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 대보름의 행사 중 단연 돋보이는 것은, 역시 많은 사람들이 함께 참여를 하는 대동의 놀이이다. 그 중에서 가장 공동체를 이룰 수 있는 놀이는 줄다리기이다. 줄다리기는 우리나라의 전역에서 고르게 나타나던 대보름의 세시민속놀이이다. 이러한 줄다리기는 줄을 당기고 난후 마을마다 줄을 이용하는 방법이 틀리다.

어느 곳에서는 줄을 당기고 난후 당산나무나 선돌 등에 감아두는가 하면, 어느 마을에서는 보를 막기도 한다. 또한 줄을 잘라 지붕 위에 던지면 액을 막는다고 하여, 줄을 잘라가는 모습을 볼 수도 있다. 이렇게 줄다리기를 한 줄은 마을마다 그 처리방법 등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그 내적인 면에 있어서는 풍농, 가내의 안과태평, 마을의 평안 등으로 귀착이 된다.


액송을 하는 여주 흔암리 마을

여주군 흔암리 마을에서는 예부터 정월 보름날 줄을 당기고 나서, 그 줄을 얼어붙은 청미천 위에 갖다 놓았다. 줄에는 작은 액송기를 꽂아, 날이 풀리면 액송기를 꽂은 줄이 남한강을 따라 떠내려간다. 그렇게 줄이 떠내려가면, 모든 액이 다 사라진다는 속설을 갖고 있다. 남한강 둔치에서 벌어지던 여주의 대보름 액송의식을 사진으로 들여다본다.

줄을 당기고 난 후 풍물패들이 인도를 해, 액송기를 꽂은 암줄과 숫줄을 강으로 들고 간다


줄을 당긴 후에 줄을 강가로 옮기고 있다(위) 줄에 꽂은 액송기. 자신의 서원을 적은 기를 줄에 꽂는다.


줄과 함께 떠내려 보낼 액송집 앞에 촛불을 켜고 있다(위) 액송기를 꽂은 줄(아래)


액송의식을 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살풀이를 추고 있다. 살풀이는 남한강 물속에서도 이루어진다. 남한강에서 생명을 잃은 모든 것들의 원을 풀어버리는 의식이다.



액송집과 함께 액송기를 꽂은 줄을 강물에 띄워 보내고 있다. 이렇게 하면 모든 액이 사라진다고 한다.


떠내려가는 액송기를 꽂은 줄과 액송집. 그리고 또 하나의 줄을 보내고 있다(아래)


강물을 따라 떠내려가는 쌍룡(암줄과 숫줄). 이렇게 아름다운 대보름의 액송의식이 4대강 개발로 인해 남한강 둔치가 사라지면서 함께 중단이 되어버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