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에 있는 설봉산. 설봉산에는 사적인 설봉산성을 비롯해, 향토유적인 영월암 등이 있다. 영월암 대웅전 뒤편 암벽에 새겨진 보물 제822호 마애여래입상을 보기 위해 산을 올랐다. 설봉산에 올랐다. 한 낮의 더위가 기승을 부린다.

설봉산은 그리 높지는 않은 산이지만, 차도 오르기 힘든 가파른 길을 한 낮에 걷는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더구나 어깨에는 무거운 카메라 가방까지 메고 있으니, 다리가 더 무겁다. 물도 준비하지 않은 채 산을 오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심하게 목이 탈 때쯤 영월암 입구에 도착했다.


천년 세월 설봉산을 지킨 마애불

목이 타던 차에 영월암 입구에 있는 샘에서 물을 몇 대접이나 마셨는지. 한숨을 돌리고 난 후 대웅전을 비켜 뒤로 오르니, 커다란 자연 암벽에 마애불이 조각되어 있다. 고려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는 이 마애불은, 머리 부분과 손 부분은 얇게 돋을새김을 하였고 나머지는 선으로 음각하였다.

높이 9.6m의 거대한 이 마애불은 ‘마애여래불’로 명칭을 붙였지만, 민머리 등으로 보아 ‘마애조사상’으로 보인다. 둥근 얼굴에 눈, 코와 입을 큼지막하게 새겼다. 두툼한 입술에 넙적한 코, 지그시 감은 눈과 커다랗게 양편에 걸린 귀. 그저 투박하기만 한 이 마애불에서 친근한 이웃집 어른을 만난 듯하다. 두 손은 가슴에 모아 모두 엄지와 약지를 맞대고 있다. 오른손은 손바닥을 바깥으로, 왼손을 안으로 향했다.

고려 전기에 조성이 되었다고 하면 천년 세월을 이 자리에 서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전국을 돌면서 우리 문화재를 답사하다가 보면, 만나는 문화재마다 그 하나하나가 모두 소중하다.



고려시대 특유의 거대마애불인 영월암 마애불

높이 9.6m의 거대마애불. 고려시대의 마애불은 하나같이 커다랗게 조성이 되었다. 아마도 국가적으로 북진에 대한 염원을 그린 것은 아닌가 생각을 해본다. 얼굴과 두 손만 부조로 조성을 했다는 것도 특이하지만, 우편견단의 형식으로 조성한 법의는 몸 전체를 감싸며 유연한 사선으로 흘러내린다.

이러한 옷의 주름이나 팔꿈치가 직각으로 굽혀진 것은 고려시대 마애불의 특징이기도 하다. 이 마애불은 그 형태로 보아 조사상이나 나한상으로 보기도 한다. 천 년 세월을 온갖 풍상에 저리도 의연하게 서 있는 마애불. 머리 부분은 암벽의 상단에 조각이 되어 올려다보면 몸에 비해 조금은 작은 듯도 하다. 전체적인 균형은 조금 비례가 맞지 않은 듯하지만, 저 단단한 암벽을 쪼개고 갈아 내어 저런 걸작을 만들었다는 것에 감탄을 금치 못한다.




마애불을 돌아보다가 돌계단에 주저앉는다. 산으로 오르며 흘린 땀이 시원한 바람에 말라간다. 마애불을 떠나 내려오면서 드린 대웅전. 그 어간문 앞에 서서 손을 모으고 이리 훼손이 되지 않은 모습으로 천년을 지켜왔음을 감사를 드린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