방향으로 가다가 좌측 안으로 들어가면 봉안리 슬지마을이 나온다. 이 마을에는 높이가 33m 에 수령 500년이 넘는 은행나무가 한 그루 마을 가운데 서 있다. 봉안리 1043~3번지에 소재한 이 은행나무는 천연기념물 제482호이다.

담양 봉안리 은행나무로 명명된 이 은행나무는, 가슴 높이의 둘레는 8.5m 가 넘는 거대한 나무로, 마을 외곽 네 방위에 있는 느티나무들과 함께 마을을 지키는 당산나무로 여겨진다. 봉안리 은행나무는 밑 부분에서 2개의 줄기가 자라고 있는데, 작은 줄기는 근원부에서 발생해 생장한 것으로 보이며, 큰 줄기는 지상 2m 부위에서 11개의 줄기로 갈라져서 무더기로 자라고 있다.

산 위에서 바라본 슬지마을과 마을 한 가운데 서 있는 천연기념물인 봉안리 은행나무 


겉모습만으로도 당당한 은행나무

이 은행나무는 확장된 수관을 형성하고 있으며, 대단히 장엄하게 보인다. 당당한 풍채의 수형을 자랑하고 있는 은행나무는 암나무로, 가을철이 되면 나무 밑에 떨어진 은행이 상당량이 쌓인다고 한다. 실제로 6월 18일 오후에 찾아간 은행나무의 주위에는, 지난 해 떨어져 마른 은행열매가 수북이 쌓여 있었다.

은행나무 밑 그늘에는 마을 여자 분들이 나와 담소를 나누고 있다. 인사를 하고 은행나무에 대해 질문을 해보았다.

“은행나무 밑에 금줄이 쳐져 있네요. 마을에서 제사를 지내나요?”
“예, 정월 보름날 제사를 지냅니다.”
“제 이름은 무엇이라고 하나요?”
“당산제라고 하죠. 여긴 추석 때도 행사를 해요. 구경 와요”


수령 500년이 지난 봉안리 은행나무와 지난 해 떨어져 나무주변에 수북히 쌓인 은행


“이 나무 죽으면 안된 당께”

나무 주변을 돌아보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물었다. 마을 분들은 묻는 대로 대답을 해주신다. 이중의 원형단을 쌓아 은행나무를 보호하고 있는 봉안리 은행나무. 한 분이 말씀을 하시다가 갑자기 큰일이라고 하신다.

“이 나무 이제 죽은 나무에 제사 지내게 생겼어”
“왜요? 나무가 500년이 지났다고 하는데, 왜 죽어요?”
"나무가 죽어가고 있다고 사람들이 그래요. 그래서 위에서 무슨 약을 뿌리더라고“
“약이 아니고 나무에 주는 영양제에요. 죽지 않을 테니 걱정하지 마세요.”




그러고 보니 딴 나무에 비해 잎이 무성히 달리지는 않은 듯하다. 전체적으로는 생육상태는 좋은 듯한데, 위편의 은행잎이 충실치 못한 듯도 하다. 아마도 나무가 오랜 고목이 되다보니, 위편 가지에 생육이 조금 부실한가 보다. 나무의 밑동은 뿌리가 땅 위로 솟아날 만큼 세월의 연륜을 느끼는 고목다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벌들도 공생하는 신령한 나무

봉안리 은행나무는 신령한 나무로 소문이 나 있다. 마을에 전하는 이야기로는 한일합병과 8,15 광복, 한국전쟁 등, 나라에 중요한 일이 일어날 때마다 이 나무가 울었다고 한다. 그래서인가 마을 주민들은 이 은행나무를 상당히 신령하게 여기고 있다. 이 나무가 있어 마을에 지금까지 도적이 들지 않았다는 것이다.





나무를 한 바퀴 돌아가 보니 어디선가 벌들이 날아온다. 가만히 보니 나무줄기가 갈라진 틈에 벌들이 까맣게 달라붙어 있다. 벌들이 그 틈에 집을 지은 것이다.

