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윤석 선생은 이재난고300여 권의 저서를 남긴 대 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조선조 영조 5년인 1729, 전북 고창군 성내면 조동리에서 출생을 하였다. 63세에 일생을 마친 선생은 군자는 한 가지 사물이라도 알지 못한 것을 부끄러워해야 한다는 신념으로 평생을 다양한 학문을 연구한 분으로 유명하다.

 

고창군 성내면 조동리에 있는 전라북도 민속자료 제25호인 황윤석 생가는, 선생이 출생한 집으로 부친 황전이 세운 집이다. 높은 축대 위에 7칸으로 된 안채를 비롯하여, 사랑채와 문간채, 사당 등이 있었다고 한다. 현재는 초가로 된 안채와 그 앞에 사랑채, 그리고 문간채, 광채가 남아있다. 사랑채와 문간채는 불타버렸던 것을 1909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초가의 기품을 지닌 사랑채

 

한 단의 장대석 기단 위에 마련한 사랑채는 모두 4칸으로 꾸며졌다. 이 중 사랑채를 바라보면서 좌측의 한 칸은 앞으로 돌출이 되게 해, 정자방으로 꾸몄다. 툇마루 역시 앞으로 돌출이 되었으며, 마루방을 비롯한 모든 방은 창호를 달아냈다. 덤벙 주추 위에 네모난 기둥을 세운 사랑채는 그저 학자의 집처럼 화려하지 않은 소박한 기품이 엿보인다.

 

사랑채와 문간채 사이에는 쪽문인 일각문을 판자문으로 두어 안으로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랑채와 대문으로 이어진 대문채는, 사랑채와 합해 자 형으로 되어있다. 대문채는 두 칸의 방을 드렸으며, 흔히 보이는 헛간채 등이 보이지 않는다. 아마 불에 탄 것을 복원을 하면서 변형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높은 축대 위에 세운 안채

 

안채는 7칸으로 꾸며졌다. 높은 축대를 쌓고 그 위에 7칸의 집을 - 자로 지었다. 안채를 바라보면서 동쪽의 맨 끝은 마루를 놓고, 이어서 한 칸의 방과 두 칸의 대청, 그리고 안방과 부엌의 순으로 나열을 하였다. 대청의 북쪽 벽 위에는 평해황씨 선조의 위폐를 모신 곳이 있다고 하나, 문이 굳게 닫혀 있어 볼 수가 없다.

 

안채는 동쪽에 툇마루를 놓았는데 방의 끝까지 이어지도록 하였다. 예전에는 꽤나 운치있는 집으로 꾸며진 듯하다. 모든 문이 걸려있어 안을 확인할 수가 없어 아쉬움이 남는다. 부엌문을 열고 들어서니 시원하게 판자벽 위에 까치구멍을 내었다. 문을 열면 부뚜막 옆에 커다란 독을 묻어놓았다. 아마 물독인 듯하다.

 

 

 

안채의 뒤편에는 예전에는 사당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빈 터만 남아있다. 안채의 동쪽에는 2단의 축대 위에 지은 광채가 있다. 5칸으로 꾸며진 광채는 양편에 문을 달고 판자벽으로 꾸몄다. 마루를 깐 광채는 땅에서 10cm 정도를 높여 습기를 막았다. 광채의 문에는 쇠고리를 달았는데, 이 집의 역사만큼이나 고풍스럽다.

 

이 집에서 황윤석 선생은 당대의 대유학자인 김원행의 문하에서 실학을 접하였다. 그리고 조선 후기 호남 실학을 대표하는 인물로, 10세부터 63세 까지 54년간의 일상을 기록한 이제난고를 비롯하여 역대운어, 이수신편, 성씨운휘300여권의 저서를 남겼다.

 

 

 

문학, 경제, 예학, 사학, 종교, 천문, 지리, 언어, 예술, 의학 등 다양한 방면에 걸쳐 박학한 지식을 갖춘 선생이 태어났다는 이곳 생가. 집안 곳곳에 배어있는 겸손이 눈이 띠는 듯하다. 화려하지 않은 집이 그저 선생의 기품을 닮은 듯하다. 집을 돌아보면서도 뒤꿈치를 들고 조용히 걷는 것은. 행여 선생의 학문에 방해가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서다.

