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화림동 계곡과 어우러진 자연의 정자 동호정
함양 화림동 계곡에 자리한 동호정은 많은 분들이 글로 남겼다. 그만큼 유명세를 타고 있는 우리나라 정자 증 한곳이다. 동호정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그런 정자와는 다른 면이 있다. 적어도 내 눈에 비친 동호정은 ‘아름답다’라는 말로 표현을 해선, 죄스런 마음이 들 것 같은 그런 정자이다. 난 동호정을 보면서 ‘자연 그대로다’라는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함양의 화림동 계곡은 자연이다. 그곳에는 여덟 개의 정자와 여덟 곳의 깊은 물이 있다고 하였다. 그 중 동호정은 가장 큰 정자로 꼽힌다. 정자가 크면 웅장할 것이란 생각을 하지만 동호정은 절대로 웅장하지 않다. 동호정은 한 마디로 자연이다. 뛰어난 자연의 경치를 느낄 수 있는 화림동 계곡에서 자연 그대로를 옮겨 놓은 그러한 정자이다.
함양군 서하면 황산리에 자리 잡은 동호정은 가선대부 오위장을 지낸 장재헌을 비롯해 장대부, 장서진, 장서부 등이 뜻을 모아 1890년에 세운 정자이다. 정자의 역사는 이제 130년이 되었다. 그러나 1936년 중수를 한 차례 했을 뿐 옛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동호정은 장재헌 등이 임진왜란 때 선조의 의주몽진 때 임금을 등에 업고 피난 간, 동호 장만리 선생이 벼슬에서 물러나 이곳에서 지낸 것을 기념하기 위해 지은 것이라 전하다.
장재헌은 장만리의 9세손이며, 장대부, 장서진, 장서부는 10세손이다. 동호정의 앞에는 너럭바위라 불리는 ‘차일암’이 있다. 한 번에 수백 명이 올라가 쉴 수 있다는 이 너럭바위와 동호정, 그리고 그 앞을 흐르는 물은 그야말로 모두가 한데 어우러진 자연이다. 경남 문화재자료 제381호로 지정된 동호정 주변을 돌아보면 왜 이곳을 자연이라고 하였는지 이해가 간다.
정자 밑에서 바라다 본 차일암에는 비가 와 물이 불었는데도 사람들이 올라 있었다. 평소에는 너럭바위로 갈 수 있는 길이 생긴다고 한다. 이 날은 비도 왔지만, 그 전에 내린 비로 인해 길이 물속에 잠겼다. 같은 너럭바위를 보는데도 정자 위로 올라가니 사뭇 그 경치가 달라 보인다. 이 아름다운 자연을 보고 누가 감탄을 하지 않을까? 그저 시 한 수 읊조리고 싶어지는 곳이다.
'사람이 날 그대로 썼으니 나도 닮아질 때까지 사람들의 발길에 머물겠다.' 마치 그렇게 말을 하는 것만 같다. 누구나 한 번 쯤은 쓰고 지나갔을 계단이다. 동호정은 중층 누각으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땅에 붙여 지으면 정자라 하고, 밑으로 사람이 다닐만한 공간이 생기면 누각이라 한다. 하지만 동호정은 '동호루'라 불러도 될 것을 정이라고 하였다. 아마 그 이름 속에도 자연을 벗어나지 않겠다는 깊은 뜻이 담겨 있을 것이란 생각이다.
계단은 통나무 두개를 도끼를 찍어내어 홈을 파고, 그것을 맞추어 이층 난간에 걸쳐놓았다. 인위적인 모습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한 것이 아니라, 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지켜가고 싶었나 보다. 정자를 받치고 있는 기둥을 보아도 알 수 있듯, 동호정은 자연 그대로를 최대한 살려낸 아름다움을 지녔다.
이른 낮술이라도 먹은 것일까? 정자 위로 올라가니 남자 몇 명이 세상모르게 지고 있다. 위에 올라 주변을 둘러보니 절로 감탄이 터져 나온다. 계단을 맞댄 쪽을 안으로 들여, 결코 나서려 하지 않는 겸손함을 배우게 하였다. 아마 장만리 선생의 성품을 닮은 후손들의 마음이 그랬을 것이란 생각이다.
천정을 올려다보니 백호와 청룡이 난무한다. 양편에 머리를 내민 청룡은 한편은 여의주를 물고, 한편은 물고기를 물고 있다. 냇가나 바닷가 등 물가에 세운 용들의 입에는 이렇게 물고기를 물고 있다.
동호정을 조금 비켜 선 듯 서 있는 소나무. 암벽 위에 그대로 솟은 소나무 한 그루가 동호정의 극치란 생각이다. 많은 이들이 올라 계곡을 흐르는 물과, 너럭바위를 볼 때 시야를 가리지 않기 위해 한 발 물러선 듯하다. 자연 그대로를 닮아 서 있는 동호정. 이를 제일로 치는 것은 바로 그 자체가 자연이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