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松)처럼 푸르고 백사(白沙)처럼 깨끗한 동헌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성내리 155번지에 소재한 사적 제346호 ‘무장현 관아와 읍성’. 몇 번이고 찾아가고 싶었던 길을 번번이 뒤돌아서야 했던 곳이다. 고창군 답사를 서너 번을 했지만, 이상하게 이곳까지 갈 수가 없었다. 답사 중 날이 저물어서이다. 지난 9월 4일 마음을 먹고 찾아간 무장읍성. ‘가는 날이 장날’이라더니, 무장읍성은 한창 공사중이었다.
무장읍성은 1991년 2월 21일에 사적 제346호로 지정되었으며, 성의 남문인 진무루에서 무장초등학교 뒷산을 거쳐, 해리면으로 가는 도로의 좌편까지 뻗어 있는 성이다. 성의 둘레는 약 1,4km 정도이며 넓이는 43,847평이다.
토성과 석성으로 쌓은 무장읍성
조선 태종 17년인 1417년에 병마사 김저래가 여러 고을의 백성과 승려 등, 주민 2만여 명을 동원하여 흙과 돌을 섞어 축조하였다고 하는 무장읍성. 성내에는 객사, 동헌, 진무루 등 옛 건물이 그대로 남아있고, 건물 주변에는 여러 가지 유구들이 산재해 있다. 여기저기 복원과 보수 공사를 하느라 파헤쳐진 무장읍성. 진무루를 지나 객사를 거쳐 뒤편에 있는 동헌건물인 취백당으로 향한다.
만 4개월 동안 2만 여명을 동원하여 축성을 하였다는 무장읍성의 동헌. 동헌은 관아에서 업무를 처리하던 중심 건물로, 당시 무장현감이 집무를 보던 곳이다. 조선 명종 20년인 1565년에 세웠으며 한때 무장초등학교 교실로 사용하기도 하여 변형이 된 것을, 1989년 원형으로 복원하였다고 한다.
정면 6칸, 측면 4칸 규모의 무장동헌은 멀리서 보아도 한 폭의 그림을 연상케 한다. 팔작 지붕으로 지은 동헌 건물은 겹처마로 구성해, 전체적으로는 장중한 느낌을 주는 조선시대 건축물이다. 동헌은 현재 전라북도 지정 유형문화재 제35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한 폭의 그림 같은 동헌 취백당
무장읍성의 동헌건물은 객사 뒤편에 자리한다. 동헌 뒤편으로는 토성으로 쌓은 성이 있으며, 동한으로 들어가는 길은 아름드리나무들이 줄 지어 서 있어, 무장읍성의 역사를 말해주고 있다. 동헌을 찾았을 때는 배롱나무가 꽃을 피우고 있어, 마치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하다.
정면 6칸인 동헌 건물의 중앙에는 <취백당>이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아무리 동헌 건물이라고는 하지만, 넘치는 취흥을 이기지 못해 붙인 이름인가 보다. 대청 안에는 많은 시판들이 걸려있는데, 그 중에는 최집의 취백당기를 비롯해 김하연의 찰미루기, 정곤의 아관정기, 우여무의 동헌시, 이덕형의 동헌시, 정홍명의 동헌시, 기준의 동백정시가 보인다.
이런 시판으로 보아 동헌을 동백정이라고도 불렀는가보다. 무장은 무송과 장사를 합한 고을이라 하여 동헌 이름을 ‘송사(松沙)’라 하였는데, 영조 때 최집이 부임을 해와 ‘취백(翠白)’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장중한 느낌을 주는 취백당
단 한 동의 건물이 사람에게 주는 느낌이 이리 장중할 수가 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 아마도 뒤편에 있는 토성이나, 주변에 늘어선 아름드리나무들 때문은 아닌지 모르겠다. 날렵하게 솟아오른 처마 끝이 살아있는 듯하다. 아래는 넓고 위가 좁게 마련한 주초위에는 두리기둥을 사용하였다.