“은행나무에 벌들이 집을 지었네요.”
“오래되었어요. 꿀이 많을 때는 밖으로 흘러내리기도 하는데”
“한봉들이 많이 사라졌다고 하던데요”
“은행나무 당산님이 벌을 보호하고 있는 것 같아요”

은행나무의 갈라진 틈새에 벌들이 집을 짓고 살아가고 있다.


발들에게 속을 내줄 만큼 속이 넓은 천연기념물. 그래서 오래 묵은 나무는 그 안에 우리가 알지 못하는 무엇인가가 있다고, 어르신들은 이야기를 하시는가 보다. 듣는 소리마다 신기하다. 500년 넘는 세월을 봉안리 슬지마을 사람들과 함께 살아 온 은행나무. 부디 탈 없이 잘 자라기를 바란다. 아마도 마을 주민들의 간절함이 있어. 절대도 별일은 생기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다.

옛 풍습을 지키는 거창군 무촌마을 사람들

답사를 하다가 보면 이런저런 일을 많이 당한다. 마을에 들어가면 길을 묻거나 문화재의 소재를 파악하다가 보면, 어르신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일 수밖에 없다. 아무래도 연세가 지긋하신 분들이 많이 알고 계시기 때문이다. 경남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 무촌마을에 들렸다. 마을에는 경남 기념물 제198호인 수령 400년이 지난 은행나무가 서 있기 때문이다.

마침 무촌마을 은행나무가 서 있는 옆에는 마을회관이 있고, 그 옆에 정자가 있는데 마을 어르신들이 담소를 나누고 계시다. 이 은행나무는 원줄기에서 새싹이 나와 흡사 세 그루의 나무가 모여 있는 듯이 보인다. 가지는 8개가 사방으로 뻗어 자라고 있다. 이 은행나무는 암나무로 가을이 되면 많은 은행을 수확한다고 한다.


무촌마을 마을안에 자리잡은 수령 400년의 은행나무. 이곳에서 당산제를 지낸다. 마을에서는 이 나무를 할머니 당이라고 한다. 정월 보름에 지낸 당제 때 쳤던 금줄이 쳐져 있다.


마을 사방에 당산이 있는 무촌마을

이 은행나무 앞에는 제단이 있다. 돌로 만든 제단의 앞쪽에는 ‘당산제단’이라고 음각이 되어있다. 이 당산을 마을에서는 할머니 당이라고 부른다. 이 할머니 당에는 비린 음식을 제수로 차리지 않는다고 한다. 마을 당제에 대해서 질문을 드렸더니, 어르신들이 굳이 이장님을 찾는다. 마을을 찾아오신 손님들에게 이장이 설명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말씀들을 하시는 것을 보니 마을 이장님보다 윗분들이시다. 그리고 당제에 대해서도 더 많이 아시는 듯하다. 그런데 굳이 이장님을 불러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잠시 후 무촌마을 이민언(남, 68세) 이장님이 정자로 오시고 나서, 본격적인 마을 당제에 대해 들을 수가 있었다. 이장님과 어르신들은 앞장서 마을에 있는 네 곳의 당산을 안내를 해주신다.



당제를 가장 먼저 지내는 할아버지 당으로 오르는 길 양편으로는산죽이 하늘을 가란다. 제단은 두개가 놓여있으며 하나는 산신단, 또 하나는 .주산신제단'이라고 음각되어 있다. 아래편 돌 밑에는 정우러 보름에 당산제를 올린 후 제물로 사용한 돼지머리를 묻는 곳이라고 한다


사람은 자고로 근본이 있어야 해’

마을 산제당이라고 하는 할아버지 당을 찾아가면서 동행을 하시는 어르신께 슬쩍 물어보았다. 왜 꼭 이장님이 오셔서 말씀을 하셔야 하는 가를. 그랬더니 간단하게 대답을 하신다.

“사람은 자고로 근본이 중요한 것이지. 우리 마을의 가장 어른이 이징님 아니신가? 그래서 마을에 대한 이야기를 당연히 이장님한테 들어야 하지”

산제당인 할아버지 당을 올라가면서 계단에 나 있는 풀을 뽑으신다. 할아버지 당 근처에도 금줄을 둘러놓았다. 참나무인 당산나무는 밑동의 둘레가 2m 가 넘을 듯하다. 몇 년이나 묵은 나무냐고 질문을 드렸더니, 아주 오래 되었다는 것 밖에는 알 수가 없다고 하신다.

