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화림동 계곡에 자리한 동호정은 많은 분들이 글로 남겼다. 그만큼 유명세를 타고 있는 우리나라 정자 증 한곳이다. 동호정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그런 정자와는 다른 면이 있다. 적어도 내 눈에 비친 동호정은 아름답다라는 말로 표현을 해선, 죄스런 마음이 들 것 같은 그런 정자이다. 난 동호정을 보면서 자연 그대로다라는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함양의 화림동 계곡은 자연이다. 그곳에는 여덟 개의 정자와 여덟 곳의 깊은 물이 있다고 하였다. 그 중 동호정은 가장 큰 정자로 꼽힌다. 정자가 크면 웅장할 것이란 생각을 하지만 동호정은 절대로 웅장하지 않다. 동호정은 한 마디로 자연이다. 뛰어난 자연의 경치를 느낄 수 있는 화림동 계곡에서 자연 그대로를 옮겨 놓은 그러한 정자이다.

 

 

함양군 서하면 황산리에 자리 잡은 동호정은 가선대부 오위장을 지낸 장재헌을 비롯해 장대부, 장서진, 장서부 등이 뜻을 모아 1890년에 세운 정자이다. 정자의 역사는 이제 130년이 되었다. 그러나 1936년 중수를 한 차례 했을 뿐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동호정은 장재헌 등이 임진왜란 때 선조의 의주몽진 때 임금을 등에 업고 피난 간, 동호 장만리 선생이 벼슬에서 물러나 이곳에서 지낸 것을 기념하기 위해 지은 것이라 전하다.

 

장재헌은 장만리의 9세손이며, 장대부, 장서진, 장서부는 10세손이다. 동호정의 앞에는 너럭바위라 불리는 차일암이 있다. 한 번에 수백 명이 올라가 쉴 수 있다는 이 너럭바위와 동호정, 그리고 그 앞을 흐르는 물은 그야말로 모두가 한데 어우러진 자연이다. 경남 문화재자료 제381호로 지정된 동호정 주변을 돌아보면 왜 이곳을 자연이라고 하였는지 이해가 간다.

 

정자 밑에서 바라다 본 차일암에는 비가 와 물이 불었는데도 사람들이 올라 있었다. 평소에는 너럭바위로 갈 수 있는 길이 생긴다고 한다. 이 날은 비도 왔지만, 그 전에 내린 비로 인해 길이 물속에 잠겼다. 같은 너럭바위를 보는데도 정자 위로 올라가니 사뭇 그 경치가 달라 보인다. 이 아름다운 자연을 보고 누가 감탄을 하지 않을까? 그저 시 한 수 읊조리고 싶어지는 곳이다.

 

 

'사람이 날 그대로 썼으니 나도 닮아질 때까지 사람들의 발길에 머물겠다.' 마치 그렇게 말을 하는 것만 같다. 누구나 한 번 쯤은 쓰고 지나갔을 계단이다. 동호정은 중층 누각으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땅에 붙여 지으면 정자라 하고, 밑으로 사람이 다닐만한 공간이 생기면 누각이라 한다. 하지만 동호정은 '동호루'라 불러도 될 것을 정이라고 하였다. 아마 그 이름 속에도 자연을 벗어나지 않겠다는 깊은 뜻이 담겨 있을 것이란 생각이다.

 

계단은 통나무 두개를 도끼를 찍어내어 홈을 파고, 그것을 맞추어 이층 난간에 걸쳐놓았다. 인위적인 모습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한 것이 아니라,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지켜가고 싶었나 보다. 정자를 받치고 있는 기둥을 보아도 알 수 있듯, 동호정은 자연 그대로를 최대한 살려낸 아름다움을 지녔다.

 

이른 낮술이라도 먹은 것일까? 정자 위로 올라가니 남자 몇 명이 세상모르게 지고 있다. 위에 올라 주변을 둘러보니 절로 감탄이 터져 나온다. 계단을 맞댄 쪽을 안으로 들여, 결코 나서려 하지 않는 겸손함을 배우게 하였다. 아마 장만리 선생의 성품을 닮은 후손들의 마음이 그랬을 것이란 생각이다.

 

 

천정을 올려다보니 백호와 청룡이 난무한다. 양편에 머리를 내민 청룡은 한편은 여의주를 물고, 한편은 물고기를 물고 있다. 냇가나 바닷가 등 물가에 세운 용들의 입에는 이렇게 물고기를 물고 있다.