그러고 보니 두리기둥의 길이가 길어 건물 전체가 장중한 느낌을 주는 듯하다. 대청은 세 칸으로 마련하였으며 뒤편에는 판문을 달아냈다. 건물을 바라보며 좌측은 두 칸의 방을 한 칸 뒤로 밀어서 드렸으며, 우측은 마루 끝까지 방을 드렸다. 우측방은 따듯하게, 좌측 방은 시원하게 계절을 보낼 수 있을 듯하다.
집 뒤편으로 돌아가면 뒤편전체를 복도마루로 마련한 것도 취백당의 특징이다. 아무래도 뒤편의 경치를 감상하기 위한 배려로 보인다. 단 한 동의 건물이면서도 장중함을 느끼게 하는 취백당. 그 이름 속에는 솔처럼 푸른 기상을 지니고, 힌 모래처럼 그렇게 민초들의 삶 속에 녹아들어 고고함을 지키라는 뜻이 있는 듯하다. 취백당은 450년 세월을 그렇게 자리를 지켜오면서, 늘 푸른하늘을 동경했는가보다.
재물을 지키는 사병들이 살던 ‘호지 집’
전북 정읍시 산외면 오공리에 소재한 중요민속문화재 제26호인 김동수 가옥. 호남 부농의 상징인 이 가옥은 김동수의 육대조인 김명관이 정조 8년인 1784년에 건립하였다고 한다. 흔히 아흔 아홉 칸 집으로 불리는 김동수 가옥은, 처음으로 집을 지은 해수로 따지면 226년이 되었다.
청하산을 배경으로, 앞으로는 정읍의 젖줄인 동진강의 상류인 맑은 하천이 흐르고 있다. 김동수 가옥에는 대문채인 바깥사랑채, 사랑채와 중문채, 그리고 안채와 아녀자들이 외부의 여인네들과 만나서 담소를 즐기는 안사랑채가 별도로 있다는 점이다. 그 외에도 우리가 알 수 없는 외측이라는 건물과, 담 밖으로 지은 초가인 노비들이 묵는 '호지 집'이라고 하는 집이 여덟 채가 집 주위에 있었다고 한다. 지금은 그 중 두 채만 남아있다.
부의 상징인 김동수 가옥
고택 답사를 하다가 만난 김동수 가옥. 참으로 대단한 가옥이라고 생각이 든다. 동서 65m, 남북 73m의 장방형 담장을 둘러, 그 안에 곳곳에 건물을 지었다. 한 채의 가옥이 이렇게 넓게 자리를 한 집은 많지가 않은 점도 이 집안 부의 내력을 알만하다.
김동수 가옥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담밖에 자리한 호지집이다. 솟을대문을 약간 비켜서 한 채가 있고, 담 밖 전후좌우에 모두 여덟 채가 있었다고 한다. 지금은 두 채만 남아있다. 호지집이란 말이 생소하다. 김동수 가옥을 방문하기 전에 수많은 고택을 답사했지만, 호지집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김동수 가옥 담 밖에 여덟채가 담장을 둘러 있었다고 하는 호지집.
이 호지집은 노비들이 기거를 하던 집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집이 자리하고 있는 형태를 본다면 단순히 노비집이라고 하기에는 설명이 부족하다. '호지(護持)'란 수호하고 지켜낸다는 소리다. 또한 이 집들의 자리 배치를 보아도, 단순히 노비집이라고 하기에는 맞지가 않는다. 무엇 때문에 전후좌우에 두 채씩 배분을 해서 지었을까?
