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횡성군 횡성읍에서 406번 도로를 타고 가다가 보면 공근면 상동리 496-3에 소재한 3층 석탑과 나란히 있는 석불을 도로 옆에서 만날 수가 있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20호인 이 상동리 석불좌상은 광배만 파손되어 흩어져 있을 뿐,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와 불신이 완전한 상태로 남아있다.

 

앞으로는 금계천이 흐르고 있고, 옆에는 상동리 3층 석탑이 자리하고 있는데, 머리 부분은 잘려나가 흩어져 있던 것을 올려놓았는데, 그것마저 잃어버려 다시 조성한 것이다. 현재의 머리 부분 이전에 모습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둥글고 복스러운 얼굴에 입가에는 미소를 띠어 자비스럽게 보였다고 한다.

 

 

통일신라 후기의 석불좌상

 

이 석불좌상의 신체부분을 조성한 실력으로 미루어 보아도, 신라 전성기 불상의 이상적 사실미가 엿보인다. 당당한 가슴과 잘록한 허리, 무릎 위에 올려 왼손 손바닥이 위를 향하고 오른손의 손끝이 땅을 향하고 있는 항마촉지인의 수인을 하고 있다. 이러한 수인의 형태는 부처가 깨달음을 상징하는 상징이다.

 

남아있는 신체의 모습을 보면 자연스런 손 모양과 당당한 체구,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의 유려한 옷 주름 등에서도 역시 이상적 사실미를 잘 나타내고 있다. 특히 머리에서부터 양어깨를 거쳐 무릎에 이르는 선이 유려하다. 이 석불좌상은 그 형태와 조각수법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인 8세기경에 뛰어난 석공에 의해 조상된 것으로 보인다.

 

 

대좌는 8각 연화좌인데 하대는 안상을 새겨 넣었는데, 부분이 심하게 훼손이 되었다. 그 위로는 두장의 꽃잎이 아래를 향하게 조각을 하였으며, 연꽃을 새긴 원형의 상대와 각 면에 안상을 새긴 중대는 전형적인 9세기 대좌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석불좌상에 비해 좌대가 조금 왜소한 듯하다. 이 석불좌상은 부드러운 옷 주름과 8각의 대좌 등에 나타난 표현으로 보아, 8세기의 불상양식을 잘 계승한 9세기 통일신라시대의 석불좌상으로 추정한다.

 

 

고려시대의 석탑과 함께 모셔져

 

석불좌상의 옆에는 성덕사의 옛터에 석불좌상과 함께 남아있는 3층 석탑이 서 있다. 석탑의 기단은 이단으로 되어있으며, 아래기단은 네모난 지대석 위에 각 면에 두 개의 안상을 새겨 넣었다. 위기단은 중앙에 탱주와 양편에 우주를 새겼으며, 그 위로 3층의 탑신을 올려놓았다.

 

탑신인 몸돌은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이 있는데, 3층 몸돌은 잃어버려 없어진 것을 탑을 복원하면서 새로 조성을 해 끼워 넣었다고 한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을 1층과 2층은 4단씩, 3층은 3단으로 새겼으며, 낙수면에는 느린 경사가 흐르고 네 귀퉁이는 살짝 위로 들려 있다.

 

 

이 삼층석탑은 전체적으로 통일신라 석탑양식의 영향을 받았으나, 지붕돌의 너비가 좁고 두꺼워지는 등 양식상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세워진 탑으로 보인다. 고려시대 일반적인 밋밋한 형식으로 조성을 한 삼층석탑은 상륜부는 남아있지가 않다.

 

두상을 잃어 새롭게 조형을 해서 올린 상동리 석불좌상. 뛰어난 조각을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새로 만들어 조성한 머리로 인해 조금은 어울리지 않는 모습으로 변했다. 흔히 요즈음 말로 ‘훈남’이 된 것이다. 문화재 답사를 할 때 만나는 이런 문화재로 인해 마음이 아픔이 가실 날이 없다.

신라 말과 고려 초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삼층석탑 한 기. 경기도 양평군 지제면 지평리 지평초등학교 교문을 들어서면, 좌측 담장 앞에 자리하고 있다. 삼층석탑의 주변에는 작은 연못을 만들어, 나름대로 이 탑 주변의 조경에 애를 쓴 듯하다. 이 탑이 처음부터 이곳에 있었던 것은 아니라고 한다. 지평의 한 야산에 있었던 것을, 1945년 현 위치로 옮겨 2001년에 복원을 하였다고 한다.

