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에 있는 공작산은 해발 887m로 산 정상에서 바라보면 홍천군 일대가 한눈에 들어온다. 산세가 마치 공작이 날개를 펼친 모습과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이기도 한데, 홍천읍에서 바라보면 거인이 하늘을 향해 누워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공작산은 봄에는 철쭉, 가을에는 단풍이 매우 아름다우며 기암절벽과 분재모양의 노송군락, 그리고 눈 덮인 겨울산이 일품이다. 수타사에서 동면 노천리까지 약12km에 이르는 수타사 계곡에는 넓은 암반과 큼직큼직한 소(沼)들이 비경을 이루고 있고, 계곡 양쪽으로는 기암절벽과 빽빽이 우거진 숲이 있어 이곳에서 휴식을 취하기에는 이보다 좋은 곳이 없을 정도다.

 

 

명산 중 명산 공작산

 

한국 100대 명산 중 한 곳인 공작산 끝자락에 자리한 천년 고찰 수타사는 신라 33대 성덕왕 7년(서기 708년)원효대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대적광전의 팔작지붕과 1364년 만든 사인비구의 동종, 3층 석탑이 보존되어 있고 보물 제745호 월인석보를 비롯한 대적광전, 범종, 후불탱화, 홍우당부도 등 수많은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는 고찰이다

 

수타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오대산 월정사의 말사이다. 이 절의 효시는 신라 성덕왕 7년인 708년에 원효가 우적산에 창건한 일월사로부터 전한다. 그 뒤 영서지방의 명찰로 꼽혔으며, 세조 3년인 1457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긴 뒤 ‘수타사(水墮寺)’라고 칭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36년(인조 14)에 공잠이 재건을 하였으며, 1644년 학준이 당우를 확장한 이래, 계철·도전·승해·천읍 등이 불사를 꾸준히 계속하여 1683년(숙종 9)에는 옛 모습을 되찾았다. 현재와 같은 절 이름이 된 것은 1811년(순조 11)이며, 1861년(철종 12) 윤치가 중수한 이래 오늘에 이르고 있다.

 

빗속에 운치있는 수타사

 

지난 달 오후 비가 추적이는 날 수타사를 찾았다. 오후 4시가 조금 지났지만 비가 와서인가 날이 어둡다. 홍천에서 양평으로 가는 왕복 4차선 도로에서 10km 정도를 공작산 쪽으로 향해 가면 수타사가 나온다. 오래된 천년고찰답게 수타사는 고풍스럽다. 강원도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는 대적광전은 보수가 끝이 난 듯 새로운 목재를 이용한 부분이 오히려 신선함이 감돌게 한다.

 

제일 먼저 찾은 것은 수타사 사인비구 동종이다. 사인비구 동종은 모두 8개가 모두 보불로 지정이 되어있다. 보물 제11호로 지정이 된 수타사의 사인비구 동종은 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조선 숙종 때 경기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인 사인비구는 18세기 뛰어난 승려이자 장인으로 전통적인 신라 종의 제조기법에 독창성을 합친 종을 만들었다. 주성동종인 사인비구 동종은 단조롭기는 하나 그 주조법이 뛰어나 보물로 지정이 되어있다.

 

새롭게 조성이 된 원통보전 안으로 들어가 참례를 하고 주변을 살펴본다. 마음에 염원하는 바를 지극히 빌어보고 옆을 보니 새로 조성된 탱화 한 점이 눈길을 끈다. 대적광전에 모셔진 탱화를 그대로 새로 그렸는데 하단 부분을 보니 우리 풍물이 그려져 있어 색다른 느낌을 준다. 앞에 놓인 기물로 보아 지장탱화인 듯하다. 불과 30여분 동안 정신없이 돌아 본 수타사. 천년고찰다운 풍광에 매료되어 잠시간의 시간이 흐른 듯하다. 다시 한 번 시간을 내어 한낮에 찬찬히 돌아보리라 마음을 먹고 산문을 나선다.

 

 

나오는 길에 들린 강원도 유형문화재인 소조사천왕상이 모셔진 전각 안에는 사천왕이 세상에 따라붙는 온갖 사귀를 막아준다는 듯 미소를 보인다. 그래서 절집을 찾는 많은 사람들은 마음 편히 세상을 살아가는가 보다.


 

 


범종은 절에서 쓰는 종을 말한다. 범종의 ‘범(梵)’이란 범어에서 ‘브라만(brahman)’을 그대로 옮긴 것으로, ‘청정’이라는 뜻이다. 순수한 우리말로 ‘인경’이라고 하는 범종은 은은하게 울려 우리의 마음속에 잇는 모든 번뇌를 씻어주기에 충분하다. 범종의 소리는 우리의 마음 속 깊이 울려 어리석음을 버리게 하고, 몸과 마음을 부처님에게로 이도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종을 울리는 이유는 지옥에 있는 영혼들을 위함이기도 하다.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에 가면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2호로 지정이 된 마애종이 있다. 마애종이란 바위에 종을 치는 모습을 조각하여 놓은 것이다. 이 마애종은 쇠줄로 달아 매단 종을, 스님이 치는 모습을 묘사한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마애종이다. 이 종을 자세히 보면 유두와 유곽 등을 표현하고 있는데, 형태로 보아 신라 말이나 고려 초기에 작품으로 보인다.

