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고 보니 시간이 많이도 흘렀다. 난 ‘세월’이라는 말보다. ‘시간’이라는 단어를 좋아한다. 어째 세월이라고 표현을 하면, 앞으로 내가 숨을 쉴 수 있는 날이 많지 않을 것 같아서이다. 그에 비해 ‘시간’이라는 단어는. 앞으로도 수많은 시간들을, 내가 할 일을 할 수 있다는 어리석은 생각 때문이다.

 

벌써 추석 연휴라고 한다. 다음 뷰에 글을 보니 추석에 대한 음식이며, 글들이 부지기수로 눈에 띤다. 추석 때도 그렇고 설 때도 그렇다. 솔직히 난 이런 글들이 보이면 썩 기분이 좋지가 않다. 늘 혼자이고, 늘 방황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기껏해야 절집을 찾아가 우울한 기분을 달래든지, 아니면 행사를 하는 곳을 돌아친다.

 

 

 

집 나오면 개고생, 정말 그랬소

 

‘명절’, 참 좋은 말이다. 오죽하면 명절이라고 했을 것인가? 헤어졌던 가족들이 만나 조상에 대한 예를 올리고 난 뒤, 다 같이 모여서 이야기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정말 아름다운 모습일 것이다. 내가 ‘이다’리고 하지 않고 ‘일 것이다’라고 쓴 것은, 벌써 이런 모습을 잊고 산지가 20년 가까이 되었기 때문이다.

 

살다가 보니 어쨌든 가족들과 떨어지게 되었다. 그리고는 20년 세월을 길 위에서 보냈다. 명절 때만 되면 그저 산행을 하던지, 아니면 문화재 답사를 한답시고 며칠 씩 길을 떠나고는 했다. 아마도 그런 날이 길어지다 보니, 이젠 그런 명절이라는 말에 무덤덤해 진 듯도 하다.

 

몇 해 전인가보다. 그 때도 계절이 지금쯤 되었다. 명절 전날 길을 나섰다. 그냥 방안에 쭈그리고 있는 것이 싫어서이다. 호기있게 길을 나선 것 까지는 좋았다. 잘 곳이야 돈만 주면 얼마든지 있으니 걱정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문제는 배가 고파 무엇을 좀 먹으려고 나갔지만, 문을 연 곳이 한 곳도 없다는 것이다.

 

하긴 명절 아침에 누가 장사를 하겠다고 문을 열 것인가? 아마 오후 6시까지인가 물로 배를 채우면서 허기를 달랠 수밖에 없었다. ‘집 나오면 개고생’을 한다는데, 그 말이 정말 명언이다. 문제는 이렇게 명절 때마다 배를 곯은 일이 한 두번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런 개고생을 벌써 20년 가까이 했지만, 아직도 개고생을 벗어나질 못하고 있다니 무슨 이런 팔자가 다 있을까 싶다.

 

 

그래도 살만하잖소?

 

엊그제인가, 지인들과 만나서 막걸리를 한 잔 마시고 있었다. 그런데 이곳은 저녁이 되면 수원 지동 순대타운 안은 온통 인파로 넘치는 곳이다. 자리 하나 차지하기도 버거울 때가 있다. 더구나 명절 밑이라 그런지, 사람들로 인해 통로를 다니기도 힘들 지경이다. 밖에서 술을 마시다가 옆을 보니 무엇인가 꿈틀거린다. 비닐 안에 무엇이 들어있어서 처음에는 누가 무엇을 갖다 버린 줄로만 알았다.

 

한데 자세히 보니 비닐을 푹 뒤집어쓰고, 그 안에 사람이 들어있는 것이다. 노숙자가 추위를 피해 그렇게 비닐봉지 한 장을 머리서부터 뒤집어쓰고 있는 것이다. 그런 모습을 보면서 참 세상을 불공평하다는 생각이다. 남들은 명절이라고 모두 들떠서 난리인데, 저렇게 오갈 데 없이 비닐 한 장으로 쌀쌀한 밤 날씨를 견뎌내고 있다니.

 

하긴 사람들은 그렇게 말하기도 한다. 제가 게을러서 그렇다고. 하지만 이 분 초저녁에 그곳에 앉아있는 모습을 보았다. 이미 등이 굽고 얼굴에 주름이 가득하다. 연세가 70을 넘을 듯하다. 그런 어르신이 어디 가서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 무슨 사연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저편에서 들리는 수많은 사람들의 웃음소리를 들으면서 도대체 어떤 마음이 들까?