 

수원시 팔달구 장안동 11-3 일원에 조성중인 한옥. 공사를 하기 위해 막아놓은 담장 한 편이 열려있다. 이 한 옥은 장안문에서 정조로를 따라 우측 인도로 팔달문 방향으로 내려오다가 만날 수가 있다. 안으로는 여기저기 많은 전각들이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아직은 바쁘게 마무리 공사를 하느라 분주하지만, 외부의 형태는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셈이다.

 

이 한옥은 장안문 주변 문화시설 조성사업으로, 이 안에 예절교육관과 전통식생활체험관이 들어서게 될 예정이다. 수원시민들을 상대로 살아가면서 우리가 꼭 배워두어야 할 예절교육과 전통음식을 배우고 실습해보는 식생활 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다. 20139월에 착공하여 올 815일에 완공예정이었으나 기일은 조금 늦어질 듯하다.

 

 

방대한 규모의 한옥체험관

 

이 한옥의 용도는 문화 및 집회시설이다. 전통식생활체험관은 대지면적 3,036에 건축면적은 738,41로 지하1층과 지상 1,2층 총 연면적은 950.58이다. 예절교육관은 대지면적 2,904에 건축면적은 626.761층으로 건립이 된다. 한옥으로 지어지는 이 건축물은 한식목구조와 한식기와를 얹어 품위를 더한다.

 

안으로 들어가 보니 막바지 공사를 하느라 더위도 잊은 듯하다. 주변은 공사를 하느라 부산하지만 이미 건물의 외벽과 기와를 잇는 마무리 공사는 끝난 듯 보인다.

 

 

수원 화성 안에 자리하고 있는 잡다한 서구식 건물들이나 세계문화유산인 화성의 품위에 맞지 않는 건물들은 모두 철거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일전에 남한산성을 순창 돌아보고 왔는데, 그곳은 산성 안에 모든 건물을 외벽공사를 하고 기와지붕으로 개조를 했다. 우리 화성은 그보다 더 먼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이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성안에 어울리지 않는 건물들이 너무 많이 들어섰다는 느낌이다. 이제 이 체험관을 시작으로 화성 안에 모든 건물들이 한옥으로 외형이 바뀌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인근에 살고 있다는 주민 한 사람은 이 문화시설 조성사업으로 인해 화성 안에 건물들이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이야기를 한다.

 

 

전통식생활 체험관과 예절교육관이 기대되는 이유

 

전통식생활체험관에서는 무슨 일이 이루어지는지가 궁금하다. 수원시 생명산업과의 담당자는 아직은 체험관이 완공이 되지 않아 구체적인 계획은 미정이라고 한다. 건물이 완공되고 난 후 의회의 조례 등을 거쳐 사업이 확정되기 때문이라는 것.

 

아직 구체적인 사안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식생활체험관은 우리의 전통음식을 만들 수 있는 방법 등을 시민들에게서 신청을 받아 음식체험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건물에 맞게 우리의 전통음식을 만들 수 있도록 체험위주의 교육을 시킬 것으로 보입니다.”라고 한다.

 

예절교육관은 이 시대에 우리가 가장 필요로 하는 예절교육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가대된다. 아마도 예절교육관에는 청소년들의 예절교육과 다도 등의 교육이 이루저질 듯하다. 아직은 그 무엇도 확연하게 밝혀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한옥이 주는 이미지와 함께 예절교육관과 전통식생활체험관이 말하듯, 이 시대에 수원의 위상에 걸 맞는 문화시설이 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

 

중요민속문화재 제199호 서산 김기현가옥

 

서산시 음암면 유계리에 소재한 중요민속문화재 제199호 김기현 가옥은 살아있는 집이다. 현지대중교통을 이용하려면 서산버스터미널에서 해미행 시내버스를 이용하여, 중간 유계리 입구에서 하차 도보로 5분정도가 소요된다.

 

승용차로 찾아가려면 서해안고속도로 해미I.C 해미 유계리 입구 서산 김기현가옥을 이용하거나, 경부고속도로 천안I.C 아산 예산 덕산 해미 유계리입구 서산 김기현가옥으로 찾아갈 수가 있다.

