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주시 실촌읍 열미리 산 174번지는 곤지암천을 끼고 있는 곳이다. 98번 도로를 따라 곤지암에서 여주군 산북면 쪽으로 가다가 보면, 우측에 '백인대(百仞臺)'라는 작은 안내판이 보인다. 백인대가 무엇인지 궁금해 좁은 골목으로 들어섰다. 골목 안에는 축산물등급판정소가 있다. 그 앞을 지나면 곤지암천이 흐른다. 그곳에서 아래쪽으로 보니 건너편에 깎아지른 절벽 위에 작은 정자가 하나 서 있다. 바로 백인대이다.

백인대를 바라보면서 밑으로 내려가니 소의 분뇨를 버린 듯 냄새가 코를 짜른다. 아직은 눈이 녹지를 않고 설 연휴에 며칠간 날이 푹하다 보니, 개울에 얼었던 얼음이 녹아 물이 흐른다. 건너갈 곳이 마땅치가 않다. 그렇다고 포기를 할 수는 없는 일이 아닌가. 할 수 없이 돌을 집어 물에 던져 넣었다. 수십 개의 돌을 큰 돌 중간에 던져놓고, 그 돌을 밟고 기우뚱거리며 겨우 내를 건넜다.



송시열이 제자와 강학을 논하던 곳

물을 겨우 건너고 보니 이번에는 녹은 얼음으로 인해 발이 빠진다. 겨우 벗어나니 눈길이다. 그래도 저 앞에 보이는 백인대를 올라야겠다는 생각 하나로 눈에 미끄러지면서 겨우 벼랑 아래에 도착을 한다. 계단은 절벽에 돌을 쌓아 놓았는데, 눈과 낙엽이 가득 쌓여 있다. 눈을 헤치고 낙엽을 밀어내며 가파른 계단을 오른다. 계단은 경사가 급해 자칫 한발만 실수를 하면 저 밑 곤지암천으로 떨어질 것만 같다.

바위를 잡으며 겨우 오른 백인대. 백인대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인 송시열이 충청도에서 상경할 때는 반드시 들렸던 곳이라고 한다. 송시열은 이곳에서 광주 출신의 제자인 구문찬과 더불어 경학을 강론하고 시를 지었다. 백인대는 곤지암천이 흐르는 절벽 위에 지었는데, 물이 많아지면 배를 타고 건너고, 물이 마를 때에는 걸어서 건넜다고 한다.




아슬아슬한 계단을 올라 백인대 가까이 다가가 본다. 밑으로는 곤지암천이 휘감아 흐른다. 이곳에서 대학자인 송시열과 강론을 한 구문찬. 1937년에 구문찬의 후손들이 이곳에 육각형의 정자를 지었다고 하나, 훼손이 되고 말았다. 현재의 백인대는 시멘트로 지었으며, 1996년에 신축한 것이다. 백인대는 광주시 향토문화유산 기념물 제2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이렇게 위험한 답사는 정말 × 같아요'

백인대를 돌아보고 내려오려는데 난감하다. 도저히 미끄럽기도 하고 가팔라서 내려갈 길이 막막하다. 할 수 없이 옆에 있는 나뭇가지를 잘라 쌓인 낙엽과 눈을 치운다. 그래도 서서 내려가기는 도저히 불가능할 듯하다. 할 수없이 엉덩이를 계단에 붙이고, 한발씩 자리를 잡으면서 엉금엉금 내려오는 수밖에.



그렇게 한참이나 고생을 한 끝에 밑으로 내려올 수 있었다. 동행을 한 일행은 건너편에서 그런 모습을 바라보고 있다. 절벽을 기어오르듯 올라간 것도 위험한데, 내려오는 모습을 보면서 손에 땀이라도 날 정도였다는 것이다.

"누가 이렇게 답사를 하는지 알아주나요?"
"알아달라고 하는 것은 아니니까."
"정말 문화재 답사라는 것이 이렇게 × 같은 경우를 당하는 것인지 몰랐네요."
"이런 경우가 한 두 번이 아닌데 멀 그리 야단이래."