발견 당시 석탑의 부재는 대부분 없어지고, 현재는 탑신석 1개와 옥개석 2개만 남았던 것을 새로이 조성하면서, 이층과 삼층의 탑신석을 새로 만들고, 삼층의 옥개석도 새롭게 조형했다. 맨 위에는 부도의 상륜부로 추정되는 팔각노반석을 놀려 놓았는데, 이 노반석은 이 탑의 것은 아니다.



뛰어난 조각, 대단한 석탑

삼층석탑의 1층 몸돌에는 사면으로 여래상이 부조되어 있다. 여래상은 사면 모두 연화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형태로 앉아있는 좌불상이다. 이 부조로 조각한 불상을 자세히 보면, 그 조각을 한 솜씨가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몸돌 위에 높인 옥개석은 밑을 4단으로, 위로는 2단으로 층을 만들었다.

옥개석의 낙수면은 완만하면서도 날렵하게 표현을 하여, 이 삼층석탑이 제대로 형체가 있었다면 뛰어난 문화재였을 것으로 보인다. 남아있는 부분을 보아 이 석탑의 원 모습을 그려본다. 아마도 처음 이 석탑을 축조했을 때에는 상당히 뛰어난 석탑이란 생각이다. 석탑을 보면서, 이렇게 제대로 간수가 되지 않은 수많은 문화재들로 인해 마음이 씁쓸해 진다.



사면의 여래상은 부조의 극치

몸돌에 새겨진 사면불은 모두 머리 부분에 두광을 표현하였다. 육계가 뚜렷하고 나발의 머리에 목에는 삼도를 표현했다. 법의는 우견편단이며 배 부분에는 모두 띠 매듭으로 처리를 하였다. 수인도 각각 달라 이 탑을 조성할 때, 어떤 염원을 갖고 조성된 것이란 생각이다.

현재 탑이 서 있는 방위로 보아, 남쪽면의 여래상은 왼손은 내려 단전 부근에 두었고, 오른손은 가슴 위로 들어 올렸는데 손에 기물을 지녔다. 서쪽면의 여래상은 남쪽과 수인의 형태는 같지만 기물을 들지 않았다. 북쪽면의 여래상은 왼손은 단전에 두고 오른손은 무릎에 두고 있는데, 석가모니의 별인인 항마촉지인을 표현하고 있다. 항마촉지인이란 모든 악마를 굴복시켜 없앤다는 수인이다. 동쪽면의 여래상은 왼손과 오른손을 모두 들어 가슴께에 두고 있다. 이렇게 사면에 여래불을 조성한 형태나 옥개석의 받침의 모습 등으로 보아, 이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기에 조성된 탑으로 보인다.



사라진 우리의 문화재들, 마음 아파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80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탑의 높이는 2m 70cm 정도이다. 하지만 이 탑에서 보이는 현재의 1층의 몸돌은 기단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삼층석탑을 조성하면 기단을 이층으로 쌓아, 이층 기단부에 조각을 하는 것이 통일신라에서 고려 초의 석탑에서 보이는 형태이다. 그렇다면 이 탑에서 사라진 것은 3층의 몸돌 전체와 2개의 옥개석이 없어진 것이다. 우선 기단과 옥개석이 발견이 되었는데, 나머지 몸돌과 옥개석, 노반은 어디로 간 것일까?


우리 문화재는 일제에 의해 수없이 찬탈을 당했다. 양평지역의 많은 문화재들이 일제에 의해 찬탈이 되었다는 것을, 양평의 문화재를 답사하면서 많은 분들에게서 들을 수 있었다. 왜 이렇게 양평의 많은 문화재들이 사라지게 되었을까? 그것은 양평이라는 지리적 위치 때문이다. 양평은 강을 이용한 수로의 운송수단이 원활했던 지역이다. 양평의 많은 문화재들을 배로 옮겨 일본으로 가져갔을 것이란 생각이다.

수없이 일제에 의해 찬탈되고 사라진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들. 그 많은 문화재들이 제 자리로 돌아올 수는 없는 것인지. 답답하기만 하다.

충북 괴산군 칠성면 태성리 38번지에 소재한 각연사. 신라 법흥왕 때 유일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이 각연사에는 보물 제433호로 지정 된 석조비로나좌불상이 있다. 우선 이 불상에 대한 표현부터 먼저 하고 가자. 각연사를 찾아 비로전에 있는 비로자나불 좌상을 보는 순간 숨이 막혔다.

