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부석사(浮石寺). 우리는 흔히 부석사라고 하면 경상북도 영주시에 소재한 부석사를 먼저 생각한다. 하지만 서산 부석사도 영주 부석사와 같이 한자로도 사찰명이 일치한다. 서산 부석사는 신라 때 의상대사가 창건 한 절로 전해진다.

 

부석시 일원은 도비산의 강무지로 알려져 있다. 강무지란 임금이 직접 참여하여 군사훈련을 한 곳임을 말한다. 조선조 제3대 태종이 14162163남인 충령대군(후 세종)과 함께 군사 7,000명을 이끌고 이곳에서 사냥몰이를 하였다. 임금이 직접 참여한 이러한 군사훈련을 강무(講武)’라 칭한다.

 

훈련이 끝난 후 태종과 충령은 해미현에서 숙박을 한다. 원래 이 강무일정은 28일에 서산에 도착하였으나, 비가 내리는 바람에 210일까지 서산에서 머물고, 11일에 태안 순성에 이르러 15일까지 굴포의 개착상황과 여러 곳을 거쳐 도비산에서 강무를 연 것이다. 태종이 이곳을 강무지로 택한 곳은 도비산 일원이 왜구의 침입이 잦았기 때문이다.

 

 

큰 돌이 허공에 떴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부석(浮石)

 

신라 제28대 진덕여왕 4년인 650년에 복흥사라는 절에 의상이라는 승려가 있었다. 의상은 큰 뜻을 품고 당으로 가서 지엄법사 밑에서 공부를 했다. 의상이 있던 지장사 아랫마을에는 젊고 예쁜 <선묘낭자>가 살고 있었는데, 이 낭자가 의상스님에게 반하고 만 것. 그래서 문무왕 1년인 661년에 의상이 신라로 돌아가려하자, 선묘낭자는 자신의 마음을 의상에게 밝혔다. 하지만 의상은 스님이기 때문에 허락을 할 수 없다고 거절했다는 것이다.

 

의상이 배를 타고 떠나려하자 선묘낭자는 스님의 복색을 하고 의상을 따라가 평생 시종을 들 것이라고 부탁을 했다. 하지만 그도 물리치자 선묘낭자는 바다에 뛰어들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것이다. 그 뒤 선묘낭자는 용이 되어 의상을 따라 해동 조선으로 나왔다고 한다. 의상은 자신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선묘낭자를 위해, 절을 세워주기로 하고 절터를 찾던 중 서산 도비산 중턱에 절을 짓기로 하였다.

 

 

문무왕 10년인 670년에 도비산 중턱에 절을 짓기 시작하자 마을 사람들이 심하게 반대를 했다. 마을 사람들이 반대를 하는 것도 무릅쓰고 절을 계속 짓자, 마을 사람들이 몰려와 절에 불을 지르려고 하였다. 그 때 큰 바위 하나가 허공에 둥둥 떠 오더니 공중에서 큰 소리가 났다. “너희들이 절 짓는 것을 방해한다면 이 큰 바위로 너희들의 머리를 다 부수어놓겠다. 지금 당장 물러가라고 꾸짖었다. 사람들은 혼비백산 달아나버렸다.

 

이렇게 허공에서 소리를 친 것은 바로 선묘낭자의 화신인 용이었다는 것이다. 그때부터 이 절 이름은 도비산 부석사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바로 부석이라는 이름을 붙이게 된 이유이다. 결국 이 부석사는 큰 바위가 하늘에 둥둥 떠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임을 알 수 있다.

 

 

시민기자들이 찾아간 부석사

 

23일 일정으로 떠난 e수원뉴스 시민기자 워크숍. 그 첫날인 828일 서산 해미읍성을 거쳐 간월암의 풍광을 만난 후 찾아간 부석사. 지난 해 11월 이곳을 들려간 후 10개월 만에 다시 찾은 부석사이다. 이곳은 들릴 때마다 마음이 아픈 곳이다. 이 부석사에 봉안이 되어있던 700년 전인 고려 충숙왕 때 부석사에 봉안했던 금동관음보살좌상이 전문 절도단에 의해 일본에서 다시 우리나라로 반입이 되었다.

