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중한 너와집, 벌써 150년의 역사가
삼척시 도계읍 신리에 있는 중요민속문화재 제33호인 신리너와집은 조선시대에 지어진 너와집이다. 이곳의 너와집은 강문봉, 김진호, 윤영원씨 등이 소유하던 집들이 있으나, 신리의 너와집은 '김진호 가옥'이란 명칭으로 부르고 있다. 너와집이란 굵은 소나무를 알맞은 크기로 잘라 지붕을 얹고, 용마름 부분에는 굴참나무 껍질을 넓게 벗겨 올린 집이다. 너와집의 지붕 위에는 나무를 고정시키는 통나무를 가로 지르며, 돌들을 함께 올려 바람에 날리는 것을 막았다.
지붕은 산간지역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소나무와 전나무를 길이 40~70cm, 80~110cm 정도로 자르고 넓이는 30cm, 두께는 3~5cm 정도로 나무결에 따라 잘라, 기와처럼 지붕 아래쪽부터 놓아 올라간다.
몇 채 남지 않은 너와집
1970년 대 초까지만 해도 너와집은 여러 종류가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 개조되어 현재 문화재로 지정된 집만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김진호의 너와집은 150여 년 전에 지어진 집으로 서향으로 자리 잡고 있는데, 이 집 역시 지붕에 까치구멍을 뚫었다. 전체적으로는 ㅁ 자 형태로 집을 구성하였는데, 정면과 측면 모두 세 칸으로 꾸며졌다.
방의 부분만 흙담으로 두르고 나머지는 판자벽으로 둘렀다. 밖으로는 대문 곁 좌측에 나무판자로 담을 두른 변소를 두었다. 변소는 양편에서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밑으로는 공간을 내어 놓았다
대문을 보고 우측으로는 판자벽 상단에 까치구멍을 내어 놓았다. 판자 한 장을 잘라내어 낸 까치구멍과 두 곳의 구멍이 나 있다. 우측으로 돌면 작은 문이 있고, 방문이 나 있다. 그리고 벽의 뒤편으로는 작은 창문이 나 있어 환기를 시키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집 뒤로 돌아가면 두 개의 방에 연결한 판자굴뚝이 서 있다.
대문 좌측으로 돌면 판자벽으로 막았는데, 안쪽은 외양간이다. 외양간 벽 아래쪽에는 작은 널판 문을 내어 놓았다. 방문은 작게 만들었는데, 앞으로는 길게 툇마루를 놓았다. 사면이 모두 막혀 있어 문을 통해서만 안으로 출입이 가능하다, 아마 이렇게 막혀진 네모난 공간 안에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너와집이라는 특성 때문으로 보인다.
네모난 공간 안에서 주거생활을 하다
대문을 열고 들어가면 앞면 왼쪽에 외양간, 오른쪽에 부엌을 놓았다. 대문을 들어서 안쪽 트인 공간 중심에 마루가 있는데 마루를 중심으로 안방과 건넌방 사이에 흙바닥인 봉당을 두고 왼쪽이 사랑방, 오른쪽 부엌과 접해 있는 방을 안방으로 배치하였다. 그리고 샛방과 도장방 등을 두었다. 외양간과 부엌 사이의 공간은 집안 일을 할 수 있도록 꾸몄으며, 한쪽에 불씨를 보관하던 시설(화터)이 있다.
사랑방 앞에는 툇마루를 놓고, 그 앞에 판자벽에도 문을 내어 열 수 있도록 하였다. 대청에서 부엌으로 나오는 벽에 구멍을 내어 놓았는데, 이 구멍으로 음식을 가까이 나를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는 이곳에 등잔 등을 놓아 부엌과 안의 주거 공간에 함께 불을 밝힐 수 있도록 사용을 했을 수도 있다.
몇 채 남아있지 않은 너와집. 산간생활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단지 문화재로 지정을 해놓고 문을 잠가놓는 것으로 책임을 다했다고 안심을 하기보다는,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너와집의 생활모습을 볼 수 있도록 교육의 장소로 활용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두 개의 대문을 가진 최규하 생가지 한옥
원주 봉산동에 있는 시림박물관 뒤편에는, 대한민국 제10대 대통령을 지낸 최규하 전 대통령의 집터에 지은 집이 있다. 이 집은 원래는 초가였으나, 후에 손을 보아 보존상의 문제로 기와로 고쳐지었다. 1994년 최규하 전 대통령이 이 집을 원주시에 기증했다. 현재의 집은 1997년 원주시립박물관을 건립 할 때 옛 집과 비슷한 평면구조로 고쳐지은 것이라고 한다.
