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은 예전에 아흔 아홉 구비 물길이 들어오던 곳이다. 이곳은 충남 아산지역이면서도 경기도 평택과 도계를 이루고 있어, 오히려 아산보다는 평택 쪽에 생활근거를 두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한때는 둔포까지 소금배가 들어왔다고 하는 포구에는 아가씨는 둔 색주가가 100집이 넘었다고 하는 곳이다.

 

이 둔포면 신항리를 찾아가면, 마을에 고래 등 같은 한옥들이 몇 채 보인다. 그 중 가장 마을 안에 넓은 평지를 앞에 두고 한 가운데 집이 있다. 중요민속문화재 제196호로 지정이 된, 윤보선 전 대통령의 생가이다.

 

윤보선 대통령의 생가를 찾아가면 제일 먼저 느낌이 '거대하다'라는 생각이다. 물론 아흔아홉 칸 집은 아니다. 그러나 그보다 오히려 더 크다는 느낌이 든다.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자 형으로 꾸며진 대문채와 행랑채가 있다. - 자로 된 대문채와 꺾인 부분의 행랑채가 자형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행랑채와 연결된 담에는 중문이 있고, 중문은 담벼락이 행랑채와 연결이 되면서 다시 자의 광채와 중문채를 이루고 있다. 밖에서 보면 이 행랑채와 중문채의 담장이 하나로 연결이 되어 있다.

 

 

이 중문채를 안사랑채라고 하지만, 엄밀하게 따지면 광채와 연결된 중문채라고 보아야 한다. 사랑이란 집안의 남자들이 묵는 곳인데, 이 중문채에 연결된 방 등 공간은 집안에서 일을 하는 부녀자들이 기거를 하는 곳으로 안사랑채와는 다르다. 바깥쪽의 행랑채나 사랑채는 출입을 할 수가 있으나, 중문 안으로는 굳게 잠겨 있어 담 밖에서만 촬영이 가능하다.

 

안채는 중문채와 반대로 자 형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어, 담 밖에서 몇 바퀴를 돌아 안채를 확인할 수가 있었다. 사람이 살고 있지 않은 고택을 찾아가면, 이렇게 안을 볼 수 없다는 것이 어려움이다. 안채는 모두 아홉 칸으로 전형적인 중부지방의 평면 구성이다. 안채는 남쪽으로부터 부엌, 안방, 샛방, 윗방을 차례로 두고, 꺾인 곳에 두 칸의 대청과 두 칸의 건넌방, 맨 끝에 부엌을 배치하고 있다. 바깥사랑채와 안채사이에도 담장으로 구분을 하였다.

 

 

특이한 구조의 사랑채의 미

 

윤보선 전 대통령의 생가는 윤 전 대통령의 선친인 윤치소가 1907년에 지었다고 한다. 솟을대문을 들어서면서 우측에 자리한 사랑채는, 1920년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랑채는 별도의 담을 둘러 일각문을 내었다. 사랑채의 누마루 아래에는 숨은 쪽문이 있어 사랑채의 뒤로해서 안채로 이동을 할 수 있는 동선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쪽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갔으나, 안채로 통하는 일각문이 굳게 잠겨 있어 안을 볼 수는 없었다. 사랑채는 서쪽으로 누정과 같이 높은 네모뿔대 주추를 놓고, 그 위에 누마루방을 들여놓았다. 이곳에 오르면 앞뜰이 훤히 내다보일 것이다. 그리고 두 칸 큰사랑과 두 칸 대청, 건넌방을 두었다. 앞으로는 모두 유리문을 달아냈는데, 우리 전통 고택의 창호와는 다르다. 전체적으로 사랑채는 하나의 또 다른 공간 구성을 하면서 멋을 부리고 있다. 이러한 점이 이 집의 특징이기도 하다.

