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콕박물관에서 재밌는 역사 이야기를 먼저 관람하세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거리두기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수원시 박물관사업소가 유튜브 채널을 이용한 수원 온라인 박물관코너를 신설, 소장하고 있는 대표유물에 대한 역사와 스토리를 집에서 편하게 감상할 수 있는 콘텐츠로 제공해 눈길을 끈다.

 

수원시 유튜브 채널(https://www.youtube.com/user/suwonloves)에 지난 22일 공개된 3개의 집콕박물관 영상은 각 박물관의 대표유물에 얽힌 이야기를 쉽게 풀어내며 높은 조회 수를 기록 중이다.

 

우선 수원박물관 편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9호로 지정된 팔달문 동종의 천년에 얽힌 이야기를 풀어냈다. 동종 1080년 고려 개성에서 만들어져 1687년 만의사 대종으로 재탄생한 뒤 화성 축성 이후 성문을 여닫을 때 파루용으로 쓰였던 동종의 역사가 자세한 영상과 함께 소개됐다.

 

 

수원화성박물관 편은 보물 제1477-1호로 지정된 채제공 초상 시복본을 소개하며 정조가 사랑했던 번암 채제공(1720~1799)을 조명했다. 조선 시대 명재상으로 손꼽히는 채제공은 초대 수원 유수를 지내고 수원화성 축성을 총괄한 인물로, 정조의 명을 받은 화가 이명기가 그린 초상화를 통해 당대의 스토리가 펼쳐진다.

 

수원광교박물관이 소장한 삼국접양지도는 일본이 스스로 독도가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인정했던 증거물로 등장한다. 1785년 일본의 대표적인 실학자 하야시 시헤이가 제작한 지도에 조선의 영토로 독도가 표시된 명확한 사실을 담았다.

 

 

이들 수원 온라인 박물관 영상은 수원시 유튜브 채널과 수원박물관, 수원화성박물관, 수원광교박물관의 홈페이지에 함께 공개됐다. 박물관사업소는 앞으로도 주기적으로 박물관별 전시 영상과 수원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등을 업데이트해 지속적인 서비스를 이어가며 수원시민들이 좀 더 편하게 전시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백광학 박물관사업소장은 코로나19 상황에 슬기롭게 대처하면서 많은 시민이 집에서 온라인으로 수원의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고, 재미있는 역사 이야기를 통해 즐거움을 느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수원시에는 수원의 유구한 역사와 우리의 서화 문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수원박물관’, 세계유산 수원화성과 조선의 문화군주 정조대왕을 만날 수 있는 수원화성박물관’, 광교 도시변천과 우리나라 근현대를 살펴볼 수 있는 기증유물로 꾸며진 수원광교박물관이 있다.

 

지난 14KBS- 1TV에서 시작한 대하드라마 정도전은 총 60회의 분량을 마치고 629일 종영을 했다. 삼봉 정도전은 조선 개국의 핵심 주역으로서 고려 말기의 사회모순을 해결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새로운 왕조를 개창한 장본인이다. 정도전은 본관은 봉화(奉化). 자는 종지(宗之), 호는 삼봉(三峰)으로 각종 개혁은 물론, 조선이라는 나라를 민본 우선주의를 중시하는 국가로 만들기 위해 혁신을 감행한 신진 사대부이기도 하다.

 

삼봉 정도전처럼 파란만장한 세상을 산 인물도 그리 흔하지 않다. 수도 없이 핍박을 당하고 유배 길에 올랐다. 하지만 그는 유배와 유랑 등 고초를 겪으면서도 스스로 밭갈이를 하고 초라한 모옥에 살았다. 그러면서도 오직 향민을 생각하고 그들을 위한 정책을 만들기 위해 애를 썼다.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자 그는 태조 2년인 13937월 문하시랑찬성사로 동북면도안무사가 되어 여진족을 회유했으며, 문덕곡(文德曲)·몽금척(夢金尺)·수보록(受寶錄)등의 악사 3편을 지어 왕에게 바쳤다. 그리고 13941월 판의흥삼군부사로 병권을 장악하여 병제개혁에 대한 상소를 올리고, 3월 경상·전라·양광 삼도도총제사가 되었다. 이때 조선왕조의 제도와 예악의 기본구조를 세운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을 찬진했다.