대문이 두 개인 가옥
현재 최규하 전 대통령 생가지에 있는 가옥은 일각문을 들어서 사랑채 안마당으로 들어설 수가 있다. 이 집의 특징은 사랑채와 광채, 행랑채가 ㄴ자형으로 붙어 있다는 점이다. 이 집의 일각문으로 들어서면 우측에 대문이 하나 있고, 사랑채를 돌아서면 광채와 연결되는 곳에 또 하나의 대문이 있다.
사랑채와 행랑채를 연결하는 가운데 난 대문 안으로 들어서면 우측으로 한 칸의 행랑방이 있고, 좌측으로는 사랑채의 뒤 방문이 있다. 대문 안으로 들어서면 좌우에 아궁이를 두어 이 방이 행랑채임을 알 수 있다. 사랑채의 모서리에는 마루방을 두었으며, 마루방은 앞으로 돌출시키고, 방 앞에는 툇마루를 놓았다. 마루방은 정자 기능을 갖고 있다.
사랑채의 모서리를 돌아가면 반 칸의 헛간을 만들고 그 옆에 대문을 두었다. 그리고 한 칸의 외양간과 한 칸 반의 광채가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행랑방, 대문 세 칸의 사랑채와 꺾인 부분에 헛간, 대문, 외양간, 광의 순서로 배열이 되어 있다. 외양간의 앞면은 구유를 두고 남은 부분은 판자벽으로 막았다. 그리고 우마가 대문을 들어서 마당 안으로 들어오지 않고, 외양간으로 들어갈 수 있는 쪽문이 담벼락에 붙어 있다.
단소 강습소로 이용되는 안채
안채는 ㄱ자 형으로 꾸며져 집안의 전체적은 구성은 튼 ㅁ자 형이다. 이는 강원 영서지방의 전형적인 가옥의 꾸밈새다. 안채를 바라보고 좌측에 툇마루를 높인 건넌방을 두고, 두 칸의 대청과 꺾인 부분에 윗방과 안방, 그리고 두 칸의 부엌을 드렸다. 대문 안으로 들어가니, 대나무로 만든 국악기의 한 종류인 단소를 부는 소리가 들린다. 아마 이곳에서 단소 강습을 하는가 보다.
대청 앞 댓돌 근처에는 신발이 여러 켤레 보인다. 단소를 배우는 사람들이 꽤 되는 듯하다. 이렇게 전통가옥을 이용한 문화강좌 등이 참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한다. 그대로 방치하면 아무래도 폐허가 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2년 전인가 이곳을 방문 했을 때는 온 집안의 벽마다 낙서가 되어 있어, 도저히 눈 뜨고 볼 수가 없을 정도였다. 당시 이곳을 관리하던 어르신은, 눈을 잠시만 돌려도 낙서를 해놓고 간다는 말을 했다.
이렇게 다시 찾은 최규하 전 대통령 생가 터 가옥. 말끔하게 새 단장을 한 가옥에서 은은히 들리는 단소소리가 정겹다. 그리고 낙서하나 없는 벼름박이 보기가 좋다.
시원한 까치구멍을 낸 부엌
이 가옥의 특징은 대문 안에 있는 마구간에 우마가 출입하는 쪽문도 그렇지만, 안채의 부엌에 낸 까치구멍이다. 벽을 삼등분하여 그 맨 위를 전체를 넓게 까치구멍을 둘렀다. 부엌의 위로 시원하게 뚫린 까치구멍이 이 집의 또 하나의 볼거리다. 부엌 문 바로 옆에는 작은 까치구멍을 아래 내어 환기를 최대한으로 도왔다.
안채 안방 뒤에는 넓은 툇마루를 놓고 윗방과 부엌이 일직선이 되게 한 것도, 이 집의 주변에 들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마 당시에는 넓은 들판 한 가운에 집이 자리하고 있었나보다. 단소 강습을 하고 있는 최규하 전 대통령 생가 터 가옥. 다시 찾은 집안을 둘러보면서 '좋다'라는 생각을 몇 번이고 한다.
담장 위에 항아리는 왜 올렸을까?