김동수 가옥은 부농의 상징이다. 집이 자리 잡고 있는 마을을 보면 인근에 곡창지대가 자리하고 있다. 김동수 가옥을 둘러보면 이 집 안에 많은 곳간과 헛간들을 볼 수가 있다. 그만큼 많은 재물들이 있다는 뜻이다. 또한 집안에 대문채나 중문채에도 방들이 있어, 굳이 담 밖인 외부에 몇 채의 집을 지어, 노비들을 그곳에 살게 했다는 것도 설들력이 부족하다.
김동수 가옥의 안채와, 대문채와 중문채 사이 한편에 자리한 외측
즉 이 호지집에 묵는 노비들은 일을 하기 위한 노비이기보다는, 집을 지키는 경계의 업무를 지니고 있었던 사병들이 묵었다고 볼 수 있다. 사병을 양성한다는 것은 금지가 되어있는 시대에, 대신 노비라고 신분을 숨겼을 것이다. 이런 점으로 본다면 호지집에 사는 사람들은 기실 노비가 아닌, 노비로 가장한 김동수 가옥을 지키는 ‘사병(私兵)’이었을 확률이 더 크다.
집과 주인의 심성이 닮은 거창 윤경남생가
그동안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고택을 찾아다닌 것이, 벌써 100번 째 집을 소개하게 되었다. 찾아다닌 곳은 그 이상이지만 그 중에는 소개하기에는 좀 부족하다 싶은 집들도 있었으니, 아마도 150채 정도는 찾아보지 않았나 생각한다. 100번째의 글을 쓰면서 조금은 남다른 집을 소개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며 만난 집은, 거창군 남하면 양항리 573-1에 소재한 경남 유형문화재 제326호인 윤경남 생가이다.
윤경남(1556~1614) 선생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의병활동을 하신 분이다. 이 고택은 선생이 태어난 집으로, 450년 전에 지어졌다고 전한다. 전체적으로 집의 형태는 깨끗하게 보존이 되어 있으며, 사랑채와 안채, 중문채와 대문채가 있다. 아마도 처음에 건립을 했을 때는 이보다 더 많은 건물이 자리하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임진왜란 때 군기를 비축했던 집
왜적을 물리치기 위해 분연히 일어서 의병모집을 했던 선생은, 원래 과거 등에는 나아가지 않고 오직 학문에만 열중했다고 한다. 경사에 열중한 선생은 문외, 정온 등의 학자와 친분이 두터웠다. 그러나 나라가 위급해지자 이 집을 군기를 비축하는데 사용을 했고, 의병을 모집해 나라를 지키고자 노력을 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당시 벌인 의병 활동의 공을 인정받아, 장수 현감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후에는 대사헌의 벼슬이 더해졌다. 도로가에 위치한 윤경남 생가는 한 마디로 자연을 넘어서지 않은 집이란 생각이 든다. 안채는 5칸으로 부엌위에 다락방이 위치하고 있으며, 사랑채는 누마루대청 양식을 갖추고 있다.
비탈진 곳을 이용해 건물을 지은 사랑채
솟을대문 안으로 들어서면 좌측으로 ㄱ 자형의 사랑채가 자리하고 있다. 사랑채는 전체를 난간을 두르고 있으며 누정 형태로 집을 지었다. 비탈진 그대로를 이용하기 위해 뒤쪽으로는 축대를 쌓았으며, 앞으로는 누마루 밑에 기둥을 놓아 누각과 같은 형태로 구성을 하였다. 전체를 난간으로 둘러놓아 운치를 더했다.
자연석으로 쌓은 기단 위에 높이 올라앉은 사랑채는, 계단을 놓아 오를 수 있도록 하였다. 크지 않은 사랑채의 구성이지만, 그 치목 등을 볼 때 자연을 벗해 살아가려고 했던 집주인의 마음이 엿보인다. 계단 위에 마련된 온돌방은 뒤편에서 불을 땔 수 있도록 한데 아궁이를 두고 있다.