 

 

시가 10억 원의 국내 유일본인 조선경국전

 

수원화성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조선경국전>1395년 초간본으로 추정되는 조선 초기 간행본으로 매우 희귀한 자료이다. 이 책은 국내 유일본으로 밝혀졌으며, KBS-TV 진품명품에서 시가 10억 원이 넘는 가치가 있다고 했다. 현재 <조선경국전>은 문화재청에서 국가지정 문화재로 지정하기 위해 심의 중에 있으며, 무난히 국보급으로 지정을 받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조선경국전>과 삼봉 정도전을 기리는 학술대회가 열렸다. 수원화성박물관 영상기획실에서 12일 오후 2시부터 열린 삼봉 정도전과 조선경국전은 한신대 김준혁 교수의 사회로 진행이 되었으며, 이 자리에는 봉화 정씨 19세 손이라는 종친회장과 종친회 원로들이 자리를 함께 해 학술대회를 지켜보았다.

 

종친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이렇게 귀한 자리에 참석을 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해준 염태영 수원시장과 관계자들에게 감사를 드린다.”오늘 이 학술대회를 계기로 삼봉 정도전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고 했다.

 

 

학술대회장 각계의 호응 뜨거워

 

수원화성박물관에서 많은 학술대회를 했지만, 이번처럼 많은 사람들이 참석을 한 것은 처음인 듯하다. 자리를 다 메우고도 모자라 보조의자를 깔았는데도 불구하고 뒤편에는 서서 경청을 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보인다.

 

이날 학술대회는 단국대학교 문철영 교수의 정도전이 꿈꾸었던 세상과 <조선경국전>‘을 첫 번째 발표를 하고 난 후, 두 번째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옥영정 교수의 ’<조선경국전>의 간행과 서지학적 가치를 그리고 세 번째로 서울대학교 정긍식 교수의 조선 초기 법제정비와 <조선경국전>‘ 등으로 이어졌다.

 

끝으로 종합토론은 경기대 이재범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연세대 도현철, 한국학중앙연구원 전경목, 숭실대 임상혁 등이 토론에 참여를 했다. 4시간 가까이 진행이 된 이날 학술대회는 <조선경국전>과 삼봉 정도전에 관해 새로운 가치를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여성의 선구자라고 하는 정월 나혜석. 나혜석에 대한 평가는 상반된다.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나혜석은 화가이면서 문인이요, 여성해방운동가이기도 했다. 나혜석은 남편 김우영을 따라 중국 산동으로 가서 6년간을 생활했다. 나혜석은 6년간 산동에서 무슨 일을 하며 지냈을까? 수원시가 주최하고 나혜석 학회가 주관한 나혜석의 만주시대에 대한 학술대회가 열렸다.

 

나혜석학회 제5회 학술대회인 나혜석의 만주시대6일 오후 2시부터 화성박물관 강당에서 열렸다. 수원박물관 한동민 학예팀장의 사회로 열린 이날 학술대회에는, 4명의 주제발표자와 4명의 토론자가 나혜석에 대해 여러 가지 사실을 알려주는 시간이 되었다.

 

1발표는 독립기념관의 선임연구위원인 김주용이 만주 안동지역 한인사회와 나혜석에 대해서 발표를 했고, 2발표는 카이스트대 이상경 교수가 만주에서 나혜석의 글쓰기 -경계(境界)와 경계(警戒)’라는 주제로 발표를 했다. 3발표는 가천대 윤범모 교수가 나혜석과 만주체험 혹은 주체의식의 확장이라는 주제로, 4발표는 연변대 이홍석이 안동 일본 영사관과 부영사 김우영에 대해서 발표를 했다.

 

이날 토론은 발표가 끝난 후 한꺼번에 이루어졌으며, 토론자로는 숭실대 황민호, 한국여성연구소 정영훈, 성신여대 이재은, 동국대 서민교 등이 맡았다.

 

 

 

만주에서의 나혜석과 한인사회

 

1발표에서 독립기념관 선임연구원인 김주용은 한국의 탐방단들이 압록강을 보러가는 곳이 탄동시이다. 이곳을 거쳐 통화 및 집안과 백두산을 경유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중국 입장에서 단동은 한반도를 잇는 중요한 가교 역할을 한다. 단동의 경제력은 현재 하루가 다르게 변모하고 있다고 서두를 열었다.

