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들이 널려있다. 그리고 한편이 절개한 흔적도 보인다. 이 바위들도 누군가 쪼아내 사용한 것인지, 아니면 오랜 세월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가 스스로 세상구경이 하고 싶어 쪼개져 구른 것인지 알 수가 없다. 그리고 그 위 솟구치는 벼랑위로 성벽이 보인다. 이곳은 왜 이렇게 높은 것일까? 바로 그 위에 서장대와 서노대가 있는 곳이다.

 

만일 이곳에서 전투가 벌어졌다고 하면, 적들은 정말로 힘들었을 것이다. 우선은 가파른 비탈이고, 거기다가 높기까지 하다. 옆으로는 숨겨진 암문이 있어, 도대체 어디서 병사들이 쏟아져 나오는 것인지 조차 분별하기가 힘들다. 그런데다 성 위에서 쏟아져 내리는 화살을 피할 수도 없다. 바로 서노대에서 쏘아대는 다연발 화살인 쇠뇌 때문이다.

 

 

바위야 니들은 왜 그곳에 있느냐?

 

이곳은 성벽 가까이 다가갈 수가 없다. 비가 오는 날 길도 미끄럽지만, 바위와 소나무들이 성벽 근처에 접근하는 것을 허락지 않는다. 이곳의 바위들은 정말 제멋대로이다. 그저 눕고 싶으면 눕고, 서고 싶으면 서 있다. 누가 무엇이라고 하지야 않겠지만, 그래도 오랜 시간을 제멋대로 생긴 채로 화성을 바라보고 있다.

 

나무도 바위도 그리고 사람도, 이 구간은 화성을 탐낸다. 비에 젖은 소롯길은 미끄럽다. 겨우겨우 비에 젖은 바위를 의지해 바위틈을 벗어난다. 갑자기 성벽이 급하게 아래로 내리닫는다. 그리고 그 성벽 위에 여장들도 함께 구르듯 한다. 나무들도 덩달아 성벽을 따라 아래로 내려간다. 화서문에 무슨 풍각쟁이라도 온 것일까?

 

 

포루의 으스스한 모습에 겁을 먹었을 것

 

급한 경사는 화서문까지 이어진다. 서장대에서 화서문까지의 길이는 630m 정도. 그 거리가 모두 내리막길이다. 조금 가면 서이치를 지난다. 굽은 소나무 한 그루, 치를 넘겨보고 있다. 화성 성 밖의 나무들은 왜 그리도 화성을 탐내는 것일까? 아마 이들도 전화(戰禍)를 피해보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철옹성인 화성 안으로 피신을 하고 싶음인지.

 

저만큼 서포루가 보인다. 화성의 포를 쏘아대는 5개 포루 중 한 곳이다. 성이 돌출된 치 위에 지은 구조물이다. 그런데 이 서포루의 형태는 색다르다. 딴 곳의 포루가 밑을 돌로 쌓고 그 위에 포사를 설치 한 것에 비해, 서포루는 아래부터 온통 검을 벽돌로 쌓아 올렸다. 그리고 그 위에 포사 역시 딴 곳과는 비교도 안될 만큼 견고한 모습이다.

 

 

저런 서포루의 모습을 본 적들은 어떤 생각들을 했을까? 아마도 그 으스스한 모습을 보고, 포를 쏘기도 전에 줄행랑을 쳤을 것이다. 치성의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서포루를 지난다. 그런데 이건 또 무슨 일인가? 배터리가 없다고 카메라에 불이 들어온다. 그리고는 화면이 사라져버렸다. 카메라마저 겁을 먹은 것일까?

 

 

세상은 참 살기 편해졌다

 

잠시 고민을 한다. 이제 화서문까지 남은 거리는 420m. 이처럼 비가 퍼붓는 날 지금까지 잘 견뎌왔는데, 배터리가 떨어지다니. 그러나 사람이 죽으란 법은 없는 법. 카메라 대신 지니고 있는 휴대폰을 사용하면 된다는 생각이다. 소형 카메라를 접어 주머니에 집어넣고, 대신 휴대폰을 꺼내들고 걷기 시작한다.

