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악산에 자리한 대원사는 전북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997번지에 소재한다. 대원사는  모악산 동쪽 중턱 어머니 품속 같은 형태에 자리잡고 있으며, 삼국유사 권제3 <보장봉로 보덕이암> 조애는 '백제 의자왕 20년인 660년에 열반종 개산조 보덕의 제자인 대원, 일승, 심정 등의 고승이 창건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조 인종 8년인 1130년에 원명국사 징엄 스님(1090~1141)이 중창 하고, 이어서 공민왕 23년인 1374년에는 나옹 혜근스님(1320~1376)이 중창하였다. 조선조에 들어서는 태종 15년인 1415년에 중창 흔적의 기록이 있으며, 그 뒤 선조 30년인 1597년의 정유재란 때 대부분 건물이 불타 없어졌으나, 선조 39년인 1606년 진묵스님(1562~1633)이 다시 중창하였다.

 

어머니의 절 대원사

 

▲ 벚꽃이 만개한 경내 모악산 대원사 주변에는 수령이 300년 이상이 되었다는 산 벚꽃나무들이 아름답게 꽃을 피운다.


대원사 주변에는 300년 이상 되었다는 산 벚꽃이 둘러쌓고 있어, 봄철에는 흐드러지게 피는 벚꽃 속에서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으며, 가을이면 온통 불이 타는 듯한 붉은색이 절을 뒤덮는다. 대원사에서는 2001년부터 매년 1월1일 촛불기원 해맞이 타종축제와 4월 둘째 주 일요일에 열리는 모악산진달래 화전축제로 이미 전국적으로 명성을 얻고 있는 고찰이다.

 

모악산 대원사는 어머니 품속 같은 터전에 자리 잡아, 천하대복지 최길상지 명당이라고 한다. 대원사를 어머니의 절, 효의 절이라고 부르는 것도 그러한 이유에서다. 주말과 휴일이 되면 등산객들로 늘 경내가 붐비고 있는 대원사는, 전국 각지에서 예를 갖추고 찾는 이가 끊이지 않는 창건 1350년의 유서 깊은 전통사찰이다.

 

대원사 문화재 안내판의 이변

 

▲ 방치된 옛 안내판 문화재를 분실하고 나서 그대로 방치된 목각사자상 안내판

▲ 안내판 목각사자상을 도난 당한 사연을 적은 현 안내판


어느 절이나 사찰에 문화재가 있으면, 그 앞에 문화재 안내판을 설치해 놓는다. 모악산 대원사에는 대웅전에 모셔진 전북 유형문화재 제215호인 삼존불과 전북 유형문화재 제71호인 용각부도가 있다. 그런데 대원사 안내판에 보면 현재는 보이지 않는 또 하나의 문화재가 있었음을 적고 있다. 바로 진묵 스님이 만든 것으로 전해지는 목각사자상이다. 전북 민속자료 제9호로 지정이 되어 있었다는 목각사자상은 어떤 것일까?

 

대원사 경내 한편에는 예전 목각사자상을 설명한 문화재 안내판이 아직도 남아있다. 그 내용을 보니 다음과 같다. 

 

이 목각사자상은 조각한 시기와 조각한 사람이 누구인지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전하는 바에 의하면 진묵대사가 만들었다고 하며, 이 위에 북을 올려놓고 가축을 하늘로 인도하는 제사를 지낼 때 북을 쳤다고 한다. 크기는 높이 90cm, 길이 135cm이며 괴목나무로 섬세하게 조각한 사자상이다. 다리는 다른 나무로 만들었으며 현재 다리부분이 약간 떨어져 나갔다. 이 사자상의 등에 경전 등을 올려놓을 수 있게 만들었다.

 

위와 같은 설명으로 보아 이 목각사자상은 상당히 소중한 문화재임이 틀림이 없다. 더구나 제를 지낼 때 사용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신물(神物)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도대체 이 목각사자상은 어디로 간 것일까? 현재 대원사 문화재 안내판에는 목각사자상이 사라진데 대한 자세한 설명을 하고 있다.

 

대원사의 문화재인 사자상은 돌아와야

 

 
▲ 도난단한 목각사자상 도난 당한 목각사자상. 뛰어난 조각솜씨를 보이고 있다. 안내판 사진


어떤 연유로 목각사자상이 대원사를 떠났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안내문에는 1988년 12월 1일에 도난을 당한 것으로 적고 있다. 그리고 1989년에는 완주군에서 속성으로 문화재지정을 해제했다는 것이다. 문화재가 도난을 당할 경우 해당 부처에서는 문화재를 찾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을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왜 그렇게 빨리 문화재해제를 한 것일까? 그 이유가 궁금하다.