 

한인들의 만주이주는 자율기, 방임기, 통제기로 구분한다. 1860년 함경도 지방의 큰 가뭄으로 인해 한인들의 만주이주가 본격화되었다. 거주와 정착을 위해 만주로 이주한 한인들은 황무지를 개간하기 시작했다. 같은 시기에 평안도 지역의 한인들은 압록강을 건너 북간도에 정착해 황무지를 개간하기 시작했다. 이때 청국은 만주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1887년 훈춘에 초간국을 건설하였다.

 

안동의 한인이주는 1910년을 기준으로 점차 늘어나는 추세였다. 하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 안동으로 이주한 한인들의 숫자는 그리 많은 편이 아니었다. 19229월 봉천 일본 총영사관에서 발표한 한인들은, 안동현에 1,332호에 인구는 6,431명이었다. 그에 비해 집안현에는 4,734호에 23,395명이라는 많은 사람들이 이주를 했다.

 

 

 

안동현에 여자 야학을 설립한 나혜석

 

우리 조선여자를 위하여 일심전력하는 나혜석 여사는 금번 당지 팔번통 태성의원 내에 여자 야학을 설립하고 매주 3일간 오후 7시부터 10시까지 열성으로 지도하여 입학지원자가 날로 많다더라

 

19223월경 신문에 난 기사의 일부이다. 나혜석은 안동에 도착한 후 이주한인사회와 연동된 사업을 시작하였다. 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야학이었다. 1922년 한인 이주자가 2,000명에 근접한 상황에서 취학 아동들의 절대 다수가 정식 학교에 입학을 할 수 없는 상태였다. 나혜석은 야학을 설립하여 학생들의 교육에 대한 갈증을 풀어주었다.

 

안동은 나혜석에게 있어 인생의 제2막을 활짝 열게 한 곳이다. 남편 김우영이 일본영사관 부영사로 부임했다. 나혜석도 약 6년간을 안동에서 정착하면서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한인사회를 보듬으면서 화가로서의 창작활동도 활발하게 이어나갔다. 나혜석은 안동의 생활을 한 마디로 이렇게 말했다.

 

 

 

사회상으로 사업을 해본데도 여기요. 개인적으로 남을 도와본대도 여기요. 인심에 대한 짠맛 단맛을 본대도 여기요.”라고. 나혜석은 6년여 동안 안동에 거주하면서 남편 김우영이 일본영사관 부영사라는 직함을 이용해 한인사회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앞으로 더 많은 나혜석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아직 나혜석에 대한 많은 사실들이 밝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전하, 저곳에 저수지를 만들면 족히 1만 명은 먹여 살릴 수 있습니다

정말인가? 그러면 저곳에 저수지를 만들라

 

1795년 능행차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장안문에 오른 정조대왕과 화성유수 조심태가 나눈 대화 중 일부이다. 만 명이 배불리 먹을 수 있는 저수지를 조성하기를 상소한 조심태. 그리고 그 때 조성한 저수지가 바로 만석거이다. 정조는 이 외에도 화성 주변에 만석거와 축만제, 만년제 등을 조성해 치수를 통한 과학적인 농경을 실시한다.

 

현재의 수원을 농업도시 수원이라고 한다면 사람들은 수원이 어떻게 농업도시가 될 수 있는가? 하고 반문한 것이다. 하지만 수원이야말로 과거 정조시대부터 지금까지 농업개혁의 도시이자 농업연구의 도시이다.

 

정조는 정조 17년인 1793년 수원도호부를 화성유수부로 승격시키면서 오랜 시간 구상해 왔던 개혁을 시도하였다. 도시의 규모와 위상을 한양의 도성과 버금가도록 만들고 최고의 축성기술을 이용하여 공격과 수비에 용이한 성곽을 쌓도록 하였다. 이 외에도 한양 육의전 외에 화성에도 시전을 설치하여 상업발전을 도모하였으며, 농업기반시설을 조성하여 농업 진흥을 이루도록 독려하였다.

 

 

자급자족이 가능한 이상도시를 모범적으로 만든 뒤 이 모델이 전국적으로 파급되기를 바랐던 것이다. 이곳 수원화성은 정조가 만들고 싶었던 조선의 축소판이며 1794년은 그 첫발을 디딘 기념비적인 해다.

