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 가지에 새들이 앉아있다. 부엉이도 있고, 비둘기도 보인다. 이렇게 소나무 가지에 앉아있는 새들은 살아있는 새가 아니다. 나무를 깎아 소나무 가지 끝에 올려놓은 나무새다. 그런데 가만히 보니 새가 있는 곳마다, 나무 가지가 부러진 듯하다. 처음에는 부러진 나뭇가지가 보기 흉해, 새를 조각해 놀려놓은 줄로만 알았다.

3월 20일, 1박 2일의 황사가 자욱한 속에서 답사를 마치고, 용인에 있는 한 커피숍에 들렸다. 피곤한 다리도 쉴 겸 지인들과 차를 한 잔하기 위해서이다. 용인시 기흥구 고매동에 있는 이 커피숍의 주차장에는 참 좋은 차들만 들어서 있다. 주변이 요즘 말로 ‘잘 나가는 동네’인 듯하다.


생나무를 잘라 조각을(?)

차를 마시고 길을 나서기 위해 밖으로 나오다가 보니, 들어갈 때는 보지 못했던 조각들이 나무 가지 위에 보인다. 새를 조각을 해 놓았다. 커피숍 앞마당에 있는 두 세 그루의 소나무 가지에 새들이 올라 앉아있다.

처음에는 그저 나무가 부러진 것이 보기가 안 좋아서, 그 위에 나무로 새를 조각해 올려놓은 것인 줄로만 알았다. 그런데 자세히 보니, 새가 있는 가지마다 다 부러진 듯하다. 왜 이렇게 이 집의 소나무 가지만 부러져 있는 것일까? 나무로 가까이 가서 새들을 조각한 곳을 살펴보았다. 따로 조각을 해 올려놓은 것이라면, 당연히 나무줄기의 두께보다 일부분이라도 위로 치며 올라와야 한다.



그런데 새들이 앉은 가지는 위에 조각을 한 새들과 굵기가 동일하다. 그리고 보이 이음새가 보이지를 않는다. 한 마디로 새를 조각하기 위해 멀쩡한 가지를 자르고 그 잘려나간 부분에 새를 조각했다는 것이다.

예술품으로 보아야하나? 그럼 잘려나간 가지는

밋밋한 소나무 가지가 보기 싫어서 이렇게 조각을 한 것일까? 아니면 이렇게 소나무 가지를 잘라 새를 조각해 놓는 것이 더 아름답다고 생각을 한 것일까? 만일 이것이 바람이나 어떤 자연적인 작용에 의해 잘려나간 가지가 보기 싫어 조각을 해 놓은 것이라면, 그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흉한 잘린 가지를 보기 좋게 만들어 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각을 하기 위해 일부러 나뭇가지를 잘랐다고 하면, 예술작품을 만들기 위해 생나무 가지를 잘랐다는 것이니 어떤 이유로도 이해가 되질 않는다. 잘려진 나뭇가지 위에 올려 진 새들이 아름답기보다는, 왠지 흉물로 보이기까지 한다. 이렇게까지 조각을 해야 하는 것인지. 아름다운 반지 하나를 끼우자고 손가락 살을 잘라내는 것이나 한 가지가 아닐까? 소나무도 많이 아팠을 텐데.


벽송사는 경남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 259번지에 소재한 고찰이다. 벽송사는 그리 크지는 않지만 참으로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는 절이다. 벽송사가 ‘한국 선불교 최고의 종가’라는 말에 귀가 솔깃해 달려갔는지도 모르겠다. 산 정상 부근에 자리한 벽송사를 오르는 길은 그리 평탄치가 않다. 마침 이 해들어 가장 춥다는 날에 길을 잡았으니.

전날 저녁 남원으로 내려가 12월 11일(토) 아침 일찍 숙소를 나섰다. 요즈음은 일찍 길을 나서지 않으면, 하루 종일 돌아다닌다고 해도 몇군데 못 들리기 때문이다. 한때는 빨찌산의 야전병원으로도 이용이 되었다는, 벽송사를 들어가는 입구는 계곡이 아름답다. 내년 여름에는 꼭 한번 들려보고 싶은 곳이다. 가파른 길을 헉헉대고 올라 벽송사에 당도했다.


지금은 옛 영화는 볼 수 없어

벽송사는 조선조 중종 때인 1520년, 벽송 지엄 선사에 의해 창건이 되었다고 전한다. 벽송사는 서산대사와 사명대사가 공부를 한 절로도 유명하다. 선불교 최고의 종가를 이루었다는 벽송사에서는, 109분의 대 종장을 배출했다고 한다. 벽송사에는 많은 문화재가 전하고 있는데, 신라 때의 양식을 계승한 보물 제474호인 3층 석탑과, 경남 유형문화재인 벽송선사진영. 경암집 책판. 묘법연화경 책판과, 경남 민속자료 제2호인 목장승 등이 있다.