 

이 절도단은 자신들이 도적이 아닌 애국자이기 때문에 범법자로 재판을 받을 것이 아니라 국민재판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한 아픔이 있는 절 부석사를 찾은 시민기자들. 경내를 다니면서 사진촬영을 하고 꼼꼼히 기록을 하기도 했지만, 과연 이 부석사에 어떠한 역사적인 사건이 있었는지는 알고는 있는 것일까?

 

 

선묘낭자의 모습을 담아 모셔놓은 선묘각에 들려 삼배를 올린 후 다시 새롭게 조성한 마애불상 앞으로 다가선다. 저 밑에 보이는 마을길을 달리는 차들이 조그마한 장난감만 같다. 마애불 앞에 머리를 조아리고 여정의 무사함을 기원한다. 그리고 의상스님을 사모해 애틋한 사연만 남기고 용이 되었다는 선묘낭자가 다시는 그런 아픔을 당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도 전해본다.

 

산중에 무엇이 있을까

산마루에 흰 구름 많이 머물러 있구나.

다만 나 홀로 즐길 수 있을 뿐

그대에게까지 바칠 수가 없구나.

 

금수산(1,016m) 산자락 신선봉에서 청풍방향 도화리로 가지를 뻗어 내린 산자락에 자리한 정방사는, 신라 의상대사가 창건한 법주사의 말사이다. 경내에는 1825년에 중수한 인법당과 산신각, 명부전, 나한전, 그리고 석조관음상과 유운당이 있으며, 최근에 새로 건립한 정자와 종각이 있다.

 

 

금수산, 얼마나 그 모습이 아름다웠기에 금수산이라 이름을 붙인 것일까? 그 금수산 한편 봉우리 바로 아래 자리를 틀고 앉은 정방사. 말 그대로 신선이나 들어와 앉을만한 곳에 절을 지었다. 절 마당에서 산 아래를 내려다본다. 높고 낮은 봉우리들이 눈 아래 한 폭의 동양화처럼 펼쳐진다.

 

절벽 밑에 가람을 틀다

 

깎아지른 듯한 절벽 밑에 자리한 정방사. 청풍호반을 끼고 달리다가, 우측으로 2.5km 정도를 산 정상을 향해 올라간다. 정방사는 신라 문무왕 2년인 662년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후, 몇 차례 중건을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산으로 오르는 길은 숨이 차다. 아직은 날이 덥지가 않다고 하지만 2.5km를 걸어 찾아간 정방사. 그야말로 하늘 끝에 닿았다고 표현을 해야 할까. 땔감을 나르는 사람들도 숨을 헐떡인다. 정방사 밑에서는 길이 비좁아 사람이 물건을 나르지 못한다. 기계의 힘을 빌릴 수밖에. 좁은 바위 틈 사이를 지나니 커다란 바위 밑에 자리한 정방사가 나타난다. 얼른 위로 올라 합장을 하고 밑을 바라본다. 저 멀리 청풍호가 보이고, 몇 개의 산봉우리들이 발밑에 있다.

 

땅뙈기 한 평 없는 곳에

 

어찌 이 높은 산, 바위 밑에 이렇게 절을 지은 것일까? 의상대사의 제자인 정원스님이 대사를 만난 후 이곳에 와서 불사를 했다고 한다. 아무리 주변을 돌아보아도 마땅히 밭 한 뙤기 맬만한 곳도 없다. 그저 어쩌다가 구름 따라 들린 객들이 놓고 간 쌀과 음식으로 시장기를 달래며, 기도에만 정진했을까?

 

 

인법당인 원통보전 뒤로 돌아가니 바위 절벽 밑에 장독 몇 개가 보인다. 아마 이곳이 냉장고 역할을 하는가보다. 곁에는 암반 사이에서 흐르는 물이 고여 있다. 천혜의 샘이다. 식수로 사용한다고 하는데, 한 모금 들이키니 속이 시원하다. 땀을 흘리고 올라온 고찰에서 마시는 냉수 한 그릇의 맛이 천하에 비길 바가 없으니, 따로 신선이 되는 공부를 할 필요가 없다.

