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가장 힘들게 만나는 것은 역시 마애불이다. 마애불은 그 특성상 낮은 지역보다는 산 정상 부근의 암벽에 많이 조성을 하기 때문이다. 마애불은 나에게는 특별한 문화재이기도 하다. 언제가 될지는 몰라도, 마애불을 따로 한 권의 책으로 엮고 싶은 것이 내 바람이기 때문이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산10-1번지에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4호인 ‘삼막사마애삼존불(三幕寺磨崖三尊佛)’이 소재한다. 조선조에 조성한 것으로 알려진 이 마애삼본불은 삼막사의 칠성각 내에 봉안되어 있다. 마애불은 암벽을 얕게 파고 조성하여, 칠성각이 전실 역할을 하고 있다.

 

 

걸으면 지쳐버릴 듯 높은 마애불

 

지금은 삼막사까지 차로 올라갈 수가 있다. 물론 절집의 관계자들이 아니고는, 쉽게 그 길을 차를 몰아 갈 수가 없다. 아래 주차장에 차를 대고 걸으면 한 시간 30분 정도가 소요가 된다. 30도를 웃도는 더운 날 이곳을 걸어 올라가다가 보면 지칠대로 지친다. 땀이 흐르는 정도가 아니라 그저 얼굴 전체에서 샘이라도 솟는 듯하다.

 

그렇게 산 정상부근에 있는 마애삼존불이다. 삼막사 대웅전에서 이 마애불까지는 그리 멀지 않은 거리이다. 지금은 계단으로 길을 잘 만들어 놓아 오르기가 수월하다. 삼막사 남녀근석을 앞에 두고 바위에 붙여 조성을 한 칠성각. 전각의 앞에 걸린 현판에는 ‘칠보전’이라고 적고 있다. 그 안에 마애삼존불이 바위에 부조로 조각이 되어있다.

 

 

 

온화한 미소를 띠고 있는 본존불

 

이 마애삼존불은 조선조 영조 39년인 1763년에 조성이 되었다. 삼존불을 모신 칠성각이 영조 40년인 1764년에 세워진 것으로 볼 때, 이 본존불은 칠성각의 주존인 치성광여래로 볼 수 있다. 삼존불은 중앙의 본존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협시보살을 거느린 삼존불로 모두 연화좌 위에 앉아 있다.

 

 

얼굴에 잔잔한 미소를 띠고 있는 본존불은 소발의 머리에 작은 육계가 있고, 전면에는 계주가 표현되었다. 그 은은한 얼굴에 미소가 후덕하게 보인다. 이런 상은 마애불 중에서도 그리 흔치가 않아, 이 마애불을 조성한 장인이 기능적으로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사각형에 가까운 상호에는 눈두덩이 부푼 눈과 보수한 삼각형의 짧은 코, 작은 입 등이 묘사되었다. 어깨에 닿는 긴 두 귀와 얼굴에 연이어 어깨가 시작되어서 목은 달리 표현되지 않았다. 법의는 통견으로 가슴에는 내의의 매듭이 표현되어 있다. 불신의 전면에는 두꺼운 옷주름이 표현되었는데, 양 손은 복부에 모아 여의주를 들고 있다.

 

좌우의 협시보살은 일광, 월광보살

 

보존불의 좌우의 보살상 역시 머리에 쓴 삼산관과 가슴에 모은 수인을 제외하면, 본존불과 같은 형상을 보이고 있다. 이 마애불은 전체적인 모습을 볼 때, 얼굴과 당당한 어깨 등 상체의 표현에 치중한 느낌을 주고 있다. 이렇게 마애삼존불로 치성광여래가 남아있는 것은 매우 희귀한 예이다.

 

 

6월 16일, 오랜 가뭄으로 인해 대지는 더욱 뜨거웠다. 한 낮의 기온이 30도를 웃도는 산길을 걸어 만난 삼막사 마애삼존불. 처음 만난 것은 아니라고 해도, 볼 때마다 새로운 것들을 하나씩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하다.

