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곱창전골이 왜 이렇게 쌉쌀한 맛이 돌아요?”

그러게 말입니다. 무슨 재료가 잘못 되었을까요

그런데 이게 무엇이죠? 무슨 뿌리 같은데

 

답사를 다니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잘 먹고 잘 자는 것이다. 하루 종일 피곤하게 답사를 마치면 그야말로 몸과 마음이 파김치가 되기 때문이다. 밥이라도 잘 먹고 잠이라도 편하지가 않으면, 그 다음 날 답사를 배가 힘이 든다. 그래서 가급적이면 잘 먹고 잘 자는 것에는 경비를 아끼지 않는 편이다. 그것은 곧 즐거운 답사를 하면서, 스스로에게 잘못을 저지르지 않기 위함이기도 하다.

 

 

불편한 숙박, 잠자리 내내 불쾌해

 

대천은 관광단지이다. 많은 숙박업소들이 있어 저마다 입구에 커다랗게 광고를 붙이고 있다. 그 많은 광고들은 모두가 자기네 숙박업소가 최고라는 것이다. 이곳은 자주 들렸던 곳이다. 어디나 다 깨끗하고 안에 시설도 괜찮은 편이라, 아무 생각도 없이 한 집을 찾아 들어갔다. 비성수기인지라 숙박비가 4만원이라고 한다.

 

돈을 지불하고 방에 컴퓨터가 있느냐고 물으니, 이 곳에는 컴퓨터가 없단다. 대천 전체가 예전에는 있었는데 지금은 없다는 것이다. 그 말에 조금 의아스럽다. 이곳에는 숙박업소에 컴퓨터가 있는 집들이 많기 때문이다. 엘리베이터를 타려는데 벽에 환불불가라고 쪽지가 붙어있다. 무엇인가 이 집이 자꾸만 께름칙하다.

 

안에 들어가서야 환불불가의 이유를 알았다. 좁고 낡은 방과 벽지, 구형 TV(딴 집은 대형 벽걸이TV가 있다), 믈도 들어있지 않은 냉장고. 청소를 했는지 싶은 정수기 하나. 이런 집을 들어왔다는 것이 후회스럽지만, 돈까지 지불을 했으니 옮길 수도 없다. 그저 하루 마음 편하게 자고 나가자고 생각을 할 수밖에.

 

 

답사 먼저, 식사 먼저

 

보령을 거쳐 공부로 답사지를 옮기는 길에 국도를 택했다. 지방도나 국도로 다녀야 문화재를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령시 면지역을 돌았지만 마땅히 먹을 곳이 없다. 시골이다 보니 아침 일찍 문을 여는 식당이 없다. 청양군으로 들어섰다. 그 안에 생각지도 않았던 고택을 만나 촬영을 했으니, 이런 횡재는 없는 듯하다.

 

청양군 화성면 면소재지를 몇 바퀴인가 돌았다. 벌써 시간이 10시가 넘어 허기가지기 때문이다. 한 집에 불이 커져있다. 불이 커져있다는 소리는 식당이 문을 열었다는 것이다. 마침 한 사람이 안에 있어 영업을 하느냐고 물으니 그렇단다. 곱창전골 전문점이라고 되어있지만, 이것저것 따질 때가 아니다.

 

안으로 들어가 메뉴판을 보니 곱창전골 소자가 18,000원이란다. 수원 지동시장의 곱창볶음이 1인분에 8,000원인데, 이 시골에서 비싸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어찌하랴. 2인분을 시켜놓고 기다리는 수밖에.

 

 

곱창전골에 인삼 몇 뿌리가 들어있어

 

잠시 후에 곱창전골이 나왔다. 밑반찬과 함께 나온 곱창전골이 팔팔 끓는다. 전골이 좀 오래 끓여야 제 맛이 난다. 하지만 허기진 배에서 요동을 치니 더 이상은 기다리기가 힘들 것 같다. 앞 접시에 떠보니 곱창이 반이다. 이렇게 많은 곱창을 넣어 주는 집은 본 적이 없다. 그런데 곱창을 먹다가 보니, 무엇인가 씁쓸한 맛이 난다.

 

맛이 이상해서 전골냄비를 국자로 뒤적여보았다. 그런데 이게 무엇인가? 인삼뿌리다. 잘못 들어간 것은 아닌지 해서 골라보았더니, 인삼을 썰어 넣은 편과 뿌리가 가득하다. 족히 몇 뿌리는 될 것만 같다. 이해가 가질 않는다. 곱창전골에 왜 인삼을 이렇게 푸짐하니 넣어주는지가.

 

 

결국 주인에게 그 이유를 묻지는 못했지만, 세상에 태어나 인삼곱창전골을 먹어 보았으니, 할 말이 생긴 듯하다. 남들에게 이렇게 물으면 무엇이라고 대답할까?

인삼곱창전골이라고 먹어는 보았나?” 

