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에서 고려로 넘어오면서 비의 받침돌인 귀부는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 고려 초기의 귀부를 보면 대개 몸은 거북이로 되어있으나, 머리는 용머리를 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더욱 이 용의 형상은 다양하게 표현이 되고 있으며, 이런 다양한 형태의 귀두로 인해 조금은 특이한 형태의 귀부가 제작되어진다.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에 소재한 연곡사에는 많은 문화재가 소재한다. 그 중 국보인 동부도 곁에 서 있는 동부도비는 보물 제15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이 비는 비문인 몸돌은 없고, 뿔이 없는 용을 새겨 넣은 비석의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만이 남아있다. 비문의 형태가 어떠했는지는 알 수가 없으나. 귀부와 이수로 보아서 일반적인 비에 비해 작은 편이다.


특이한 형태의 동부도비

연곡사 동부도비는 일반적으로 보아 온 비의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와는 많이 다르다. 왜 달라 보이는 것일까? 주변을 찬찬히 돌아본다. 그런데 정말로 이해하지 못할 것이 보인다. 거북이의 등에 거북의 문갑대신 무엇인가가 덮고 있다. 좌우를 살펴보니 날개다. 어째서 날개가 거북이의 등을 덥고 있는 것일까?

비와 귀부의 연결부분에는 구름과 연꽃을 조각하였다. 거북이의 머리도 용의 형체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귀부에서 볼 수 있는 것과는 다른 면이 있다. 예술적인 감각이 뛰어난 고려 초기의 귀부와 귀두에 비해, 조금은 용의 모습을 형상화한 간략한 모습이다. 용머리의 코와 입 주면이 훼손이 된 듯하다.


몸돌인 비는 사라지고 받침돌인 귀부(위)와 머릿돌인 이수만 남아있다.

머리 부분에는 가운데 뒤로 젖혀 뿔이 있었을 듯한데, 이것도 훼손이 된 듯 밋밋하게 표현이 되었다. 고려 초기에 보이는 용머리의 볼에는 지느러미와 같은 날개를 편 듯한 조각이 넓게 퍼지는 것이 보통인데, 너무 적어 조악한 느낌마저 든다.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귀부는 무엇인가 숨겨진 비밀이라도 있는 것이 아닐까?

날개를 달고 있는 거북모양인 귀부

앞발은 발톱을 세워 땅을 움켜잡듯 조각이 되었다. 등에 조각한 날개는 중앙부분이 움푹 들어가고 양편이 굴곡지게 조각을 하였다. 그리고 날개에는 선이 그어지고, 위쪽으로는 문양이 그려져 있는데 정확히 무엇을 표현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문제는 이 귀부의 등에 왜 이런 날개를 조각했을까 하는 점이다.


머리는 일반적인 귀두보다 조악하여 발톱은 무엇인가를 움켜잡으려는 듯 힘이 있다.

이수의 중앙에는 이 비가 누구 것인지를 알리는 글을 판다. 그런데 이 동부도비의 이수에는 네모난 글자를 파는 곳만 만들어 놓고, 글자가 보이지를 않는다. 누구의 비인지 알 수가 없다. 일반적으로 이수에는 용을 조각해 놓는다. 그러나 동부도비의 이수에는 용이 보이지가 않는다. 구름무늬만을 조각해 놓아 단조롭기만 하다.

고려 초기의 비로 추정되는 연곡사 동부도비. 꼭대기에는 불꽃에 휩싸인 연꽃몽우리와 같은 보주를 올려놓았다. 설명에는 이 동부도비가 일반적인 비에 뒤떨어진다고 하지만, 내가 보기에는 오히려 특별한 감이 있다. 도대체 귀부의 등에 조각한 날개는 무엇일까? 혹 동부도에서 보이는 비천인상을 극락조인 가르빙가로 새겨 넣었는데, 그것과 연결이 되는 것은 아닐까?


받침돌인 귀부의 등에는 날개가 달려있는 특이한 형태이다.
 
연곡사 동부도 앞에 서 있는 동부도비에서 쉽게 발길을 돌리지 못하는 것은, 내 얕은 지식이 화가 나서이다. 그리고 더 많은 것을 볼 수 없었음을 탓하는 것이다. 언제나 그 답이 얻어지려는지.