 

 

담장에 낸 굴뚝, 궁궐과 같은 효과를 내

 

사랑채의 뒤로 난 담장에는 굴뚝이 높게 솟아있다. 굴뚝은 사랑채와 땅 밑으로 난 연도로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 사랑채의 뒤로해서 안채로 출입을 할 수 있는 동선인 일각문 옆에 자리한 굴뚝. 흔히 우리가 고궁을 관람하면서 볼 수 있는 형태로 꾸몄다. 고궁을 관람하다가 보며 이런 담장에 난 굴뚝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이 굴뚝 하나가, 이 집이 이 마을에서 어떠한 위치에 있었는가를 알려주고 있다.

 

전체적으로 ""자형으로 자리를 잡고 있는 아산 윤보선 전 대통령의 생가. 비록 중간에 약간의 보수를 하였다고 하지만, 처음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중문을 넘어설 수 없어, 안채를 꼼꼼히 살필 수 없었음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많은 고택을 보았지만, 그 중에서는 단연 '고래등'이라는 말이 적합한 표현일 듯하다. 그래서 대통령이라는 큰 인물이 났는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중요민속문화재 제231호로 지정이 된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 29에 소재한 엄찬 고택은, 사육신의 한사람인 성삼문의 외손 엄찬의 고택으로 알려진 집이다. 원래 이 집은 문간채가 있었지만 현재는 문간채는 사라지고, 사랑채와 중문을 들어서면 광채와 자형의 안채가 광채와 연결되어 자형의 집을 구성하고 있다.

 

넓은 마루가 시원한 사랑채

 

현재 엄찬 고택은 사랑채와 행랑채가 연결된 중문을 사이로 출입이 가능하다. 사랑채는 3칸으로 되어 있는데, 그 중 두 칸은 넓은 툇마루를 놓아 시원한 느낌이 든다. 아마 예전에는 이 사랑마루에서 앞의 경치를 바라보며, 글을 읽고는 했을 것이다. 중간에 한 칸은 좁은 툇마루를 놓았는데, 이어진 부분은 안채에서 드나들 수 있는 부엌이다.

 

 

 

중문 밖으로는 한 칸의 행랑방과 광이 마련되어 있다. 이 광은 집의 구조로 보아 마구간으로 사용된 듯하다. 중문을 열고 들어서면 좌측으로는 - 자형의 광채가 자리를 하고 있다. 광채는 행랑방을 합하여 모두 여덟 칸으로 마련이 되었는데, 그 중 좌측 세 칸은 문을 달아 놓았다.

 

자형의 안채는 겹 마루를 놓아

 

전체적으로 대지가 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한 엄찬 고택은, 남쪽으로 중문을 두고 동쪽으로 본채를 두었는데, 팔작지붕과 맞배지붕의 우진각으로 꾸몄다. 이 엄찬 고택의 특징은 안채의 대청마루다. 모두 세 칸으로 구성이 되어있는 대청은 겹 마루를 놓았다. 중간에 기둥을 두고, 그 밖으로 또 마루를 덧낸 형태이다.

 

 

 

 

마루를 중심으로 좌우에 방을 드렸는데, 대청을 바라보고 좌측에는 부엌과 다락, 그리고 연이어 방을 세 개를 놓았다. 안방과 윗방으로 구분이 되는 이 방은 그리 크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이 안채에서 특이한 것은 바로 사랑채와 이어지는 부엌이다. 이 부엌은 중문과 연결이 되어 있는데, 아궁이가 이단으로 되어있다. 즉 경사가 진 대지를 그대로 이용하다가 보니, 아궁이가 깊어서 아래쪽은 가마솥에 불을 때는 아궁이로 하고, 그 위에 방을 데우는 아궁이를 따로 두었다.

 

자연을 그대로 이용해 지은 고택

 

성삼문의 외손 집이라고 해서 그 집이 잘 보존이 되어야한다는 법은 없다. 하지만 이 엄찬 고택은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이 될 만큼 그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집이다. 안채의 뒤편에 있는 굴뚝은 중후한 멋을 나타내고 있고, 마당은 업은 편이다. 아마도 예전에는 이곳에 문간채가 자리하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마을 밑에서 바라보는 엄찬 고택은 한 폭의 그림과 같았다. 두 그루의 커다란 은행나무가 행랑채 앞에 자리를 하고 있어, 운치가 있어 보인다. 모두 여덟 칸으로 되어있는 광채는 한 눈에 보아도 이 집이 예사롭지 않음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정작 안으로 들어가 살펴본 집은 여기저기 엉망이 되어 있었다.