숨이 막히는 조각. 사람의 솜씨는 아닌 듯하다. 이렇게 아름다운 조각을 할 수 있었다는 신라 장인들의 솜씨가 그저 감탄스러울 뿐이다. 보물이나 문화재로 지정된 문화재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절의 담당자를 찾아 미리 허락을 받아야 한다. 종무실에 가서 비로자나불을 좀 촬영하겠다고 이야기를 했더니 스님 한 분이 나오신다.

시방세계를 통솔한다는 비로자나불

스님이 따듯하게 끓여 타 주신 차 한 잔을 마시고, 비로전 안으로 들어가 촬영을 시작했다. 사진을 찍으면서도 연신 감탄이 그치지를 않는다. 도대체 어떻게 이런 조각을 할 수가 있었을까? 마치 살아있는 듯한 표정이며, 조각 하나하나가 모두 살아 움직이는 듯하다. 수많은 문화재를 보아왔지만, 이렇게 섬세한 조각은 처음인 듯하다.

비로자나불은 시방제불을 포괄하는 법신불로 알려져 있으며, 노사나불이라고도 부른다. 각연사의 바로나자불 좌상은 대좌와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가 모두 갖춰진 완전한 형태의 불상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 보물로 지정됐다. 좌대의 조각도 훌륭하지만, 광배의 조각은 그야말로 최고의 예술품이라 생각한다. 어떻게 이리도 정교하게 조각을 할 수 있었을까? 그리고 그 오랜 세월동안 어떻게 완벽하게 보전됐을까?

까맣게 칠을 한 작은 소라 모양으로 머리칼을 표현한 소발. 그리고 적당한 크기의 눈과 코, 입의 표현은 완벽할 정도이다. 은은한 미소를 띤 얼굴은 앞에 마주 한 사람의 마음을 한 없이 편안하게 해준다. 법의는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었는데, 옷 주름은 간략하게 표현을 하여 전체적인 모습을 무겁지 않게 하였다.



뛰어난 광배의 조각, 입이 다물어지지 않아

석불좌상의 뒤편에 놓인 광배는 허리가 잘록하게 들어가 있다. 흡사 오뚝이를 연상케 하는데, 이는 일석으로 조성한 광배를 머리광배와 몸광배를 구분하기 위해서인 듯하다. 물방울처럼 생긴 광배에는 몸에서 뿜어 나오는 불을 형상화 한 듯, 불꽃을 조각하여 놓았다. 그리고 머리와 불상의 양편으로 각각 3구씩의 작은 부처인 화불이 조각돼 있다.




머리 위에도 3구의 화불이 좌상으로 표현되어 있다. 전체적으로는 광배에 아홉 분의 화불을 새겨 넣었다. 광배의 안쪽에서부터 연꽃무늬와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다. 광배를 찬찬히 살펴본다. 단아하면서도 화려한 모습, 그리고 뛰어난 조화로움. 도대체 인간의 조각품이라고는 믿을 수가 없다. 단지 망치와 정 하나만으로 이렇게 훌륭한 작품이 가능하다니. 광배와 잘 어울리는 석조비로자나불 좌상을 살펴보면서 느낀 것은, 선조들의 예술세계가 그저 놀랍다는 것뿐이다.


연화대좌에서도 뛰어난 조각솜씨를 엿볼 수 있었다. 연꽃으로 둘러싼 대좌는 세부분으로 구분이 되어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아름다운 조각품인 각연사 석조비로나자불 좌상. 사진을 찍고 난 뒤 무릎을 꿇고 머리를 조아려 삼배를 한다. 마음속으로 간절히 서원하는 것은, 이 석불좌상에 기원을 하면 무엇이나 다 이루어질 것만 같아서이다. 마음속으로 간절히 빌어본다.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가 다시는 훼손되지 말았으면 하는 바람을.

대웅전은 절의 중심건물이다. 절집에 들어가면 먼저 대웅전에 들리는 버릇을 갖게 된 것도, 대웅전 안에 본존불을 모시기 때문이다. 경남 산청군 신등면 율현리 1034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율곡사. 율곡사는 신라시대 원효스님이 세웠다고 전한다. 조선 중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단성현에 있는 절로 기록되어 있다.