 

서이치를 지난다. 저만큼 성벽이 휘어진 곳에, 사방이 훤하게 트여있는 서북각루가 보인다. 서북각루 역시 치성 위에 설치한 구조물이다. 서북각루도 예전에는 사방이 모두 판문으로 막혀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온돌방까지 마련해 겨울에도 군사들이 따듯하게 쉴 수 있도록 마련한 곳이다.

 

 

서북각루 가까이 가니 빗길에 나그네 한 사람이 하염없이 서 있다. 아마도 저 나그네도 나처럼 이 비에 화성 길을 오를 것인지를 고민하는 듯하다. 서북각루를 지나면 소나무 몇 그루가 그림처럼 서 있다. 그리고 그 사이로 화서문이 보인다. 비는 그칠 줄을 모르고 더욱 세차진다.

 

9월 4일, 오늘의 발길을 멈춘다. 화서문 옆으로 지나는 차들이, 도로를 흐르는 물을 튀기고 지나간다. 화성을 겉도느라 어차피 다 젖었는데, 누구 탓해 무엇 하리오. 그러고 보니 나도 점점 화성을 닮아 가는가 보다.

서삼치를 지나면 성벽에 큰 통로가 보인다. 통로 앞에는 진달래 화장실과 화성관광안내소가 있다. 화성에서 중간에 밖으로 이렇게 출입을 할 수 있는 곳이 군데군데 있다. 그곳을 지나면 오르막길이다. 서장대를 향해 가는 길. 아마도 그 위에서 호령을 하던 옛 장용영의 장수들은 목소리도 우렁찼을 것이다.

 

성벽으로 달라붙는 적군을 무찌르려면 목소리께나 커야 호령을 할 것이 아닌가. 옛 성벽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이 구간은 전쟁도 피해갔을 것이다. 조금 걷다보니 오르막길에 소나무의 가지들이 앞 다투어 성벽을 오른다. 아마도 화성을 쌓고 전쟁을 했다면, 이렇게 성벽을 기어오르느라 수도 없이 곤경을 치러야 했을 것만 같다.

 

 

 

젖은 풀을 헤치며 걷다

 

갑자기 길이 미끄럽다. 조금은 정리가 되었던 길이 그저 편편한 흙길로 변했다. 비는 계속 뿌려대는데, 밟을 때마다 미끄럽다. 신발 안은 이미 물에 젖어 질척인다. 풀이 무성한 길을 걸으며 좌우를 살펴본다. 아무도 그곳엔 없었다. 그저 우산을 두드리는 빗소리와, 알 수 없는 새의 울음소리만이 숲을 지키고 있다.

 

미끄러운 길을 조심조심 걷는다. 자칫 한 발이라도 헛디디면 그대로 낭패를 보기 때문이다. 저만큼 성벽이 돌출이 된 치 위에 전각이 보인다. 서포루, 화성에는 두 가지의 포루가 있다. 바로 '포루(鋪樓)'와 '포루(砲樓)'이다. 전자의 포루는 군사들을 보호하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고, 후자의 포루는 포를 쏠 수 있는 구조물이다.

 

 

 

난 말 없이 200년의 역사를 지켜보았다

 

병사들을 보호하고 쉴 수 있는 포루는 모두 5개소가 있다. 휴식공간이기도 한 포루는 성곽에서 돌출된 치성의 위에 올렸다. 휴식공간과 중간 지휘소 역할도 하는 화성의 포루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하나는 사면을 개방을 한 형태이고, 또 하나는 입구에 문을 내고 사면을 벽으로 둘러친 형태이다.