 

1670년대에 지어졌다는 엄찬 고택. 그저 성삼문의 외손이 살고 있던 집이라고 장황하게 안내를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만큼 소중한 문화재로 지정을 했으면, 잘 보존이 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다. 사랑채 넓은 마루에 앉아 앞을 내다본다. 멀리서 경운기 지나가는 소리가 요란하다.

 

 

 

충북 영동군 심천면 초강리에 자리한 소석고택은 중요민속문화재 제132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부농의 상징으로 멋을 자랑하는 소석고택은, 기와에 새겨진 명문을 확인한 결과 조선조 고종 22년인 1885년에 지어졌다. 소석고택의 건물은 남쪽을 향하고 있는데 안채에 수직축을 맞추어 사랑채를 놓았다. 그리고 동쪽으로는 곳간채를 배정해 전체적인 균형을 맞추었다. 행랑채와 광채는 1920년경에 없어졌다고 한다.

 

안채의 뒤편으로는 넓은 과수원이 자리하고 있다. 안채와 사랑채의 사이에는 너른 안마당이 있어, 전체적으로 집안이 시원한 느낌을 준다. 소석고택을 찾은 날은 쌀쌀한 날씨였다. 옷깃을 여미고 찾아간 소석고택은, 초강천을 옆에 두고 너른 평지에 자리한다. 주변에는 초강초등학교가 있어 찾기에도 수월하다.

 

 

안채 다락방을 아궁이 위에 둔 까닭은?

 

소석고택의 안채는 'ㅡ' 자형으로 되어있다. 안채는 경기도 이남의 남부가옥에서 보이는 평면구성으로 안방, 윗방, 2칸 대청, 건넌방의 차례로 배열되었다. 그런데 이 안채에서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바로 2칸 대청을 지난 건넌방의 다락이다. 이 다락은 밑에 불을 때는 아궁이를 두고 있다. 아궁이 위에 다락을 만들었다. 다락은 큰 창을 내었다.

 

이렇게 아궁이 위에 다락을 내는 까닭은 바로 습기를 제거하는 목적이다. 아궁이에 불을 땔 때 그 온기가 올라 다락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창이 큰 것도 그러한 맥락이다. 안채는 대개 부녀자들이 기거를 하는 곳으로, 이 아궁이 위의 다락에 옷가지 등을 보관하면 늘 뽀송뽀송하다는 것.

 

 

 

 

 

집 하나를 지으면서도 세심한 곳까지 배려를 한 것이 바로 전통가옥의 아름다움이자 실효성이다. 이러한 것을 점차 생활이 불편하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저버리고 있는 우리들의 주거문화가 참담하기까지 하다.

 

H자형의 사랑채의 멋스러움

 

우리 고택 중 와가의 멋은 바로 지붕이다. 버선코로 비유되는 처마 끝은, 그야말로 멋스러움이다. 내림마루와 추녀마루가 위로 치켜 올려진 것은 무한한 발전을 이끌어 낸다. 모든 일에 대한 희망에 견주기도 하는 이 처마 끝의 멋이야말로 한옥의 특징이다. 소석고택의 사랑채는 H자 형으로 구성이 되었다.

 

 

 

 

 

남편에는 돌출된 누마루를 놓았다. 삼면을 기둥만 세워 시원하게 조망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누마루에 앉아 시를 짓기도 하고, 벗들과 어울려 술 한 잔에 시름을 덜어내기도 했을 것이다. 간단한 난간으로만 치장을 한 누마루는, 그대로 선비의 모습을 연상케 한다.

