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한가옥이라고 하면 백야 김좌진장군의 아들이자, 현 탤런트 송일국의 외할아버지인 김두한 전 의원을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김두한 가옥은 전 김두한 의원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집이다. 다만 이 가옥의 소유자가 김두한이란 이름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동명이인인 김두한 가옥이라고 명칭을 붙였을 뿐이다.

 

김두한 가옥은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건등리에 소재한,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86호이다. 이 가옥은 원주목사와 남원목사를 지냈던 김탄행(1714 ~ 1774)의 묘를 관리하기 위하여 지은 묘막이다. 250여 년 전에 처음으로 지어졌다고 하며, 1936년에 크게 보수하였다고 한다.

 

 

3단의 장대석 위에 세운 사랑채

 

김두한 가옥은 ㄱ자형의 안채와 사랑채가 연결되어 ㄷ자형을 이루고 있다. 사랑채와 안채를 연결하여 짓는 경우는 그리 흔치가 않다. 그러나 이 집은 안채와 사랑채를 연결하고, 사랑채는 다시 대문으로 대문채와 연결이 되어있다. 사랑채에 연결이 된 대문채는 잠시 사이를 두고 헛간과 방이 있는 광채와 합해, 튼 ㅁ 자형을 이루고 있다.

 

대문을 사이로 사랑채와 대문채가 연결이 되어있는 이 집은, 밖의 길에서 사랑채와 대문채가 한눈에 보인다. 사랑채는 3단의 장대석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올렸다. 긴 장대석의 석재를 이용한 것이나 3단으로 기단을 쌓은 것들을 보면, 당시 이 묘막을 지은 가문의 힘이 느껴지기도 한다. 이집은 밑에 넓고 위가 좁은 마름모꼴형의 주추 위에, 방형의 기둥을 세웠다. 사랑채의 마루방은 앞면과 측면의 문을 모두 열어젖힐 수 있도록 만들었다.

 

 

 

 

사랑채의 문들이 재미있다

 

사랑채는 정면 3칸의 규모로 지었으며, 집을 바라보면서 왼쪽 1칸은 마루방으로 꾸몄고, 오른쪽 2칸은 방으로 되어 있다. 마루방의 문은 앞면과 측면이 판자문으로 막았다. 판자문은 4짝을 모두 함께 열어젖힐 수가 있다. 마루방의 뒤쪽으로도 사방 1칸의 온돌방을 두었으며, 이 방은 안채의 부엌과 연결이 되어있다.

 

사랑채는 앞에 돌출이 된 마루방을 빼고, 두 칸 방 앞으로 마루를 놓았다. 이 마루에 올라서면 좌측으로는 마루방으로 들어가는 문이 있고, 우측으로는 작은 쪽문이 보인다. 이 쪽문은 무엇에 쓰는 것일까? 이 여닫이로 된 쪽문을 열면 좁은 네모난 공간이 나온다. 그리고는 대문과 사랑채의 끝이 이어지는 아궁이가 있다. 이 문안에 있는 공간은 아궁이에서 사랑방으로 통하는 공간이 되는 셈이다.

 

 

 

그렇다면 이 네모난 작은 공간은 무엇이고, 마루 끝에 보이는 쪽문은 무엇이었을까? 아마도 이 공간은 대문간에 붙은 아궁이에서 음식 같은 것을 만들어, 사랑채로 옮기던 창구가 아니었을까? 안채에 붙은 부엌에서 이곳 사랑채까지 나르기는 힘이 들고, 안채와 연결이 되어있다고 해도 사랑채가 외간남자들이 드나드는 곳이었으니, 이 쪽문을 통해 네모난 공간에 음식을 놓고, 그것을 사랑채로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

 

안채에 딸린 부엌, 유난히 환기장치가 많은 이유는

 

안채는 안방과 윗방이 부엌에 접하여 있고 그 옆으로 대청과 건넌방이 있다. 일반적인 고택의 경우 - 자형의 집이 아닐 때에는, 안채와 사랑채가 별도의 건물로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김두한 가옥은 안채와 사랑채가 붙어있다. 다만 그 구별은 중간에 안채의 부엌을 놓아 구분을 해 놓았다. 이렇게 전체적인 가옥구조의 중간에 부엌을 놓은 경우는 아주 특이한 경우이다. 김두한 가옥의 특징은 바로 이 부엌이 건물의 중심에 있다는 것이다.

 

 

 

이 부엌에는 아랫부분에 나 있는 양편으로 마주 뚫어놓은 까치구멍과, 위편에 또 하나의 커다란 까치구멍이 있다. 이렇게 많은 환기장치를 해 놓은 것은 무슨 이유에서일까? 김두한 가옥은 묘막으로 지어진 집이다. 그러다가 보면 제의를 행할 때, 많은 음식을 준비해야 한다. 그 음식들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환기가 잘 되어야함은 기본이다. 그렇게 음식을 신선하게 보관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가옥보다 환기장치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김두한 가옥에서 보이는 또 하나의 특징은 바로 대문채와 광채를 이어주는 담장이다. 이 담장은 일반적인 담장과는 판이하게 다르다. 흡사 이 담장이 어느 건물의 담벼락과 같은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담장에는 가로 세로로 나무를 질러 담벼락과 같은 효과를 내었다. 실제로 이 김두한 가옥이 모든 담벼락들이 이와 같은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자세히 보지 않으면 담벼락으로 오인을 할 수 있다.

 

250년의 긴 세월을 자리를 잡고 있는 김두한 가옥. 지금은 사람이 살지 않아 여기저기 파손이 되기는 했지만, 그래도 아직 옛 모습의 형태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우리 고택의 또 다른 모습을 볼 수 있는 가옥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