산제당에는 산신당이라고 쓴 제단이 있고, 그 옆에는 ‘주산신제단’이라고 쓴 돌이 놓여있다. 이곳이 바로 가장 먼저 제를 올리는 할아버지 당이라는 것이다. 이곳에 제를 지낼 때는 돼지머리를 사용하며, 제사를 마치고 나면 그 돼지머리를 땅에 파묻는 다는 것이다. 제단 옆에는 커다란 돌이 보이는데, 그 밑에 돼지머리를 통째로 묻고 내려온다고 한다.


동구당산이라 부르는 아들당산과 대곡천 옆 논둑에 쌓아 올린 며느리당산


돌탑으로 쌓은 아들당산과 며느리당산

할아버지 당을 돌아보고 마을에서 한참이나 떨어져 있는 마을 입구라고 하는 곳에 자리한 아들당산으로 향했다. 아들당산은 우측으로 연수사를 들어가는 길 건너편 산 아래, 돌을 쌓아 만든 누석탑의 형태로 조성을 하였다. 이곳에도 금줄을 쳐 놓았는데, 이 당산을 ‘아들당산’ 혹은 ‘동구당산’이라고 부른다는 것이다.

며느리당산은 마을의 북쪽 대곡천이 흐르는 곁 논둑에 자리하고 있다. 며느리 당산 역시 돌탑을 쌓아놓았다. 네 곳의 무촌마을 당산은 마을을 에워 쌓고 있는 형태로 자리를 잡고 있다. 어르신들은 당산제를 정성을 다해 드린다고 말씀을 하신다. 인근에 있는 마을들도 당산제를 지내지 않다가, 마을에 화가 있어 다시 시작을 하였다고 귀띔을 해주신다.


마을 옆으로 흐르는 대곡천. 예전에는 이곳에서 정월이면 집집마다 용왕고사를 지냈다고 한다. 마을에서 사용하는 당산제 축문. 아들당산의 축문으로 네 곳 모두 축문이 있다.


축관을 지내셨다는 어르신께서 축문을 가져다주신다. 컴퓨터에 저장을 해 놓고 매년 그 해에 맞게 출력을 하여 사용을 하신다는 것이다. 사람은 자고로 근본이 있어야한다고 말씀들을 하시는 무촌마을 어르신들. 이장이 이야기를 해야 한다고 말씀을 하시는 것을 보아도, 이 마을이 얼마나 전통을 중요하게 여기는지를 알 수가 있다. 이런 마음가짐이 있어, 오늘도 무촌마을은 모두가 탈 없이 지내는가 보다.

감악산 연수사. 그 이름만큼이나 어느 오랜 옛날, 꿈속에서 돌아본 듯한 정겨운 이릉이다. 6월 10일, 한 낮의 온도가 대지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시간에, 감악산 연수사를 찾았다.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에 소재하는 연수사는, 해발 951m의 감악산 기슭에 자리한 절이다. 연수사를 찾은 것은 경내에 있는 수령 600년이 지났다는 은행나무가 보고 싶어서이다.

연수사는 신라 애장왕 3년인 802년에, '감악조사(紺岳祖師}‘가 현 사찰 남쪽에 세우려 했던 절이다. 이 연수사의 창건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하고 있다. 감악조사가 절을 짓기 위해 서까래를 다듬어 놓았다. 그런데 잠을 자고 일어나니, 사람의 힘으로는 움직일 수 없는 큰 통나무 기둥이 사라진 것이다.


경상남도 기념물 제124호 연수사 은행나무

서까래가 옮겨진 곳에 터를 잡은 연수사

아침에 주변을 살펴보니 현 연수사 대웅전 자리에 서까래가 놓여있어, 그 자리에 대웅전은 짓고 가람을 이룩했다고 한다. 연수사는 조선조 숙종 시에 벽암선사(1575-1660)가 사찰을 중수하고, 십여 사원을 지어 불도를 크게 일으킨 절이라고 한다. 연수사에는 푸른빛이 감도는 바위 구멍에서 떨어지는 맛 좋은 샘물이 있으며, 극심한 가뭄에도 절대로 마르지 않았다고 전한다.