6월 2일(토) 수원시 팔달구 행궁 길에서는 오전 11시부터 ‘2012 팔달 어울림 한마당축제’가 열렸다. 주말을 맞아 거리로 나온 사람들은 삼삼오오 짝을 이뤄 이곳저곳을 돌아보면서 흥겨움에 젖어있다. 오후가 들어서 본격적으로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한 행궁 길에는 사람들로 거리를 꽉 메운 가운데, 지나려는 차량들의 소음으로 조금은 시끄럽기도.

 

수원시 팔달구에서 주최를 한 이 축제는, 축제가 꼭 많은 예산을 들여 크게 판을 벌어야 한다는 행정적 관념을 깨트린 축제였다. 길거리 곳곳에는 체험부스가 마련이 되어, 가족들끼리 오순도순 앉아 무엇인가를 열심히 만드는 모습도 보였다. 학생들은 무엇을 그리 열심히 하는지 곁에서 사람이 들여다보아도 모르고 열중이다.

 

 

곳곳에서 펼쳐진 거리공연 재미를 더해

 

축제가 벌어지는 행궁길 곳곳에서는 거리공연이 펼쳐져 재미를 더했다. 시간대별로 다양한 공연을 선보인 거리공연은, 한편에서는 차도를 잠시 막고 벨리댄스와 난타 등이 열연을 하기도 했다. 또한 한데우물 앞에서는 집단 아줌마들의 품바와 각종 악기연주, 노래공연 등이 사람들의 발길을 붙잡았다.

 

 

 

체험부스에서 학생들이 그림그리기에 여념이 없다(위) 경기리포트에서 주관한 '표지모델 만들어주기'에는 외국인들까지 표지모델이 되기도 


행궁길 화성사업소에서부터 팔달산을 오르는 길까지에서 펼쳐진 팔달 어울림 한마당 축제는, 행궁 길 내에 있는 공방과 맛집들이 참여를 해 분위기를 돋우기도 했다. 길에 좌판을 편 몇 몇 곳의 맛집들은 자신들이 자랑하는 음식을 들고 밖으로 나오기도 해, 거리축제의 분위기를 한층 돋우었다는 것.

 

큰 예산 들이지 않은 행복한 축제

 

요즈음 각 지자체마다 많은 예산을 들여 거창한 축제를 만들어 눈총을 받기도 한다. 그런 것에 비해 팔달 어울림 한마당 축제는 많은 예산을 소요하지 않고도, 주말 행궁과 행궁 길을 찾은 많은 사람들에게 행복한 축제를 맛볼 수 있게 해 주었다는 것.

 

‘경기리포트’에서는 사람들을 주간지의 표지모델로 만들어주는 행사를 펼쳐 많은 사람들이 줄을 지어 기다리기도. 400여명의 축제에 참가한 사람들이 직접 모델이 되어, 그 자리에서 표지 사진을 한 장씩 받아가며 즐거워하기도. 한 낮 뜨거운 햇볕 아래서 컴퓨터와 프린터가 열을 받는 바람에 애를 태우기도 했지만, 그래도 가장 인기있는 부스 중 한 곳이었다.

 

 

약간의 실랑이가 벌어지기도

 

‘2012 팔달 어울림 한마당 축제’가 벌어지는 곳이 사람들과 차량들의 빈번한 출입이 있는 곳이라. 행사를 한다고 길을 막자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이 불편해 하기도. 그 중에는 길을 막고 행사를 하는 바람에 차량을 딴 길로 유도를 하자, 큰 소리를 내어 항의를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런 지역주민들의 차량에 대한 대처를 미리 하지 못한 점은, 앞으로 이 거리축제가 자리를 제대로 잡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하여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가족끼리 나들이를 나온 김아무개(남, 44세)는

 

“정말 좋은 길거리축제이다. 아이들과 함께 나왔는데 아이들도 즐거워한다. 그런데 몇 가지는 좀 더 깊이 생각을 해야 할 것 같다. 우선은 차량들이 이 많은 사람들 틈으로 지나고 잇어 아이들이 다칠까 불안하다. 그리고 30개가 넘는 맛집이 있다고 하는데, 정작 행사에 적극 참여를 하는 집들이 몇 집 밖에 보이지 않는다. 또 하나 날이 이렇게 더운데 쉴만한 그늘 공간이 하나도 없다. 앞으로 이런 점은 좀 염두에 두었으면 더 좋은 거리축제가 될 것 같다”고 말하기도.