 

비도 오는데 오늘 저녁엔 이 어르신 어디로 갈 것인지? 나가서 막걸리라도 한 잔 대접을 해야 할 듯하다. 사람 사는 것이 별거 아니잖은가? 즐거운 명절에 기분 언짢은 이야기를 해서 미안하긴 하지만, 이제 우리 주변에 쓸쓸하게 명절을 보내야 하는 이웃도 있다는 것을, 조금만 생각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4월 21일(토)과 22일, 수원 ‘유천(柳川)’(=버드내, 수원천의 옛 이름)에서는 ‘제6회 수원천 튤립축제’가 열렸다. 수원천을 낀 4km 정도의 개울가에는 갖가지 색깔의 튤립들이 아름다움을 자랑하고 있다. 지난 날 밤부터 내리기 시작한 비로 인해, 기대에 못 미치는 사람들이 찾았지만 그래도 축제는 성황리에 진행이 되었다.

 

수원시 권선구 수원천의 세류대교에서 세천교 구간에 조성된 튤립축제장은, 비가 오는 가운데도 관람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비바람이 세차게 불었지만, 꽃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발길을 붙들어 놓을 수는 없었나 보다. 세류대교 옆에 마련한 메인행사장의 무대에서는, 사람들이 함께 박수와 함성을 지르며 즐기는 각종 행사가 펼쳐지고 있다.

 

 

 

아름다운 테마화단, 정말 일품이네

 

수원천의 튤립축제 구간에는 열린공연무대 및 19개의 체험부스가 마련되어 있다. 튤립을 소재로 한 화단은 모두 5개의 테마화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통원, 전통원, 춘화원, 춘풍원, 상상원으로 꾸며져 있다.

 

열린무대에서는 지역청소년들의 어울림마당, 튤립노래자랑 등 축제장을 찾은 관람객들이 보고, 듣고, 즐길 수 있는 많은 행사들이 준비되어 있다. 체험부스에서는 버들피리 만들어 불기, 곤충체험 등이 있으며, 그 중 가장 인기를 끈 것은 경기리포트에서 운영한 표지사진 만들어주기였다. 그 자리에서 사진을 찍어, 직접 표지모델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아이들과 함께 행사장을 찾았다는 김모씨(여, 48세. 권선구 세류동 거주)는

 

“비가 오는 날인데도 불구하고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찾아주었다는 것이 고맙다. 이곳 세류동에 사는 사람으로서 무척 자랑스럽다. 도심 한 복판을 흐르는 수원천에서 이렇게 아름다운 축제를 즐길 수 있다는 것이 행복하다”

 

며 출력이 된 사진을 집에 가서 액자에 넣어 간직하겠다고 환한 웃음을 지었다.

 

 

물과 함께 즐기는 튤립축제

 

마침 이날 튤립축제는 수원천이 생태환경하천으로 복원이 된 것을 기념하는 축제로, 수원천의 여러 곳에서 함께 축제가 이루어졌다. 지동 남수문 일대에서 펼쳐진 능수벚꽃축제와 수원천 복원을 기념하는 수원천축제 등과 함께 어우러진 축제였다. 20~22일은 수원의 한 목판을 가로지르는 수원천이 온통 축제의 장으로 흥청거렸다.

 

마침 비가 내려 물이 불어 난 수원천은 물이 조금 탁해지기는 했지만, 오랜만에 흐르는 물소리가 정겹게 들릴 정도로 양이 불어났다. 수원천의 흐르는 물에는 꽃배가 뜨고, 어미 학이 새끼와 함께 물고기를 잡는가 하면, 아이들이 닭싸움을 즐기는 등이 뜨기도 했다. 그 아래쪽으로는 물속에 오색천을 늘인 솟대가 서 있고, 한편에선 바람개비가 부는 바람에 소리를 내며 돌아가고 있다.

 

 

 

많은 꽃들이 사람들의 시선을 붙들어 놓아, 발길을 돌리지 못하게 하는 곳. 수원천의 튤립축제장은 그렇게 많은 사람들로 붐비고 있었다.

 

“튤립축제라고 하여서 그냥 꽃구경이나 하는 것인지 알았습니다. 새롭게 탈바꿈을 한 수원천을 따라 걸으면서 이렇게 다양한 것을 구경할 수 있어 즐겁습니다. 너무 호화롭지 않은 축제이기에 좋고, 걸으면서 많은 것을 즐길 수 있어 더욱 좋습니다. 앞으로 이 튤립축제는 꼭 전국적으로 유명한 축제가 될 것이란 생각입니다.”

 

주말을 맞아 가족과 함께 찾아왔다는 강모씨(남, 49세. 서울 은평구 거주)는 아이들과 함께 오랜만에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옥에 티가 아쉬워

 

어느 곳을 가든지, 아무리 좋은 축제라도 옥에 티는 있는 법. 튤립축제는 이런 점만 보완한다면 그 어느 축제보다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 것으로 보인다. 우선은 튤립을 조성한 화단 위편에 있는 꽃들이 급하게 심은 표가 난다는 것이다. 일부 시들기도 하고 풀이 죽은 꽃들이 튤립의 아름다움을 오히려 반감시키고 있다.