속초에서 7번 국도를 이용해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을 향해 가다가 보면, 우측에 ‘왕곡마을’이라는 안내판이 있다. 고성군 죽왕면 송지호 뒤편에 위치한 왕곡마을은, 지금의 오봉1리의 옛날 명칭이다. 14세기경 강릉함씨, 강릉최씨가 용궁김씨와 함께 이 마을에 들어와 집성촌을 형성하고 있는 마을이다.
왕곡마을이 처음 생겨난 것은, 고려 말 함부열이 조선의 건국에 반대하여 은거한데서 비롯되었다. 그 후 임진왜란으로 폐허가 된 후, 150여년에 걸쳐 형성된 마을이다. 왕곡리에는 함씨, 최씨, 진씨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밖에 이씨, 박씨, 김씨, 한씨, 윤씨 등이 살고 있다. 현대문화의 범람에도 변하지 않은 옛 모습 그대로의 전통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왕곡마을을 둘러보았다.
19세기에 조성된 왕곡마을
왕곡마을을 찾았다. 모처럼 날씨가 푹해 답사하기에는 제격이다. 왕곡마을에는 19세기를 전후해 지어진 북방식 전총한옥 21채가 있다. 전국적으로 유일하게옛 모습을 그런데도 지켜오는 밀집된 전통한옥마을이다. 이 마을은 마을을 둘러쌓고 있는 5개의 봉우리로 인해, 6.25 한국동란 때에도 한 번도 폭격을 당하지 않았다.
왕곡마을의 가옥구조는 안방과 사랑방, 마루와 부엌을 20~30평 규모로 한 건물 내에 수용하고 있다. 이 마을에는 유난히 기와집들이 많다. 이 집들은 모두 강원도 북부지방에서만 볼 수 있는 양통집이다. 또한 부엌의 앞에 외양간을 덧붙여, 겨울이 긴 추운지방의 기온을 버틸 수 있도록 꾸며진 집들이다. 왕곡마을 동해안의 수려한 자연을 가까이 하고 있으며, 주변을 산이 둘러쳐진 병풍 안에 자리한 마을이기도 하다.
담장 위에 올린 항아리 무엇이지?
이렇게 왕곡마을에 기와집이 많은 이유는, 인접하고 있는 구성리에 기와를 굽는 곳이 있어서라고 한다. 그런데 왕곡마을을 돌다가 보면 두 가지 이상한 것이 있다. 첫 째는 담장에 낸 굴뚝이다. 마을의 집집마다 굴뚝이 서 있는데, 그 굴뚝을 담장에 붙여서 조성을 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굴뚝 위에 올려놓은 항아리들이다. 이 마을은 집집마다 굴뚝위에 항아리를 얹어 놓았는데 특별한 이유 없이 그저 예부터 내려오는 전통이기에 지키고 있다고 한다. 또한 이 마을엔 우물이 없는데 마을이 생긴 모양이 배의 모양이라 우물을 파면 마을이 망한다는 전설 때문이라고 한다. 예부터 이 마을은 모두 부자가 아니어도 기와집을 하고 있었는데 이는 인근 구성리 마을에 기와 굽는 가마가 있어서 였다고 한다.
동해안의 수려한 자연환경 속에 자리한 전통 한옥마을로, 14세기 경 부터 강릉 함씨와 강릉 최씨, 용궁 김씨 등이 모여 사는 집성촌이다. 왕곡마을은 강원도 동해안 송지호 해수욕장에서 0.5㎞ 지점에 있으며 주변의 수려한 자연 환경 속에서 취락을 이루고 있는 전통한옥마을이다. 이 마을은 강릉함씨와 강릉최씨, 용궁김씨 등의 집성촌으로 고려말 두문동 72인 중의 한 분인 함부열이 조선왕조의 건국에 반대하여 간성에 은거한데서 연유되며 임진왜란으로 폐허화된 이래 150여 년 간 걸쳐 형성된 마을이다.
마을의 거주 현황은 함씨(25호), 최씨(11호), 진씨(4호)가 주를 이루고 이밖에 이씨, 박씨, 김씨, 한씨, 윤씨 등이 있다. 이 마을은 14세기경부터 강릉함씨, 강릉최씨 등이 집성촌을 이루어 살아온 곳으로 수려한 자연 환경 속에 취락을 형성하고 19세기를 전후하여 건축된 북방식 전통가옥들이 군락을 이루어 원형대로 보존되고 있으며 현대 문화의 변화와 영향에도 불구하고 자연경관 주택 건축 농업위주의 생활 등이 원래의 모습대로 전래되고 있어 전통민속마을의 가치가 인정된다.