문화재답사를 하다가보면 많은 사람들이 글을 올리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문화재에 대한 글을 쓰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자료를 인용해, 자신이 찍은 사진과 함께 올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몇 몇 사람 전문적인 문화 블로거들 만이 그 문화재에 대한 자신의 느낌을 적는다. 그러한 글들이 사실 우리문화재를 알리는데 큰 역할을 한다고 본다.

가끔은 답사를 하다가 만나게 되는 분들이 있다. 우리 문화재에 대해서 알고 싶어 하는 분들이다. 조그마한 도움이라도 될 수 있으려나 해서, 약간의 상식을 이야기를 하다가 보면, 이런 질문을 받는다. ‘왜 같은 문화재를 보고도 그 쓰는 분들의 느낌은 다르냐’는 질문이다. 이런 질문을 받을 때 가장 즐겁다. 왜냐하면 그만큼 많은 글을 읽었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바위의 끝에 선 삼태리 마애여래입상

충남 천안시 풍세면 삼태리, 태학산의 해선암 뒷산 기슭 큰 바위에는 높이 7.1m나 되는 거대한 마애불상이 조각되어 있다. 보물 제407호인 이 마애여래입상의 윗부분은 바위 위로 솟아있으며, 그 주변에는 건물이 있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 마애불의 상체부분은 돋을새김을 하였으며, 밑으로 내려가면서 선각으로 처리를 하였다.

이렇게 얼굴부분을 돋을새김을 하는 조각은 고려 후기의 거대마애불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의 하나이다. 거대마애불답게 이목구비가 큼직한 이 마애여래입상은 양감이 있는 넓적한 얼굴에 가는 눈이 끝이 위로 치켜져 조금은 날카로워 보인다. 커다란 코와 작은 입은 이 마애불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경직된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목은 짧으며 삼도는 가슴께로 내려와 이러한 거대마애불을 조성할 당시 어려움을 알게 한다. 옷주름은 굵게 표현을 하였으며 두 손은 가슴께로 들어 올렸는데, 왼손의 손바닥은 위로 오른손은 왼손 위에 손등이 보이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인의 모습은 고려시대 유행하던 미륵석불의 손모양이다. 충남과 충북, 전북 지방에서 많이 보이고 있는 미륵입상의 한 유형이기도 하다.

왜 느낌을 다르게 적을까요?

참 어려운 질문이다. 왜 그렇게 보이는 것일까? 같은 불상을 보면서도 누구는 인자하디고 하고, 누구는 강직되었다고 표현을 한다. 그런가하면 누구는 편안 상이라고 하고, 누구는 무섭다고 한다. 왜 그렇게 서로 다른 느낌을 받았을까? 그것에 대한 정답은 없다. 보는 사람이 어떻게 느꼈는가는 그 본인의 심성이기 때문이다.


어느 방향에서 보느냐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진다. 아마 햇빛으로 인한 것이란 생각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문화재, 특히 불상의 경우에는 보는 방향, 보는 시간, 그리고 보는 이의 심성에 따라서 달라진다고 한다.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방향에 따라 그 느낌이 전혀 다르기도 하다. 또한 보는 방향을 어느 편으로 잡았는가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사실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얼짱각도’의 원조는 이미 예전부터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불상을 조각한 장인들은 그런 것에도 마음을 쌌던 것을 알 수 있다. 많은 문화재를 접하다가 보면, 장인들의 마음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어떻게 해의 비치는 각도까지 계산에 넣고 조각을 한 것인지. 삼태리 마애여래입상을 볼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만, 오후 5시경 저녁 해가 비칠 때의 모습은 정말로 말로는 형용할 수 없는 근엄함 가운데 인자함이 배어있다. 그렇게 변화되는 모습에 빠져 전국을 돌아치는 것이지만.

다방리, 마을 입구를 들어서면서 마을 이름을 보고 한참이나 웃었다. 다방리라니, 참 별 마을이 다 있다는 생각에서다.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 다방리, 운주산에 소재한 신라 때의 절인 비암사. 비암사는 공주 마곡사의 말사로 창건연대는 확실치가 않다. 신라 말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비암사는, 극락전 앞의 3층 석탑에서 소중한 문화재가 3점이 발견이 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중이다.