 

누마루와 반대편에 있는 서편의 방 옆에는 커다란 문을 달았다. 이 문의 용도는 무엇일까? 그것은 여름철에는 문을 열어 초강천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을 맞고, 겨울이면 문을 닫아 찬바람을 막아내는 구실을 했다. 기단으로 쌓은 돌 하나하나에서 소석고택이 부농의 상징임을 알 수 있도록 꾸몄다. 어느 곳 하나 빠짐이 없는 소석고택의 사랑채는 한옥의 멋을 그대로 살린 아름다움이다.

 

 

 

 

 

곳간은 둘, 지붕은 하나의 색다른 건축

 

소석고택에서 돋보이는 또 하나의 건축물은 바로 곳간채다. 안채와 사랑채가 와가로 지어진데 비해, 곳간채는 초가로 꾸며졌다. 그것이 소석고택의 전체적인 조화를 이끌어낸다. 그런데 이 곳간채는 지붕이 하나인데 곳간부분은 둘로 나뉘어져 있다. 무슨 이유에서 이렇게 했을까?

 

서향으로 지어진 소석고택의 곳간채는 뒤주처럼 가로로 널판을 끼워 맞추고 있다. 이 곳간채는 정면 4칸, 측면 1칸의 규모이다. 각 칸마다 세로로 중인방을 넣고, 널판을 가로로 끼워 벽을 견고하게 만들었다. 20세기 초에 지어진 것으로 알려진 곳간채는 바닥은 널마루로 깔고 천정 또한 널판자로 마감을 하였다. 이렇게 분리를 해 놓은 것은 한 곳은 곡간으로, 한 곳은 뒤주로 사용한 것은 아닌가 한다.

 

 

 

 

 

안채와 사랑채를 가르는 돌담과 측간

 

안채와 사랑채 사이에는 건물만큼 돌담을 쌓았다. 그것은 부녀자들이 기거하는 안채와 남정네들이 드나드는 사랑채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서편 'ㄱ' 자로 꺾인 부분에 측간을 지었다. 측간은 초가로 지어졌으며 널판자로 벽을 만들었다. 1칸으로 지어진 이 측간을 사랑채 뒤에 두고, 담장을 막은 것도 소석고택이 그저 건축물을 놓은 것이 아니라, 세세한 것까지도 신경을 썼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뒤쪽에 측간을 내어 냄새를 방비하기도 했지만, 담을 두어 자칫 불편한 모습과 소리를 안채에서 듣지 못하도록 했다는 점이다.

 

우리 고택을 둘러보면 하나하나가 철학이다. 그리고 자연과 동화를 하면서 그 자연을 거스르지 않는다. 그러한 자연과 동화되는 심성이 아름다운 집을 만든 것이다. 이러한 집을 짓는 마음이 그립다.

 

중요민속문화재 제199호 서산 김기현가옥

 

서산시 음암면 유계리에 소재한 중요민속문화재 제199호 김기현 가옥은 살아있는 집이다. 현지대중교통을 이용하려면 서산버스터미널에서 해미행 시내버스를 이용하여, 중간 유계리 입구에서 하차 도보로 5분정도가 소요된다.

 

승용차로 찾아가려면 서해안고속도로 해미I.C 해미 유계리 입구 서산 김기현가옥을 이용하거나, 경부고속도로 천안I.C 아산 예산 덕산 해미 유계리입구 서산 김기현가옥으로 찾아갈 수가 있다.

 

 

전체적으로 자 형의 고택

 

서산 김기현가옥은 한다리라 부르는 평지 마을의 낮은 야산을 배경으로, 동향한 전통 목조 한와가로 건축의 기법과 목부재의 상태, 가옥의 배치 등으로 보아 19세기 중엽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하는 이야기에 의하면 원래 이집은 태안에 살던 이씨가 건립했는데, 풍수지리설에 이씨가 살터가 아니고 김씨가 살아야 할 터라고 하여, 경주김씨인 김기현의 선조가 이 가옥을 사서 살게 되었다고 한다. 가옥은 자형의 안채와 자형의 사랑채가 어우러져 전체적으로 자형의 평면을 이룬 가옥이다.