 

여기저기 볼 것이 많다. 한 바퀴 돌아본 후, 내려오는 길에 해우소를 들린다. 일반적으로 해우소는 문 쪽을 향해 앉게 되어 있다. 그런데 정방사 해우소는 출입문을 등지고 앉는다. 그리고 앉은 방향의 앞 벽에는 커다란 공간이 있다. 그리로 저 아래 계곡과 산이 보인다. 이곳에서 일을 보면서도 선문답 한 자락 놓치지를 않았나 보다. 바람도 쉬어가고, 구름도 헐떡거리며 넘는 금수산 정방사. 오늘 정방사에는 신선이 되고 싶은 객 한사람 찾아들었다.

 

불영사는 경상북도 울진군 서면 하원리 천축산에 있는 고찰이다. 불국사의 말사인 불영사는 신라 진덕여왕 5년인 651년에 의상이 세웠다고 전하는데, 의상은 이곳의 산세가 부처님이 계신 인도의 천축산과 비슷하다고 하여, 천축산이라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이곳의 연못에는 9마리의 독룡이 살았는데, 이들을 주문으로 쫓아낸 뒤 구룡사라 하였단다.

 

그 뒤 서쪽 산 위에 부처님의 형상을 한 바위가 절 앞 연못에 비춰 불영사라 개칭을 하였다고 한다. 일설에는 당시 이곳 연못 위에 다섯 부처님의 영상이 떠오르는 모습을 보고 거기 살던 용을 쫓아낸 뒤 절을 지었다는 전설도 전한다. 불영사는 명승 제6호로 지정된 불영계곡을 끼고 조성된 아름다운 절이다.

 

많은 수난을 당한 불영사

 

불영사는 역사의 회오리 속에서 많은 아픔을 당한 절이다. 조선 태조 6년인 1397년에는 나한전만 남긴 채 화재로 모두 불에 타 버린 것을 이듬해 소운대사가 연산군 6년인 1500년에도 다시 소실된 것을 양성법사가 중건하였으며, 선조41년인 1608, 경종 4년인 1742, 고종 3년인 1899년에도 중건을 하였다.

 

불영사 경내에는 보물 제730호인 응진전, 보물 제1201호인 불영사 대웅보전, 보물 제1272호인 불영사 영산회상도와 지방문화재로 지정이 된 삼층석탑과 불영사 부도 등이 있다. 불영사 대웅보전은 기단 밑에 거북 돌을 받쳐 건물을 받들게 하였는데, 이는 불영사가 있는 자리가 화산이어서 그 기운을 누르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고른 균형을 보이는 삼층석탑

 

이 불영사 대웅보전 앞에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5호인 불영사삼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높이 3.21m의 삼층석탑은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후 머리장식을 얹은 모습이다. 크지는 않지만 고른 균형을 보이는 탑으로 통일신라 말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한다.

 

불영사 삼층석탑의 아래 위층 기단의 각 면에는 모서리에 양우주를, 가운데에는 탱주인 기둥을 새겼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올렸으며, 몸돌의 각 면마다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한 양우주를 가지런히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씩의 받침을 두었고,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네 귀퉁이에서 살짝 올라갔다.

 

그런데 이 불영사 삼층석탑의 지붕돌의 형태는 2층 지붕돌의 낙수면의 기울기 등이 1층과 3층에 비해 약간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상륜부인 꼭대기에는 머리장식 받침인 노반을 놓고, 위로 엎어놓은 그릇모양인 복발과 연꽃이 활짝 핀 모습을 한 앙화가 놓여 있다. 불영사의 삼층석탑은 아담하지만 전체적으로 고른 균형을 이루고 탑으로, 기단의 조각수법과 지붕돌의 모습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말기에서 고려시대 초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죽어서도 서원을 이루는 굴참나무

 

불영사를 들어가다가 보면 우측에 돌을 가득 쌓아올린 나무 그루터기가 보인다. 이 고목이 되어 쓰러진 나무는 한 때 천연기념물 제157호로 지정이 되어있던 불영사 굴참나무이다. 살아있을 때는 수령이 1,300여 년에 수고는 35m, 둘레가 6.2m에 이르던 거목이었으나 고사로 인해 지정 해제가 되었다.