8월 13일, 가늘게 뿌리던 비가 율곡사에 도착할 때쯤에는 잠시 멎는 듯하다. 그것도 잠시, 다시 쏟아 붓는 비를 피해 대웅전으로 들어갔다. 꼭 비를 피해서라기보다는, 늘 하던 참례를 하기 위해서이다.



아름다운 율곡사 대웅전, 기품이 서린 듯

율곡사 대웅전은 보물 제374호로 1963년 1월 21일에 지정이 되었다. 조선 중기의 건물인 대웅전은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으로 그리 크지 않은 팔작지붕으로 지은 건물이다. 그러나 그 크지 않은 건물이 주는 느낌은 사뭇 기품이 서린 듯하다. 산 밑에 자리한 대웅전은 흡사 수줍음을 타는 새색시가, 신방에 조용히 앉아있는 듯한 느낌이다.

대웅전 뒤편 비탈에서는 잡풀을 깎아내느라 소음을 내면서 작업을 하고 있다. 커다란 소나무들만 남겨 놓은 산비탈이 깨끗해 보인다. 그러고 보니 율곡사 근처의 잡풀들은 모두 잘려나갔다. 정리가 잘 된 사찰의 대웅전. 그래서 더 기품이 있는 듯 보였던 것일까?



대웅전 현판을 따라 눈을 돌려본다. 3단으로 짜인 목조장식인 공포는 복잡하면서도 아름답다. 그 아름다움을 단청이 한층 거들고 있는 듯하다. 이 목조장식들은 조선조 초기와 중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간결하면서도 웅장함을 잃지 않은 멋, 아마도 전각 중에서도 그 태가 유난히 아름답다고 생각이 든다.

자연을 벗어나지 않는 전각

대웅전의 주초는 모두 덤벙주초를 놓았다. 어디나 그렇듯, 자연을 떠나지 않는 것이 옛 절의 특징이다. 자연을 벗어나지 않음은, 스스로가 자연이 되려고 하기 때문이다. 율곡사의 대웅전 역시 자연을 벗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그 자연 속에 묻혀, 스스로 자연이 되어가고 있다.



옛 고찰을 찾아다니면서 마음이 편안한 것은 바로 자연을 넘지 않는 절의 전각들이다. 물론 그 중에는 웅장함을 보이고 것들도 있지만, 산을 타고 오르는 절집들을 보면 자연 안에 숨어 있다. 밖에서는 겨우 그 지붕만 삐죽이 얼굴을 내밀고 있을 뿐이다. 아마도 저런 모습들은 바로 그 절을 창건하고 중창한 스님의 마음 때문일 것이다.

아름다운 내부와 삼존불

대웅전의 창호들은 모두 아름답게 꽃창살을 달아냈다. 그도 율곡사 대웅전의 자태를 아름답게 꾸미는데 일조를 하고 있다. 뒤편으로 돌아가니 양편에 문을 내어 놓았다. 측면의 문이야 불자들이 드나드는 곳이지만, 이렇게 뒷벽 양편에 문을 낸 것은 아마도 시원한 산바람을 맞아들이기 위함으로 보인다.



안을 들여다본다. 복잡한 목조장식이 아름답다. 천정은 모난 우물모양으로 꾸몄으며, 심존불의 위로는 닫집을 달아냈다. 어디하나 부족함이 없는 율곡사 대웅전, 많은 전각을 보아왔지만, 이처럼 단아하면서도 기품을 잃지 않은 전각은 드믄 듯하다.

수미단 위에 모셔놓은 삼존불은 목조아미타삼존불이다. 경남 유형문화재 제373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삼존불은 중앙에 본존불인 아미타여래상이 좌정을 하고 있으며, 왼편에는 관음보살상을, 오른편에는 대세지보살상을 놓고 있다. 삼존불의 크기는 1m 정도로 어른의 앉은키만 하다. 반가부좌상의 모습으로 앉아있는 모습은 전체적으로 균형감이 있다.


삼존불은 특징이 거의 일치하고 있어, 동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수줍은 듯한 느낌을 주는 전각과, 그 안에 좌정한 삼존불. 대웅전에 들어서면서부터 마음이 편안해진다. 아마 이 편한 느낌 때문에 절집을 찾아드는 것인지도 모르지만. 퍼붓던 비는 어느새 맑게 개었다. 또 다시 걸음을 옮기라는 것인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