 

그 포루로 지나치면 커다란 노송 한 그루가 비를 맞고 고고히 서 있다. 성안을 들여다보고 서 있는 소나무는 주변의 시설은 아랑곳 하지 않는다. 이곳의 성벽은 모두 200년 전 정조의 명에 의해서 축성이 된 그대로이다, 다만 성위에 여장만 새로 올렸을 뿐이다. 그 소나무는 200년 동안 화성의 역사를 묵묵히 지켜본 듯하다. 마치 역사를 알고 있다는 듯, 그대로 그 자리에 서 있다.

 

 

 

화성의 성벽은 모두 병사들이 위장을 한 것

 

9월 4일, 빗길을 걷기 시작한지 한 시간이 지났다. 그냥 걸으면 얼마나 걸리려는지? 일일이 성돌과 대화를 하다가보면, 언제 시간이 지났는지 모른다. 굳이 시간을 알아야 할 이유도 없다. 그저 성벽을 쌓은 돌 하나하나를 다 어루만지지는 못해도, 눈으로 이야기는 해야 할 것만 같기 때문이다.

 

저만큼 성벽 위로 우뚝 솟은 서장대가 보인다. 이곳이 화성에서 가장 높은 곳이다. 그 위에서 장용영의 대장군이 정조에게 보고를 하고는 했을 것이다. 그 가까이가면 기단만 장대석으로 쌓고, 그 위는 벽돌로 쌓은 부분이 보인다. 검은 벽돌이 비에 젖어 더욱 윤기가 난다. 갑자기 한 무리의 군사들이 성벽을 뚫고 쏟아져 나온다. 혼비백산한 적들은 줄행랑을 치기 바쁘다.

 

 

 

 

“장군 큰일 났습니다.”

“무슨 일이냐?”

“저 화성의 성을 쌓은 돌은, 돌이 아닙니다.”

“이놈이 정신이 빠졌느냐. 도대체 그게 무슨 말이냐? 돌이 아니라면 도대체 무엇이란 말이냐?”

“저 돌처럼 생긴 것들은 모두 장용영의 군사들이 위장을 한 것입니다. 성벽이 갑자기 장용영의 군사들이 되어 저희를 공격했습니다.”

 

아마도 그랬을 것이다. 거긴 움푹 들어간 성벽 안에 교묘히 감춘 서암문이 있었다. 암문은 군수물자를 들이거나, 적의 배후를 공격할 수 있도록 만든 구조물이다. 서장대를 공격하는 적을 급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 서암문을 지키기 위해, 가까운 곳에 서포루를 두었다. 서암문을 지나면 갑자기 성이 높아진다. 바로 위에 서장대와 서노대가 있기 때문이다.

 

조금 주춤했던 비가 갑자기 세차게 쏟아진다. 아마도 이렇게 비가 내리는 날 이곳에서 교전을 했다고 하면, 적은 단 한명도 살아남질 못했을 것이다. 빗속에서 앞이 잘 보이질 않는데, 뒤편에서까지 공격을 받는다면 이길 장사는 없다. 잠시 발길을 멈춘다. 서암문 안으로 들어가 비를 피해본다. 오늘따라 정말로 암문의 성벽들이 장용영의 군사들이 될 것만 같다.

 

 

또 다시 200년의 세월이 흐른 다음, 누군가 이곳을 돌면서 이야기를 하지 않을까? 그도 나처럼 이 성벽과 대화를 할 줄 알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그 마음 하나 주어 담아 발길을 옮긴다.

세계문화유산 화성을 걷다(8) - 서장대와 서노대

화성을 한 바퀴 돌다가 보면 사방이 한 눈에 들어오는 곳이 있다. 바로 ‘화성장대’라 불리는 ‘서장대’이다. 서장대는 팔달산의 산마루에 있는데, 서장대 위에 올라가 사방을 굽어보면 사면팔방으로 모두 통하는 곳이다. 석성산의 봉화와 대항교의 물이 한 눈에 들어온다. 이 산 둘레 백리 안쪽의 모든 동정은 앉은 자리에서 변화를 다 통제할 수 있다는 곳이다.