 

 

이 굴참나무는 신라 진덕여왕 5년인 651년에 의상대사가 불영사를 창건한 기념으로 심은 나무였다고 한다. 천연기념물이었던 이 굴참나무는 썩은 몸통만 남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 위에 서원을 한 돌을 올려놓았다. 죽어서도 사람들의 서원을 들어줄 수 있는 천연기념물. 불영사 굴참나무는 비록 고사를 했지만, 그 의미는 세월이 지나도 달라질 것이 없는가 보다.

남섬부주 고려국 서산 부석사 당주 관음주성결연문

 

무릇 모든 불, 보살님들은 큰 서원을 세워 모든 중생들을 제도하고자 하는데 비록 너나없이 평등하게 보고자 하지만, 부처님 말씀에 인연 없는 중생은 제도할 수 없다고 하셨으나 이 말씀에 따라 함께 큰 서원을 세워 관음존상을 주조하여 부석사에 봉안하고 영원토록 봉안, 공양하고자 서원합니다. 이로써 현세에는 재앙을 소멸하고 복 받도록 할 것이며, 후세에는 모두 극락에 왕생하기를 서원합니다.

충숙왕 1712982월 일에 쓰다.

 

700년 전인 고려 충숙왕 때 서산 부석사에 금동관음보살좌상을 봉안하고 복장으로 보살좌상에 넣은 결연문이다. 이 금동보살좌상이 어쩌다가 일본으로 건너 간 것일까? 부석사의 당주라면 그 금동여래좌상이 크기가 작다고 해도, 본존불이라고 보아야 한다. 이 관음보살좌상이 지난해 106 ~ 8일경에 일본 쓰시마 카이진신사와 관음사에서 도난당한 후, 국내에 반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금동여래입상관음보살좌상2점이 전문 절도단에 의해 쓰시마에서 다시 국내로 들어왔다가, 123일 문화재청과 대전지방경찰청이 공조수사를 통해 회수하였다. 하지만 이 금동관음보살좌상 등을 쓰시마에서 한국으로 반입을 한 피의자들은 자신들은 절도범이 아닌 애국자라고 하면서, 법정에서 재판을 받을 것이 아니라, ‘국민재판을 받아야 한다고 한다.

 

의상대사가 창건한 서산 부석사

 

서산 부석사(浮石寺). 우리는 흔히 부석사라고 하면 영주 부석사를 먼저 생각한다. 하지만 서산 부석사도 영주 부석사와 같이 한자로도 사찰명이 일치한다. 서산 부석사는 신라 때 의상대사가 창건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신라 제28대 진덕여왕 4년인 650년에 복흥사라는 절에 의상이라는 승려가 있었다. 의상은 큰 뜻을 품고 당으로 가서 지엄법사 밑에서 공부를 했다. 의상이 있던 지장사 아랫마을에는 젊고 예쁜 <선묘낭자>가 살고 있었는데, 이 낭자가 의상스님에게 반하고 만 것. 그래서 문무왕 1년인 661년에 의상이 신라로 돌아가려하자, 선묘낭자는 자신의 마음을 의상에게 밝혔다. 하지만 의상은 스님이기 때문에 허락을 할 수 없다고 거절했다는 것이다.

 

의상이 배를 타고 떠나려하자 선묘낭자는 스님의 복색을 하고 의상을 따라가 평생 시종을 들 것이라고 부탁을 했다. 하지만 그도 물리치자 선묘낭자는 바다에 뛰어들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것이다. 그 뒤 선묘낭자는 용이 되어 의상을 따라 해동 조선으로 나왔다고 한다. 의상은 자신 때문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선묘낭자를 위해, 절을 세워주기로 하고 절터를 찾던 중 서산 도비산 중턱에 절을 짓기로 하였다.

 

문무왕 10년인 670년에 도비산 중턱에 절을 짓기 시작하자 마을 사람들이 심하게 반대를 했다. 마을 사람들이 반대를 하는 것도 무릅쓰고 절을 계속 짓자, 마을 사람들이 몰려와 절에 불을 지르려고 하였다. 그 때 큰 바위 하나가 허공에 둥둥 떠 오더니 공중에서 큰 소리가 났다. “너희들이 절 짓는 것을 방해한다면 이 큰 바위로 너희들의 머리를 다 부수어놓겠다. 지금 당장 물러가라고 꾸짖었다. 사람들은 혼비백산 달아나버렸다.