그 김두한의 집이 아니라니까?
김두한가옥이라고 하면 백야 김좌진장군의 아들이자, 현 탤런트 송일국의 외할아버지인 김두한 전 의원을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김두한 가옥은 전 김두한 의원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집이다. 다만 이 가옥의 소유자가 김두한이란 이름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동명이인인 김두한 가옥이라고 명칭을 붙였을 뿐이다.
김두한 가옥은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에 소재한,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86호이다. 이 가옥은 원주목사와 남원목사를 지냈던 김탄행(1714 ~ 1774)의 묘를 관리하기 위하여 지은 묘막이다. 250여 년 전에 처음으로 지어졌다고 하며, 1936년에 크게 보수하였다고 한다.
3단의 장대석 위에 세운 사랑채
김두한 가옥은 ㄱ자형의 안채와 사랑채가 연결되어 ㄷ자형을 이루고 있다. 사랑채와 안채를 연결하여 짓는 경우는 그리 흔치가 않다. 그러나 이 집은 안채와 사랑채를 연결하고, 사랑채는 다시 대문으로 대문채와 연결이 되어있다. 사랑채에 연결이 된 대문채는 잠시 사이를 두고 헛간과 방이 있는 광채와 합해, 튼 ㅁ 자형을 이루고 있다.
대문을 사이로 사랑채와 대문채가 연결이 되어있는 이 집은, 밖의 길에서 사랑채와 대문채가 한눈에 보인다. 사랑채는 3단의 장대석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올렸다. 긴 장대석의 석재를 이용한 것이나 3단으로 기단을 쌓은 것들을 보면, 당시 이 묘막을 지은 가문의 힘이 느껴지기도 한다. 이집은 밑에 넓고 위가 좁은 마름모꼴형의 주추 위에, 방형의 기둥을 세웠다. 사랑채의 마루방은 앞면과 측면의 문을 모두 열어젖힐 수 있도록 만들었다.
사랑채의 문들이 재미있다
사랑채는 정면 3칸의 규모로 지었으며, 집을 바라보면서 왼쪽 1칸은 마루방으로 꾸몄고, 오른쪽 2칸은 방으로 되어 있다. 마루방의 문은 앞면과 측면이 판자문으로 막았다. 판자문은 4짝을 모두 함께 열어젖힐 수가 있다. 마루방의 뒤쪽으로도 사방 1칸의 온돌방을 두었으며, 이 방은 안채의 부엌과 연결이 되어있다.
사랑채는 앞에 돌출이 된 마루방을 빼고, 두 칸 방 앞으로 마루를 놓았다. 이 마루에 올라서면 좌측으로는 마루방으로 들어가는 문이 있고, 우측으로는 작은 쪽문이 보인다. 이 쪽문은 무엇에 쓰는 것일까? 이 여닫이로 된 쪽문을 열면 좁은 네모난 공간이 나온다. 그리고는 대문과 사랑채의 끝이 이어지는 아궁이가 있다. 이 문안에 있는 공간은 아궁이에서 사랑방으로 통하는 공간이 되는 셈이다.
그렇다면 이 네모난 작은 공간은 무엇이고, 마루 끝에 보이는 쪽문은 무엇이었을까? 아마도 이 공간은 대문간에 붙은 아궁이에서 음식 같은 것을 만들어, 사랑채로 옮기던 창구가 아니었을까? 안채에 붙은 부엌에서 이곳 사랑채까지 나르기는 힘이 들고, 안채와 연결이 되어있다고 해도 사랑채가 외간남자들이 드나드는 곳이었으니, 이 쪽문을 통해 네모난 공간에 음식을 놓고, 그것을 사랑채로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
안채에 딸린 부엌, 유난히 환기장치가 많은 이유는
안채는 안방과 윗방이 부엌에 접하여 있고 그 옆으로 대청과 건넌방이 있다. 일반적인 고택의 경우 - 자형의 집이 아닐 때에는, 안채와 사랑채가 별도의 건물로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김두한 가옥은 안채와 사랑채가 붙어있다. 다만 그 구별은 중간에 안채의 부엌을 놓아 구분을 해 놓았다. 이렇게 전체적인 가옥구조의 중간에 부엌을 놓은 경우는 아주 특이한 경우이다. 김두한 가옥의 특징은 바로 이 부엌이 건물의 중심에 있다는 것이다.