자연석 기단위에 앉은 안채
자연석으로 축대를 쌓은 안채는 사랑채보다 높게 자리를 잡고 있다. 중문을 들어서면 중앙을 조금 비켜 서 좌측에 자리를 잡고 있는 안채는 모두 5칸으로 꾸며졌다. ㄱ 자 형으로 꾸며진 안채는 산을 등지고 안방과 두 칸의 대청, 그리고 건넌방이 있다. 그 밑으로 단을 낮춘 두 칸의 부엌과 한 칸의 아랫방이 자리한다. 아랫방의 끝에는 작은 마루를 놓았다.
이 안채 역시 비탈진 곳을 그대로 이용했다. 층이 진 건물은 안채로부터 사랑채에 이르기까지 비탈진 곳을 그대로 이용해, 자연석 기단을 쌓아 건물을 배치했다. 사대부가의 당당한 모습을 보이면서도, 화려하지 않은 윤경남 생가. 마침 문이 열려 있어 안으로 들어가니, 안주인 인 듯한 분이 집안 정리를 하고 계신다.
집과 주인의 심성은 닮는다고 했던가?
집을 좀 둘러보겠다고 허락을 받고 여기저기를 돌아보는데, 차나 한 잔 하고 가라고 권유를 하신다. 바깥어르신이 돌아가시고 난 후 서울로 올라가셨기 때문에, 한 달에 한번 정도 내려와 집을 정리하신단다. 마음 같아서는 오랜 시간 이야기라도 하고 싶었지만, 바쁜 답사 일정으로 감사하는 마음만 전하고 돌아서야 했다.
나오는 길에 중문채를 들여다보니 한 편에 디딜방아가 놓여있다. 대개 방아는 대문채에 두는 것이 일상적인데, 중문채에 디딜방아가 놓여있는 것이 눈길을 끈다. 아마도 집안 정리를 하다가 이곳에 놓아 둔 것은 아니었을까?
돌아서 나오는 객을 대문 앞까지 따라나서 인사를 하시는 안주인. 집과 주인의 심성을 닮는다고 했단다. 100번째의 집은 그렇게 기분 좋게 사람을 떠나보낸다.
서당에 들렸다가 자연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만나다
서원과 서당의 차이는 무엇일까? 서원은 앞에는 학동들이 배움의 장소로 이용하고, 뒤로는 선현을 모신 제각이 있다. 그에 비해 서당은 배움의 장소만 있는 곳을 말한다. 진주시 수곡면 사곡리 518번지에는 ‘대각서당’이 있다. 하지만 현재 지정이 되어있는 명칭은 경남 문화재자료 제344호인 ‘대각서원’이다.
이 서원의 건물에는 조금 작은 현판인 ‘대각서원’과 그보다 큰 ‘대각서당’이라는 현판이 동시에 걸려있다. 선현을 모신 제각이 없어 서원으로서의 규모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곡서원이란 명칭을 쓴 것은, 전에 이 서당이 서원이었기 때문이다. 6월 10일 진주와 거창을 답사하면서 들린 사곡서당. 답사를 하면서 참으로 낯 뜨거운 일을 당했다.
정교한 치목을 보이는 강당과 부속건물
이 서당은 강당을 중심으로 좌우에 동재와 서재, 그리고 앞으로는 문간채가 있다. 강당의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규모로, 전후 툇집 형식이며, 정면의 기둥은 배흘림을 둔 두리기동이다. 홑처마에 팔작지붕 형식으로 꾸민 강당은 단면의 크기도 크고 훤칠하다. 이 서당은 원래 이곳에서 조금 떨어진 마을 입구에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 때 소실이 되었던 것을, 후손들이 후에 다시 자리를 옮겨 다시 지었다고 한다. 대각서원은 처음에는 각재 하항을 모시기 위한 ‘대각사’를 지었다가 그 뒤에 무송 손천우, 백암 김대명, 영무성 하응도, 모촌 이정, 조계 유종지, 송정 하수일 등 6분의 유학선현을 추가로 배향하여 일곱 분을 모시고 있다.