 

관람객들은 체험부스의 동선의 거리가 너무 멀어, 행사장이 집약되지 못했다는 것도 지적을 한다. 행사장의 길이에 비해 체험부스의 양이 적다는 것이다. 어느 축제장이든 축제가 성공을 하기 위해서는 즐길 수 있는 동선의 길이가 짧아야 하는데, 앞으로 그런 점에도 유념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란다.

 

 

 

비가 내리는 가운데도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즐긴 수원천 튤립축제. 몇 가지의 문제점만 보완한다면, 전국 어느 축제보다도 아름다운 축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갯배를 타고 유천을 건너는 사람들의 표정이 한없이 행복해 보이는 것이, 화사하게 피어나는 튤립을 닮았다는 생각이다.

건물 안에는 많은 악기들이 진열이 되어있다. 편종과 특종, 편경과 특경, 운라, 공후 등. 화성 행궁에서 비장청을 지나면, ‘외정리아문’이란 현판을 달아놓은 문이 보인다. 이 안으로 들어가면 한편은 담장인 ㄷ 자로 막힌 건물의 마당으로 들어가게 된다. 문의 좌우에는 ㄱ 자 건물을 반으로 나누어, 아래는 빈 공간이고 위는 다락과 같이 꾸몄다.

그 건물 끝에는 방을 하나 드렸는데, 방 안에는 한 사람이 앉아(인형) 무엇인가 서류 같은 것을 들여다보고 있으며, 앞으로는 유기그릇들이 나열이 되어있다. 이곳을 처음에는 정리소라고 하였으며, 정리소는 1795년 을묘원행에서 펼쳐질 각종 행사를 준비하기 위해 1794년 12월에 설치한 임시 기관이었다.



역대 임금이 행차 시 행사를 준비하던 곳

이 정리소는 화성 성역이 끝난 후 ‘외정리소’라 하여, 정조를 비롯한 역대 임금이 행차할 때 화성 행궁에서의 행사 준비를 담당하는 관청이 되었다. 처음에 정리소는 장용내영에 설치하였는데, 정조 20년인 1796년에 화성 행궁이 완성되면서 유여택 앞에 외정리소를 세우고 '외정리아문(外整理衙門)'이란 편액을 달았다. 아마도 ‘아문’이란 현판을 달아 놓은 것도, 유수가 이 정리소를 관장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외정리사는 호조판서가 겸임하는 것이 상례였으나, 화성의 경우는 화성 유수가 겸직 하였다. 그만큼 이 행궁에 대한 정조의 관심이 깊었다는 것을 뜻한다. 마당을 지나 외정리소에서 북쪽을 바라보면 마루를 놓은 전각이 보이고, 그 안에는 ㄱ 자로 지은 광채와 같은 곳이 있다. 이 건물 안에 편경 등 제례나 연례에 사용하는 악기들을 진열하였다.




12차례에 걸친 정조의 능행

화성행궁은 평상시에는 화성부의 유수가 집무하는 내아로도 활용하였다. 이산 정조는 1789년 10월에 이루어진 현륭원 천봉 이후, 이듬해 2월부터 정조 24년인 1800년 1월까지 11년간 12차에 걸친 능행을 거행하였다. 이때마다 정조는 화성행궁에 머물면서 여러 가지 행사를 거행하였다.

바로 이러한 여러 가지 행사 때, 이 외정리소에서 행사를 맡아하던 곳이다. 이곳에 많은 악기와 유기그릇 등이 보이는 것은, 행사 때 사용하던 것들이기 때문이다. 우선 연희를 베풀면 상당한 인원과 많은 준비를 하여야 한다. 그렇게 준비를 해서 연희를 베풀 때는 아마도 외정리소에 사람들이 분주하게 왕래를 했을 것만 같다.


외정리소에 진열되어 있는 악기들. 시계방향으로 편종, 편경, 아래는 우측부터 특종, 특경, 운라


행궁 안 한편에 모형으로 만들어 놓은, 정조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진찬연도에 보면 수 많은 무희들과 악사들, 그리고 조정대신들의 모습이 보인다. 이러한 행사 역시 외정리소에서 담당을 하였다는 것이다.

왕의 모든 행사를 담당한 외정리소

외정리소의 행사 담당은 정조가 승하한 뒤에도 계속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순조 1년인 1801년에는 행궁 옆에 ‘화령전’을 건립하여, 정조의 진영을 봉안 하였다. 아마도 이런 제의례를 할 때도 외정리소에서 맡아했을 것이다. 또한 그 뒤로도 순조, 헌종, 고종 등 역대 왕들이 행궁에 머물렀다는 기록으로 보아, 외정리소는 많은 왕의 행사를 맡아했을 것이란 생각이다.