 

수원화성박물관에서는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특별기획전을 준비하였다. 농업도시 수원의 전통을 재조명하고 수원시와 농림축산식품부가 함께 준비 중인 농어업역사문화전시체험관 건립에 내실을 기하고자, ‘수원화성 착공 220주년 기념으로 <정조시대 농업개혁의 산실, 수원화성> 특별기획전시를 마련하였다.

 

 

정조대왕이 꿈꾼 나라는 강한 국가였다.

 

조선조 제22대 국왕으로 등극한 정조는 정조 2년인 17786, 당시 사회가 마치 병든 사람과 같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병든 사회를 타개하고 새로운 나라를 만들기 위해 개혁과제를 대내외에 천명하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경장대고(更張大誥)’이다. 백성이 풍요롭게 살고, 인재를 키워 나라를 살찌우며, 군사제도를 강화하여 국방력을 키우고, 재물의 씀씀이를 다져 재정이 튼튼한 나라. 정조가 꿈꾼 나라는 이 네 가지에 모두 담겨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선은 농업이 국가의 주요 산업이기 때문에 일반 백성들의 살림살이는 물론이고 국가의 재정수입도 그 해 농사의 풍흉에 달려 있었다. 정조는 어느 임금보다 농업 생산성을 안정시키고 증대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 나갔다.

 

매년 정월에 권농교(勸農敎)와 권농윤음(勸農綸音)을 반포하여 백성들에게 부지런히 농사지을 것을 권하고, 지방관들에게는 이에 대한 행정 지원을 아끼지 말라고 지시하였다. 또한 당대의 선진적인 농업기술을 종합하기 위해 전국의 선비들이 정리하여 올린 응지농서(應旨農書)’를 바탕으로 농서대전農書大全편찬을 추진하였다.

 

 

만석거부터 조성하기 시작

 

정조는 1794년 화성성역을 일시 중지하고 대신 둔전을 만들고 화성유수 조심태가 간한 만석거(萬石渠)’라는 수리시설을 축조하도록 명령하였다. 만석거 축조로 인해 화성 장안문 밖의 드넓으면서도 척박했던 대유평은 수전지대로 변했으며 극심한 가뭄도 무사히 극복하였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화성에서 1798만년제(萬年堤)’, 1799년에는 축만제(祝萬堤)’가 연이어 축조되었으며, 수리시설 축조와 더불어 개간된 둔전에서 얻은 소출은 화성을 수리하는 비용으로 사용되었다. 정조대 서둔동 일대에 조성된 농업기반시설을 바탕으로 일제강점기에는 권업모범장과 농림학교가 들어섰으며, 해방 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과 농촌진흥청이 설립됨으로써 수원은 농업연구와 행정의 중심지가 되었다.

 

 

30일 오후 3시게 개막식을 갖고 201521일까지 특별기획전으로 전시가 되는 수원화성 착공 220주년 기념’ <정조시대 농업개혁의 산실, 수원화성>전에는 수원화성의 수리시설과 둔전에 관한 자료는 물론 3D 영상물을 제작하여 척박했던 땅을 개간하여 둔전을 만들고, 수리시설을 통해 풍작을 이루는 모습을 이야기하듯이 풀어냈다.

 

특히 영상제작을 위하여 일제강점기 지적도 등을 검토하여 수원의 옛 지형과 물길을 고증하였다. 수리관개와 관련된 농기구와 함께 연출하여 보다 입체적인 상영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번 전시회에는 <홍재전서><응지농서>, 5.6m에 달하는 윤음과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농학자로, 1836년 화성유수로 부임하여 농업개혁가로서 변모를 실현한 사유구의 관련유물 등이 전시된다.

 

2일부터 12일까지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 49에 소재한 수원화성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는 전통단청강좌 수료생 작품전인 오색빛깔의 미전이 열리고 있다. 멋스러운 전통 한옥의 전각에 화려한 옷을 입히는 단청은 우리나라 전통 미의 절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작금에 들어 전통 한옥이 점차 사라지면서 멋스러운 전통 단청 역시 그 자리를 점차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화성박물관에서는 그러한 아름다운 단청의 멋을 이어가고자 우리나라 단청의 문양과 그 위에 칠해지는 오방색의 조화를 배우는 실기강좌를 개설한 바 있다. 지난 3월부터 5개월 간 전통 단청 실기강좌를 통해 수강생들은 몸소 우리 단청의 아름다움과 화려함을 몸소 배우고 체험하였다.

