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다리기는 풍년, 풍어의 기원

 

줄다리기는 여러 사람이 두 편으로 갈라, 줄을 마주 잡아당겨 승부를 겨루는 놀이이다. 줄다리기는 한 해의 길흉을 점치고 풍년·풍어 등을 기원하는 뜻에서 시작한 마을 행사였다. 작은 마을에서 시작해 점점 이웃마을로 합세를 하면서 대보름이 되면 거대한 줄로 변한다. 새끼줄이 중줄이 되고, 그것이 다시 모여 쌍룡이라는 암수의 줄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줄은 주로 음력 대보름을 기해 행해졌으며 마을 단위로 편을 갈라 장정들이 하거나 또는 남녀노소가 함께 줄을 마주 잡아당겨 승부를 겨루었다. 줄다리기를 삭전(索戰)·조리지희(照里之戱)·갈전(葛戰)이라고도 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 줄다리기에 관한 기록이 처음 나온다. 주로 중부지방 아래에서 성행한 것으로 보아 벼농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줄다리기는 대개 정월 대보름날 행하지만, 곳에 따라 단오나 한가위에 하기도 한다. 줄은 암줄과 수줄을 각각 만든다. 예전에 여주 흔암리 일대의 줄다리기는 수천 명이 달라붙어 줄다리기를 하였다. 일부 지방에서는 줄의 길이가 한편이 80m 정도의 큰 줄에 많은 사람들이 달라붙기 때문에 일대 장관을 연출하기도 했다.

 

줄은 암수줄을 만들어 그 용두(줄머리) 부분을 암줄은 넓게, 숫줄은 좁고 위로 오르게 만든다. 숫줄의 용두를 암줄의 용두에 넣은 후 비녀라는 나무빗장을 걸게 된다. 용목의 너비가 1m에 이른다고 했으니 그 줄의 위용을 알 수 있을 것 같다.

 

  
줄의 용두 부분. 굵은 줄은 용목이 1m 나 되었다

 

줄다리기는 공동체의 구심점

 

줄다리기는 단순히 줄을 당기는 놀이가 아니다. 그 안에는 공동체를 창출하고 자연을 보호하는 내적 사고를 지니게 된다. 마을에서는 정월 초이틀이 지나고 나면 마을마다 작은 줄을 만든다. 그리고 그 줄을 갖고 이웃마을과 줄다리기를 한다. 진 마을에서는 이긴 마을에 줄을 넘기게 되고, 이긴 마을에서는 그 줄을 합해 조금 굵은 줄을 만든다. 이처럼 처음 만들어진 줄이'새끼줄'이다. 마을마다 이렇게 줄다리기를 하며 새끼줄을 모으고, 이긴 마을끼리 또 다시 줄다리기를 하게 된다. 날이 갈수록 줄은 점점 굵어지는데, 이때 줄을 '중줄'이라고 한다.

 

줄을 이긴 마을에 넘겨줄 때는 사람들도 함께 그 편이 된다. 이웃과 이웃이 하나가 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저절로 공동체가 형성이 되는 것이다. 이런 줄이 보름이 가까워지면 커다란 암줄과 수줄로 형태가 변한다. 즉 암용과 수룡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다.

 

그리고 마을도 강을 사이로 강북과 강남이 암숫룡을 이고 줄다리기를 할 강변으로 모여든다. 마을마다 들고 나온 깃발에, 마을의 풍물패가 한데 어우러지면 그야말로 한바탕 난장이 벌어지면서 모든 사람들이 하나가 되는 공동체가 형성이 되는 것이다. 이런 공동체의 마음으로 풍농을 기원하고 마을의 안녕을 염원하였던 것이 바로 우리 줄다리기의 근본이다. 또한 겨우내 움츠려진 몸을 줄다리기를 하면서 길러, 농사를 지을 수 있는 힘을 만들어 낸 것이다.