경기도 유형문화재인 안양 석수동 소재 마애종(2004, 2, 26 답사)

범종은 왜 울리는가?

절에서 종을 칠 때는 그저 치는 것이 아니다. 새벽예불 때는 28번, 저녁예불 때는 33번을 친다. 새벽에 28번을 치는 것은 ‘욕계(慾界)’의 6천과 ‘색계(色界)’의 18천, ‘무색계(無色界)’의 4천을 합한 것이다. 즉 온 세상에 범종 소리가 울려 중생들의 번뇌를 가시게 해준다는 의미가 있다. 저녁에 33번을 울리는 것은 도솔천 내의 모든 곳에 종소리를 울린다는 뜻이다. 지옥까지도 그 소리가 들린다는 뜻이기도 하다.

어느 절이나 범종은 반드시 있게 마련이다. 그 종이 얼마나 오래 되었는가는 중요하지가 않다. 그것은 그 종소리를 듣고 지옥에 있는 영혼들이, 지옥에서 나올 수가 있다는 것이다. 하기에 안성 청룡사의 종에는 ‘파옥지진언(破獄地眞言)’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지옥을 깨트릴 수 있는 범종의 소리. 그 소리만으로도 세상은 달라진다.


보물 제11-3호인 사인비구가 제작한 안성 청룡사 동종(2008, 12, 31 답사)

아름다운 범종, 그 세계에 빠져들다.

전국의 사찰을 답사를 하면서 종에 빠져 든 것은, 그 종의 문양이나 조각 때문이기도 하다. 종이야 함부로 칠 수가 없으니, 그 소리야 많이는 듣지를 못했다. 그러나 그 종에 새겨진 각종 문양 등은 가히 불교미술의 꽃이라고 표현을 할 수 있다. 쇠에다가 그려 넣은 문양 하나하나가 어찌 그렇게 살아있는 듯 생동감이 있을 수가 있을까?

누군가 상원사 종을 들여다보다가 흐르는 눈물을 닦지를 않았더니, 나에게 신이 왔느냐고 우스갯소리를 한다. 그렇게 보였는지도 모르겠다. 절마다 있는 흔한 범종을 들여다보다가 눈물을 흘렸으니 말이다. 하지만 그 종에 새겨진 각종 문양을 보고 있노라면, 그 종을 만든 장인의 예술세계에 빠져들 수밖에 없다. 어찌 쇠붙이에 저런 아름다움을 표현 할 수가 있을까? 만든 장인이 다르고 시대가 다르다고 하지만, 그 안에 녹아있는 예술혼은 청동도 녹일 수 있는 마음이 아니던가.


보물 제11-4호인 홍천 수타사의 사인비구가 제작한 범종과 용뉴(2009, 6, 12 답사)

불교금속미술의 꽃, 숨이 막히다

조선조 현종 11년인 1670년에 사인비구가 제작한 보물 제11-3호인 수타사 동종은, 그 종을 붙들고 있는 용뉴가 힘이 있다. 그보다 4년 뒤인 1674년에 사인비구가 만든 안성 쳥룡사 동종(보물 제11-4호)는 종 표면에 ‘파옥지진언’ 이라고 적어, 이 종으로 인해 지옥에 빠진 영혼을 구하고자 하는 염원을 그려냈다.

같은 보물 제11호인 청계사 동종에는 보살상이 표면에 그려져 있다. 그런데 그 보살상의 표정까지도 완벽하게 표현을 하였다. 어떻게 이렇게 쇠붙이에 표정까지 그려낼 수가 있었을까? 국보로 지정된 범종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범종인 신라 성덕왕 24년인 725년에 제작된, 국보 제36호 상원사 동종을 보면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이 표현이 되어있다. 그런데 그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인이 금방이라도 살아서 나올 것만 같다. 또 위에 달린 용뉴는 어떠한가?


보물 제11호 청계산 청계사의 동종(2004, 11, 6 답사)

어찌 쇠를 녹여 만드는 범종에 이렇게 세세한 표현을 할 수 있었을까? 지금처럼 공구를 갖고 하는 것도 아니다. 거푸집 하나를 갖고 만든 종들이다. 그 아름다움의 끝은 화성 용주사의 국보 제120호 범종에 새겨진 비천인이다. 복대를 하늘로 날리며 내려앉는 비천상. 이 아름다움에 숨이 막힌다.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범종. 지금이야 더 아름다운 범종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과연 그 종들이 이렇듯 생명이 있을까?


국보 제36호인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신라 때 제작된 상원사 동종(2006, 5, 18 답사)

딱딱하고 찬 쇠붙이에서 받는 느낌이 이리도 따스할 줄이야. 이 어찌 마음의 수양이 없이 만들 수가 있을 것인가? 아마 이 종 하나를 만들면서 많은 중생을 번뇌에서 구하고자 하는 수행이 없이는 불가능 했을 것이다. 종을 바라보면서 눈물이 나는 까닭은, 바로 그러한 고통 속에서 만들어진 작품들이기 때문이다. 세상을 바꿀 수 있는 범종소리. 오늘 전국에서 일제히 울린다면, 이 답답함이 가시려나 모르겠다.

국보 제120호인 화성 용주사 동종의 비천상(2004, 5, 21 답사)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