 

 

수강생들이 그동안 닦은 기량으로 정성을 들인 그 결과물인 작품을 모아 작은 전시회를 마련하였다고 한다. 이제는 일반 집에서는 찾아보기조차 힘든 아름다운 오방색의 향연인 단청은 사찰이나 궁궐과 같은 곳에서나 만날 수 있다.

 

광물성 안료인 진채로 채색하는 단청

 

단청은 광물성 안료인 진채로 건조물이나 조상품, 또는 공예품에 색을 입히는 것을 말한다. 단청은 단호, 단벽, 단록, 진채, 당채, 오채, 화채, 단층 등의 별칭이 있으며, 이에 종사하는 사람도 화원, 화공, 가칠장, 도채장이라 했다. 승려의 경우에는 다른 명칭을 사용하는데 금어, 또는 화승(畵僧)이라 불렀다.

 

단청의 무늬에는 긋기단청, 모루단청, 금단청, 모루긋기단청, 금모루단청, 갖은금단청 등이 있다. 무늬의 종류에는 화문, 쇄문, 비선문, 비조문, 주수문, 운문, 훈문 등으로 구분된다. 이 종류는 또 다시 여러 형태로 구분이 되고 있어, 우리나라에서 만날 수 있는 단청은 천변만화의 극채색의 세계라 할 수 있다.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에는 경기도무형문화재 제28호로 지정이 된 단청장 김종욱(, 77)옹이 거주하고 있다. 김종욱 단청장은 19991018일자로 단청장 보유자로 지정이 되었다. “내 나이가 77세니 꼭 65년을 단청에만 매달려 왔다면서 어머님이 한양 용화사 신도회 일을 보셨기 때문에 그동안 한 번도 한눈을 팔지 않고 단청에만 매달려 왔다.”고 만난 자리에서 이야기를 한 바 있다.

 

이렇듯 단청은 오랜 습학을 거쳐야만 온전한 기술로 아름다운 채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청색, 적색, 황색, 백색, 흑색 등 다섯 가지 색을 기본으로 사용하여 아름다운 그림을 그리거나 색을 입히는 단청, 지도강사들과 함께 전시를 하고 있는 수강생들의 단청 전시는 한 마디로 오색빛깔의 아름다움이었다.

 

 

다양한 단청 모습을 만나볼 수 있어

 

2일 아침 박물관이 문을 열기가 무섭게 전시실을 찾았다. 마침 박물관 앞에는 타지에서 수학여행을 온 듯 많은 학생들이 몰려 있었다. 전시실 안으로 들어가니 다양한 형태를 띤 단청들이 전시가 되어있다. 그 중 수강생들이 연합으로 제작을 했다는 기와에 그린 작품들이 눈길을 끈다.

 

고기와에 그림을 그리는 단청장들을 몇 명 보아온지라 그 그림들이 반갑다. 요즈음에는 기와에 단청으로 그림을 그린 아름다운 작품들을 많이 만나볼 수가 있다. 지도강사인 최윤경의 ‘108 동자도가 눈길을 끈다. 김현순의 귀면궁창초(부조)의 아름다움이 발길을 붙든다. 비천도, 흉배를 응용한 단청, 손거울, 목어 등 많은 단청 작품을 만날 수가 있다.

 

 

단청이 이렇게 아름다운 것인지 몰랐어요. 정말 우리나라의 단청은 채색의 극치란 생각이 드네요. 이렇게 전시를 하고 있는 것들이 수강생들의 작품이라고 하는데 정말 아름다워요. 기회가 된다면 저도 한 번 배워보고 싶어요.”

 

아이와 함께 단청의 아름다움을 느껴보고 싶어서 일부러 시간을 내어 찾아왔다고 하는 신아무개(, 44. 정자동), 보면 볼수록 아름다움에 빠져들 것 같다고 하면서 이 가을에 화성박물관을 찾아 우리 단청의 조화로운 미를 마음껏 느껴보시라고 권유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