 

  
거대한 줄로 보를 막으면 그 줄을 이용해 많은 어종들이 알을 낳기도 했다.

 

'줄보'는 생명의 근원

 

줄다리기를 마친 후 줄은 마을마다 사용법이 다르다. 어느 곳에서는 줄을 당산에 쳐놓기도 하고, 어느 마을에서는 얼음이 언 강에 갖다 놓기도 한다. 새끼줄을 잘라 지붕에 던지면 집안에 액을 막을 수 있다고 하여 잘라가기도 한다. 또는 기자속(祈子俗)으로 줄을 이용하기도 하는 등, 줄을 이용하는 방법에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우리가 눈여겨 볼 것은 바로 <줄보>라는 줄의 사용법이다. 마을에 내가 흐르면, 줄을 당긴 후 내를 막아 보를 만든다. 이 짚으로 만든 줄보는 생명의 근원이다. 또한 자연을 보호하고 물을 정화시킨다. 수많은 어류들이 이곳에서 생명을 잉태시킨다. 그리고 그 스스로가 어장이 되는 것이다.

 

물속에 많은 먹이를 만들어 배부른 강을 만들고, 여름 장마철이 되면 떠내려간다. 이때쯤이면 농사를 지을 물이 부족하지 않다. 생명을 잉태하고 자연을 보호하며, 물을 가둘 수 있는 줄보. 그리고 자신의 역할을 하면 스스로 떠내려가 물의 흐름에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다. 다음 해에는 또 다른 생명의 줄보가 물을 막는 것이다.

 

  
줄을 이용해 보를 막은 선조들의 지혜를 배우자. 강을 오염시키지 않고 수 많은 생명을 잉태한 생명의 줄이다

 

이런 줄보를 생각하면 지금 우리들의 논란은 아무런 가치가 없다. 조상 대대로 이용해 농사를 지을 물을 가두고, 많은 생명을 잉태시킨 줄보. 이 하나만으로도 우리는 선조들의 자연사랑과 공동체 정신을 배울 수 있다. 저마다 잘났다고 침을 튀기는 사람들. 이 줄보를 과연 알고는 있었을까? 그저 속이 까맣게 타들어간다. 남한강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서서 저곳을 줄보로 막을 수만 있다면 굳이 이런 논란은 하지 않아도 될텐데 하는 생각을 한다. 생명의 보 <줄보>, 이 줄보를 만들어 썩은 물을 만들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다.


정월 대보름의 행사 중 단연 돋보이는 것은, 역시 많은 사람들이 함께 참여를 하는 대동의 놀이이다. 그 중에서 가장 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놀이는 줄다리기이다. 줄다리기는 우리나라의 전역에서 고르게 나타나던 대보름의 세시민속놀이이다. 이러한 줄다리기는 줄을 당기고 난후 마을마다 줄을 이용하는 방법이 틀리다.

어느 곳에서는 줄을 당기고 난후 당산나무나 선돌 등에 감아두는가 하면, 어느 마을에서는 보를 막기도 한다. 또한 줄을 잘라 지붕 위에 던지면 액을 막는다고 하여, 줄을 잘라가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이렇게 줄다리기를 한 줄은 마을마다 그 처리방법 등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그 내적인 면에 있어서는 풍농, 가내의 안과태평, 마을의 평안 등으로 귀착이 된다.


액송을 하는 여주 흔암리 마을

여주군 흔암리 마을에서는 예부터 정월 보름날 줄을 당기고 나서, 그 줄을 얼어붙은 청미천 위에 갖다 놓았다. 줄에는 작은 액송기를 꽂아, 날이 풀리면 액송기를 꽂은 줄이 남한강을 따라 떠내려간다. 그렇게 줄이 떠내려가면, 모든 액이 다 사라진다는 속설을 갖고 있다. 남한강 둔치에서 벌어지던 여주의 대보름 액송의식을 사진으로 들여다본다.