혜경궁 홍씨의 진찬연 모형. 외정리소는 이런 행사를 맡아하던 곳이다.


1998년 12월에 옛 모습대로 복원이 된 외정리소. 행궁을 돌아보면서 만난 외정리소에 진열되어 있는 편경 등 많은 악기가 낯설지 않음에서인가(사실 나는 중, 고등학교 시절에 국악을 전공했고, 고등학교 졸업을 한 후에는 국립국악원에 재직을 한 적이 있기에 늘 이런 악기에 익숙해져 있었다), 외정리소라는 곳이 정감이 가기도 한다.

사람이 세상을 살면서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누구는 그래도 재물이 있어야 한다고도 할테고, 누구는 건강이 최고라고도 할 것이다. 또 누구는 그래도 곁을 지켜주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고도 할 것이다. 이 모든 것이 다 맞는 말이다. 그 모든 것이 정말로 꼭 필요한 것들이다. 그러나 그 중에서 가장 필요한 것 하나만을 택하라고 한다면, 과연 무엇을 택할 것인지. 

며칠 전부터 영 몸이 좋지가 않다. 행사 때문에 받는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사람들은 행사를 총 기획하고 준비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모른다. 그저 하루 종일 책상 앞에 앉아 이것저것 두드리고 앉았으니, 무슨 힘이 들 것인가? 라고 생각을 한다. 그러나 그 모든 것을 준비하면서 받는 스트레스가 얼마나 과중한지 알 수가 없으니, 그냥 놀고 먹는 줄 아는가보디.


정말 필요한 것은 바로 곁을 지키는 사람

이것저것 행사 준비를 체크하고 관계기관과 수시로 통화하고, 거기다가 행사 당일에나 무대에 오를 수 있는 공연팀이 많다보니, 수시로 참석여부를 확인해야 하고, 또 전시까지 준비를 해야한다. 이 모든 것이 육체적인 부담이 아니라 정신적인 부담으로 다가오는 것을, 곁에서 보기에는 알 수가 없으니 그냥 놀고 있는 것처럼 보일 수 밖에.

이런 행사를 해본 사람들 같으면 그 기획이나 진행이 얼마나 힘든 것인줄을 알겠지만, 주변에 이런 행사는 처음 있는 일이니 아무도 받는 스트레스를 이해하지 못한다. 오늘 아침에는 급기야 목이 따갑고 침조차 삼킬 수가 없다. 기침을 할 때마다 목이 아파 견딜 수가 없다.    

절집 안에서 산다는 것이 편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정말 힘들고 고통스러울 때가, 바로 몸이 아플 때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곁에 사람이 필요할 때는 몸이 아플 때라고 이야기들을 쉽게하고는 하지만, 그런 환경에 처해본 사람들은 이런 이야기조차 말하기가 힘들어진다.

왜, 그러고 사나? 라고 물으면 할말이 없다. 바로 인생을 잘 못 살아왔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주변에 살가운 사람들이 있을 때가 가장 행복했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미 이런 마음이 들기 시작하면, 지난 세월을 후회를 하는 것이지만 그도 이젠 지쳐버렸다. 한 두번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저 많은 것을 바라는 것이 아닌, 말이라도 걱정을 해주는 그런 사람이 필요하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는다.

나이먹어 사는 삶에도 종류가 있다는데

나이가 먹어 사는 세상은 각기 그 사는 정도에 따라 별칭으로 표현을 한다. 신선처럼 사는 사람은 노선(老仙). 학처럼 여유롭고 기픔이 있게 살면 노학(老鶴), 나이가 먹어서도 젊은이처럼 살면 노동(老童), 그저 평범한 노인네처럼 살면 노옹(老翁)이라고 한다. 노광(老狂)은 말 그대로 미친 것처럼 심술이나 부리고 사는 사람을 말하며, 노고(老孤)는 혼자 외롭게 사는 사람을 말한다. 그리고 늙어서 돈 한푼 없이 궁상을 떨고 사는 것을 노궁(老窮)이라고 하며, 몸도 마음도 병들어 추한 모습으로 사는 것을 노추(老醜)라고 한다,

나는 어디에 속했는가를 곰곰 생각해 본다. 좋은 것은 하나도 없는 것만 같다. 그래서 이럴 때 정말로 곁에서 온기를 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한다. 그저 혼자 있어 편하다는 말은 정말 웃기는 말이라고 생각을 한다. 사람은 역시 사람하고 살아야 제대로 삶을 사는 것이란 생각이다. 몸도 마음도 아픈 날, 가을비까지 부슬거리고 내리니, 궁상 한 번 제대로 떨고 싶었나보다. 

나이가 든 사람에게 가장 필요한 것. 그것은 바로 곁을 지켜주는 따듯한 사람이다. 그런 사람이 곁에 있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행복이란 생각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