이 3층 석탑에서 나온 문화재는 국보 제106호인 비암사계유명전씨아미타불삼존비상과 보물 제367호인 비암사기축명아미타불삼존비상, 그리고 보물 제368호인 비암사석조비상반가사유상이다. 이 중 보물 제368호는 통일신라로 이어진 반가사유상의 조성과 미륵신앙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곳 충남과 전북일대는 미륵신앙과 관련되는 문화재가 유난히 많은 곳이기도 하다.


이야기꺼리가 많은 절 비암사

돌축대를 쌓고 그 위에 전각을 벌려놓은 비암사. 돌계단을 오르다가 보면 우측으로 수령 840년이 지난 보호수인 느티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느티나무의 수령이 800년이 지났다는 것에 대해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높이 15m, 나무의 둘레가 7.5m나 되는 이 나무는, 흉년이 들면 잎이 밑에서부터 피어 위로 올라가고, 풍년이 들 해는 위에서 아래쪽으로 내려온다고 한다. 이 느티나무는 마을의 풍년과 흉년을 알려주는 나무로 유명하다.

수령 840년인 보호수 비암사 느티나무

느티나무 계단을 오르면 바로 앞에 삼층석탑이 보인다. 충남 유형문화재 제11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3층 석탑은 화강암으로 조성이 되었으며, 고려 때 제작을 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주는 이 석탑은 기단부가 없어진 것을, 1982년에 보완하여 현재의 자리에 세웠다. 이 3층 석탑에서 위에 열거한 문화재 3점이 발견되었다.


상륜부에서 국보와 보물 등이 발견 된 비암사 3층 석탑

3층 석탑 뒤편으로는 충남 유형문화재 제79호인 극락보전이 자리하고 있다. 극락보전은 자연석으로 쌓은 기단 위에 덤벙주초를 놓았다. 기둥은 배흘림이 뚜렷한 원형기둥을 사용했는데, 밑 부분을 보면 오랜 세월 보수를 한 흔적이 보인다. 정면 3칸 측면 2칸인 극락보전은 다포계 팔작지붕이다.



아미타좌상을 주불로 모신 극락보전과 소조아미타좌상

극락보전에 주불로 모신 아미타불은 영원한 수명과 무한한 광명을 보장해 준다는 부처님으로 서방극락의 아름다운 정토세계로 인도한다고 한다. 극락보전에 모셔진 아미타좌상은 소조로 제작이 되었으며, 현재 충남 유형문화재 제18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이 아미타불좌상은 전체 높이가 196cm로 좌상으로는 큰 편이다. 이 아미타불의 특징은 결가부좌를 한 무릎의 높이가 유난히 높다는데 있다.



이어붙인 기둥이 역사를 말하고 있다. 대웅전 현판 양옆에는 멋진 용이 조각되어 있다

이 외에도 비암사에는 충남 유형문화재 제182호인 영산회괘불탱화가 있다. 이렇게 소중한 문화재와 800년이 넘는 보호수인 느티나무가 있는 비암사. 가파른 비탈 위에 세워진 산신각으로 올라보니, 사람들이 정성들여 작은 돌을 쌓아올려 놓았다. 절집을 찾아 간절히 기원을 하는 사람들은 무엇을 간구하는 것일까? 아마 이렇게 오래된 고찰에서 수많은 시간을 빌고 간 사람들의 기운이 정성을 들어주는 것은 아닐까?



산신각에서 내려다보는 비암사의 전경이 한 폭의 그림과 같다. 저 멀리 떠가는 한 점 흰 구름은 어디로 가는 것일까? 혹 아미타불이 계시다는 극락정토를 가는 것은 아닌지. 그 구름을 따라 길을 나서고 싶다. 복잡하고 늘 머리가 아파야하는 이러한 세상을 왜 '고해'라고 했는지 이해가 간다. 살아가는 나날이 고통속에서 살고 있다는 인간들이다. 작은 고통 하나 없는 사람들이 있을까?

그저 가을 하늘처럼 저렇게 파아란 물살을 헤치고 고해를 벗어날 수 있는 길이 무엇이던가? 비암사 산신각 앞에서 내려다 본 절집의 지붕들이, 뒤집기만 한다면 고해를 벗어날 수 있는 곳을 찾아갈 수 있을 듯하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비암사를 찾는 것이나 아닌지. 