사람이 살고 있는 대각서당
전국의 문화재를 답사하다가 가장 답사가 어려운 곳이 바로 향교와 서원이다. 거의가 닫혀있기 때문에 뒤 돌아서기가 일쑤다. 대각서당을 찾아 간 날도 대문이 닫혀있다. 그런데 안에서 인기척이 나고, 사람이 나와 문을 열어준다. 이곳에는 서당 안 건물에 몇 사람이 살고 있다는 것이다. 강당과 동재, 서재에 모두 사람이 살고 있다.
강당에 사시는 분이 차 대접을 한다. 서원을 돌아보다가 이렇게 대접을 받아보기도 난생 처음이다. 알고 보니 이곳에는 동재와 서재에도 사람들이 살고 있다고 한다. 이 분들이 대각서당과 연관이 있는 분들은 아니라고 한다. 다만 이곳에 거처를 정하고 생활을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인가 강당과 동재와 서재 모두가 사람의 온기가 배어있어 따듯한 느낌이다.
건물의 주초만 보고도 반하다
대각서당은 서원으로서 전체적인 배치가 무난하다. 또한 부재의 사용이나 적절한 비례의 적용, 그리고 동재의 여러 가지 기술적인 수법 등 조선후기 건축의 여러 기법들을 동시에 볼 수가 있다. 강당을 바라보면 좌측에 두 칸의 방을 두고, 두 칸의 대청과 또 한 칸의 방을 두고 있다. 잘 다듬은 네모난 돌로 쌓은 기단 위에 세운 강당은 주초만 보고도 반해버렸다. 팔각으로 조성을 한 주초가 눈에 들어온다. 그런데 집 뒤로 돌아가니 뒤편은 사각의 마름보로 조성한 주초를 사용하고 있다. 전면과 후면의 주초를 다르게 논 것이다.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동재는 지금까지 보아오던 서원의 부속건물과는 다른 파격적인 형태로 지어졌다. 두 칸의 방을 두고 한 칸은 누마루를 깐 정자의 형태이다. 비탈진 터를 그대로 이용해 장초석을 놓고 그 위에 한 칸의 난간을 두른 정자방을 꾸민 것이다. 이 정자방의 주초는 장초석인데 역시 팔각이다. 밑에는 둥근 돌을 놓고, 그 위에 팔각의 장초석을 놓아 기둥을 올렸다. 이 서당을 조성한 치목이나 기타 부재보다 팔각과 사각으로 된 주춧돌만 보고도 감탄할 만하다.
대각서당은 원래 서원이었던 것을 자리를 옮기면서 제실이 사라졌다고 한다. 각재 하항의 후손들이 제실을 뒤편에 짓기로 해, 서원의 본 모습을 갖추기로 했다는 것이다. 이야기를 하다가보니 볼일이 급하다. 문간채를 나와 보니 문간채에 허름한 건물이 한 칸 붙어있다. 당연히 화장실 일 것이라고 생각을 하고 문을 두드렸다.
안에서 사람의 기척이 난다. 한참이나 지났는데도 사람이 나올 것 같지가 않다. 볼일이 급하다. 다시 한 번 문을 두드렸다. 그랬더니 이게 웬일인가.
“여기 화장실 아닌데요”
“그럼 화장실은 어디에 있나요?”
“저 밭에 있는 건물예요”
알고 보니 이 대문간에 붙은 임시건물은 목욕을 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것이다. 그것을 화장실인지 알고 사람이 목욕을 하는데 문을 두드려댄 것이다. 안에 있는 여자 분이 얼마나 놀랐을까? 얼굴이 화끈거린다.