 

 

전체적으로 자 형의 고택

 

서산 김기현가옥은 한다리라 부르는 평지 마을의 낮은 야산을 배경으로, 동향한 전통 목조 한와가로 건축의 기법과 목부재의 상태, 가옥의 배치 등으로 보아 19세기 중엽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하는 이야기에 의하면 원래 이집은 태안에 살던 이씨가 건립했는데, 풍수지리설에 이씨가 살터가 아니고 김씨가 살아야 할 터라고 하여, 경주김씨인 김기현의 선조가 이 가옥을 사서 살게 되었다고 한다. 가옥은 자형의 안채와 자형의 사랑채가 어우러져 전체적으로 자형의 평면을 이룬 가옥이다.

 

 

평야마을에 자리잡아 북동향하고 있는 기와집으로, 지은 연대를 알 수 있는 기록은 없으나 건축양식으로 볼 때 19세기 중반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자형의 행랑채 안쪽으로 ''자형의 안채가 있고, 안채의 동쪽 옆에 사랑채가 ''자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행랑채는 7칸 규모로 왼쪽 끝에 바깥대문이 설치되어 있고, 부엌과 광,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향한 안채는 중문을 들어서서 안마당의 오른쪽에 있다. 이는 대부분의 중, 상류주택이 몸채를 안마당 건너편에 두는 것과는 달리, 한편에 안채를 두었다는 것이 이 집의 색다른 구조이다. 아마도 이는 일조를 고려한 것이 아닌가 생각든다.

 

 

차양지붕이 특징인 김기현 가옥

 

사랑채는 안채보다 간결한 구조를 한 3칸 집으로, 사랑채 남쪽에 단 차양지붕이 돋보인다. 차양지붕은 사랑채 1칸 앞에 팔모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자 모양의 맞배지붕을 얹은 것이다. 앞면에는 겹처마를, 뒷면에는 홑처마를 달아 앞쪽을 더 길게 처리하였다.

 

안채의 뒷뜰에는 3칸의 초가집이 있는데 일종의 공부방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비교적 지을 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집으로, 공간의 짜임새가 빈틈없이 구성되었으며 호도나무나 감나무 등이 어우러져 소담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김기현 가옥은 정말 사람이 살고 싶은 그런 집이었다. 보기만 해도 여기저기 소박함이 배어나오는 그런 집이었다.

 

 

전국의 많은 고택들을 돌아보았지만 서산 김기현 가옥만큼 정갈한 집은 그리 많지가 않았던 것 같다. 안채며 사랑채의 구성이나 행랑채의 소박함. 그리고 팔모기둥 위에 놓은 차양지붕 등. 올 가을에 단풍이 들 무렵 다시 한 번 찾아보고 싶은 곳이다.


안성객사는 그동안 해체와 복원, 이전 등으로 인해 많은 수난을 겪은 건물이다. 객사(客舍)란 지방 관아의 중심건물이기도 하다. 객사는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임금을 상징하는 전폐를 놓고, 절을 하는 의식인 망궐례를 행하는 곳이다. 또한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들이 이곳에서 묵어가는 곳이기도 하다.

 

조선 초기 이전에 조성된 안성객사

 

경기도 안성시 낙원동 609 ~ 1에 소재한 안성객사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54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원래 안성객사는 조선 초기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정확한 기록이 없다. 다만 지붕 위에 명문이 새겨진 기와가 남아 있어, 조선조 숙종 21년인 1695년에 중수가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안성객사는 일반적인 객사와는 건축기법이 다르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중앙에 있는 정청은, 주심포계 맞배집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공포의 형식 중 주심포계 양식은 다포계양식과는 다르다. 주심포계란 공포가 기둥위에만 있는 것을 말하며, 다포계란 기둥 위와 기둥과 기둥 사이에 공포가 놓이는 것을 말한다. 주심포계는 삼국시대부터 전해진 오래 된 건축기법이며, 다포계는 고려 후기부터 시작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안성객사의 공포가 주심포계 양식으로 조성이 되었다는 것은 고려시대의 건축양식을 따른 것으로 보이며, 조선 초기 이전에 이미 객사가 있었다는 것을 말한다.

 

▲ 주심포계 안성객사는 고려시대 건축법의 하나인 주심포계 공포를 사용한 몇 안되는 건물 중 하나이다.