비란 어느 인물의 행적을 적어 후대에 전하는 것이다. 그런데 비에 비문이 없다면 어떻게 이해를 해야 할까? 뛰어난 조각기법을 보이는 비의 머릿돌을 갖고 있고, 비 머리에는 제목을 적어 넣는 네모난 부분을 마련했으면서도 정작 비에는  단 한 자의 비문이 없는 비. 이러한 비를 '백비'라 부르는데, 이 비는 충북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 485 번지에 소재하고 있다.

이 비는 뛰어난 조각기법이나 그 솜씨로 보아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비를 받치고 있는 받침돌은 거북이의 몸으로 되어있으나, 귀두가 깨어져 나간 것인지 말머리 형상을 하고 있다. 통일신라에서 고려조로 넘어오면서 비를 받치는 귀부는, 대개 몸은 거북이지만 머리는 용머리를 형상화한 것들이 많다. 그런데 연곡리의 귀부는 말머리 모양을 하고 있다. 


연곡리 석비를 보호하고 있는 전각과 비의 받침인 귀부

말머리에 백비, 누구의 비인가?

보물 제404호로 지정이 된 연곡리 석비는 비를 받치고 있는 귀부와 몸돌인 비, 그리고 아홉마리의 용을 조각한 머릿돌로 구성이 되어있다. 이 받침돌인 귀부는 등의 무늬는 거북 등의 무늬와 같이 정교하게 조각이 되어 있어, 상당히 조각기법이 뛰어나다. 거북이의 앞발은 파손이 되었으며, 머리의 형태는 마치 말머리와 같은 모습이다. 이 귀두가 처음부터 이렇게 생긴 것은 아닌 듯하다. 앞부분이 절단된 듯한 형태이기 때문이다.


귀두를 보면 머리의 옆에 지느러미와 같은 형태의 조각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보이는 귀두인 용머리인 것으로 처음에 조각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 귀두는 앞부분이 어떻게 이런 형태로 남아있는 것일까? 그 외에 귀두부분은 용머리 형상이었을 것으로 추정이 된다. 그런데 언제 어떻게 해서 이런 모습으로 변해버린 것인지는 알수가 없다. 받침돌의 거북은 그 문양들을 볼때 상당히 기능이 뛰어난 장인에 의해서 섬세하게 조각이 된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형태의 귀두라면, 당연히 중간에 누구가에 의해 훼손이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겠다.

비문이 없는 백비, 누구의 비일까?


비에는 전, 후면을 비롯해 측면에도 글자 한 자가 없다. 

찬찬히 돌아보면 여기저기 금이 가기는 했어도, 전체적인 비의 모습은 뛰어나다. 등 무늬인 귀갑문은 정교하며, 단아한 느낌을 주고 있다. 비몸을 받치고 있는 받침부분은 연꽃을 조각하였는데, 잎은 작고 양감이 있어 더욱 아름다운 느낌을 준다. 귀부로 꾸며진 받침돌과 옆으로 긴 네모꼴의 비머리 형채 등은 고려 초기의 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그대로 갖고 있다.



비의 위에 얹은 머릿돌에는 모두 9마리의 용이 조각되어 있다. 그 용들은 서로 몸을 꼬아 뒤틀고 있는데, 정교한 그 조각은 가히 뛰어난 작품이다. 아홉마리의 용이 서로 여의주를 물기 위해 다투는 사실적인 묘사를 하고 있다. 이렇듯 뛰어난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연곡리 석비. 도대체 그 비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단 한 자의 기록도 없는 비만을 갖고는 그 주인을 찾을 길이 없어 안타깝다.

말머리에 비문이 없는 백비. 그리고 전체적인 조각기법이 뛰어난 이 비의 주인은 누구였을까? 일부러 비문을 적지 않았는지, 혹은 누군가에 의헤 훼손이 되어 비문이 사라진 것인지 궁금하다. 혹 이 비에 어느 인물의 일대기를 적으려고 마련을 했다가, 갑자기 폐사가 되는 바람에 적지 못한 것은 아니었을까? 백비로 남아있는 뛰어난 연곡리의 석비는 그렇게 사람의 애간장을 태운다. 