모처럼 차 대접까지 받고 서원이 서당이 된 사연까지 들을 수 있었던 진주 수곡면의 대각서당. 자연으로 살아가는 아름다운 사람들을 만나 모처럼 피곤한 자리를 쉴 수가 있었다. 밭 한편에 마련된 화장실 안에서 혼자 키득거린다. 조금 전의 상황이 어이가 없어서이다. 그러고 보니 이 화장실도 참 자연을 닮았다는 생각이다.
‘집안에 웬 공루가 다 있지. 정말로 신기하네.’
전북 임실군 오수면 둔덕리 456-1에는,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12호인 이웅재 고가가 자리하고 있다. ‘아이패드2’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6월 7일 오후 6시가 다 되어서 찾아간 집이다. 이웅재 고가는 현 소유자의 16대 선조이며 마을의 전주이씨 향조이기도 한, 춘성전 이담손(1490년생)이 지은 것이라고 전한다.
처음으로 이 집을 지은 것은 연산군 6년인 1500년경에 지었으니, 벌써 500년이란 오랜 세월이 지난 고택이다. 그 뒤 여러 번의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른 것이다. 장방형으로 구성된 대지는 북에서 남으로 비탈져 있어서, 군데군데에 축대를 동남향으로 쌓고 그 기단 위에 집을 앉혔다.
대문 위에 걸린 효자 정문
밖에서 보기에도 집은 넓지 않은 터에 오밀조밀하게 건물들이 지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솟을삼문으로 구성된 대문은 이 집의 품위를 나타내는 듯하다. 조선시대 지방 사대부가의 일면을 알아 볼 수 있는 이웅재 고가는, 대문 위에 효자현판이 걸려있다. 고종 7년인 1870년에 이문주에게 내려진 이 현판에는, 「有明朝 孝子贈 通政大夫 吏曹參議 李文胄之閭」라고 적혀있다.
문간채도 이 무렵에 중수된 것으로 보인다. 대문채는 5칸 규모이며 가운데에 솟을대문을 두었다. 대문 안을 들어서니 개 한 마리가 요란하게 짖어댄다. 집안은 공사 중인지 여기저기 자재들이 널려있고, 시끄러운 기계음이 들린다. 대문을 들어서면 5단의 장대석 축대 위에 올린 사랑채가 보인다.
방의 앞으로는 툇마루를 빼 난간을 둘렀으며, 기둥에는 주련이 걸려있다. 화려하지는 않지만 쓰임새가 있게 지어진 사랑채이다. 사랑채는 안채와 안담으로 연결이 되어있으며, 뒤편으로는 안채를 드나들 수 있는 일각문을 내어 놓았다. 그 뒤편으로는 높게 축대를 쌓고 지은 사당이 있다. 사랑채의 서쪽으로는 높임마루를 놓아 책방을 꾸민 안 행랑채가 자리한다.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1칸으로 동서 양측에 날개를 달아 ㄷ자형을 이루고 있다. 안채는 기단을 높이고 그 위에 앉혔으며, 날개채는 단을 낮게 놓았다. 하기에 날개채의 지붕은 안채의 지붕보다 낮게 조성이 되었다. 안채는 큰방의 동측에 머리방 대신 도장을 설치하고, 도장 남측에 마루를 두고 이어서 방을 드렸다.
안채 대청을 바라보면서 우측날개에도 방을 따로 두고 있다. 상부는 외부를 판벽으로 두른 공루이고, 하부는 아궁이를 둔 공간을 배치하였다. 큰방의 서쪽에는 찬방을 두어 부엌과 연결되도록 하였다. 현재는 실내의 공간은 조금 바뀐 듯하다. 이러한 가옥의 배치나 구성은 딴 집에서는 찾아보기가 힘든 경우이다.
넓지 않은 대지를 이용해 건물배치를 한 이웅재 고가. 나름대로 건물배치의 미학을 보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공사를 하느라 조금은 산란한 느낌이 들기도 했지만, 독창적인 가옥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공사가 마무리 되는 시기에, 제대로 된 답사를 다시 한 번 해야겠다는 생각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