벽송사가 어느 정도로 많은 선사들이 이곳에서 도를 이루었는지, ‘벽송사 문고리만 잡아도 성불한다’는 말이 생길 정도였다는 것이다. 벽송사는 조선조 숙종 30년인 1704년에는 환성 지안대사가 벽송사에 주석하며 도량을 크게 중수하였는데, 이 때에 불당, 법당, 선당, 강당, 요사 등 30여동의 전각이 즐비했다는 것이다. 당시에는 상주하는 스님이 300여명에 이르렀고, 부속 암자는 10여개가 넘었다고 전한다.



그러나 지금의 벽송사는 참으로 한적하다. 그러나 오랜 동안 전해진 전통은 그리 무시할 수가 없는 것이, 벽송사 경내를 들어가면서 느낀 것은 알 수 없는 기운이 전해진다는 것이다. 아마도 그 옛날 법이 높은 선승들의 기운인가 보다.

삼층석탑과 두 그루의 소나무

벽송사라는 절의 명칭은 벽송스님에 의헤 창건이 되었기 때무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러나 벽송사를 답사하고 난 뒤 느낀 점은, 이곳의 소나무를 보고난 뒤 지엄스님이 호를 벽송이라고 지은 것은 아닐까 하는 점이다. 그만큼 벽송사 주변에는 노송들이 아름다운 자태를 자랑하고 있다.



현 벽송사의 맨 위에 자리하고 있는 삼층석탑. 보물 제474호인 이 삼층석탑은 신라 때의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그러나 그 조성시기는 벽송사가 창건한, 조선조 초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런 점으로 보면 이 삼층석탑은 당시에 조성된 석탑으로서는 단연 백미라고 볼 수 있다.

2단으로 구성된 기단은 아래층 가운데돌의 네 모서리와 면의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얕게 조각하였다. 몸돌에는 층마다 우주와 탱주를 새겼으며, 지붕돌은 날렵하게 위로 솟아, 금방이라도 청왕봉의 정상을 행해 줄달음을 칠 듯하다. 지리산의 천왕봉이 지척에 보이는 곳에 벽송사가 자리하기 때문이다.



탑의 맨 위에는 머리장식으로 조성한 노반(머리장식받침)과 복발(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이 남아있다. 석탑의 일부분이 조금 훼손되기는 하였지만, 그런대로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탑이다.

미인송과 도인송

탑을 돌아보다가 보면, 근처에 년륜이 들어보이는 소나무들이 있다. 그 중 미인송과 도인송이 있다는 것이다. 미인송은 나무가 굽어 받침대로 받쳐놓았고, 도인송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위로 뻗어 있다. 그냥 보아도 범상치가 않다. 그 중 도인송은 밑 둘레가 2m가 넘을 듯하며, 줄기의 길이가 20m는 족히 될만하다. 줄기에는 가지 하나없이 곧바로 위로 올라간 나무 끝에, 마치 버섯처럼 잎이 달려있다.



도인송의 기운을 받으면 건강을 이루고, 한가지 소원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미인송에 기원을 하면 그 사람은 미인이 된다’고 한다. 과연 그 말이 맞는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다. 하지만 벽송사 경내를 한 바퀴 돈 후에는 그 말도 믿고싶다. 그만큼 벽송사는 무엇인가 범상치 않은 기운을 담고 있다.


양양군 현남면 인구리 7번 국도에서 해송천로를 따라 상월천리 방향으로 난 지방도를 따라 가다가 보면, 인구2리 길가에 소나무 두 그루가 서 있다. 두 그루 다 처진 소나무와 같이 아래로 가지를 내리고 있다. 이 중 길가에서 볼 때 뒤편에 있는 소나무는 흡사 정이품송을 닮았다.

길을 가다말고도 희귀한 나무를 보면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성미인지라, 차에서 내려 소나무 가까이 다가가 보았다. 그런데 소나무를 보니 가슴 높이 정도에 큰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이 보인다. 어떻게 된 일인가하여 밑동서부터 자세하게 살펴보니 틀림없는 연리목이다. 두 그루의 나무가 함께 자라다가, 이곳부터 연리목이 되었는데, 밑과 위가 완전히 붙어버렸다.



정이품송을 닮은 소나무의 밑에 구멍이 나 있다

희귀한 연리목, 나무의 생김새도 아름다워

이 나무가 여느 나무와 달라 보이는 것은 모양도 아름답게 생겼지만, 연리목이라는 점이 더욱 특이하기 때문이다. 밑동을 보아도 한 나무인지 두 그루의 나무가 붙어있는 것인지 구별이 쉽게 되질 않는다. 다만 나무의 구멍이 난 부분을 보니 그 안에 표피가 잇는 것을 보아, 이 나무가 한 그루가 아닌 두 그루가 붙어있는 것임을 알 수가 있다.

나무를 촬영하고 난 후, 길 건너 배추밭에서 일을 하고 계시는 마을 분들이게 이 나무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저 뒤편에 소나무가 혹 수령이 얼마나 되었는지 아세요?”
“저희들은 잘 몰라요. 어르신들 이야기로는 500년이 지났다고도 하는데”
“저 나무에 혹 전설 같은 것은 없나요?”
“글쎄요 잘 모르겠어요.”


나무의 구멍을 살펴보니 연리목인 듯하다.