신라의 헌강왕은 이 샘물을 먹고 중풍을 고쳤다고 전해지고 있어, 연수사의 물이 병 치료에 좋기로 소문이 나 있으며, 이 물은 사철 물 온도가 변하지 않는다고 한다. 현재 이 연수사를 오르기 전에 만나는 일주문을 바라보고, 좌측에 수령이 600여년이 지난 은행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여승이 심었다고 전하는 연수사 은행나무

예전이나 지금이나 애틋한 사랑의 이야기는 언제나 사람의 마음을 설레게 만든다. 연수사 은행나무도 애틋한 세상사의 이야기 한토막이 전한다. 현재 경상남도 기념물 제124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연수사 은행나무. 이 은행나무는 육백여년 전 어느 젊은 여인이 10살 먹은 자신의 유복자와 이별을 하고 비구니가 되면서 심었다고 전해진다.

이 두 모자는 이별을 아쉬워하면서 두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는 것이다. 아들은 전나무를 심고 어머니는 은행나무를 심었는데, 전나무는 1980년 경 강풍으로 부러져 없어지고 은행나무만 남았다는 것이다. 연수사 은행나무는 높이가 38m에, 밑동둘레가 7m나 되는 거목이다. 사방으로 뻗은 가지는 동서로 21m, 남북으로 20m 정도에 이른다.



물맞이 시설, 땀을 흘리며 찾아갔는데

연수사 일주문 곁에 있는 은행나무를 돌아보고 계단을 오른다. 계단 양편에는 누군가 돌탑을 여러 개 쌓아놓았다. 이렇게 돌탑을 쌓은 사람은, 돌 하나를 놓으며 무슨 소원을 빌었을까? 대웅전 우측으로는 호리병에서 물이 흐른다. 아마도 저 샘물이 그 용하다는 물은 아니었는지. 대웅전 뒤편 산비탈에는 크지 않은 산신각이 자리하고 있다.

절을 한 바퀴 돌아 내려와 일주문 앞 암석에 잠시 다리를 뻗는다. 눈앞에 물 맞는 곳이란 이정표가 보인다. 180m. 천천히 걸어 산길로 접어든다. 아름드리 고목에서 딱따구리 한 마리가 나무를 쪼는 소리가 들린다. “딱딱딱딱...” 더운 여름 날 그 소리가 마치 청량음료 한 잔을 마신 듯한 기분이다.

저만큼 강돌로 쌓은 구조물이 보인다. 끈끈한 몸을 물이라고 적실 요량으로 달음질을 쳐 구조물 안으로 들어간다. 한편에는 여탕이라는 간판이 놓여있다. 그 반대편으로 들어가니 입구를 꺾어 안으로 들어가게 조성을 하였다. 당연히 물이 쏟아질 것으로 생각을 했는데, 물기 하나 없이 마른 바닥이 눈에 들어온다. 물을 연결한 물길과 호스가 따로 떨어져 있다.




갑자기 목도 마르고 더위가 몰려온다. 괜히 이마에 땀이 흐르는 듯한 기분이다. 속으로 투덜대면서 돌아 나오는 길에, 저 밑으로 거창시가지가 한 눈에 내려다보인다. 별로 올라온 것 같지가 않은데, 꽤나 지역이 높은가보다. 심호흡을 한 번하고 산길을 돌아 나오니 은행나무가 보인다. 그 오랜 시간 저리고 꿋꿋이 서 있는 은행나무. 순간적으로 화를 참지 못했음이 후회스럽다. 저리도 불평 없이 오랜 세월을 서 있는데, 나는 그 작은 것 하나에도 순간적으로 혈기를 내다니. 또 한 번의 부끄러움에 허한 웃음을 허공에 날린다.


남한강, 참 아름다운 강이다. 예전 기억으로는 이 남한강에서 잡히는 장어를 갖고 요리를 해 파는 집들이, 지금 신륵사 입구에 줄지어 서 있었다. 그러나 팔당댐이 막히고 나서 물길을 이용해 신륵사 앞으로 올라오던 장어들은, 높은 벽에 막혀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그리고 1973년 이후 다시 30년. 이제는 남한강에 세 개의 보를 막는다고 난리법석이다.