말은 그렇게 했지만, 속으로는 정말 이런 답사는 하지 말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어떻게 하랴, 팔자가 그러려니 하고 웃고 말아야지. 문화재 답사라는 것이 그렇게 편안하리란 생각부터가 잘못된 것이다. 그래도 그렇지 이젠 '× 같은 답사'라는 소리까지 듣다니. 글쎄다. 앞으로는 편한 글을 쓸 수 있으려는지 모르겠다. 백인대의 기억은 아마 두고두고 남을 듯하다.


경남 거칭군 거창읍 상림리 황강 가에 자리한 건계정. 중국 송에서 귀화한 거창 장씨의 시조인 충헌공 장종행의 후손들이 선조를 기리기 위해 1905년 건립한 정자이다. 정자 앞으로는 맑은 물이 흐르고, 온통 암반들이 즐비한 곳이다. 이런 절경에 정자를 지은 후손들은 왜 '건계정'이란 쉽지 않은 명칭을 붙인 것일까?


현재 경남 문화재자료 제457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건계정은 중국의 주돈이와 주자 두 선생의 염계와 자양을 본 딴 것이다. 시조인 장종행의 고향이 중국 건주였으므로, 후손이 선조의 고향을 잊지 않는다는 뜻으로 면우 곽종석이 붙인 이름이다. 정자 주변은 온통 암반이 자리를 하고 있다. 건계정은 그 암반을 주추로 삼아 자연스럽게 기둥을 세운 정자이다.




뒤편에만 판자벽을 둔 건계정

건계정은 앞으로 보이는 절경을 보기 위해 지은 정자이다. 그래서 사방을 모두 개방을 하고, 뒤편 중앙에만 판자벽으로 낮게 막아놓았다.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으로 구성된 건계정은 주심포계 겹처마 합각지붕이다. 정자의 밑 부분에 놓인 암반 위에 그대로 정자를 세웠는데, 암반 자체가 주추역할을 하고 있다. 그래서 누각을 받치고 있는 기둥들의 길이가 다 다르다.

기단과 초석이 없이 암반위에 세운 건계정. 기둥은 모두 원기둥으로 마련을 하였으며, 누각 위는 기둥에 의해 활동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중앙에 기둥을 생략하였다. 누각의 마루는 우물마루를 깔았으며, 사면을 모두 널빤지 두 장 정도를 덧내어 마루를 외부로 넓혀놓았다. 정자 안에는 1906년 양산 조정희가 지은 '건계정기'를 비롯한 많은 판상시 등의 편액이 걸려있어, 정자의 운치를 더한다.




최고의 흥취를 자랑하는 정자 건계정

선일등정흥미란 계산여차거장안
위관점각풍류갑 재야영협예수관
제조천림당주석 유어취란상음란
면군노력전도진 구인전공일궤난

날을 골라 정자에 오르니 흥취가 안 끝나
산과 강이 이 같으니 이제 어디로 가나?
벼슬을 하려니 점점 풍류가 없어짐을 알겠고
들에 있다고 어찌 만나는 인사를 싫어하랴?
새소리 숲을 지나 술자리에 들리고
물결일자 고기는 물속 난간을 헤엄친다.
그대 힘써 노력하여 앞길로 나아가게
높은 산 온전한 공부는 쉽게 무너지기 어려우이.

군수 이응익이 지은 시이다. 건계정의 풍광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정자의 벽면 가득 차있는 많은 편액들. 많은 사람들이 선조의 공을 칭송하고, 주변 경치에 감탄을 금치 못하고 지은 글들이다. 이런 절경에 정자를 짓고 앞으로 흐르는 황강의 물소리를 들으며, 세상의 모든 시름을 잊은 것일까?



초겨울 찬바람을 맞으며 오른 건계정에서 떠날 수가 없는 것은, 이런 풍취를 알아가고 있어서일까? 못내 바쁜 답사 일정이 마음에 걸리지만, 조금이라도 더 눈에 담고 싶다. 어느 때 또 이곳을 찾아 저 맑은 물속에 노니는 고기들을 볼 수가 있을까? 아마 이응익 선생의 마음이 지금의 나 같았을까? 바람을 따라 건계정을 나서며 몇 번이고 뒤돌아본다. 바람 한 점이 누마루를 따라 마른 낙엽을 굴린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