 

상호 / 소리삭당(곱창 전골 구이 전문점)

장소 / 충남 청양군 화성면 산정리 190

전화 / (041)943-9190 / 010-3440-9190

업주 / 조화순

 

‘줄무덤’이 있다고 한다. 천주교 성지인 ‘청양 다락골 줄무덤’. 직접 보지 않는다고 해도 ‘줄무덤’이라고 한 것만 보아도 대충 짐작이 간다. 오죽하면 줄무덤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을까? 문화재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가끔은 이런 역사의 아픈 흔적을 만나보기도 한다. 이번에도 문화재를 찾아 지나는 길에 만나기 된 줄무덤.

 

청양군 화성면 농암리 다락골 길 78-6에 소재한 이 다락골 성지는 칠갑산과 오서산의 중간에 자리하고 있다. 고택을 찾아 화성면 기덕리를 찾다가 우연히 안내판을 보고 찾아간 다락골 성지. 입구에 작은 성당이 있고, 마침 일요일이라 그런지 사람들이 여기저기 눈에 띤다. 저들도 이곳의 아픔을 보고 찾아 온 것일까?

 

 

병인박해 당시 처형당한 순교자들의 무덤

 

다락골 성지는 헌종 5년인 1839년 옥사한 후 103위 순교성인의 한 사람이 된 최경환(프란치스코)과 그의 장남이자 대한민국의 두 번째 한국인 사제인 최양업(토마스, 1821~1861) 신부가 태어나 자란 생가 터가 있는 곳이다. 또한 이곳은 1866년 병인년에 있었던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천주교 박해 사건인 병인박해의 아픔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병인박해(丙寅迫害)는 고종 3년이던 1866년에 벌어진 천주교 최대 박해 사건이다. 병인박해는 ‘병인사옥(丙寅邪獄)’이라고도 불리우며, 당시 평신도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 출신 선교사 등 약 6천여 명을 처형하였다. 줄무덤은 바로 병인박해 때 포졸들의 급습에 의해 잡혀서 처형을 당한, 홍주(현 홍성)와 공주의 무명 순교자 37기의 무덤이 있는 성지이다. 그들의 시신을 야음을 타 시신을 매장한 곳이다.

 

 

다락골 줄무덤에 오르다

 

주차장 바로 옆에 ‘줄무덤 가는 길’이란 안내판이 있다. 그 길을 따라 천천히 산으로 오른다. 그리 가파르지 않은 산길이지만, 장마철에 숲은 습하기가 이를 데 없다. 땀이 비 오듯 한다. 조금 오르다가 보니 조형물이 하나 보인다. 무명 순교자상이란 조각이다. 한편에는 사망, 또 한편은 부활이란 제목을 달고 있다.

 

십자가의 길로 명명된 산길을 오른다. 독 모양의 조형물에 조각을 한 예수의 모습들이 보인다. 골고다의 언덕으로 십자가를 지고 오르는 예수의 모습이 조각되어 있는 조형물. 어쩌면 이곳 줄무덤에 잠들어 있는 순교자들도 그와 같은 마음을 갖고 당당하게 처형을 당한 것은 아니었을까?

 

 

조금 더 오르다가 보니 양편으로 길이 갈라진다. 좌측 길은 1, 2 줄무덤으로 가는 길이고, 우측 길은 제3 줄무덤으로 오르는 길이다. 잠시 생각을 하다가 3 줄무덤으로 오르는 우측 길을 택했다. 비가 내린다. 바쁜 답사를 하느라 땀으로 젖은 몸을, 잠시나마 시원하게 만들어주는 비가 오히려 고마운 날이다.

 

순교자들 앞에 고개를 조아리다.

 

갈라진 길에서 우측으로 난 계곡 길을 따라 조금 더 오르다가 보면 여기저기 조형물을 설치하기 위해 조성을 한 공터들이 보인다. 저 곳에도 언젠가는 순교자들을 기리는 멋진 조형물이 들어차기를 기대한다. 잔디가 그리 오래지 않아 깔린 위에 순교자들의 작은 무덤들이 보인다.

 

 

이곳이 바로 다락골 성지 제3 줄무덤이란다. 흐르는 땀을 닦아낼 틈도 없이 먼저 고개를 숙인다. 자신이 믿는 종교관이 뚜렷하기에 죽음을 맞이한 그분들에게 경의라도 표하는 것이 예의란 생각에서이다. 변변하지 않은 봉분과 작은 비석들. 그러나 그 마음만은 어느 거대한 무덤보다도 컷을 것이다.

 

비가 또 뿌리기 시작한다. 괜히 울컥한 마음을 숨기기라도 하려는 듯, 걸음을 재촉해 본다. 오를 때마다 더 무거워진 발길이다. 그래도 산 밑에서 계곡을 따라 올라온 바람 한 줄기 있어, 볼을 타고 흐르는 빗물을 닦아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