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보살님 다리는 어째시고?
강원도 원주시 봉산동에 있는 원주시립박물관 뒤편 계단 아래에 보면, 다리가 없는 석조미륵보살입상 한 기가 서 있다. 이 석조미륵보살입상은 1960년경 봉산동에 있던 옛 활터인 학봉정의 과녁 부근에서 출토되었다고 한다. 그 후 보현사 앞뜰로 옮겨졌다가 춘천 소재 강원도 향토박물관에서 보관을 하다가, 2001년 원주시립박물관으로 옮겨왔다.
정확히 알 수 없는 천왕사지 미륵보살입상
이 미륵보살입상은 천왕사 터에 있던 것이라고 전한다. <동국여지승람>에 보면, 천왕사는 봉산동의 옛 활터 부근에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 천왕사지가 어디인가는 정확하지가 않다. 다만 현재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어 있는, 봉산동 당간지주가 천왕사에 서 있던 것이라고 하는 점으로 보아, 이 미륵보살입상도 인근에 있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천왕사는 신라 시대에 창건한 절이라는 것 밖에는 알려진 것이 없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미륵보살입상도 당간지주가 서 있는 천왕사지에 있던 것을 누군가에 의해 훼손이 되어, 옛 활터에 버려진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미륵보살입상은 허벅지 아래의 다리가 훼손이 되어 정확한 크기는 알 수 없지만, 윗부분의 크기로 보아 성인들의 키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한다.
고려 초기 지역의 장인에 의해 조성한 것으로 보여
이 천왕사지석조미륵입상은 두발을 높게 감아 올려 망건을 쓴 것처럼 보인다. 옆에서 보면 관의 모양새가 확실한 것이, 미륵입상이기보다는 문인석에 가까운 머리의 제관 모양이다. 또한 가운데가 솟아있고, 옆으로 둥근 모양을 한 것을 보아도 확실하다. 이마의 중앙에는 백호가 있어 이 석조물이 석조미륵입상임을 알 수 있다.
미륵보살입상의 얼굴은 통통한 편이며 적당히 살이 붙어 있다. 눈과 코 입도 중앙으로 모여 있어 일반적인 불상의 형태와는 다르다. 그저 편안하고 풍요로운 모습으로 조각이 되었다. 귀는 석불의 귀들이 크게 표현한 데 비해, 일반적인 사람의 얼굴에서 보이는 형태로 표현을 하였다. 전체적인 얼굴의 모습을 보면 석불의 특징적인 형태를 벗어나 있다.
수인은 가슴께로 손을 올렸는데, 오른손은 엄지손가락을 추켜세우고 있다. 남은 손가락은 법의를 묶은 끈을 잡고 있는 듯하다. 왼손은 허리께에 대고 있는데, 손목을 꺾어 손바닥을 앞으로 펴 보이고 있다. 이 미륵보살입상의 특징은 양팔이 몸에서 떨어져 팔과 몸 사이에 맞닿는 부분이 뚫어져 있다는 점이다.
문인석에 가까운 조각수법이 특이해
오른쪽 어깨에서 흘러내린 법의의 주름은 가슴과 아랫배에서 U자 모양으로 감아 올렸다. 법의의 한 자락은 오른팔에 걸고 있는데, 그 모습이 자연스럽다. 또 다른 옷 주름은 가운데 배에서 나비매듭을 엮었으며, 부챗살 모양으로 퍼진 주름은 몸 아래 하반신으로 곧게 흘러내린다. 다리 부분이 훼손이 되어서 다리의 모습을 알 수는 없지만, 머리와 상반신의 모습으로 볼 때 발에는 목화를 신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원주지역에는 이 석보미륵보살입상 외에도 비슷한 크기의 세구의 석조보살입상이 남아있다. 이 세구의 보살입상도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보이는데,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미륵보살입상은 원주 지역을 활동 근거지로 삼은 장인에 의해서 조성이 되었을 것이다. 다리가 훼손된 석조미륵보살입상. 전체적인 조성기법이 일반적인 석불과는 다르게 나타나는 이 석조미륵보살입상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깊이 있게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