그 보 공사를 하기 위해서 신륵사 맞은편에 있는 금모래은모래의 아름다운 풍광은 이제 찾아볼 수가 없다. 금모래은모래는 자연 퇴적층을 이룬 곳이다. 위에서 흐르는 남한강의 물길이 돌아치면서 흙을 날라다가 쌓은 곳이, 바로 여주사람들이 자랑하는 금모래은모래 밭이다. 이곳에서 하늘을 찌르는 숲이 우거져 있어,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곳이기도 하다.


휑하게 파헤쳐진 곳, 슬픔이 밀려와

5월 19일 찾아간 신륵사. 그 곳에서 건너다보이는 금모래은모래는 예전의 정취를 찾아볼 수가 없다. 숲은 어디로 사라졌는지 듬성듬성 조경을 해 놓은 나무들이 눈에 거슬린다. 그리고 아름답던 모래톱은 그저 평평한 볼품없는 꼴로 바뀌어 버렸다. 물이 굽이치는 곳에는 채취한 골재가 산을 이루고 있다.

저 모래산이 바로 남한강의 속살을 다 빼낸 것이려니 생각하니, 한숨만 쉬어진다. 신륵사 전탑을 오르는 길에 만난 수령 600년이 지난 은행나무에게 묻는다.

 


“과연 저것이 강을 살리는 길일까요?”
“.......”
“저렇게 해 놓으면 이 강에서 살아가는 뭇 생명들이 다 잘들 살까요?”
“.......”
“강을 지키겠다고 노심초사 하시던 분들은 다 어디로 가셨을까요?”
“......”


2010 2, 2의 남한강 금모래은모래(신륵사에서 바라본) 아래사진은 2011, 5, 19 의 모습. 숲이 사라졌다

한 마디의 답도 없다. 그저 입을 다물고 살라는 것인지, 아니면 말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인지 알 수가 없다. 600년이 넘는 시간을 신륵사 앞을 흐르는 강을 바라보고 서있는 은행나무. 이 나무는 나옹선사가 덕이 높은 스님들을 찾아 마음을 닦고 불도를 배우고, 중국에서 돌아와 짚고 온 은행나무 지팡이를 심은 것이라고 한다.

나옹스님은 지팡이를 꽂으면서 ‘이 나무가 살면 후일 내가 죽어도 살 것이고, 만일 이 나무가 죽으면 나는 아주 죽은 것과 같다’는 말을 남겼다. 이 나무는 전쟁 통에 수난을 당하기도 했지만, 600년이 넘는 세월을 잘 자라고 있다.

산처럼 쌓인 남한강에서 채취한 골재더미. 속살을 다 빼앗긴 남한강이다.

여강, 금모래은모래.. 이젠 다 옛 이름이 되다

남한강이 흐르면서 여주를 지나면 이름을 ‘여강’이라고 했다. ‘여(麗)’란 곱다는 뜻이다. 그만큼 여주를 가로 질러 흐르는 남한강은 아름다운 강이다. 그 강을 정비를 한다고 꽤나 자연스럽지 못하게 만들어 놓았다. 직강으로 조성을 하면서 한편에는 돌 축대를 쌓는 모습도 보인다. 그런다고 밑에서 오르지 못하는 물고기들이 올라와 산란을 할 수 있을까?

도대체 강은 흐르고 싶은 데로 흐른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그 많은 생명들은 다 이 혼란함 속에서 어디로 간 것일까? 생명이 살 수 없는 강에서 우리 후손들은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강의 속살을 파내 산더미처럼 쌓아놓은 골재들이, 눈앞에 거대한 공룡처럼 보인다.


2010, 3, 28 여강선원에서의 수경스님과 파헤쳐지고 있는 여강선원 자리(아래)

달라진 여강, 이제는 금모래은모래도, 여강도 사라져버렸다. 그리고 ‘수경스님’이 강을 지키겠다고 건강을 해치며 지키고 있던, ‘여강선원’의 자리도 다 파헤쳐지고 있다. 이제는 무엇에 마음을 담고 살아야할지.