 

 

평야마을에 자리잡아 북동향하고 있는 기와집으로, 지은 연대를 알 수 있는 기록은 없으나 건축양식으로 볼 때 19세기 중반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자형의 행랑채 안쪽으로 ''자형의 안채가 있고, 안채의 동쪽 옆에 사랑채가 ''자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행랑채는 7칸 규모로 왼쪽 끝에 바깥대문이 설치되어 있고, 부엌과 광,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향한 안채는 중문을 들어서서 안마당의 오른쪽에 있다. 이는 대부분의 중, 상류주택이 몸채를 안마당 건너편에 두는 것과는 달리, 한편에 안채를 두었다는 것이 이 집의 색다른 구조이다. 아마도 이는 일조를 고려한 것이 아닌가 생각든다.

 

 

차양지붕이 특징인 김기현 가옥

 

사랑채는 안채보다 간결한 구조를 한 3칸 집으로, 사랑채 남쪽에 단 차양지붕이 돋보인다. 차양지붕은 사랑채 1칸 앞에 팔모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자 모양의 맞배지붕을 얹은 것이다. 앞면에는 겹처마를, 뒷면에는 홑처마를 달아 앞쪽을 더 길게 처리하였다.

 

안채의 뒷뜰에는 3칸의 초가집이 있는데 일종의 공부방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비교적 지을 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집으로, 공간의 짜임새가 빈틈없이 구성되었으며 호도나무나 감나무 등이 어우러져 소담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김기현 가옥은 정말 사람이 살고 싶은 그런 집이었다. 보기만 해도 여기저기 소박함이 배어나오는 그런 집이었다.

 

 

전국의 많은 고택들을 돌아보았지만 서산 김기현 가옥만큼 정갈한 집은 그리 많지가 않았던 것 같다. 안채며 사랑채의 구성이나 행랑채의 소박함. 그리고 팔모기둥 위에 놓은 차양지붕 등. 올 가을에 단풍이 들 무렵 다시 한 번 찾아보고 싶은 곳이다.

전북 정읍시 산외면 오공리에 소재한 중요민속문화재 제26호 김동수 가옥. 호남 부농의 상징인 이 가옥은 김동수의 육대조인 김명관이, 정조 8년인 1784년에 건립하였다고 한다. 흔히 아흔 아홉 칸 집으로 불리는 김동수 가옥은 해수로 따지면 230년이 되었지만, 이 가옥은 아직도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우리 고택을 연구하는데 소중한 문화재로 꼽히고 있다.

 

청하산을 배경으로 앞으로는 정읍의 젖줄인 동진강의 상류인 맑은 하천이 흐르고 있다. 김동수 가옥의 특징은 대문채인 바깥사랑채, 사랑채와 중문채, 그리고 안채와 아녀자들이 외부의 여인네들과 만나서 담소를 즐기는 안사랑채가 별도로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또 하나 담 밖으로는 노비들이 묵는 '호지집'이라고 하는 집이 여덟 채가 집 주위에 있었으나, 지금은 그 중 두 채만 남아있다.

 

 

김동수 가옥을 둘러보면 참으로 대단한 가옥이라는 생각이 든다. 동서 65m, 남북 73m의 장방형 담장을 둘러 그 안에 건물을 지었다. 한 채의 가옥이 이렇게 넓게 자리를 한 집은 많지가 않은 점도 이 집안 부의 내력을 알만하다.

 

'호지집'의 용도는 무엇이었을까?

 

김동수 가옥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담밖에 자리한 호지집이다. 솟을대문을 약간 비켜서 한 채가 있고, 담 밖 전후좌우에 모두 여덟 채가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두 채만 남아있다. 호지집이란 말은 생소하다. 김동수 가옥을 방문하기 전에 수많은 고택을 답사했지만, 호지집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이 호지집은 노비들이 기거를 하던 집이라고 한다. '호지(護持)'란 수호하고 지켜낸다는 소리다. 이 호지집을 단순히 노비집이라고 설명을 하기에는 적당치가 않다. 단순히 노비였다면 무엇 때문에 전후좌우에 두 채씩 배분을 해서 지었을까?