 

이건과 일제의 훼파로 손상된 안성객사

 

안성객사는 그동안 이건과 일제의 훼파로 인해 훼손이 되었던 문화재 중 하나이다. 처음에는 읍내의 관아주변에 있었던 건물을, 1932년에는 명륜여자중학교로 옮겼다가, 1995년에 해체 수리를 하면서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해체 수리 시에 발견된 것은, 바로 1932년도에 옮기면서 기둥의 아랫부분이 잘려나가고, 기둥간 거리가 축소되었다는 점을 발견했다. 또한 기둥의 배흘림 기법이 흐트러졌으며, 기둥간의 거리의 비례도 달라졌다는 것이다.

 

일제치하에서는 우리의 수많은 문화재가 훼파되었다. 문화재의 약탈과 함께 마구잡이식으로 문화재를 이건, 또는 자리를 옮기면서, 많은 문화재들이 제 모습을 잃었다는 것이다. 심지어는 암석에 조각이 되어있는 석불의 일부분을 떼어가는 등, 문화재의 수난이 극에 달했던 시기다. 안성객사도 1995년 이전을 하면서 밝혀졌듯이, 많은 부분이 일제에 의해 훼파가 되었던 것을 복원을 하면서 바로잡아 놓았다.

 

▲ 안성객사 원래 안성객사는 조선 초기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정확한 기록이 없다.

▲ 현판 정청의 중앙 위에 걸린 현판. 백성관이라 적혀있다.

 

정청의 살창문과 좌우의 날개채의 멋

 

망궐례 의식을 행하는 정청에는 백성관(白城館)이란 현판이 걸려있다. 이 정청의 앞은 살창으로 꾸몄으며, 3칸으로 되어있다. 중앙에는 살창으로 꾸민 문을 달아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청의 양편에 있는 날개체는 모두 정면 2칸, 측면 2칸으로 하였다. 그러나 정청을 바라보고 좌측은 1칸의 방을 드리고, 우측의 날개채는 2칸의 방을 드렸다.

 

날개채는 마루를 깔고 정청 쪽을 항해 마루의 뒤편에 방을 드렸다. 방은 마루의 뒤쪽으로 물러서 있어, 상대적으로 날개채의 공간 확보를 하였다. 전체적인 모습으로 보면 날개채의 마루가 시원한 느낌을 준다. 날개채는 정청과는 달리 익공계의 팔작집이다. 익공이란 주심포계 중에서 새의 날개모양의 살미 부재를 끼운, 공포 형식을 말한다. 공포란 지붕 처마 끝의 하중을 받치기 위해, 기둥머리 같은데 짜 맞추어 댄 부재를 말한다.

 

▲ 살창문 정청의 중앙에는 살창문을 내어 출입을 했다.

  
▲ 좌측날개채 좌측날개채에는 방이 한칸으로 꾸며졌다

  
▲ 우측날개채 정면 2칸, 측면 2칸인 우측 날개채는 2칸의 방이 있다.

 

객사 뒤편의 여유

 

안성객사를 한 바퀴 돌아보면 뒤편의 모습에 눈길이 간다. 뒤편으로 가면 날개채에 들인 방에서 연도가 보이지 않도록 하고, 굴뚝만을 도드라지게 놓았다. 이러한 구성도 신선하다. 굴뚝은 황토와 기와를 이용해 조성을 하였으며, 위는 타원으로 막아놓았다. 또한 정청의 뒷벽과 옆벽은 심벽으로 구성을 하였다. 강돌을 이용해 심벽을 조성한 것이 아름답다.

 

그동안 수없이 많은 상처를 안고 다시 태어난 안성객사. 우리는 이러한 문화재 하나를 복원하고 보존을 하는데 심혈을 기울어야 한다. 그것이 우리들의 것이 아니고, 우리 후손들의 문화자산이기 때문이다. 많은 날이 흐르고 난 후에, 우리는 우리 후손들에게 무엇이라고 이야기를 할 수가 있을까? 과연 이 시대에 우리는 우리 소중한 문화재를 제대로 간직했다고, 자랑스럽게 후손들에게 이야기를 할 수가 있을까? 그러한 자문을 해본다면 '최선을 다했지만 최고는 아니었다.'라는 대답을 할 수 밖에 없음이 안타깝다.

 

 
▲ 굴뚝 날개채 객방의 뒤편에 서 있는 굴뚝. 연도가 보이지 않는 것이 특이하다.