은행나무는 천년을 사는 나무로 유명하다. 우리나라에서 제일 오래 묵은 은행나무는 용문사 은행나무로, 그 수령이 1,000~1,500년 사이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높이는 그리 높지 않지만, 나무에 큰 뜻이 새겨진 은행나무 한 그루가 있다. 바로 청주시 중앙공원 안에 있는 수령이 1,000년 가까이 된 은행나무인 ‘압각수(鴨脚樹)'이다.

압각수란 청주 중앙공원 안에 있는 은행나무 이름인데, 잎의 모양이 오리의 발가락을 닮았다고 해서 생긴 이름이라는 설과, 이 나무의 뿌리가 물오리 발처럼 사이가 붙어 있어 생겼다는 설이 있다. 이 나무가 왜 유명하게 되었을까? 그것은 바로 이곳 압각수가 서 있는 장소가 청주목의 객사 문 앞이었다. 그런데 고려 공양왕 2년인 1390년 5월에, 이색, 권근 등 10여명이 이성계의 반대파로 지목되어 청주옥에 갇히게 되었다.


죄 없는 충신들을 살려낸 압각수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고려 공양왕 2년인 1390년에 이초와 윤이가 ‘이초의 난’을 일으켰다. 이초의 난이란 고려 말엽 정선 사람인 이초가 고려말엽 공양왕 때 정5품의 무관직인 중랑장 벼슬을 하였는데, 윤이와 함께 명나라에 있을 때 명나라 황제에게 호소하여 명나라의 힘을 빌려 시중 이성계를 없애기 위하여 모의를 하고 하였다.

그들은 명나라 태조에게 공양왕과 이성계가 군사를 일으켜 명나라를 치려한다고 거짓으로 고하였다. 또한 이를 반대한 이색 등을 살해하고, 우현보 등은 유배하였다고 거짓으로 알렸다. 그때 사신으로 명나라에 머물던 동지 밀직사 조반이 귀국하여 이 사실을 조정에 알리자, 공양왕 2년인 1370년에 이들을 잡아들였다.



천년 세월을 버텨 온 압각수의 밑동
 
그리고 목은 이색, 도은 이숭인, 양촌 권근, 인재 이종학, 우현보 등 충신 10여명을 잡아들여, 청주 옥사에 하옥하는 청주옥사가 일어났다. 이 무렵 청주지방에는 갑자기 집중호우가 쏟아져, 청주성의 민가와 옥사가 침수되었다. 이색 등 옥에 갇혀 있던 충신들은 객사 앞에 서 있는 은행나무인 압각수로 올라가 화를 면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공민왕은 이색 등이 죄가 없음을 증명하는 것이라 하여 이들을 방면하였다. 충청북도 기념물 제5호인 압각수는 수령이 천년 가까이 되었고, 높이는 30m에 밑동의 둘레가 8m에 이른다. 은행나무 앞에는 양촌 권근이 옥에서 풀려난 후 지었다는 시비가 서 있다.



권근의 시비와(위) 압각수의 줄기. 이 줄기에 충신들이 올라가 홍수를 피해 목숨을 건졌다.

근거 없는 소문으로 주 무왕의 아우 주공에게 불행이 미치니
갑자기 큰 바람이 일어 벼를 쓰러뜨렸네.
고려 공양왕이 청주에 큰물이 넘쳤다는 말을 듣고
하늘의 뜻이 예나 이제나 같음을 알았도다.

압각수. 천년을 바라보면서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은행나무 한 그루. 이 나무는 우리에게 참 많은 것을 알려주고 있다. 죄가 없는 사람은 하늘도 그들을 살려낸다는 깊은 뜻을 알려주는데, 이 말은 죄가 있는 사람은 곧 하늘이 벌을 내린다는 말과 같은 뜻은 아닐까? 죄 없는 백성들을 위해 일을 하지 않는 무리들은, 언젠가는 이런 벌이 떨어지는 것은 아닐까? 괜한 생각을 한 것조차 죄스러워, 나무 옆에서 얼굴을 붉힌다.


압각수의 주변에는 축대를 쌓아 보호를 하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