이 부엌에는 아랫부분에 나 있는 양편으로 마주 뚫어놓은 까치구멍과, 위편에 또 하나의 커다란 까치구멍이 있다. 이렇게 많은 환기장치를 해 놓은 것은 무슨 이유에서일까? 김두한 가옥은 묘막으로 지어진 집이다. 그러다가 보면 제의를 행할 때, 많은 음식을 준비해야 한다. 그 음식들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환기가 잘 되어야함은 기본이다. 그렇게 음식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가옥보다 환기장치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김두한 가옥에서 보이는 또 하나의 특징은 바로 대문채와 광채를 이어주는 담장이다. 이 담장은 일반적인 담장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흡사 이 담장이 어느 건물의 담벼락과 같은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담장에는 가로 세로로 나무를 질러 담벼락과 같은 효과를 내었다. 실제로 이 김두한 가옥이 모든 담벼락들이 이와 같은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자세히 보지 않으면 담벼락으로 오인을 할 수 있다.
250년의 긴 세월을 자리를 잡고 있는 김두한 가옥. 지금은 사람이 살지 않아 여기저기 파손이 되기는 했지만, 그래도 아직 옛 모습의 형태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우리 고택의 또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는 가옥이다.
속초 ‘방아간댁’은 고풍이 넘치네.
속초시 도문동 1504호 김근수 가옥은, 현재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64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4월 23일 찾아간 김근수 가옥은, 한 마디로 옛 정취가 묻어있는 집이다. 집을 돌아보다가 만난 할머니는 연세가 80이 훨씬 넘어 보이신다. 이 집을 40여 년 전에 매입을 하였다고 하신다.
함경도 형 집으로 지어진 김근수 가옥
김근수 가옥은 함경도 형태로 지어진 집이다. 정면 네 칸, 측면 두 칸으로 지어졌으며, 사랑채와 안채가 한 몸에 붙어있다. 팔작 기와집으로 지어진 집을 돌아보면서 느낀 점은, 비좁기는 하지만 있을 것은 다 있다는 생각이다. 함경도식 온돌 겹집에 마루를 수용한 이 집은 안담과 바깥담을 두른 형태이다.
허리를 다치셨다고 말씀을 하시는 할머니는, 방문을 일일이 열어 주면서 잘 살펴보라고 하신다. 수많은 집을 돌아보았지만 이렇게 대접을 받기는 또 처음인 듯하다.
담벼락에 낸 굴뚝이 이채로워
김근수 가옥은 일반적인 고택의 형태는 아니다. 집을 바라보면서 몸채의 좌측 편에는 두 칸으로 된 사랑이 있다. 앞으로는 우물마루를 놓았으며, 방은 가운데에 문을 달아 두 개의 작은 방으로 꾸며졌다. 방문을 열어주면서 지금은 공부하는 학생이 묵고 있다는 할머니의 설명이시다.
사랑의 앞으로는 바깥담을 둘러놓았다. 그리고 담벼락에는 강원도 지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담벼락 굴뚝이 보인다. 마루는 툇마루 형태로 놓았다. 안채는 안방과 뒷방으로 꾸며져 있어 이중 겹집으로 구성이 되었다.
부엌에는 본채의 지붕에서 이어져 내려 온 마구간이 붙어 있으며, 부엌문을 열어야 드나들 수 있는 뒤 사랑이 있다. 뒤 사랑은 정면 두 칸, 측면 한 칸으로 구성이 되었으며, 가묘를 모시는 벽장이 있다고 한다.
뱀의 형국에 해당하는 명당
원래 김근수 가옥은 현재의 몸채 앞에 사랑채와 행랑채가 별도로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8,15 광복을 전후해 집이 축소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 집은 풍수지리상 뱀의 형국에 해당하는 명당이라고 이야기를 한다.
“저 윗집과 저 아랫집까지 모두 내 집이야.”
“할머니 부자시네요”
“이 집에서 아들 딸 다 대학을 보냈어.”
“정말로 고생하셨네요.”
“부엌에 붙은 것이 외양간이야. 그런데 지금은 그냥 광으로 써”
귀가 어두우신지 말씀을 드려도 잘 알아듣지를 못하신다. 불편하신 몸을 이끌고 일일이 방문을 열어 볼 수 있도록 안내를 해 주시는 할머니가 고맙기만 하다. 허리를 다치셨다고 하시는 할머니, 오래도록 건강하셨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