 

동호정을 조금 비켜 선 듯 서 있는 소나무. 암벽 위에 그대로 솟은 소나무 한 그루가 동호정의 극치란 생각이다. 많은 이들이 올라 계곡을 흐르는 물과, 너럭바위를 볼 때 시야를 가리지 않기 위해 한 발 물러선 듯하다. 자연 그대로를 닮아 서 있는 동호정. 이를 제일로 치는 것은 바로 그 자체가 자연이기 때문이다.

문화재 답사는 답사라는 특성상 날마다 새로운 문화재를 그때그때 답사를 해서, 날마다 글을 쓴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문화재 답사 기사가 일반적인 뉴스의 생성과 달리 어려운 점이 있다는 것도 그러한 이유 때문이다. 즉 2박 3일 정도 답사를 나가게 되면, 15~20점 정도의 문화재를 담아오기 때문이다.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 마을에서 조금 위편에 보면, 경남 유형문화재 제33호인 ‘승안사지 석조여래좌상’이 전각 안에 모셔져 있다. 이 석조여래좌상이 있는 일대가 바로 승안사지이다. 승안사지는 통일신라 때 상당히 번창했던 사찰로 알려져 있다. 승안사는 성종 12년인 1481년에 편찬된 『둥국여지승람』에는 기록되어 있는 절이다.

 

승안사지는 어떻게 사라졌을까?

 

12월이 다 지나기 전에 찾아가리라 마음을 먹고 있던 승안사지다. 좁은 길로 마을들을 이리저리 지나 도착한 승안사지. 이곳에는 보물 제294호인 승안사지 삼층석탑이, 석불좌상과 20m 정도 떨어져 있다. 동국여지승람이 편찬되고 300여년 정도가 지난, 정조 23년인 1799년에 발간된 『범우고』에는 승안사지가 사라지고 없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렇다면 승안사는 언제 무슨 일에 의해서 사라진 것일까? 현재 있는 석불좌상의 크기로 보아, 이 석불좌상은 고려시대의 거대불로 보인다. 고려시대 때에 이렇게 큰 거대불을 조성한 이유는 북벌의 상징이다. 옛 고구려의 고토를 회복하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는 것이다. 현재 남아있는 승안사지 석조여래좌상을 보면 심하게 훼손이 되었다. 세월의 흔적이 아닌 외부적인 영향에 의해서 파손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승안사에 언제 무슨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

 

비례가 맞지 않아 어색한 석조여래좌상

 

고려시대에는 지방의 장인들에 의해 많은 석조문화재가 조성이 되었다. 그 중에서 석조불상과 석탑 등은 상당수에 이른다. 승안사지 석조여래좌상 역시 지방의 장인에 의해 조성이 된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 석조여래좌상을 보면 심하게 훼손이 되어 본 모습을 알아보기가 힘들 정도이다.

 

머리는 민머리인 듯한 이 석조여래좌상은 모든 비율이 제대로 맞지가 않는다. 눈은 움푹 들어간 듯 보이며 코가 유난히 크다. 얼굴이 길어 조금은 어색하기도 하다. 여래좌상이라기 보다는 단순한 석인과 같은 모습에 가깝다. 좁은 어깨로 인해 전체적인 체구는 왜소해 보이며, 유난히 큰 코와 일자로 꽉 다문 입으로 인해 엄격한 인상을 풍긴다.

 

목 부분이 떨어진 것을 붙여놓은 자국이 남아있으며, 법의는 왼쪽 어깨에 걸쳤다. 옷의 주름도 사선으로 비스듬히 나타나고 있어, 자연스럽지 못하다. 전체적으로 볼 때 구성의 비례가 잘 맞지가 않아 어색해 보인다.

 

잘린 팔과 사라진 하반신

 

이 승안사지 석조여래좌상은 오른팔이 떨어져 나가고 없다. 거기다가 좌상의 발 부분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았다. 현재 좌상의 다리 부분은 제대로 알아볼 수가 없을 정도이다. 심하게 훼손이 된 승안사지 석조여래좌상. 이 거대한 석불의 팔과 다리 부분은 어떤 이유로 이렇게 훼손이 되었을까?

 

 

조선조 성종 12년 부터 정조 23년 사이에 이곳에 어떤 재난이 일어났는지 알 수가 없다. 다만 융성하던 승안사라는 사찰이 사라지고, 이렇게 거대석불이 심하게 훼손을 입을 것을 볼 때, 어떠한 재난을 당했다는 것을 추정할 뿐이다. 기록문화에 약한 우리의 문화재들을 볼 때마다 마음이 아픈 것은, 바로 이런 기록이 전무하다는 것이다. 하기에 이렇게라도 기록을 남겨 후손들에게 전해주고자 하는 마음에, 바쁜 답사 길을 재촉하는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