 

충남 보령시 청라면 장현리 688에 소재한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91신경섭 가옥(申慶燮 家屋)’ 조선 후기에 지은 것으로 보이는 이 집은 사랑채 중간에 마루를 두어서 대청으로 사용하고 있다. 나무의 결과 단청의 색은 지금까지도 잘 보존되어 있는 집이다. 대문채 지붕은 앞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을 한 우진각지붕이며, 신석붕의 효자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신경섭 가옥을 들려온 것은 꽤 나 시간이 지났다. 은행의 열매가 떨어져 냄새가 코를 진동할 때였으니. 문화재 답사를 마치면 바로 글을 써야 감을 잊지 않지만, 한꺼번에 많은 문화재를 답사하고 나면, 그렇게 바로 글을 적는다는 것이 쉽지가 않다. 그러다 보면 가끔 이렇게 철지난 글을 적어야할 때가 있다.

 

 

자 형의 사랑채가 돋보이는 집

 

신경섭 가옥을 찾았을 때 후원 담장 한편이 트여있다. 앞으로 돌아가니 대문인 듯 효자정려가 걸려있는 문은 잠겨 있다. 담 밖을 돌면서 집을 돌아보아야겠다고 생각을 하는데 마을 어르신 한 분이 지나가시다가 저 편으로 돌면 문이 열려 있으니, 그쪽으로 돌아가 보라고 하신다. 그럴 때면 정말 안내를 해 준 분이 그리 고마울 수가 없다.

 

신경섭 가옥은 조선후기에 지어진 집으로 자 형의 사랑채와 안채가 -자 형으로 자리를 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보면 자 형으로 구성이 된 충청도의 양반가옥이다. 이 가옥은 안채에 안방, 건넌방, 대청, 고방, 부엌을 들였고, 사랑채의 상량문에는 승정기원후사계묘라고 적고 있어, 1842년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사랑채의 한편 끝에는 높임 누마루 방을 두어 정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자 곁으로 돌아가니 후원 앞마당이 눈에 들어온다. 아마도 이 누마루 정자 방에서 바라보는 후원을 바라보는 정취가 일품이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사랑채와 안채 중간에는 돌우물이 자리하고 있어, 자칫 무료한 안마당의 멋을 더해주고 있다.

 

양반가옥의 기품을 지키는 집

 

효자정려가 걸려있는 대문은 사랑채로 들어갈 수 있도록 동선을 마련한 듯하다. 열려있는 또 한편의 문은 들어가면서 좌측에 4칸의 광채를 달아냈고, 우측으로는 5칸의 안채가 있다. 안채는 부엌과 안방, 대청, 건넌방의 순으로 조성을 했는데, 건넌방의 앞에는 높임마루를 두었다.

 

 

안채 부엌의 앞에로는 돌우물을 마련해, 부엌을 사용하는 주부들의 이용에 편리할 수 있도록 동선에 신경을 쓴 듯하다. 안채 뒤편에는 장독대를 두었으며, 마당 가운데에는 작은 화원을 마련하였다. 집은 그리 크지는 않지만 양반가옥의 기품을 그대로 보여주는 집이다. 신경섭 가옥을 찾았던 날이 106일 보령시 답사 때였으니 벌써 두 달이 훌쩍 지났다.

 

, 쪽문으로 출입을 했을까?

 

집안을 한 바퀴 돌면서 사진을 찍고 밖으로 나와 굴뚝을 찍고 있는데, 곁에 작은 쪽문 하나가 보인다. 마침 문이 열려있기에 안을 들여다보니, 그 안에 또 하나의 쪽문이 있다. 문에는 모정문(母情門)’이라고 쓴 작은 나무패가 걸려있다. 어머니의 정을 그리는 문일까? 그 문으로 들어가면 사랑채가 되는데, 왜 이렇게 문의 명칭을 정한 것일까?

 

 

이렇게 작은 문 하나에는 많은 사연이 있을 듯도 한데, 물을 사람이 없으니 그 또한 안타까운 일이다. 아마도 그 모정문 밖에 효자정려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문으로 사랑채로 드나들면서 어머니의 깊은 사랑을 생각한 것은 아니었을까? 고택을 찾아다니면서 아직도 궁금한 것이 많기만 하다. 그래서 더 많은 곳을 돌아보아야겠다고 생각하지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