 

이렇게 허공에서 소리를 친 것은 바로 선묘낭자의 화신인 용이었다는 것이다. 그때부터 이 절 이름은 도비산 부석사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부석사 일원은 도비산 강무지

 

부석시 일원은 도비산의 강무지로 알려져 있다. 강무지란 임금이 직접 참여하여 군사훈련을 한 곳임을 말한다. 조선조 제3대 태종이 14162163남인 충령대군(후 세종)과 함께 군사 7,000명을 이끌고 이곳에서 사냥몰이를 하였다. 임금이 직접 참여한 이러한 군사훈련을 강무(講武)’라 칭한다.

 

훈련이 끝난 후 태종과 충령은 해미현에서 숙박을 한다. 원래 이 강무일정은 28일에 서산에 도착하였으나, 비가 내리는 바람에 210일까지 서산에서 머물고, 11일에 태안 순성에 이르러 15일까지 굴포의 개착상황과 여러 곳을 거쳐 도비산에서 강무를 연 것이다. 태종이 이곳을 강무지로 택한 곳은 도비산 일원에 왜구의 침입이 잦았기 때문이다.

 

 

기증이 아닌 약탈해 간 우리 문화재

 

금동관음보살좌상을 잃은 일본의 사찰에서는 이 불상을 부석사에서 기증을 받았다고 했단다. 그러나 이 기증이란 것은 허무맹랑한 소리이다. 왜구들이 약탈을 한 것이지, 어찌 기증이 될 것인가? 세상에 누가 자신들이 사찰에 모셔놓은 불상을 내어줄 것인가? 약탈해 간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를 찾아온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런데 문제는 이 두 점의 문화재가 일본의 사찰에서 잃어버린 것이 밝혀진다면 돌려준다는 것이다. 문화재보호법 제20조 외국문화재의 보호 조항 때문이다.


 

문화재보호법 제20(외국문화재의 보호)

인류의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국가 간의 우의를 증진하기 위하여 대한민국이 가입한 문화재 보호에 관한 국제조약(이하 조약이라 한다)에 가입된 외국의 법령에 따라 문화재로 지정·보호되는 문화재(이하 외국문화재라 한다)는 조약과 이 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보호되어야 한다.

문화재청장은 국내로 반입하려 하거나 이미 반입된 외국문화재가 해당 반출국으로부터 불법반출된 것으로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으면 그 문화재를 유치할 수 있다.

문화재청장은 제2항에 따라 외국문화재를 유치하면 그 외국문화재를 박물관 등에 보관·관리하여야 한다.

문화재청장은 제3항에 따라 보관 중인 외국문화재가 그 반출국으로부터 적법하게 반출된 것임이 확인되면 지체 없이 이를 그 소유자나 점유자에게 반환하여야 한다. 그 외국문화재가 불법반출된 것임이 확인되었으나 해당 반출국이 그 문화재를 회수하려는 의사가 없는 것이 분명한 경우에도 또한 같다.

문화재청장은 외국문화재의 반출국으로부터 대한민국에 반입된 외국문화재가 자국에서 불법반출된 것임을 증명하고 조약에 따른 정당한 절차에 따라 그 반환을 요청하는 경우 또는 조약에 따른 반환 의무를 이행하는 경우에는 관계 기관의 협조를 받아 조약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문화재가 반출국에 반환될 수 있도록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것은 외국의 문화재가 아니다. 우리 것을 약탈을 해 간 것이 왜 그 나라 것일까? 이 금동관음보살좌상 등 문화재들은 당연히 부석사에 봉안해야만 한다. 700년 만에 제 자리를 찾아 온 것이다. 자신들이 잃은 문화재 하나를 제대로 지켜내지 못한다면, 어찌 고개를 들고 살 것인가? 1130일 찾은 서산 부석사가 달리 보이는 까닭은, 이곳이 선묘낭자의 전설이나 강무를 한 역사적인 곳이라서가 아니라, 우리의 소중한 금동관음보살좌상이 있었던 곳이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