전북 남원시 왕정동 482-1에 소재한 사적 만복사지. 만복사지 한편에는 전각이 한 채 있다. 이 전각 안에는 보물 제43호인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이 자리하고 있다. 만복사지를 세 번이나 찾아갔는데, 이상하게 이곳을 찾을 때마다 해가 떨어질 시간이다. 그래서 항상 전각 안에 있는 석불입상의 사진은 늘 그늘이 드려져 있다.

이 석불입상은 만복사 절터 전각 안에 서 있는,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높이 2m 정도의 석불입상이다. 만복사는 고려 문종(1046∼1083) 때 창건된 사찰인데, 이 석불입상도 창건 당시 조형된 것으로 보인다. 『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만복사에는 동쪽에 5층의 전각, 서쪽에 2층의 전각이 있고, 그 안에 35척의 금동불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런 기록으로 보아 창건 당시 만복사의 사세는 매우 큰 절이었음을 알 수 있다.


손과 발이 없어진 채 발견돼

이 석불입상은 민머리의 정수리에 상투 모양의 육계가 둥글게 솟아 있다. 얼굴은 자연스럽게 살이 오른 타원형으로, 눈과 코, 입의 형태가 자연스러워 원만한 인상을 보여준다. 법의는 둥근 칼라와 같은 독특한 옷깃이 보인다. 신체의 굴곡은 어깨에서 팔로 내려오며 곡선을 그리고 있는데, 유려하게 처리하였다. 11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석불입상은 고려 초기의 뛰어난 작품이다.

이 석불입상은 발견 당시 발 아랫부분이 땅에 묻혀 있었으며, 광배도 후에 발견이 되었다. 최근 묻혀있던 부분을 들어내고, 깨어진 광배도 복원작업이 이루어져 어느 정도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 이 석불입상은 오른팔은 들어 손바닥을 보이고, 왼팔은 아래로 내려서 역시 손바닥을 보이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 손은 따로 끼울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는데, 지금은 모두 없어진 상태이다.




이 석불입상의 얼굴은 원만하게 조형이 되었으며, 목 뒤에는 칼라와 같은 문양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끼울 수 있도록 제작된 손은 사라져버렸다.

석불입상의 뒤편에 붙인 광배는, 머리광배와 몸광배로 구분되어 있다. 윗부분이 없어진 머리광배에는 활짝 핀 연꽃잎과 연꽃줄기가 새겨져 있고, 몸광배에는 연꽃줄기만이 새겨져 있다. 바깥쪽으로는 불꽃무늬가 조각되어 있으며, 좌우에는 각각 2구씩의 작은 화불을 새겨 넣어 아름다움을 더하고 있다.

뒤편에도 선각이 된 불상을 새겨

손과 발이 사라진 만복사지 석불입상. 얼굴 부분에서도 눈 부분이 조금 손상이 되었으며, 끼울 수 있도록 제작된 팔이 보이지가 않아 불편해 보인다. 아마 팔과 다리가 제대로만 있었다고 해도, 이 석불입상의 가치는 더 있었을 것이다. 발밑을 받치고 있는 받침돌은 팔각형의 납작한 돌을 놓고, 그 뒤에 연꽃으로 장식한 둥근 돌을 얹었다.


받침돌과 광배에 새겨진 화불
 
이 석불입상의 뒷면에도 선각으로 처리한 불상이 조각되어 있다. 이 불상은 한 손에 약병을 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약사여래불로 추정이 된다. 이렇게 바위의 양편을 이용한 석불의 조형은 매우 드문 형태이다. 두 손이 사라진 만복사지 석불입상. 그 손은 어디로 간 것일까? 아름다움을 위해 손을 끼울 수 있도록 제작한 석불입상이, 오히려 두 손을 잃는 계기가 되었나 보다.



뒷면에 선각처리한 불상은 약병을 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약사여래불로 추정한다.

이번 답사에도 석양에 그늘이 드리운 석불입상을 찍는 바람에, 제대로 된 사진을 만들어 내지 못했다. 실력이 있는 블로거라면 당연히 아름다운 사진을 만들어 내었겠지만. 그저 자료 정도를 찍는 실력밖에 없으니 어찌하랴. 다음에는 오전에 찾아가 보아야겠다고 굳게 다짐을 하고, 그늘을 길게 끌며 만복사지를 떠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