양양군의 아름다운 나무로 선정되어

더 이상은 물을 수가 없다. 일손을 놓지 않고 대답을 하시는 분에게, 자꾸만 질문을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현남면사무소에 문의를 하였더니, 양양군 내에 있는 소나무 품평회에서 이 나무가 아름다운 나무로 선정이 되었다는 것이다.

당연히 그랬을 것이다. 이렇게 아름답게 자란 소나무가 그리 흔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아마 모르기는 해도 이 나무에는 애틋한 사랑이야기 한 편쯤은 전해지고 있지 않을까? 보면 볼수록 아름다운 소나무다. 더구나 두 나무가 붙은 연리목이라는 데에는 한 가지 사랑이야기라도 만들어 주고 싶다.


밑동에도 가운데가 떨어진 것이 보인다. 이 나무는 양양군 소나무 품평회에서 아름다운 나무로 선정이 되었다고 한다.

돌멩이 하나 나무 한 그루에도 전설을 붙이기를 좋아하는 우리민족이다. 그런데 이렇게 아름다운 나무에 마을에서 전해지는 이야기가 없다니 이해가 가질 않는다. 아마 이 나무에 전해지는 이야기가 있을 텐데, 혹 잊은 것은 아닐까? 그런 이야기 한 가지 듣지 못하고 떠나는 발길이 내심 아쉽기만 하다.


흔히 너와집이라고 하면, 먼 옛날이야기에 나오는 집이 생각난다. 그것은 그 집의 분위기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와가나 초가와는 사뭇 다르기 때문이다.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신리에 가면 너와집이 몇 채 중요민속자료로 지정이 되어있다. 그 중 김진호 가옥을 찾아 너와집의 이모저모를 알아본다.

우선 너와집이란 그 지붕의 재료가 나무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너와’란 널판으로 만든 기와로 풀이를 할 수 있다. 산간지역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소나무나 전나무 등을 길이 40~70cm, 혹은 80~110cm 정도로 자르고, 그것을 폭 30cm, 두께는 3~5cm 정더러 자른다. 그렇게 자른 널빤지 형태가 바로 너와가 되는 것이다.



150년 전에 지어진 김진호 가옥

정면과 측면이 각각 3칸 정도인 김진호 가옥은 150년 전에 지어진 집이다. 지금은 사람이 살고 있지 않지만, 집은 말끔하게 수리가 되었다.(올 초에 답사를 했을 때는 낡은 곳이 보였다) 너와집은 방의 담벼락을 뺀 나머지 벽은 모두가 나무로 만든 판벽이다. 아마 이곳의 땅들이 돌이 많다보니 흙보다는 오히려 나무를 채취하기가 수월하기 때문인 듯하다.

지붕은 안에서 보면 하늘이 드러나 보일 정도이다. 그러나 나무를 이리저리 맞물려 놓아 큰 비가 아니면 그렇게 새지는 않는다고 한다. 또한 굴피나무 껍질을 벗겨 그 안에 덥기 때문에 비가 새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붕은 너와를 이은 다음 긴 나무를 얹어 고정을 시킨다. 기와 아래는 역시 둥근 통나무로 서까래를 사용한다.



지붕을 올린 모습(위), 지붕 밑의 서까래(가운데) 그리고 집안에서 올려다 본 지붕
 
실내는 보기보다 온기가 돌아

밖으로는 대문 옆에 화장실이 있다. 돌출된 이 화장실 안으로는 외양간이 자리한다. 대문은 중앙에 자리하고 있는데, 문은 좁은 편이다. 바람을 막기 위해서 일부러 문을 작게 만든 듯하다. 안으로 들어가면 좌측에는 외양간이 있고, 우측으로는 부엌이 있다. 부엌은 별도의 문이 없으며, 대문을 들어서면 바로 부엌으로 출입을 할 수가 있다.



대문 옆에 자리한 화장싱(위) 대문, 그리고 집안에 있는 옛 기물(아래)

방은 모두 세 개로 들어서면서 좌측에는 사랑방이 있고, 별도의 판마루가 깔려있다. 가운데는 샛방이 있다. 부엌 뒤편으로 안방이 있으며, 그 앞에 마루를 놓았다. 판자벽에는 사방에 문을 내어 습기가 차는 것을 막았다. 이 집에는 과거에 사용을 하던 싸리로 역은 후 방충효과를 위해 쇠똥을 발라 곡식을 저장하는 채독이 있다. 그리고 그 옆에는 피나무 속을 파내 나무통을 만들어 무나 배추를 저장하는 김치통이 있다.

실내에 들어가면 밖에서 보는 것과는 또 다른 아늑함이 있다. 아마 불씨를 보관하는 ‘화터’기 아궁이 옆에 있기 때문인가 보다. 밖으로 나 있는 문은 대개 조그맣게 내었는데, 이것은 산간지방의 매서운 겨울 추위를 피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




요즈음에는 일부러 너와집을 찾아 민박을 하고, 너와집의 체험도 한다고 한다. 하지만 예전 이곳에서 실생활을 하던 분들은 불편했을 것도 같다. 우리의 전통가옥의 한 형태인 너와집. 중요민속자료 제33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너와집의 또 다른 모습을 찾아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