서장대, 한 때 어느 취객에 의해 웅장한 서장대가 불에 타기도 했다. 그러나 <화성성역의궤>에 의해 다시 옛 모습을 찾았다. 그 문지방 위에는 정조임금께서 쓰신 큰 글자인 [화성 장대(華城將臺)]로 편액을 붙였다.

정조 이산의 꿈은 무엇일까?

정조임금은 이 장대에 올라 장용위 군사들을 호령했다. 이산은 이곳에서 무슨 꿈을 꾸었을까? 강력한 왕권을 갖고 북진을 하여, 옛 고토를 회복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아마도 이 장대 위에서서 사면팔방을 바라보면서, 막힘없이 달려가는 병사들의 무한한 힘을 바라보았을 것이다.




장대에는 항상 많은 사람들이 모여든다. 그곳에서 담소를 나누기도 하고, 사랑을 엮어가기도 한다. 그러나 정작 이곳에 깃든 이산의 꿈이 무엇인지를 생각한 사람이 있었을까? 난 늘 이곳을 올 때마다 생각을 한다. 아마도 이곳에서 정조임금의 꿈을 이 나라의 청년들에게 알려줄 수만 있다면, 저마다 큰 꿈을 키워나갈 수가 있을 텐데. 늘 그것이 아쉽다는 생각이다.

장대에는 모두 네모난 벽돌을 깔고 바깥에는 둥근 기둥 12개를 세웠는데, 그 높이가 각각 7척이고 이것을 팔각형의 돌기둥으로 받치었고 있는데 그 높이는 각각 3척 5촌이다. 위층은 한 간인데 사면에 교창을 내고 판자를 깔아 바닥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그대로 아래층의 반자가 되었다. 그 서북쪽 모퉁이에 층사다리를 세워서 위층으로 통하게 하였다.




다연발 화살을 쏘아대는 노대

서장대의 뒤에는 ‘서노대’가 자리한다. 원래 노대는 <무비지(武備志)>에 설명하기를, 위는 좁고 아래는 넓어야 하며 대 위에 집을 짓는다고 하였다. 그 모양이 전붕과 같이 하고, 안에는 화살을 쏘는 노수가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노대의 설명을 보면 「현재의 노대는 그 제도를 본떠서 짓되 약간 달리 하였다. 집을 얹지 않고 대를 8면으로 하되 깎아지른 듯이 우뚝 서있게 지었다. 면마다 아래 너비 각 8척 5촌, 위의 줄어든 너비 각 각 6척 5촌, 높이 12척, 지대 위에 체벽으로 면을 만들고, 돌을 깎아 모서리를 만들었다. 위에는 장대를 얹고 凸 모양의 여장을 7면에 설치하였다.」




고 하였다. 장대 쪽으로는 돌계단을 만들어 놓았으며, 상부를 둘러 총안을 낸 여장을 둘러놓았다. 대 위에는 네모난 전돌을 깔았는데 아마도 이곳에서 쇠뇌를 쏘았을 것이다. 쇠뇌란 다연발로 발사하는 화살을 말한다. 쇠로 된 발사 장치를 갖고 있는 이 쇠뇌는 가공할만한 파괴력을 갖고 있었다는 것이다.

정조임금 이산의 꿈은 무엇이었을까? 사방이 훤히 바라다 보이는 이곳에서 군사들의 움직임을 내려다보는 정조는 더 강한 군사력을 필요로 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곳에서 많은 군사들의 위용을 보고 있는 조정 대신들의 모습도 살펴보았을 것이다. 미처 이루지 못한 이산의 꿈을 지금 이 땅의 젊음에게 전해줄 수는 없는 것일까? 철모르는 사랑타령을 하고 있는 한 젊은 연인이 조금은 아쉬운 까닭이다.

최신 댓글