 


  
김동수 가옥의 담장 밖에 있는 여덟채의 호지집은 노비집이라고 하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노비가 아닌 사병이 묵었을 가능성이 더 크다.

 

아마 생각해보건 데 이 김동수 가옥의 규모로 보아 지역의 부농이었을 것이다. 실제로 김동수 가옥에서 보이는 많은 곳간과 헛간들을 보면 알 수가 있다. 그 많은 양의 곡식과 재물이 있는 김동수 가옥은 늘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한 재물을 지키기 위해 사방에 집을 짓고, 집을 수호하는 역할을 준 것이란 생각이다.

 

그러기에 단순히 노비집이라는 말을 붙이지 않고, <호지가(護持家)>라고 했을 것이다. 즉 이 호지집에 묵는 노비들은 일을 하기 위한 노비이기보다는, 집을 지키는 경계의 업무를 지니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으로 본다면 호지집에 사는 사람들은 기실 노비가 아닌, 노비로 가장한 김동수 가옥을 지키는 사병(私兵)이었을 확률이 더 크다.

 

대문채와 마주한 사랑채는 전국에서 단연 으뜸

 

김동수 가옥은 행랑채라고 부르지 않고 대문채, 혹은 바깥사랑채라고 부른다. 행랑채에도 많은 손님들이 묵었다는 설명이다. 주인을 찾아오는 외부의 손님을 행랑채에 묵게 하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므로, 바깥사랑채 혹은 대문채라 한 것으로 보인다. 대문채는 솟을대문 좌우에 담을 쌓아 건물로 사용을 했으며, 담장에 나 있는 대문을 들어서면 좌, 우측에 곳간과 마굿간 방, 대청 등이 자리한다. 곳간의 넓이로 보아서도 이 집의 부(富)가 상상이 간다. 대문채를 들어서 우측에 마굿간 등이 있으며 꺾인 북쪽에 있는 칸에도 방을 두 칸 두고 있다.

 

  
대문채의 동편부분이다. 마굿간과 방 들로 꾸며져 있다. 행랑채라고 하지 않고 바깥사랑채라고 부른다.

 

이 대문채와 마주한 사랑채야 말로 김동수 가옥에서 보이는 건물 중 단연 최고이다. 사랑채는 정면 5칸, 측면 3칸의 一자형 평면이다. 높은 기둥에 세워 방은 두 칸과 뒷방 한 칸을 꾸몄다. 부엌과 안창고라 불리는 내고(內庫)가 있는 외는 전부를 마루로 만들었는데 보기에도 시원한 양청으로 꾸며 멋을 더했다. 잘 다듬어진 화강암으로 만든 장대석의 기단 위에 올려놓은 사랑채는, 김동수 가옥이 얼마나 집을 짓는데 있어 방위와 멋을 중요시했는가를 알 수가 있다. 전국에서 보이는 많은 고택 중, 김동수 가옥의 사랑채를 단연 으뜸으로 치는 것도 그러한 이유다.   

 

  
김동수 가옥의 사랑채는 고택의 사랑채 중에서 단연 으뜸으로 꼽힌다.

이 사랑채에는 재미난 점이 하나가 있다. 바로 사랑채에 붙은 방이다. 사랑채의 방은 ㄴ자 형태로 3칸의 규모이다. 이 세 칸 중 앞에서 보이는 2칸은 어른이 사용을 하였고, 뒷방 한 칸을 아들이 사용하였다. 뒤쪽 방을 아들이 사용한 까닭은 안채의 며느리가 사용하는 건넌방과 동선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사랑채와 안채를 연결하는 동선이 사당 쪽에 담장을 낀 좁은 통로로 이어진다. 이 길을 지나면 건넌방의 뒤편이 나오는데, 툇마루를 놓아 뒷문으로 방을 드나들 수가 있다. 집안사람들의 눈을 피해 젊은이들이 정담을 나눌 수 있도록 세심한 배려를 한 것이 김동수 가옥의 최고의 멋이란 생각이다.