줄을 당기고 난 후 풍물패들이 인도를 해, 액송기를 꽂은 암줄과 숫줄을 강으로 들고 간다


줄을 당긴 후에 줄을 강가로 옮기고 있다(위) 줄에 꽂은 액송기. 자신의 서원을 적은 기를 줄에 꽂는다.


줄과 함께 떠내려 보낼 액송집 앞에 촛불을 켜고 있다(위) 액송기를 꽂은 줄(아래)


액송의식을 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살풀이를 추고 있다. 살풀이는 남한강 물속에서도 이루어진다. 남한강에서 생명을 잃은 모든 것들의 원을 풀어버리는 의식이다.



액송집과 함께 액송기를 꽂은 줄을 강물에 띄워 보내고 있다. 이렇게 하면 모든 액이 사라진다고 한다.


떠내려가는 액송기를 꽂은 줄과 액송집. 그리고 또 하나의 줄을 보내고 있다(아래)


강물을 따라 떠내려가는 쌍룡(암줄과 숫줄). 이렇게 아름다운 대보름의 액송의식이 4대강 개발로 인해 남한강 둔치가 사라지면서 함께 중단이 되어버렸다. 


여주군 점동면 흔암리는 역사가 깊은 마을이다. 이 마을은 예로부터 줄다리기를 하고 난 뒤, 줄에 액송기를 꽂아 마을 뒤편에 흐르는 남한강에 갖다 놓는다. 정월 대보름 줄다리기를 할 때는 남한강이 꽁꽁 얼어 얼음 위에 줄을 올려놓게 되는데, 얼음이 녹으면 이 줄이 물에 가라앉아 수많은 물고기들의 산란처가 되기도 한다. 이 흔암리에는 선사주거지가 있다. 모두 16채의 집터가 발굴이 되었는데, 남한강에서 그리 멀지 않은 산 구릉에 자리하고 있다.

 

남한강가의 집단 선사주거지

 

흔암리 선사유적이 처음 발견된 것은 1960년대에 김원룡에 의해서다. 그 후 서울대박물관 고고학조사단이 1972년도부터 매년 발굴을 실시한 결과, 모두 20여기에 가까운 움집터를 확인하였고 다수의 유물과 탄화곡물을 발견하였다. 집 자리가 확인된 곳은 마을 뒤편을 흐르는 남한강에서 300여m 정도 떨어진 곳으로, 남북으로 길게 뻗은 표고 123m의 산정상부 지점으로 유적은 이 산 경사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선사유적지의 발굴에서 출토된 토기는 구멍무늬토기, 민무늬토기, 붉은간토기 등이 있다. 민무늬 토기에는 화분형, 사발, 단지, 짧은목 토기 등이 출토되었으며, 빗살무늬토기와 붉은 간토기 등도 상당수 발굴되었다. 석기로는 돌칼, 반달돌칼, 바퀴날도끼, 돌도끼, 돌화살촉 등이 있다. 또한 이곳에서는 농경용 연모와 함께 땅을 파 만든 저장고에서 쌀, 보리, 조, 수수 등의 곡식이 발견되었다. 이 유적에서 나온 탄화미는 늦은 연대라 하더라도 연대가 최소한 기원전 7세기까지 올라가는 것들로 판명되었다.

 

▲ 재현된 움집 현재 흔암리 선사유적지의 움집들은 당시의 기둥구멍을 확인해 세운 것으로, 안에는 화덕자리 등을 꾸며놓았다.

▲ 움집 출입구 기둥구멍의 벽체가 곧바로 위로 올라간 것은, 기둥의 서까래가 땅에 땋지 않은 반 움집이었다는 것을 말한다


흔암리 유적지의 집의 형태

 

흔암리 선사유적지의 집들은 남북장축으로 풍화된 화강암반을 'ㄴ자'로 파고 지붕을 씌운 것이며, 포탄형의 특징적인 화덕자리가 발견되었다. 주거지의 내부시설에는 화덕자리, 간단한 저장구덩이, 기둥구멍 및 출입구 등이 있다. 움집의 구조는 평면은 긴 네모꼴이며 가장 큰 집터는 길이 10m, 너비 4.2m로 나타나 상당히 큰 편이다. 이렇게 큰 집이 있었다는 것은 당시에도 집단주거지의 주축이 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다. 