 

 

 

 거리공연은 아줌마 품바 집단공연(위) 맛집들이 길거리에 좌판을 벌여 축제에 참가한 사람들을 즐겁게 했다


 

길지 않은 행궁 길에서 펼쳐진 팔달 어울림 한마당 축제. 아마도 이렇게 작은 길거리 축제가 정말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것이 아닐까? 몇 억씩을 퍼부어 거창하게 늘어만 놓는 축제가 좋은 축제는 아니다. 이렇게 작은 길거리 축제 하나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다면, 그것이 오히려 더 아름다운 축제라는 생각이 든다.

 


 행궁 길에 넘치는 인파들. 이 길에 차들이 지나가느라 조금은 불편해 하기도.


이천에 있는 설봉산. 설봉산에는 사적인 설봉산성을 비롯해, 향토유적인 영월암 등이 있다. 영월암 대웅전 뒤편 암벽에 새겨진 보물 제822호 마애여래입상을 보기 위해 산을 올랐다. 설봉산에 올랐다. 한 낮의 더위가 기승을 부린다.

설봉산은 그리 높지는 않은 산이지만, 차도 오르기 힘든 가파른 길을 한 낮에 걷는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더구나 어깨에는 무거운 카메라 가방까지 메고 있으니, 다리가 더 무겁다. 물도 준비하지 않은 채 산을 오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심하게 목이 탈 때쯤 영월암 입구에 도착했다.


천년 세월 설봉산을 지킨 마애불

목이 타던 차에 영월암 입구에 있는 샘에서 물을 몇 대접이나 마셨는지. 한숨을 돌리고 난 후 대웅전을 비켜 뒤로 오르니, 커다란 자연 암벽에 마애불이 조각되어 있다.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는 이 마애불은, 머리 부분과 손 부분은 얇게 돋을새김을 하였고 나머지는 선으로 음각하였다.

높이 9.6m의 거대한 이 마애불은 ‘마애여래불’로 명칭을 붙였지만, 민머리 등으로 보아 ‘마애조사상’으로 보인다. 둥근 얼굴에 눈, 코와 입을 큼지막하게 새겼다. 두툼한 입술에 넙적한 코, 지그시 감은 눈과 커다랗게 양편에 걸린 귀. 그저 투박하기만 한 이 마애불에서 친근한 이웃집 어른을 만난 듯하다. 두 손은 가슴에 모아 모두 엄지와 약지를 맞대고 있다. 오른손은 손바닥을 바깥으로, 왼손을 안으로 향했다.

고려 전기에 조성이 되었다고 하면 천년 세월을 이 자리에 서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전국을 돌면서 우리 문화재를 답사하다가 보면, 만나는 문화재마다 그 하나하나가 모두 소중하다.



고려시대 특유의 거대마애불인 영월암 마애불

높이 9.6m의 거대마애불. 고려시대의 마애불은 하나같이 커다랗게 조성이 되었다. 아마도 국가적으로 북진에 대한 염원을 그린 것은 아닌가 생각을 해본다. 얼굴과 두 손만 부조로 조성을 했다는 것도 특이하지만, 우편견단의 형식으로 조성한 법의는 몸 전체를 감싸며 유연한 사선으로 흘러내린다.

이러한 옷의 주름이나 팔꿈치가 직각으로 굽혀진 것은 고려시대 마애불의 특징이기도 하다. 이 마애불은 그 형태로 보아 조사상이나 나한상으로 보기도 한다. 천 년 세월을 온갖 풍상에 저리도 의연하게 서 있는 마애불. 머리 부분은 암벽의 상단에 조각이 되어 올려다보면 몸에 비해 조금은 작은 듯도 하다. 전체적인 균형은 조금 비례가 맞지 않은 듯하지만, 저 단단한 암벽을 쪼개고 갈아 내어 저런 걸작을 만들었다는 것에 감탄을 금치 못한다.




마애불을 돌아보다가 돌계단에 주저앉는다. 산으로 오르며 흘린 땀이 시원한 바람에 말라간다. 마애불을 떠나 내려오면서 드린 대웅전. 그 어간문 앞에 서서 손을 모으고 이리 훼손이 되지 않은 모습으로 천년을 지켜왔음을 감사를 드린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