 

마주한 안채와 중문채의 비밀

 

김동수 가옥의 특징은 집들이 서로 마주하고 앉았다는 점이다. 대문채와 사랑채가 마주하고, 중문채와 안채가 마주한다. 중문채는 모두 11칸으로 지어졌으며 양편을 꺾어 날개채를 달아냈다. 이 중문채는 집안의 여자하인들과 어린자녀의 공부방, 안변소와 곳간 등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이 김동수 가옥에서 보이는 특징은 사랑채와 대문채도 그러하지만, 중문채와 안채도 방이 서로 마주하지를 않는다.

 

대문채와 중문채의 방을 놓는데 있어, 조금은 비켜서 방을 놓았거나 꺾인 부분에 방을 들여 놓았다. 중문채는 안 변소, 헛간, 곳간에 이어 내외벽이 있는 두 칸의 중문이 있다. 그리고 이어서, 헛간과 곳간이 계속되다가 아홉 칸 째에서 꺾이어 북쪽으로 부엌과 방이 두 칸 이어진다.

 

  
집안 곳곳을 담장으로 막고 일각문을 내어 통행을 하도록 하였다.

  
사랑채에서 안채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길게 ㅡ자로 늘어선 중문채의 중문을 지나야만 한다.

왜 이렇게 방을 놓는데 있어 주인과 하인의 방을 마주하지 않았을까? 그것이 아마 두 가지의 의미가 있으리라고 본다. 하나는 주인의 신분이 하인과 마주 할 수 없이 높다는 뜻일 테고, 또 하나는 밑에 사람들이 마주하면 불편할 것을 감안해 조금 비켜나도록 방을 들였을  것이란 생각이다.

 

중문채와 마주하는 안채는 집안의 여주인이 거주하는 것이다. 이 안채는 ㄷ자형으로 지어졌는데 양편 꺾인 부분에 부엌을 달아낸 독특한 방법을 썼다. 안채는 가운데 6칸을 대청으로 조성을 하였다. 이 안채 역시 사랑채와 마찬가지로 김동수 가옥의 중요 건물 중 하나로 그 멋을 더했다. 대청의 양 끝에 방을 두고 대청의 뒤로는 큰 문을 내어, 뒤뜰의 경계를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김동수 가옥에서 보이는 또 하나의 멋스러움을 지닌 안채. 양편 날개채에 부엌을 들인 독특한 형태이다.

출가한 딸이 해산을 하기 위해 친정에 오면 이곳에서 몸을 풀기도 하고, 찾아온 여인들이 묵기도 했다.

김동수 가옥의 또 하나의 특징은 바로 안채의 서남쪽에 자리한 안사랑채다. 사랑채는 주로 남주인이 기거를 하면서 손님들을 접대하는 곳이지만, 이 안사랑채는 안주인을 찾아오는 여인들이 하루 유숙을 하기도 했지만, 출가한 딸이 해산을 하기 위해 친정에 오면 이곳에서 몸을 풀었다고 한다. 결국 사랑채보다도 더 안채를 중시한 가풍을 느낄 수가 있다. 이 안사랑채는 입향조인 김명관이 본채를 지을 때, 그 자신과 목수들이 임시로 거처하기 위하여 지은 건물이라고 한다. 남향으로 지어진 이 안사랑채는, 一자형으로 정면 5칸, 측면 한 칸 반이 되는 규모로 지어졌다.

 

  
담장 안에 있는 집들 중 유일한 초가집인 외측

한 때는 가을에 수확한 벼가 1200섬이 넘었다고 하는, 부농의 상징인 김동수 가옥. 230년 가까운 세월동안 원형 그대로를 유지한 채 지켜낸 집이기에 더욱 소중하다. 건물과 건물을 담으로 막고, 일각문을 내어 출입을 도운 김동수 가옥. 99칸의 대부호의 집답게 여기저기 둘러볼 것이 많다. 사랑채에서 안채로 난 동선을 따라 이동을 하면서 괜히 혼자 가슴을 설레 본다. 그 곳에 기다리는 여인이 있지도 않건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