 

그 뒤 목각사자상은 1999년 10월 27일 서울 종로구 가회동에 거주하는 이모씨가 소유를 하고 있었는데, 공소시효를 주장했다고 한다. 당시의 문화재법은 어떠했는지는 모르겠으나, 이미 문화재 지정이 해제돼 있었다. 그리고 이 목각사자상은 다시 종로구 인사동 거주 이 아무개에게 팔렸다는 내용이다.

 

문화재란 개인의 것이 아니다. 더구나 진묵 스님이 만들었다고 하면 이미 그 제작연대가 500년 가까이 되었다는 것이다. 대원사는 진묵 스님께서 가장 오래 묵으신 절이기도 하다. 그만큼 진묵 스님의 체취가 배어있는 고찰이다. 그리고 목각사자상은 중요민속자료로 지정이 될 만큼 소중한 문화재란 생각이다.

 

문화재법도 중요하지만 소중한 모악산의 문화재인 목각사자상은 반드시 대원사로 돌아와야 한다. 그래야 비로소 제 가치를 갖게 되는 것이다. 대원사 문화재 안내판에는 목각사자상이 돌아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얼마나 간절한 바람이었으면, 안내판에 그러한 사연을 기록을 했을까? 어떤 경로를 통해 문화재를 취득하게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지금이라도 목각사자상은 대원사로 돌아와 제자리를 찾아야 한다는 생각이다. (출처 :  오마이뉴스 / 2010, 4, 19)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에 해가 갈수록 더 많은 인파가 모여들고 있다. 토종국민축제로 자리를 잡은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장에는 지난해 5만여명이 다녀갔으나, 올해는 그보다 더 많은 인파가 몰린 것으로 추산된다. 사진으로 모악산 화전축제의 이모저모를 살펴본다.

 

▲ 제전위원장 인사 화전축제 제전위원장인 송영길 민주당 최고위원이 바쁜 일정에도 불구하고 축제장을 찾아, 모악산 대원사 일원을 가득메운 사람들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

 

▲ 더 열심히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좋은 상을 받으려는 어린소녀가 열심히 글짓기를 하고 있다.

 

▲ 한 번 보고 또 보고 그림그리기에 참석한 학생들이 열심히 그림을 그리면서 자꾸만 들여다보고 있다.

 

▲ 진달래 화전을 부치는 진달래와 쑥갓. 세 가마의 찹쌀을 준비했으나 3시가 안되어서 화전이 떨어졌다. 사람들은 계속 화전을 찾고

 

 

▲ 막걸리 한 잔에 화전 한 컵 막걸리 한 잔에 화전 한 컵을 받아들고....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에서만 볼 수 있는 광경이다.

 

▲ 화전을 먹고싶어요 화전을 먹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는 사람들.

 

▲ 국제화가 되어가는 화전축제 축제장에는 외국인들도 상당수 보인다. 뫅산진달래화전축제는 국제적인 축제가 되어가고 있다.

 

▲ 박수치며 맨바닥이면 어떠랴. 공연관람에 푹 빠져 신이난 사람들

 

아직도 끝나지 않은 축제

 

모악산에 오늘 다녀간 관람객들은 약 6만5000명에 달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지난해에 비해 모든 것을 더 많이 준비를 했는데도, 1시간이나 더 빨리 준비한 막걸리며 화전이 떨어져 버렸다.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를 보러 서울에서 내려왔다는 김모(49, 남)씨는 '대한민국 어디를 가보아도 이런 축제는 없다.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야말로 정말로 바람직한 축제상이다'라고 말한다.

 

사진촬영대회에 참가를 했다는 사진작가 한 사람은 "이렇게 멋진 축제를 볼 수 있어서 즐거웠다'며 '젊음이 분출하는 기운을 느끼고 간다. 나도 젊어지는 듯해 너무나 기분이 좋다'라고 말한다. 모두가 즐거워하는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 아직 끝나지 않은 축제는 계속되고 있다.    

 

▲ 젊음이 넘치는 공연 공연에 참가한 전주 중앙여자고등학교 댄싱팀 <프리즈>의 공연.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에는 전국의 젊은이들이 자발적으로 참여를 해 공연을 이끌어간다.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가 갖는 또 하나의 자랑이다.
 

(출처 :오마이뉴스 / 2010, 4, 11)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