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줍은 새색시처럼 단아한 율곡사 대웅전
대웅전은 절의 중심건물이다. 절집에 들어가면 먼저 대웅전에 들리는 버릇을 갖게 된 것도, 대웅전 안에 본존불을 모시기 때문이다. 경남 산청군 신등면 율현리 1034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율곡사. 율곡사는 신라시대 원효스님이 세웠다고 전한다. 조선 중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단성현에 있는 절로 기록되어 있다.
8월 13일, 가늘게 뿌리던 비가 율곡사에 도착할 때쯤에는 잠시 멎는 듯하다. 그것도 잠시, 다시 쏟아 붓는 비를 피해 대웅전으로 들어갔다. 꼭 비를 피해서라기보다는, 늘 하던 참례를 하기 위해서이다.
아름다운 율곡사 대웅전, 기품이 서린 듯
율곡사 대웅전은 보물 제374호로 1963년 1월 21일에 지정이 되었다. 조선 중기의 건물인 대웅전은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으로 그리 크지 않은 팔작지붕으로 지은 건물이다. 그러나 그 크지 않은 건물이 주는 느낌은 사뭇 기품이 서린 듯하다. 산 밑에 자리한 대웅전은 흡사 수줍음을 타는 새색시가, 신방에 조용히 앉아있는 듯한 느낌이다.
대웅전 뒤편 비탈에서는 잡풀을 깎아내느라 소음을 내면서 작업을 하고 있다. 커다란 소나무들만 남겨 놓은 산비탈이 깨끗해 보인다. 그러고 보니 율곡사 근처의 잡풀들은 모두 잘려나갔다. 정리가 잘 된 사찰의 대웅전. 그래서 더 기품이 있는 듯 보였던 것일까?
대웅전 현판을 따라 눈을 돌려본다. 3단으로 짜인 목조장식인 공포는 복잡하면서도 아름답다. 그 아름다움을 단청이 한층 거들고 있는 듯하다. 이 목조장식들은 조선조 초기와 중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간결하면서도 웅장함을 잃지 않은 멋, 아마도 전각 중에서도 그 태가 유난히 아름답다고 생각이 든다.
자연을 벗어나지 않는 전각
대웅전의 주초는 모두 덤벙주초를 놓았다. 어디나 그렇듯, 자연을 떠나지 않는 것이 옛 절의 특징이다. 자연을 벗어나지 않음은, 스스로가 자연이 되려고 하기 때문이다. 율곡사의 대웅전 역시 자연을 벗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그 자연 속에 묻혀, 스스로 자연이 되어가고 있다.
옛 고찰을 찾아다니면서 마음이 편안한 것은 바로 자연을 넘지 않는 절의 전각들이다. 물론 그 중에는 웅장함을 보이고 것들도 있지만, 산을 타고 오르는 절집들을 보면 자연 안에 숨어 있다. 밖에서는 겨우 그 지붕만 삐죽이 얼굴을 내밀고 있을 뿐이다. 아마도 저런 모습들은 바로 그 절을 창건하고 중창한 스님의 마음 때문일 것이다.
아름다운 내부와 삼존불
대웅전의 창호들은 모두 아름답게 꽃창살을 달아냈다. 그도 율곡사 대웅전의 자태를 아름답게 꾸미는데 일조를 하고 있다. 뒤편으로 돌아가니 양편에 문을 내어 놓았다. 측면의 문이야 불자들이 드나드는 곳이지만, 이렇게 뒷벽 양편에 문을 낸 것은 아마도 시원한 산바람을 맞아들이기 위함으로 보인다.
안을 들여다본다. 복잡한 목조장식이 아름답다. 천정은 모난 우물모양으로 꾸몄으며, 심존불의 위로는 닫집을 달아냈다. 어디하나 부족함이 없는 율곡사 대웅전, 많은 전각을 보아왔지만, 이처럼 단아하면서도 기품을 잃지 않은 전각은 드믄 듯하다.
수미단 위에 모셔놓은 삼존불은 목조아미타삼존불이다. 경남 유형문화재 제373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삼존불은 중앙에 본존불인 아미타여래상이 좌정을 하고 있으며, 왼편에는 관음보살상을, 오른편에는 대세지보살상을 놓고 있다. 삼존불의 크기는 1m 정도로 어른의 앉은키만 하다. 반가부좌상의 모습으로 앉아있는 모습은 전체적으로 균형감이 있다.
삼존불은 특징이 거의 일치하고 있어, 동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수줍은 듯한 느낌을 주는 전각과, 그 안에 좌정한 삼존불. 대웅전에 들어서면서부터 마음이 편안해진다. 아마 이 편한 느낌 때문에 절집을 찾아드는 것인지도 모르지만. 퍼붓던 비는 어느새 맑게 개었다. 또 다시 걸음을 옮기라는 것인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