 

현재 흔암리 선사유적지의 움집들은 당시의 기둥구멍을 확인해 세운 것으로, 안에는 화덕자리 등을 꾸며놓았다. 발굴 당시 나타난 움집들은 움의 깊이가 조금씩 차이가 있었으며, 같은 집터에서도 4벽이 서로 다르고 기둥구멍의 벽체가 곧바로 위로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기둥의 서까래가 땅에 땋지 않은 반 움집이었다는 것을 뜻한다.

 

이곳에서 출토된 연모 중에서 그물추가 있었다는 것은 흔암리 선사유적지의 생활에서 농경을 주로 했지만, 뒤편을 흐르는 남한강에서 물고기를 잡았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 화덕자리 움집 안에는 화덕자리를 재현해 놓았다. 발굴 당시에는 이 화덕자리에서 숯이 발견되기도 했다.

 
▲ 남한강 흔암리 선사유적지에서 300m 정도 떨어져 있는 남한강. 이곳에서 물고기도 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재현된 선사유적지 아쉬움이 남아

 

흔암리 선사유적지는 마을회관을 기점으로 양편으로 오를 수가 있다. 마을회관 앞에서 좌측 길로 들어서면 전신주에 '흔암리 선사유적 150m'라는 이정표가 걸려있다. 그런데 불과 10m 정도를 안으로 들어갔는데, 이곳에는 흔암리 선사유적 80m'라는 이정표를 걸어 놓았다. 도대체 이해가 가질 않는 이정표다. 이런 안내판이 보일 때마다 화가 치미는 것은, 우리 문화재에 대해 관계부서에서 얼마나 무관심한가를 보이는 것이란 생각이다.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고는 하지만, 이정표 하나도 확인하지 않은 문화재보존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 안내판1 선사유적지가 150m 전방에 있음을 알려준다
ⓒ 하성

▲ 안내판2 불과 10m 정도를 안으로 들어갔는데 80m 라는 이정표가 걸려있다. 사소한것 하나도 확인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한 곳의 입구는 마을회관 우측 길로 남한강 방향으로 가다가 보면, 석비가 서 있는 곳으로 오를 수가 있다. 얼핏 생각을 해보아도 두 개의 거리가 맞지 않는 이정표 중 하나는, 이곳에 있어야 할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 주거지 석비 선사주거지를 알리는 석비는 남한강 방향으로 나가는 곳에 있다.

 

펜스로 둘러놓은 선사유적지는 현재 5동정도의 움집을 재현해 놓았다. 안으로 들어가면 화덕자리만 하나씩 만들어 놓았다. 이곳에서 발견된 토기나 연모 등을 모조품이라도 놓아두었다면 좋았을 것을. 돌아보면서 아쉬움이 남는다. 사람들이 이곳을 찾았을 때 볼 것이 너무 부족하다는 생각이다. 더구나 한 움집에는 누군가가 술을 마시고 빈병과 쓰레기를 버리고 갔다. 한 마디로 문화재의 관리가 전혀 되어 있지 않다는 이야기다.

 

▲ 쓰레기 누군가 이곳에서 술을 마시고 쓰레기를 버려놓았다. 문화재의 관리소홀의 한 단면이다.

 

현재 경기도 기념물 제155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흔암리 선사유적지. 우리의 농경문화와 더불어 강가를 주거지를 삼은 취락구조를 알 수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치고는 너무나 볼품없이 재현이 되었다는 생각이다.(출처 : 오마이뉴스 / 2010, 3, 16)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